KR0129554Y1 -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54Y1
KR0129554Y1 KR2019950011227U KR19950011227U KR0129554Y1 KR 0129554 Y1 KR0129554 Y1 KR 0129554Y1 KR 2019950011227 U KR2019950011227 U KR 2019950011227U KR 19950011227 U KR19950011227 U KR 19950011227U KR 0129554 Y1 KR0129554 Y1 KR 0129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iquid
valve
slide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228U (ko
Inventor
이홍근
Original Assignee
이홍근
주식회사연합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근, 주식회사연합유리 filed Critical 이홍근
Priority to KR2019950011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54Y1/ko
Publication of KR960036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보온용기에서 액체의 인출과 차단 동작이 원터치 작동에 의한 간단한 동작에 의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온용기에 결합되는 병목 프레임의 개폐공을 통해 액체의 인출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설치되어 개폐하도록 하는 밸브의 개폐수단과; 상기한 병목프레임에 결합되는 배출프레임에 설치되어 밸브를 승강 작동시키도록 하는 인출버턴의 가압시 연동하는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차단버턴의 누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인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인출장치의 액체 인출시를 도시한 도면.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인출장치가 분리됨을 도시한 도면.
제 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인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병목 프레임 3 : 개폐공
4 : 밸브 5 : 배출 프레임
6 : 인출버턴 8 : 삽입홈
10 : 키이홈 11 : 걸림홈
12 : 삽입부 13 : 키이돌기
16 : 슬라이드부재 19 : 차단버턴
21 : 로드부 22 : 스프링
23 : 제어경사부 24 : 걸림돌기부
25 : 힌지축 29 : 밸브축
30 : 복귀부재 31 : 밸브 헤드부
33 : 내관 35 : 탄성부재
36 : 고정편 36F : 바닥판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온용기에서 액체의 인출과 차단이 원터치 작동에 의해서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제4도는 종래 보온용기의 액체 인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50)은 보온용기의 액체 인출장치를 지칭한다.
상기한 액체 인출장치(50)는 보온용기의 병목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인출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푸쉬버튼(51)을 누름 작동시키고 있다.
상기한 푸쉬버튼(51)은 캡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이탈방지용 플렌지부(P)를 형성하고 있고, 이 플렌지부(P)에서 연장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D)를 형성하여 가압시 슬라이드(5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푸쉬버튼(51)은 캡 스톱퍼(52)에 형성된 가이드홀(53)에 삽입되어 승강하도록 하며, 이 캡 스톱퍼(52)는 배출구(53)를 개폐하는 슬라이드(54)를 게재하면서 몸체부(55)의 상부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54)는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푸쉬버튼(51)의 누름 작동에 의해 좌, 우로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이는 슬라이드(54) 중심에 푸쉬버튼(51)이 끼워지는 슬라이드홀(55H)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돌기(56)에 끼워진 리턴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한 몸체부(55)는 슬라이드(54)의 좌, 우 이동에 의해 개구되는 배출구(53)를 일측에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에는 좌, 우 이동시 빠져 나오도록 하는 구멍(5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몸체부(55)에 게재된 슬라이드(54)에 삽입되어 내장된 푸쉬버튼(51)에는 돌출된 밸브(58)의 밸브축(59)이 끼워져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몸체부(55)의 하단 가장자리 외주연에 노출된 분리레버(6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분리레버(60)에는 탄성력을 갖고 있는 탄성띠(61)를 형성하고서 내주연에 내장됨으로서 밸브뭉치(62)가 몸체부(55)에 대해 분리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뭉치(62)는 푸쉬버튼(51)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밸브(58)가 탄지되도록 밸브축(59)의 돌기링(63)에 결리는 스프링캡(64)과, 이 스프링캡(64)에 의해 탄성부재(65)가 상측에서 지지되도록 하고, 하측은 링프레임(66)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며, 스프링캡(64)과 링프레임(66)은 연결리브(67)로 연결되는 슬라이드 관(68)의 외주연에 배출통로(H)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 관(68)은 연결리브(67)로 연결되어 보온용기의 내용물이 배출시 통과하게 되는 밸브뭉치(62)의 체결관부(69)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 체결관부(69)는 몸체부(55)의 탄성띠(61)에 결합됨이 용이하도록 결합홈(7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체결관부(69)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밸브축(59)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 작동하는 밸브 헤드부(71)와 접촉하도록 하여 보온용기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열 손실이 방지되도록 고무링(72)가 게재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보온용기 내의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푸쉬버튼(51)을 누르면 리턴스프링(57)으로 탄지되고 있던 슬라이드(54)는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슬라이드(54)가 이동하므로서 몸체부(55)에 형성된 배출구(53)가 열리게 됨과, 아울러 푸쉬버튼(51)에 의해 눌리어진 밸브(58)의 밸브축(59)은 슬라이드관(68)에 내장된 탄성부재(65)를 극복한 후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밸브(58)가 하강하게 되면 밸브 헤드부(71)는 접촉하여 밀폐되고 있던 고무링(72)에서 분리되어 체결관부(69)의 내주연에 형성된 배출통로(H)와 보온용기의 내부와 연통이 되어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온용기내의 내용물 배출이 끝나면 푸쉬버튼(51)을 누르고 있던 손을 떼게 되면 일측 구멍(56)으로 돌출된 슬라이드(54)는 배출구(53)를 막게 된다.
이때 푸쉬버튼(51)이 연결된 밸브축(59)은 탄성부재(65)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밸브 헤드부(71) 역시 상승하게 되면서 게재된 고무링(72)과 접촉하므로서 밀폐되어 배출통로(H)를 차단하게 되어 보온용기내의 열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보온용기에 충진된 액체 내용물을 따를 때 푸쉬버튼을 눌러 따르게 되어 있어서 다른 한손은 보온용기를 잡고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푸쉬버튼에서 손을 떼면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누르는 힘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 보온용기를 장시간 사용한 후 세척을 하고자 할 때 보온용기에서 전체를 분리하여야 하므로서 세척이 불편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보온용기에서 액체의 인출과 차단 동작이 원터치 작동에 의한 간단한 동작에 의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온용기에 결합되는 병목 프레임의 개폐공을 통해 액체의 인출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설치되어 개폐하도록 하는 밸브의 개폐수단과;
상기한 병목프레임에 결합되는 배출프레임에 설치되어 밸브를 승강 작동시키도록 하는 인출버턴의 가압시 연동하는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차단버턴의 누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밸브는 병목 프레임에 형성된 개폐공을 개구 또는 개폐하게 되는 밸브 헤드부와, 이 밸브 헤드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버턴의 가압을 받는 밸브축과, 이 밸브축에 탄성부재를 게재하여 밸브가 리턴되도록 한 복귀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인출버턴은 배출 프레임의 중심에 설치되어 복귀부재에 의해 승강할 수 있게 밸브축과 결합하여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향 돌출 형성된 가압부와, 이 가압부의 하단에 일측으로 가압시 슬라이드부재가 걸리도록 돌출되면서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차단버턴은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힌지축으로 고정 설치되면서 슬라이드부재가 좌측으로 이동시 제어경사부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한 걸림돌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부재는 인출버턴의 하강시 좌측으로 연동하도록 일측에 걸림턱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도록 하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돌출 형성한 걸림부와, 이 걸림부에서 로드부로 연장되는 끝단에 일체화하여 형성되므로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차단버턴에 걸리도록 제어경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 인출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은 액체 인출장치를 지칭한다.
상기한 액체 인출장치(1)는 보온용기(도시생략)에 채용되는 장치로, 그 구조는 보온용기(도시생략)에 결합되는 병목 프레임(2)에 개폐공(3)을 통해 액체의 인출과 차단이 개폐수단인 밸브(4)의 승강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상기한 병목 프레임(2)에 결합되는 배출프레임(5)에 설치된 밸브(4)는 사용자가 인출버턴(6)을 가압할 때 하강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병목 프레임(2)은 스톱퍼 오-링(7)을 게재하여 보온용기에 설치됨으로서 시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병목 프레임(2)은 상측으로 확개되고 있는 끝단 둘레 중심에 삽입홈(8)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측의 내측벽(9)에 형성된 키이홈(10)과, 이에 절곡되어 연결되는 걸림홈(11)을 일정 길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병목 프레임(2)의 삽입홈(8)에 배출 프레임(5)을 결합할 때 배출 프레임(5)의 하단 삽입부(12)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키이돌기(13)를 키이홈(10)에 맞춘 다음 누른후 배출 프레임(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키이돌기(13)가 걸림홈(11)에 걸려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배출 프레임(5)이 병목 프레임(2)에 결합될 때 밀폐성이 고양되어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홈(8)에 오-링(R)을 게재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 프레임(5)에 설치된 인출버턴(6)을 누르면 저면에 형성된 가압부(14)와 결합하고 있는 밸브(4)를 하강시키고 있다.
이때 인출버턴(6)의 가압부(14)에는 걸림턱(15)을 돌출 형성하고 있는데, 이 걸림턱(15)은 슬라이드부재(16)의 걸림부(17) 상측에 접촉하고 있다가 미끄러지도록 하는 상경사면(1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인출버턴(6)의 가압에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부재(16)에 의해 연동하는 차단버턴(19)이 회동 작동하여 상승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부재(16)는 인출버턴(6)의 걸림턱(15)과 접촉하고 있는 걸림부(17)에도 하경사면(2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걸림부(17)는 통공(H)을 형성하여 밸브(4)의 숭강을 용이하게 하면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배출구(E)를 사용시 열고 닫게 하는 개폐판(P)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부재(16)의 걸림부(17)는 로드부(21)에 연결 형성되며, 로드부(21)에는 스프링(22)을 일측에 게재하여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한 슬라이드부재(16)의 로드부(21)에 형성된 걸림부(17)의 타측에는 돌출된 제어경사부(23)를 형성하고 있으며, 차단버턴(19)의 걸림돌기부(24)에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차단버턴(19)은 힌지축(25)으로 고정 설치되어 제어경사부(23)가 좌측으로 슬라이딩시 제어경사부(23)의 제1경사면(26)에 대해 걸림돌기부(24)의 제2경사면(27)이 상향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회동상승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차단버턴(19)은 제어 경사부(23)의 슬라이딩시 회동 상승하였다가 걸림돌기부(24)에 의해 제어 경사부(23)의 제3경사면(28)에 위치하게 되어 걸리게 되므로서 슬라이드부재(16)는 스프링(2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때 가압된 인출버턴(6)은 슬라이드부재(16) 걸림부(17)에 걸리게 되면서 가압부(14)에 결합된 밸브(4)를 하강시키고 있는데, 밸브축(29)에는 복귀부재(30)가 설치되어 있어 밸브(4)의 하강후 리턴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4)의 밸브 헤드부(31)에는 병목 프레임(2)의 개폐공(3) 층부(32)에 접촉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밸브 오-링(R1)이 게재되고 있다.
상기한 복귀부재(30)는 밸브축(29)에 고정되는 내관(33)과, 이 내관(33)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플렌지부(34)에 연결되어 리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5)와, 이 탄성부재(35)의 타단을 고정편(36)에 고정하면서 배출 프레임(5)의 바닥판(36F) 저부에 삽입 고정되는 외관(37)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 프레임(5)은 컵(C)에 의해 제1차로 덮혀진 상태에서 다시 뚜껑(38)에 의해 결합 밀폐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뚜껑(38)은 컵(C)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가장자리 내주연에는 보온용기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결합돌기(3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제1도와 같이 보온용기에 컵(C)이 덮혀 있는 상태에서 액에의 인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인출버턴(6)이 상승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밸브(4)는 밸브축(29)에 설치된 복귀부재(30)에 의해 병목 프레임(2)의 개폐공(3)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여 보관하게 된다.
상기한 밸브(4)에 의해 차단되는 개폐공(3)이 밸브 헤드부(31)로 차단될 때 개폐공(3)의 층부(32)와 접촉하는 밸브 헤드부(31)에 밸브 오-링(R1)을 게재하여 밀폐가 고양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온용기내의 액체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배출 프레임(5)에서 뚜껑(38)을 분리한 후 컵(C)에 배출구(E)가 향하도록 한 후 인출버턴(6)을 누르면 밸브(4)는 하강하여 병목 프레임(2)의 개폐공(3)을 개구시키게 된다.
상기한 밸브(4)을 하강시켜 개폐공(3)을 개구시켜 액체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가압될 때 인출버턴(6)의 걸림턱(15) 상경사면(18)과 슬라이드 부재(16)의 걸림부(17) 하경사면(20)이 접촉하게 되면서 스프링(22)으로 탄지되고 있는 슬라이드부재(16)를 좌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한 슬라이드부재(16)를 밀어내면서 걸림부(17)에 걸림턱(15)이 걸리게 되어 일출버턴(6)의 상승은 이루어지지 않아 액체의 인출을 계속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부재(16)의 이동시 걸림부(17)를 돌출하면서 통공(H)을 형성하여 밸브(4)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면서 일측으로 절곡된 개폐관(P)에 의해 배출구(E)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슬라이드부재(16)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일측의 제어경사부(23)의 제1경사면(26)은 차단버턴(19)의 걸림돌기부(24) 제2경사면(27)을 접촉하면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는 차단버턴(19)의 걸림돌기부(24)가 제어경사부(23)를 타고 오르게 되어 차단버턴(19)이 회동 상승하게 되는 결과가 된다.
이때 차단버턴(19)은 제어경사부(23)의 제1경사면(26)을 넘어서게 되면서 제3경사면(28)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19)는 걸림돌기부(24)에 의해 걸리게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서 인출버턴(6)에서 손을 떼어놓고 보온용기내의 액체를 인출시켜도 배출구(E)를 통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제2도 참조)
상기한 보온용기 내의 액체를 인출시키고 나면 컵(C)을 올려 놓은 다음, 뚜껑(38)을 이용하여 덮어 결합시키면 제1도와 같이 컵(C)의 저면에 먼저 닿게 되는 차단버턴(19)이 눌리어져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서 액체의 보관이 안전하게 된다.
또는 상기한 컵(C)에 내용물이 남아 있어 더 이상 보온용기의 내용물을 따르지 않아도 될 경우에는 보온용기에 저장된 액체의 유출을 염려하여 개폐공(3)을 밀폐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차단버턴(19)을 누르면 된다.
상기한 차단버턴(19)을 이용한 액체의 인출 차단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동 상승한 상태의 차단버턴(19)을 누르면 가압 초기시에는 슬라이드부재(19)를 좌측으로 더욱 밀게 되면 슬라이드부재(16)의 걸림부(17)에 걸린 걸림턱(15)이 상호 분리되게 된다.
이때 인출버턴(6)은 복귀부재(30)의 탄성력을 밸브(4)의 밸브축(29)을 통해 받고 있기 때문에 분리됨과 동시에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밸브 헤드부(31)는 병목 프레임(2)에 형성된 개폐공(3)을 막게 되어 액체의 인출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차단버턴(19)에 의해 좌측으로 밀린 슬라이드부재(16)의 제어 경사부(23) 선단이 걸림돌기부(24)를 벗어나게 되면서 슬라이드부재(16)는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승한 인출버턴(6)의 가압부(14) 걸림턱(15)의 저면에 걸림부(17)가 위치하게 되어 다시 가압 준비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온용기에서 액체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인출버턴(6)을 누르고, 액체를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컵(C)을 바로 덮어 차단버턴(19)이 눌리어지도록 하므로서 차단되게 하거나 아니면 사용자가 직접 차단버턴(19)을 눌러 액체의 인출이 차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보온용기 내의 액체 인출이 인출버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차단버턴에 의해 액체의 인출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간단한 작동으로 편리하게 보온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보온용기에 결합되는 병목 프레임(2)의 개폐공(3)을 통해 액체 인출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설치되어 개폐하도록 하는 밸브(4)의 개폐수단과; 상기한 병목 프레임(2)에 결합되는 배출 프레임(5)에 설치되어 밸브(4)를 승강 작동시키도록 하는 인출버턴(6)의 가압시 연동하는 슬라이드부재(16)에 의해 작동하는 차단버턴(19)의 누름 수단과; 슬라이드부재(16)는 인출버턴(6)의 가입시 좌측으로 연동하도록 일측에 걸림턱(15)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도록 돌출 형성한 걸림부(17)와, 이 걸림부(17)에서 연장되는 끝단에 일체화하여 형성되므로서 스프링(2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차단버턴(19)에 걸리도록 제어경사부(23)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 프레임(5)은 보온용기의 내부 세척시 삽입홈(8) 일측 내측벽(9)에 형성된 키이홈(10)과, 이에 절곡되어 연결되는 걸림홈(11)을 형성한 병목 프레임(2)에 대해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배출 프레임(5)의 하단 삽입부(12)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키이돌기(13)를 키이홈(10)에 맞춘 다음 배출 프레임(5)을 눌러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키이돌기(13)가 걸림홈(11)에 걸려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밸브(4)는 병목 프레임(2)에 형성된 개폐공(3)을 개구 또는 개폐하게 되는 밸브 헤드부(31)와, 이 밸브 헤드부(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버턴(16)의 가압을 받는 밸브축(29)과, 이 밸브축(29)에 탄성부재(35)를 게재하여 밸브(4)가 리턴되도록 한 복귀부재(3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귀부재(30)는 밸브축(29)에 고정되는 내관(33)과, 이 내관(33)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플렌지부(34)에 연결되어 리턴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5)와, 이 탄성부재(35)의 타단을 고정편(36)에 고정하면서 배출 프레임(5)의 바닥판(36F) 저부에 삽입 고정되는 외관(37)으로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인출버턴(6)은 배출 프레임(5)의 중심에 설치되어 복귀부재(30)에 의해 승강할 수 있게 밸브축(29)과 결합하여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향 돌출 형성된 가압부(14)와, 이 가압부(14)의 하단에 일측으로 가압시 슬라이드부재(16)가 걸리도록 돌출되면서 걸림턱(15)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차단버턴(19)은 슬라이드부재(16)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힌지축(25)으로 고정 설치되면서 슬라이드부재(16)가 좌측으로 이동시 제어경사부(23)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한 걸림돌기부(2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인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인출버턴(6)의 걸림턱(15)은 슬라이드부재(16)의 걸림부(17) 상측에 접촉하고 있다가 미끄러지도록 하는 상경사면(18)을 형성하며, 상기한 슬라이드부재(16)의 걸림부(17)에도 상경사면(18)과 접촉하는 하경사면(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KR2019950011227U 1995-05-24 1995-05-24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KR0129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227U KR0129554Y1 (ko) 1995-05-24 1995-05-24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227U KR0129554Y1 (ko) 1995-05-24 1995-05-24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228U KR960036228U (ko) 1996-12-16
KR0129554Y1 true KR0129554Y1 (ko) 1998-11-02

Family

ID=1941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227U KR0129554Y1 (ko) 1995-05-24 1995-05-24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827A (ko) * 2018-11-28 2020-06-05 (주)풍림파마텍 주사기 안전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827A (ko) * 2018-11-28 2020-06-05 (주)풍림파마텍 주사기 안전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228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9053A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20130136405A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JP6602232B2 (ja) ヒンジキャップ
WO2005074767A1 (en) Apparatus for sealing pressure container
KR20100137135A (ko)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KR0129554Y1 (ko)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0145564Y1 (ko)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KR101166028B1 (ko) 용기의 마개 구조체
KR101476382B1 (ko) 액상 식품 보관용기용 캡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200432805Y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용기
JP2019131216A (ja) ヒンジキャップ
CN220713601U (zh) 无螺纹保温杯
KR200213790Y1 (ko) 병 뚜껑에 부착되는 오프너
KR200449548Y1 (ko) 액체 보관용기의 이중 마개
CN221012780U (zh) 一种提拉锁止保温杯
KR100787298B1 (ko) 개폐식 슬라이딩 캔엔드
KR890007997Y1 (ko) 진공보온병의 주수구 개폐장치
KR200253622Y1 (ko) 압력조리기의뚜껑열림보조장치
KR970001164Y1 (ko) 보온병용 마개
KR200215320Y1 (ko) 보온병의 주수구 개폐밸브
KR200238765Y1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용 뚜껑
KR200270695Y1 (ko) 압력용기 밀폐 기구
KR0136948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물통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