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405A - 음료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405A
KR20130136405A KR1020130063726A KR20130063726A KR20130136405A KR 20130136405 A KR20130136405 A KR 20130136405A KR 1020130063726 A KR1020130063726 A KR 1020130063726A KR 20130063726 A KR20130063726 A KR 20130063726A KR 20130136405 A KR20130136405 A KR 2013013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over
valve
stopper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400B1 (ko
Inventor
가쓰아키 다치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3013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and an overcap, the spout outle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 B65D59/02Pl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27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incorporating a dispensing device, i.e. the fluid being dispensed through the stop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마개 본체와 밸브체의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체 커버가 밸브체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밸브체(21)에는, 닫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어, 이 탄성부재(22)의 빠짐 방지를 위해 밸브체 커버(37)가 장착되며, 이 밸브체 커버(37)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38)를 구비하고, 회전자(38)에는 밸브체 커버(37)가 밸브체(21)와 결합하는 2개소의 결합 돌기부(73,73)가 형성되며, 밸브체(21)의 상단측에는 결합 돌기부(73,73)와 동수 혹은 정수배의 돌기 도입홈(74) 및 회전자(38)를 회전시키는 단차홈(75)을 형성하여, 밸브체 커버(37)의 상하 동작에 의해 밸브체 커버(37)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체 커버(37)를 갖고 상하 동작함에 의해, 단차홈(75)과 결합 돌기부(73)에 의해 회전자(38)가 회전하여 밸브체 커버(37)를 밸브체(21)로부터 착탈할 수 있어, 마개 본체(11)와 밸브체(21)의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보온병 등의 음료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마개체에 밸브 기구를 갖고, 음료 용기에 마개체를 장착한 상태인 채로 내용액을 주출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료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내용액을 주출하는 주출로를 구비한 마개 본체에, 주출로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밸브 기구를 수납한 음료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구는, 상기 마개 본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브 봉과, 이 밸브 봉의 하단에 지지되어, 상기 주출로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부세수단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상기 밸브 봉을 눌러 내림에 의해 밸브체를 개방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조작 레버의 압하부를 외부에 돌출시키는 개구를 천판(天板)에 구비한다.
이러한 음료 용기의 마개체에는, 내용액을 주출할 때에 밸브체나 밸브 봉이 내용액에 접하기 때문에, 물때 등으로 더러워지기 쉽고, 이들이나 주출로를 세정하기 위해, 마개체를 분해하여 세정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상기 밸브 봉의 선단과 맞닿는 조작 레버의 기단(基端)에 한 쌍의 걸림 아암을 구비하고, 각 걸림 아암에 각각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에, 조작 레버를 마개 본체에 피봇 지지하는 피봇축이 삽입되며, 삽입 관통 구멍의 하부에는 상기 피봇축을 삽입 관통 구멍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각 삽입 관통 구멍의 근방에 반구(半球) 형상의 보스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예를 들면 특허문헌 1)가 있다. 이 마개체를 세정할 때에는, 조작 레버를 반(反)작동방향으로 회동시켜, 보스부에 의해서 각 걸림 아암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삽입 관통 구멍으로부터 피봇축을 벗기고 조작 레버를 떼어내고, 이어서, 밸브 봉, 밸브체, 부세수단을 마개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밸브 기구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간마개 본체의 내측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로부터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에 이르는 유액(流液)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액 경로의 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마개 본체의 상단에 이 중간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조작 스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한 액체용기의 중간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간마개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한쪽에 제 1 결합부, 다른 한쪽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1 피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마개 본체의 상단에 탄성편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마개 본체의 탄성편과 상기 커버 중 어느 한쪽에 제 2 결합부, 다른 한쪽에 상기 제 2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2 피결합부를 구비한 액체용기 중간마개 구조(예를 들면 특허문헌 1)가 있고, 이 중간마개 구조에서는, 종래와 같이 중간마개 본체와 커버의 전체 둘레에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조작 스위치를 슬라이딩시킬 때의 조작력은 수평이며, 결합 해제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의도되지 않은, 중간마개가 분해되어 버리는 경우는 없다.
: 일본국 공개특허 2002-165709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4514692호 공보
상기와 같이, 분해 가능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의, 마개 본체와 밸브체의 분해 구조에 있어서, 특허문헌 1과 같이 탄성부재를, 밸브체 상부를 축으로 하여 밸브 본체와 밸브체 커버 사이에 배치하고, 밸브체 커버를 누르면서 회전시킴으로써 밸브체로부터 떼어내거나, 또는 부착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해 구조에서는 한쪽 손으로 밸브체를 누르고, 다른 한쪽 손으로 밸브체 커버를 누르면서 회전시키는 등 번거러웠다.
또한, 도 25와 같이 밸브체(101)와 밸브 봉(102)를 별도 부재로 하고, 밸브체(101)와 밸브 봉(102)에 구비된 걸림판(103)의 사이에 탄성부재(104)를 구비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뜨거운 물을 넣었을 때 등 용기내가 가압(加壓) 상태로 되었을 때, 밸브 봉(102)를 먼저 눌러 내려, 내압을 개방하는 구조도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탄성부재(104)로서 예를 들면 금속제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 유로에 면하기 때문에, 금속제 스프링이 내용액에 접하게 된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마개 본체와 밸브체의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체 커버가 밸브체로부터 벗겨지지 않으며, 아울러, 내용액의 토출을 확실히 할 뿐만 아니라, 밸브체로부터 탄성부재를 없애고, 밸브체 자체도 더 분해함으로써, 세정성을 향상시켜 더 위생적으로, 또한 부품수를 줄여, 비용저감을 도모한 음료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음료 용기의 마개체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개 본체의 내측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로부터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에 이르는 유액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액 경로의 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에 이 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에 구비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닫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이 탄성부재의 빠짐 방지를 위해 밸브체 커버가 장착되고, 이 밸브체 커버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에는 상기 밸브체 커버가 상기 밸브체와 결합하는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상단측에는 상기 돌기부와 동수(同數) 혹은 정수배의 돌기 도입홈 및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 커버의 상하 동작에 의해 밸브체 커버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밸브체 커버를 장착했을 때, 이 밸브체의 상단이 상기 밸브체 커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가 상기 밸브체 커버와 맞닿는 것을 회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음료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 봉이 별체를 이루며, 상기 밸브 봉에는 상기 밸브체 상부의 유액 경로의 입구를 닫는 밸브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음료 용기의 마개체는,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 봉이 별개이며, 상기 밸브 봉을 눌러 내렸을 때 상기 밸브체와 맞닿아, 이 밸브체를 눌러 내리는 걸림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 커버를 갖고 상하 동작하는 것에 의해, 단차와 돌기부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여 밸브체 커버를 밸브체로부터 착탈할 수 있어, 마개 본체와 밸브체의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의 상단이 밸브체 커버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밸브체의 열린 상태 혹은 닫힌 상태의 어느 상태에 위치해도, 개폐 장치가 밸브체 커버에 맞닿지 않아, 의도되지 않았는데 밸브체 커버가 밸브체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와 밸브 봉을 개개의 별도 부재로 하고, 밸브 봉에 밸브체 상부로의 유액 경로의 입구를 닫는 밸브체를 구비함으로써, 밸브 봉이 밸브체보다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뜨거운 물 등에 의해 용기 본체내의 내압이 높아지고 있을 때에도, 먼저 밸브 봉측의 밸브체를 눌러 내려, 내압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압에 의해 밸브체가 눌러 내림이 불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내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걸림판을 이용함에 의해, 탄성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종래, 유액 경로에 구비되어 있던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 불필요해져, 위생적이고, 부품 점수를 줄이고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조작 레버가 숄더부재에 맞닿은 상태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음료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마개체의 단면도이고, 돌출편에 의해 제 2 결합부와 제 2 피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조작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마개체의 사시도이고, 조작 레버를 눌러 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조작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 봉의 사시도로서, 도 11(A)는 밸브 봉의 세로홈부에 걸림판의 걸림부를 맞춘 상태를, 도 11(B)는 걸림판을 대략 90도 회전하여 축방향에 위치 결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 봉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걸림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제 2 결합부와 제 2 피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자의 사시도로서, 돌기 도입홈에 결합 돌기부를 맞추어 회전자를 내리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자의 사시도로서, 제 1 바닥면에 결합 돌기부가 걸려 넣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자의 사시도로서, 제 1 상측 경사면에 결합 돌기부가 걸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 봉의 상단측과 회전자의 사시도로서, 모서리부에 결합 돌기부가 걸려 내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체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체의 단면도로서, 감압수단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상기 밸브체의 단면도로서, 밸브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마개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서, 상기 마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종래 예의 밸브체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은 아니다. 각 실시예에서는, 종래와는 다른 신규한 음료 용기의 마개체를 채용함에 의해, 종래에 없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가 얻어지고, 이 음료 용기의 마개체에 대해서 기술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23에 있어서, 보온병인 음료 용기(1)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A)에 마개체(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용기 본체(2)는, 상부를 개구한 스테인리스제의 내용기(5)와 외용기(4)의 상단끼리를 일체로 접합하고 양 용기(4,5) 사이를 단열층(6)으로 하고, 접합한 양 용기(4,5)의 상부에는 합성수지제의 숄더부재(7)가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숄더부재(7)는, 접합한 양 용기(4,5)의 개구부분에 늘어뜨려져 구비되고, 이 개구부분에 끼워지는 환상(環狀) 걸림부(7A)와, 이 환상 걸림부(7A)의 일측 방향으로부터 돌출되는 새부리 형상의 주입부(7B)와, 이 주입부(7B)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7C)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환상 걸림부(7A)에 합성수지제의 상기 마개체(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마개체(3)는, 음료 용기(1)를 주입부(7B)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내용액을 상기 주입부(7B)를 통하여 주출하는 유액 경로(8)를 구비하고, 상기 숄더부재(7)에 나사 부착되는 마개 본체(11)와, 이 유액 경로(8)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밸브 기구(12)를 구비한다.
마개 본체(11)는, 상기 숄더부재(7)에 나사결합하는 통체(13)를 갖고, 이 통체(13)내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벽 형상의 칸막이부(14)를 구비하고, 이 칸막이부(14)의 하부를 따라서 상기 유액 경로(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체(13)의 하부 개구인 입구(15)로부터 타측 상부로 개구되는 출구(16)에 연속하여 상기 유액 경로(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부(14)는, 이 타측(14B)을 입구(15)측에 연결하고, 이 일측(14A)을 통체(13)의 상부 측면에 연결하고, 이 연결 개소의 하부에 상기 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개체(3)는, 밸브 기구(12)의 밸브체(21)를 상시 상방으로 끌어올려 입구(15)를 밸브체(21)로 막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2)와, 상기 밸브체(21)의 밸브 봉(23)를 하방으로 누르는 조작 레버(24)와, 마개 본체(11)의 상부를 덮는 커버(25)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21)가 상기 통체(13)의 하단부(13K)를 수밀(水密)하게 폐색하여 상기 입구(15)를 막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체(21)의 밸브 봉(23)를 하방으로 누르는 방법은, 조작 레버 이외에도 슬라이드 부재, 버튼식 등의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기구(12)는, 상기 밸브체(21)와, 이 밸브체(21)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밸브 봉(23)과, 이 밸브 봉(23)과 상기 밸브체(21)의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수단(26)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체(21)는, 상기 하단부(13K)보다 약간 직경이 큰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13K)에 장착된 지수(止水) 패킹(27)에 맞닿아 입구(15)를 폐색한다. 또한, 밸브체(21)의 중앙부에는, 밸브 봉(23)의 장착구멍(21A)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봉(23)는, 하단에 상기 장착구멍(21A)보다 직경이 큰 원반부(28)와, 상방으로 연장되는 축부(29)를 일체로 구비한 것으로, 이 축부(29)의 하방에는, 걸림부재인 합성수지제의 걸림판(3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부(29)의 하부(29S)는 상부(29U)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이 하부(29S)의 외주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세로홈부(31,31)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들 세로홈부(31,31)는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들 세로홈부(31,31)의 바닥부의 간격이 상기 상부(29U)의 직경에 대략 대응한다. 한편, 상기 걸림판(30)은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고, 이 중앙에 관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32)은, 상기 세로홈부(31,31)에 걸리는 걸림부(32A,32A)를 갖고, 상기 하부(29S)가 삽입 관통된다. 또한, 세로홈부(31,31)에 연속하는 걸림홈(31A,31A)이 둘레에 형성되고, 이 걸림홈(31A)은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도로 형성되는데,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홈부(31,31)에 걸림부(32A,32A)를 걸어 걸림판(30)을 축부(29)의 하부(29S)에 배치한 후, 걸림판(30)을 평면에서 대략 90도 회전하면,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32A)를 걸림홈(31A)에 걸고, 축부(29)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밸브 봉(23)에 걸림판(30)이 장착되고, 반대로 떼어낼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축부(29)의 하부(29S)에는, 상기 걸림홈(31A)의 하방의 외주에 통기 홈(31T,31T)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들 통기 홈(31T,31T)은 대향하는 위치에 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 통기 홈(31T,31T)을 형성한 하부(29S)가, 상기 장착구멍(21A)에 삽입 관통된다.
상기 칸막이부(14)에는, 그 중앙부(14S)에 상기 밸브 봉(23)의 축부(29)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33)이 형성되고, 이 삽입 관통 구멍(33)의 상부 주위에, 축부(29)의 가이드통(3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부(14)에는, 출구(16)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인 타측에 공기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통(34)에는, 상기 탄성부재(22)가 바깥에서 끼워져 있다. 이 탄성부재(22)는, 칸막이부(14)의 중앙부(14S)의 상면과, 가이드통(34)으로부터 돌출하는 밸브 봉(23)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밸브체 커버(37)와의 사이에 줄여서 구비되어, 상기 밸브체(21)를 상시 상방으로 당겨 올린다.
상기 밸브체 커버(37)는, 상기 탄성부재(22)의 상부를 누르는 것으로서, 이 밸브체 커버(37)는, 상기 밸브 봉(23)의 축부(29)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부터 걸림 및 이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자(38)를 구비하고, 이 회전자(38)는 밸브체 커버(37)에 회전 가능하게 안에서 끼워져, 상기 회전자(38)가 상기 밸브 봉(23)의 상부에 걸림 및 이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걸림판(30)은, 밸브 봉(23)와 함께 승강하고, 걸림판(30)의 하면은, 상기 장착구멍(21A)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받이통부(21B)의 상단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14S)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판(30)을 수납 가능한 통부(14T)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반부(23A)의 외주에는, 감압 패킹(4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밸브 봉(23)는, 축부(29)를 상기 장착구멍(21A)에 삽입 관통하고, 상기 밸브체 커버(37)와 상기 중앙부(14S)의 상면과의 사이에 줄여서 구비된 탄성부재(22)에 의해, 밸브체(21)의 하면과 상기 감압 패킹(41)이 밀착되어 상기 밸브 봉(23)과 밸브체(21)가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감압수단(26)은, 상기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 밸브 봉(23)의 원반부(28), 감압 패킹(41), 탄성부재(22) 및 걸림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은, 밸브 봉(23)의 축부(29)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밸브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축부(29)의 상부(29U)는, 가이드통(34)의 상부의 작은 직경 내주면(34A)에 삽입 관통되어, 통부(14T)에 상기 걸림판(30)이 수용되는 동시에, 탄성부재(22)를 가이드통(34)에 바깥에서 장착한 상태로 축부(29)의 상부(29U)에 상기 밸브체 커버(37)를 거는 것에 의해, 밸브 기구(12)가 마개 본체(11)에 장착된다.
상기 커버(25)는, 마개 본체(11)의 통체(13)의 상측 개구부(42)를 덮는 것으로서, 이 통체(13)에 끼워 맞춰져 상측 개구부(4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25)의 중앙에는, 타측인 숄더부재(7)측이 개구되는 노치 형상의 개구부(25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5A)에 상기 조작 레버(24)가 배치되며, 이 조작 레버(24)의 일측이 피봇 부착부(43)에 의해 커버(25)에 경사 작동 가능하게 피봇 부착되고, 또한, 조작 레버(24)의 조작부(44)가 커버(25)의 타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숄더부재(7)의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조작 레버(24)의 하면에는, 상기 밸브 봉(23)의 상단이 맞닿은 위치에, 볼록부(24A)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24A)의 하면은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개 본체(11)의 상부에는, 통체(13)의 상부에 상측 통형상부(45)가 형성되는 동시에,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25)의 하면에는, 상기 상측 통형상부(45)에 바깥에서 장착되는 하측 통형상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통형상부(45)의 일측에 좌우 방향의 평면부(45H)를 형성하고, 이 평면부(45H)의 좌우 대칭 위치에 상부가 개구된 노치홈(47,47)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절개홈(47,47)의 사이에 돌출편부(48)를 형성하고, 이 돌출편부(48)에 제 1 결합부인 횡공부(橫孔部,49)를 천공 형성한다. 또한,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통형상부(46)의 일측에 좌우 방향의 평면부(46H)를 형성하고, 이 평면부(46H)의 내면에는, 제 1 피결합부인 가로방향의 돌기부(50)를 형성하며, 이 돌기부(50)가 상기 횡공부(49)에 걸어 맞춰진다. 이 경우, 하부만이 통체(13)에 고정된 돌출편부(48)에 횡공부(49)를 형성함에 의해, 횡공부(49)에 돌기부(50)가 단발적(段發的)으로 걸린다.
한편,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체(13)의 타측 상부에는, 이 통체(13)의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5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1)의 바닥부에 위치하여 탄성편(52)을, 상방을 향하여 돌출시키고, 이 탄성편(52)은 하단만이 통체(13)에 연결되고, 상단이 자유단이며, 이 탄성편(52)의 외면에 제 2 결합부인 결합 돌기부(53)가 형성되고, 이 결합 돌기부(53)는, 수평방향의 걸림면(53M)을 갖고, 이 걸림면(53M)의 중앙으로부터 탄성편(52)의 선단을 향하는 중앙 경사면(53A)을 가지며, 이 중앙 경사면(53A)의 양측에 이 중앙 경사면(53A)보다 높이가 낮은 측부 경사면(53B,53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체(13)에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5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1)내에 탄성편(52)을 배치함에 의해, 마개 본체(11)의 외경으로부터 내측으로 탄성편(52)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통형상부(46)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피결합부인 가로판부(54)의 가로판 상면(54U)이 구비되고, 이 가로판부(54)와 상기 하측 통형상부(46)의 하단이 이 하측 통형상부(46)로부터 연장 설치된 연장부(55)에 의해 연결되며, 또한, 가로판부(54)의 좌우는 연결부(56,56)에 의해 커버(25)에 연결되고, 가로판부(54)는 이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24)의 하면에는 돌출편(58)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돌출편(58)은 일측에 종연부(縱緣部,59)를 갖고, 타측은 경사진 가장자리로 되며,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어, 조작 레버(24)의 조작시에 상기 탄성편(52)에 결합하는 위치에 상기 종연부(59)가 배치되고, 이 종연부(59)의 하부에는,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타측으로 경사진 맞댐 가장자리부(59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24)를 하방으로 회동(回動)하면, 맞댐 가장자리부(59A)가 상기 중앙 경사면(53A)에 맞닿고, 탄성편(52)을 이 해제 방향으로 눌러 가로판 상면(54U)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를 마개체(3)에 장착한 상태에서, 돌출편(58)과 레버(24)의 조작부(44)와 숄더부재(7)는, 조작부(44)를 눌러 내리면, 조작부(44)의 하부가, 회동 규제부인 숄더부재(7)의 상면에 맞닿는데, 이와 같이 조작 레버(24)의 회동 범위를 규제함에 의해, 탄성편(52)에 돌출편(58)이 맞닿는 경우는 없다.
또한, 도 1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4)의 하단의 좌우에는, 위치 결정부인 챙 형상부(61,61)를 구비하고, 이들 챙 형상부(61,61)가 접촉하는 맞댐부(62)가 상기 커버(25)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챙 형상부(61,61)가 맞댐부(62)에 맞닿음에 의해, 커버(25)와 조작 레버(24)의 상면이 대략 동일면으로 된다.
상기 밸브체 커버(37)는, 상기 밸브 봉(23)의 축부(29)를 느슨하게 삽입하는 통부(71)와, 이 통부(7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22)의 상부를 누르는 누름부(71A)와, 상기 통부(71)의 좌우에 구비된 손잡이부(72,72)와, 이들 좌우의 손잡이부(72,72)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3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개구부(72A,72A)를 구비한다. 이 경우, 결합 개구부(72A,72A)에 회전자(38)를 끼워 넣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결합 개구부(72A)는 대략 장방형 형상을 이루어, 상기 회전자(38)의 상하면을 끼우는 상하의 가장자리부(72F,72F)를 구비하고, 이들 상하의 가장자리부(72F,72F)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72)는 하부(72S)가 외측으로 펴지고, 이에 의해 좌우의 손잡이부(72,72)를 잡고 밸브체 커버(37)를 눌러 내리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자(38)는 상기 통부(71)의 상부에 포개 맞춰져서 배치되어, 이 회전자(38)와 통부(71)에 축부(29)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회전자(38)는, 좌우가 결합 개구부(72A,72A)에 걸려 밸브체 커버(37)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동시에, 밸브체 커버(37)와 동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자(38)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본체(38H)의 내주에, 결합부인 결합 돌기부(73)가 팽출 형성되고, 이 결합 돌기부(73)는, 대향하는 위치에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돌기부(73)는, 축부(29)의 축방향의 종연부(73T)와, 이 종연부(73T)의 하부에 일단이 구비되고, 이 종연부(73T)와 교차 방향의 횡연부(橫緣部,73Y)와, 상기 종연부(73T)의 상단과 횡연부(73Y)의 타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비스듬한 경사연부(傾斜緣部,73K)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밸브 봉(23)의 축부(29)의 상단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73,73)에 대응하여, 돌기 도입홈(74,74)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돌기 도입홈(74)의 사이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73)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38)를 회전시키는 단차인 단차홈(75)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 도입홈(74)은, 축부(29)의 상단이 개구되어, 상기 결합 돌기부(73)가 축방향에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돌기 도입홈(74)의 일측면(74A)과 타측면(74B)의 간격은, 상기 횡연부(73Y)보다 조금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일측면(74A)과 타측면(74B)은, 축부(29)의 둘레방향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다. 또한, 돌기 도입홈(74)은,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상기 결합 돌기부(73)와 동수 혹은 정수배만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차홈(75)의 구성에 대해 축부(29)의 선단측을 위, 기단(基端)측을 아래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차홈(75)에는, 쌍을 이루는 한쪽의 상기 돌기 도입홈(74)의 하부에, 상기 결합 돌기부(73)를 둘레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는 제 1 하측 경사면(76)이 형성되고, 이 제 1 하측 경사면(76)은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형성되고, 이들 제 1 하측 경사면(76)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일측면(74A)과 타측면(74B)의 대략 연장선상에서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하측 경사면(76)의 일측(하단)에는 상기 횡연부(73Y)가 결합되는 횡방향의 제 1 바닥면(77)이 형성되고, 이 제 1 바닥면(77)의 일측에는 축방향의 제 1 상측 안내면(78)이 상측을 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닥면(77)의 상방에는, 상기 경사연부(73K)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 돌기부(73)를 둘레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는 제 1 상측 경사면(7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상측 경사면(79)은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고, 제 1 상측 경사면(79)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제 1 상측 안내면(78)과 제 1 바닥면(77)의 타단의 대략 연장선상에서 하방에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연부(73K)와 제 1 상측 경사면(79)은 축방향에 대해서 대략 동일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차홈(75)은, 제 1 상측 경사면(79)의 일측에, 제 1 상측 안내면(80)이 상측을 향해서 형성되고, 이 제 1 상측 안내면(80)은 상기 제 1 상측 안내면(78)의 대략 연장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상측 안내면(80)의 일측에 중간 경사면(81)이 구비되고, 이 중간 경사면(81)은 일측을 향하여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이 중간 경사면(81)의 일측에 하측 안내면(82)이 하측을 향하여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간 경사면(81)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상측 안내면(78)의 일측에는, 이 제 1 상측 안내면(78)의 상단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제 2 하측 경사면(76A)과 제 2 바닥면(77A)이 연속해서 구비되고, 상기 하측 안내면(82)은 상기 제 2 바닥면(77A)의 범위에 대응한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바닥면(77A)의 일측에는 제 2 상측 안내면(78A)이 구비되어, 이 제 2 상측 안내면(78A)의 대략 연장선상에, 쌍을 이루는 타방의 상기 돌기 도입홈(74)의 타측면(74B)이 위치하고, 이 타측면(74B)의 하단과 상기 하측 안내면(82)의 하단과의 사이에, 제 2 상측 경사면(79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체 커버(37)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회전자(38)를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도 17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 도입홈(74,74)에 결합 돌기부(73,73)를 위치 맞춤하고, 밸브체 커버(37)를 잡고 탄성부재(22)의 부세에 저항하여 눌러 내리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하측 경사면(76)에 결합 돌기부(73)가 안내되어 회전자(38)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결합 돌기부(73)의 횡연부(73Y)가 제 1 바닥면(77)에 걸려 들어간다. 여기서 밸브체 커버(37)를 눌러 내리는 힘을 빼거나, 손을 떼면, 탄성부재(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 커버(37)가 상승하고, 회전자(38)는 결합 돌기부(73)의 경사연부(73K)가 중간 경사면(81)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회전하고, 중간 경사면(81)과 하측 안내면(82)의 모서리부에 결합 돌기부(73)가 걸려 상승이 멈추어, 축부(29)에 밸브체 커버(37)가 장착된다.
이 경우, 탄성부재(22)에 의해 힘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밸브체 커버(37)를 눌러 내리지 않는 한, 밸브체 커버(37)가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밸브체 커버(37)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축부(29)의 상단이, 조작 레버(24)에 접촉되고, 밸브체 커버(37)는 접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 레버(24)의 조작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밸브체 커버(37)를 떼어낼 때에는, 장착 위치에 있는 밸브체 커버(37)를 눌러 내리면, 결합 돌기부(73)의 하부가 제 2 하측 경사면(76A)에 결합되어 회전자(38)가 일측으로 회전하고, 결합 돌기부(73)가 제 2 바닥면(77A)에 걸려 들어간다. 여기서 밸브체 커버(37)를 눌러 내리는 힘을 빼거나, 손을 떼면, 탄성부재(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 커버(37)가 상승하고, 회전자(38)는 결합 돌기부(73)의 경사연부(73K)가 제 2 상측 경사면(79A)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회전하고, 결합 돌기부(73)가 이웃하는 돌기 도입홈(74)을 따라서 상승하여, 축부(29)로부터 밸브체 커버(37)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밸브체 커버(37)를 눌러 내리고 축부(29)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밸브체 커버(37)의 스트로크 A는, 축부(29)에 장착된 상태의 밸브체 커버(37)의 하단과 가이드통(34)의 상단과의 간격이다. 밸브체(21)와 걸림판(30)의 스트로크 B는, 닫힌 상태의 밸브체(21)의 받이통부(21B)의 상단과, 걸림판(30)의 하면과의 간격이다.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결합 돌기부(73)의 스트로크 C는, 모서리부(83)에 있어서의 결합 돌기부(73)의 횡연부(73Y)와 제 2 바닥면(77A)과의 간격이다.
여기서 간격 A, 간격 B, 간격 C는, A>(B+C)의 관계이며, 이에 의해, 밸브체 커버(37)를 밸브 봉(23)로부터 떼어낼 때, 마개 본체(11)와 밸브체 커버(37)가 맞닿아 회전자(38)가 걸림 해제 위치까지 회전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대해 그 작용을 설명한다. 마개체(3)의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일측에서, 횡공부(49)에 돌기부(5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 결합 개소를 중심으로 하고, 커버(25)의 타측을 눌러 내리면, 가로판부(54)가 결합 돌기부(53)의 외면에 맞닿아, 탄성편(52)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결합 돌기부(53)에 가로판부(54)가 걸려, 마개 본체(11)에 커버(25)가 고정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돌기부(50)의 하부에 경사면을 갖추게 하면, 돌출편부(48)도 탄성이 있기 때문에, 커버(25)를 마개 본체(11)에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것만으로, 마개 본체(11)에 커버(25)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에 마개체(3)를 나사결합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조작 레버(24)의 조작부(44)를 눌러 내리면, 조작 레버(24)는, 1단(端)의 피봇 부착부(43)를 지지점으로 회동한다. 조작 레버(24)의 회동에 따라서, 조작 레버(24)의 볼록부(24A)가 밸브 봉(23)의 상단을 하방에 눌러 내리고, 밸브 봉(23)와 밸브체(21)가 탄성부재(22)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일체로 되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지수 패킹(27)이 통체(13)의 하단부(13K)를 벗어나, 유액 경로(8)가 개방되고, 음료 용기(1)를 주입부(7B) 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액이 유액 경로(8), 주입부(7B)를 통하여 주출된다. 또한, 조작 레버(24)는, 조작부(44)의 하부가, 회동 규제부인 숄더부재(7)의 상면에 맞닿음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고, 가로판부(54)는 탄성편(52)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 위치가 회동 규제 위치이다.
한편, 용기 본체(2)내에, 열탕이나 뜨거운 음료물이 주입되어 있으면, 수증기에 의해서 용기 본체(2)내가 승압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작 레버(24)를 회동시키면, 밸브체(21)는 용기내의 압력에 의해서 지수 패킹(27)이 통체(13)의 하단부(13K)에 내리 눌러진 상태인 채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봉(23)의 하강에 의해서 면적이 작은 감압 패킹(41)이 밸브체(21)의 하면으로부터 벗어나, 용기 본체(2)내의 압력이 방출된다. 이 경우, 축부(29)의 하부(29S)에는, 종방향의 통기홈(31T)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구멍(21A)과 통기홈(31T)과의 사이로부터 용기 본체(2)내의 압력을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내의 압력이 개방됨에 의해, 밸브체(21)의 상방으로의 가압 유지력이 없어져,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21)가 열린 상태로 된다.
또한, 용기 본체(2)내에 열탕이나 뜨거운 음료물이 주입되어, 토출에 의해 일단 밸브체(21)를 개방하여,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을 개방한 후 방치한 경우 등, 용기 본체(2)내가 감압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감압력이 탄성부재(22)의 탄성 복원력보다 강해지면, 자동적으로 밸브 봉(23)이 하강하고, 감압 패킹(41)이 밸브체(21)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져, 용기 본체(2)내의 압력이 대기와 같은 압력으로 개방된다.
도 4는, 용기 본체(2)로부터 떼어낸 마개체(3)를 나타내는 것으로, 마개체(3)를 용기 본체(2)에 장착했을 때의 조작 레버(24)의 회동 규제 위치까지, 조작 레버(24)를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결합 돌기부(53)가 가로판 상면(54U)에 결합된다. 조작부(44)를 상기 회동 규제 위치보다 더 눌러 내리면, 탄성편(52)의 외면에, 돌출편(58)의 맞댐 가장자리부(59A)가 맞닿고, 여기에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4)를 내리면, 돌출편(58)에 의해 탄성편(52)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결합 돌기부(53)가 가로판 상면(54U)으로부터 벗겨진다.
이와 같이 하여 결합 돌기부(53)가 가로판 상면(54U)으로부터 벗겨지면, 탄성부재(22)에 의해 밸브 봉(23)이 조작 레버(24)를 상방에 누르고, 조작 레버(24)가 상방으로 회동하며, 커버(25)의 타측이 마개 본체(11)로부터 벗겨진다.
마개 본체(11)로부터 커버(25)를 벗기면, 밸브 봉(23)의 상부로부터 밸브체 커버(37)를 벗겨, 밸브 봉(23), 탄성부재(22), 밸브체(21), 걸림판(30)을 마개 본체(11)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마개 본체(11)의 유액 경로(8)나 밸브 기구(12)를 개별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세정 후의 밸브 기구(12)를 마개 본체(11)에 장착할 때에는, 반대로, 밸브 봉(23)의 축부(29)에 걸림판(30)을 장착하고, 축부(29)를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에 삽입 관통하며, 또한, 축부(29)를 삽입 관통 구멍(33)과 가이드통(34)에 삽입 관통하여, 이 가이드통(34)에 탄성부재(22)를 바깥에서 장착하고, 탄성부재(22)의 위에 밸브체 커버(37)를 씌워, 밸브체 커버(37)에 축부(29)의 상부(29U)에 걸린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체 커버(37)에 회전 가능한 회전자(38)가 구비되고, 이 회전자(38)에는 일정 피치의 결합 돌기부(73)를 배치하며, 또한, 밸브체(21)의 상단측에는 결합 돌기부(73)의 돌기 도입홈(74) 및 걸림 돌기 이동 경사인 경사면(76,76A,78,78A,79,79A,80) 및 걸림 돌기 걸림면인 바닥면(77,77A)을 파형(波形)의 요철 형상으로 배치하고, 유액 경로(8)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22)에 대해, 저항하는 방향인 하향으로 밸브체(21) 상단으로부터 밸브체 커버(37)를 삽입하면, 회전자(38)의 결합 돌기부(73)가 밸브체(21) 상단의 돌기 도입홈(74)을 따라서 들어가, 돌기 도입홈(74)의 하부의 걸림 돌기 이동 경사를 따라서 회전자(38)가 회전한다.
다음으로, 밸브체 커버(37)를, 탄성부재(22)에 의해 힘을 가하고 있는 상방으로 이동하면, 하부의 걸림 돌기 이동 경사면의 상부로 이동하는, 상부의 걸림 돌기 이동 경사면을 따라서 회전자(38)가 회전하고, 결합 돌기부(73)가 걸림 돌기 걸림면에 맞닿아, 밸브체 커버(37)가 밸브체(21)에 걸려, 밸브체(21)가 상방(유액 경로의 입구(15)를 닫는 방법)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밸브체 커버(37)는 밸브체(21)의 상단측에 있어서, 소위 푸시 기구로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밸브체 커버(37)를 눌러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1)의 상단이 밸브체 커버(37)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조작 레버(24)가 밸브체(21)의 열린 상태 혹은 닫힌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위치해도, 조작 레버(24)가 밸브체 커버(37)에 맞닿지 않아, 의도되지 않은데 밸브체 커버가 밸브체(21)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밸브체(21)와 밸브 봉(23)를 개벌적으로 별개의 부재로 하고, 밸브 봉(23)에 밸브체(21)의 상부로의 유액 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밸브체(21)를 구비함으로써, 밸브 봉(23)의 쪽이 밸브체(21)로부터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뜨거운 물 등에 의해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이 높아져 있을 때에도, 먼저 밸브 봉(23)쪽의 밸브체인 원반부(28)를 눌러 내려, 내압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압에 의해 밸브체(21)가 눌러 내림이 불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내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밸브 봉(23)에는 통기홈(31T)이 있어,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과의 사이에 간극을 만들어, 확실히 내압을 배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내압을 개방하면, 밸브체(21)의 상방으로의 가압 유지력이 없어져,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 밸브체(21)가 열린 상태로 된다.
한편, 용기 본체(2)내가 감압 상태로 된 경우, 이 감압력이 탄성부재(22)의 탄성 복원력보다 강해지면, 자동적으로 밸브 봉(23)이 하강하고, 감압 패킹(41)이 밸브체(21)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져, 용기 본체(2)내의 압력이 대기와 같은 압력으로 개방된다.
또한, 걸림판(30)에 의해 칸막이부(14)의 하방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04)가 제거됨으로써, 예를 들면, 종래, 유액 경로(8)에 구비되어 있던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 불필요해져, 위생적이고, 부품수를 줄이고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각 스트로크의 관계에 대해서, 밸브체 커버(37)의 스트로크 A, 밸브체(21)와 걸림판(30)의 스트로크 B,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결합 돌기부(73)의 스트로크 C를, A>(B+C)로 함으로써, 밸브체 커버(37)를 밸브 봉(23)로부터 떼어낼 때, 마개 본체(11)와 밸브체 커버(37)가 맞닿아 회전자(38)가 걸림 해제 위치까지 돌아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 커버(37)를 미는 반대쪽 손은, 밸브 봉(23)의 원반부(28)보다 면적이 넓은 밸브체(21)를 누르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더욱 조작성에 제약이 없어진다.
또한, 밸브 봉(23)에 걸림판 삽입홈인 세로홈부(31) 및 이 세로홈부(31)의 하단에 연속하여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31A)을 부착함으로써, 밸브 봉(23)과 걸림판(30)을 착탈하는 것도 가능하여, 더욱 세정성도 좋아진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용기 본체(2)의 개구부(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개 본체(11)의 내측에, 용기 본체(2)의 내부로 개구하는 입구(15)로부터 외부로 개구하는 출구(16)에 이르는 유액 경로(8)를 형성하고, 유액 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밸브체(21)를 구비하며, 마개 본체(11)의 상단에 이 마개 본체(11)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25)를 구비하고, 커버(25)에 밸브체(21)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인 조작 레버(24)를 구비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밸브체(21)에는, 닫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고, 이 탄성부재(22)의 빠짐 방지를 위해 밸브체 커버(37)가 장착되며, 이 밸브체 커버(37)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38)를 구비하고, 회전자(38)에는 밸브체 커버(37)가 밸브체(21)와 결합하는 적어도 2개소의 결합 돌기부(73,73)가 형성되며, 밸브체(21)의 상단측에는 결합 돌기부(73,73)와 동수 혹은 정수배의 돌기 도입홈(74) 및 회전자(38)를 회전시키는 단차인 단차홈(75)을 형성하여, 밸브체 커버(37)의 상하 동작에 의해 밸브체 커버(37)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체 커버(37)를 갖고 상하 동작함에 의해, 단차홈(75)과 결합 돌기부(73)에 의해 회전자(38)가 회전하여 밸브체 커버(37)를 밸브체(21)로부터 착탈할 수 있어, 마개 본체(11)와 밸브체(21)의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여, 밸브체(21)에 밸브체 커버(37)를 장착했을 때, 이 밸브체(21)의 상단인 축부(29)의 상단이 밸브체 커버(37)의 상부로 돌출하여, 밸브체(21)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인 조작 레버(24)가 밸브체 커버(37)와 맞닿지 않기 때문에, 밸브체(21)의 상단이 밸브체 커버(37)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밸브체(21)가 열린 상태 혹은 닫힌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위치해도, 조작 레버(24)가 밸브체 커버(37)에 맞닿지 않아, 의도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체 커버(37)가 밸브체(21)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여, 밸브체(21)와 밸브 봉(23)가 별개이며, 밸브 봉(23)에는 밸브체(21) 상부의 유액 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밸브체인 원반부(28)를 구비했기 때문에, 밸브체(21)와 밸브 봉(23)를 개별적으로 별도의 부재로 하고, 밸브 봉(23)에 밸브체(21) 상부로의 유액 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원반부(28)를 구비함으로써, 밸브 봉(23)의 쪽이 밸브체(21)보다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뜨거운 물 등에 의해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이 높아져 있는 때에도, 먼저 밸브 봉(23)측의 밸브체를 눌러 내려, 내압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압에 의해 밸브체(21)가 눌러 내림이 불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내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밸브체(21)와 밸브 봉(23)가 별개이며, 밸브 봉(23)를 눌러 내렸을 때 밸브체(21)와 맞닿아, 이 밸브체(21)를 눌러 내리는 걸림판(30)을 구비했기 때문에, 걸림판(30)을 이용함에 의해, 탄성부재(104)를 제거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종래, 유액 경로(8)에 구비되어 있었던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 불필요해져, 위생적이고, 부품수를 줄여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효과로서, 상기 밸브체 커버(37)는, 좌우의 손잡이부(72,72)에 상기 회전자(3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개구부(72A,72A)를 형성함으로써, 밸브체 커버(37)에 회전자(38)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손잡이부(72,72)는 하부(72S,72S)가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의 힘을 가하기 쉽고, 좌우의 손잡이부(72,72)를 잡고 밸브체 커버(37)를 간편하게 눌러 내릴 수 있다. 또한, 밸브 봉(23)에는 세로홈부(31)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체(21)의 장착구멍(21A)과의 사이에 간극을 만듦으로써, 확실히 내압을 배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24)를 아래로 눌러 내리는 것만으로, 조작 레버(24)에 구비된 돌출편(58)이, 마개 본체(11)의 탄성편(52)을 걸림 해제 방향(FK)으로 이동시켜, 마개 본체(11)와 커버(25)를 걸림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조작 레버(24)는, 유액 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밸브체(21)의 밸브 봉(23)에 의해, 마개 본체(11)와 커버(25)가 걸림 해제 상태로 되는 동시에, 조작 레버(24) 및 커버(25)에 마개 본체(11)와의 해제 방향(F1)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24)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에 마개체(3)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24)에 의해 밸브체(21)의 개폐 조작을 행할 수 있지만, 조작 레버(24)가 숄더부재(7)에 접촉하는 회동 규제 위치에서는, 조작 레버(24)에 형성한 돌출편(58)이 탄성편(52)을 걸림을 해제하기에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오조작에 의해 마개 본체(11)와 커버(25)가 분해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편(52)이 마개 본체(11)의 최대 외경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 레버(24)를 눌러 내릴 때에 돌출편(58)이 커버(25)의 내측에 들어감으로써, 돌출편(58)을 커버(25)의 내측에 숨길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조작시에 돌출편(58)에 접하지 않아 안전하고, 또한, 커버(25)의 하부에 가로판부(54)를 갖게 할 수 있어, 걸림 해제 조작시에 조작 레버(24)와 상기 가로판부(54)으로 끼워 넣는 조작을 함으로써, 조작 레버(24)를 누르는 힘(FP)이 커버(25)를 잡는 힘(FT)과 상쇄되어, 조작 레버(24) 및 커버(25)에는 밸브체(21)를 닫는 힘만이 걸리기 때문에, 마개 본체(11)와 커버(25)의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의 효과로서, 용기 본체(2)의 개구부(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개 본체(11)의 내측에, 용기 본체(2)의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15)로부터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16)에 이르는 유액 경로(8)를 형성하고, 유액 경로(8)의 입구(15)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밸브체(21)를 구비하고, 마개 본체(11)의 상단에 이 마개 본체(11)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25)를 구비하며, 커버(25)에 밸브체(21)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24)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 내림 가능하게 구비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마개 본체(11)와 커버(25) 중 어느 일방에 제 1 결합부인 횡공부(49), 타방에 제 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1 피결합부인 돌기부(50)를 형성하고, 마개 본체(11)의 상부에 탄성편(52)을 구비하며, 마개 본체(11)의 탄성편(52)과 커버(25) 중 어느 일방에 제 2 결합부인 결합 돌기부(53), 타방에 제 2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 2 피결합부인 가로판 상면(54U)을 구비하고, 조작 레버(24)에는, 조작 레버(24)를 눌러 내리면, 탄성편(52)에 맞닿아 이 탄성편(52)을 결합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출편(58)을 형성했기 때문에, 조작 레버(24)를 눌러 내리면, 조작 레버(24)의 돌출편(58)이, 마개 본체(11)의 탄성편(52)을 결합 해제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결합 돌기부(53)와 가로판 상면(54U)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때, 밸브체(21)에 의해 조작 레버(24)가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마개 본체(11)로부터 커버(25)를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돌기부(50)의 하부에 안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은데, 이 경우, 횡공부(49)를 형성한 돌출편부(48)는 탄성을 갖기 때문에, 커버(25)를 마개 본체(11)로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것만으로, 마개 본체(11)의 전후에 커버(25)를 대략 동시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24)는, 마개 본체(11)가 용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로 눌러 내리면, 밸브체(21)의 개폐는 행할 수 있지만, 조작 레버(24)의 조작부(44)가 숄더부재(7)에 맞닿음에 의해, 돌출편(58)이 탄성편(52)을 걸림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부(44)를 이용하여 초기 위치의 조작 레버(24)를 눌러 내리면, 밸브체(21)가 열리고, 조작 레버(24)를 떼면, 상방으로 힘이 가해진 밸브체(21)에 의해 조작 레버(24)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밸브체(21)가 닫히며, 용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 레버(24)를 눌러 내려도, 조작부(44)가 숄더부재(7)에 맞닿음에 의해, 결합 돌기부(53)와 가로판 상면(54U)의 결합이 해제됨 없이, 사용시에 조작 레버(24)를 눌러도 커버(25)가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탄성편(52)은 마개 본체(11)의 최외경(最外徑)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조작 레버(24)를 눌러 내릴 때에 돌출편(58)이 커버(25)의 내측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돌출편(58)이 커버(25)의 내측에 들어감에 의해,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마개 본체(11)의 일측에 형성한 횡공부(49)에, 커버(25)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50)가 횡공부(49)의 일측으로부터 걸려 들어가기 때문에, 이 걸려 들어가는 개소를 지지점으로 하여, 커버(25)의 타측을 눌러 내림에 의해, 타측에 있어서의 마개 본체(11)와 커버(25)의 결합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횡공부(49)는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형성한 돌기부(50)를 결합시킴에 의해, 이 결합 개소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돌출편(58)의 일측에는, 조작 레버(24)의 조작시에 상기 탄성편(52)에 결합하는 위치에 상기 종연부(59)가 배치되고, 이 종연부(59)의 하부에는,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타측으로 경사진 맞댐 가장자리부(59A)가 구비되며, 결합 돌기부(53)에는, 타측에 중앙 경사면(53A)을 형성했기 때문에, 돌출편(58)이 강하하면, 맞댐 가장자리부(59A)가 중앙 경사면(53A)에 맞닿아 탄성편(52)을 원활하게 일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타측에 있어서의 결합 해제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이 예에서는, 밸브체(21)에 밸브 봉(23)를 일체로 구비한 예로서, 밸브체(21)의 중앙에 밸브 봉(23)의 축부(29)를 돌출하게 구비하고, 감압수단(26) 및 걸림판(30)은 구비하지 않는다. 아울러, 이 예에서는, 걸림판(30)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축부(29)에, 세로홈부(31,31)와 걸림홈(31A,31A)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밸브체(21)에는, 닫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고, 이 탄성부재(22)의 빠짐 방지를 위해 밸브체 커버(37)가 장착되며, 이 밸브체 커버(37)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38)를 구비하고, 회전자(38)에는 밸브체 커버(37)가 밸브체(21)와 결합하는 적어도 2개소의 결합 돌기부(73,73)가 형성되며, 밸브체(21)의 상단측에는 결합 돌기부(73,73)와 동수 혹은 정수배의 돌기 도입홈(74) 및 회전자(38)를 회전시키는 단차인 단차홈(75)을 형성하여, 밸브체 커버(37)의 상하 동작에 의해 밸브체 커버(37)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체 커버(37)를 갖고 상하 동작함에 의해, 단차홈(75)과 결합 돌기부(73)에 의해 회전자(38)가 회전하여 밸브체 커버(37)를 밸브체(21)로부터 착탈할 수 있어, 마개 본체(11)와 밸브체(21)의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청구항 1 및 2에 대응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온병에 적용되는 마개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통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용기 본체는 유리제인 것, 합성수지제인 것 등 어느 것이라도 좋고, 특히 단열 구조를 가지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1 : 음료 용기
2 : 용기 본체
2A : 상부 개구부
3 : 마개체
8 : 유액 경로
11 : 마개 본체
12 : 밸브 기구
13 : 통체
15 : 입구
16 : 출구
21 : 밸브체
22 : 탄성부재
23 : 밸브 봉
24 : 조작 레버(개폐 장치)
28 : 원반부(밸브 봉측의 밸브체)
37 : 밸브체 커버
38 : 회전자
73 : 결합 돌기부
74 : 돌기 도입홈
75 : 단차홈(단차)
76 : 제 1 하측 경사면
76A : 제 2 하측 경사면
77 : 제 1 바닥면
77A : 제 2 바닥면
78 : 제 1 상측 안내면
78A : 제 2 상측 안내면
79 : 제 1 상측 경사면
79A : 제 2 상측 경사면
80 : 제 1 상측 안내면
81 : 중간 경사면
82 : 하측 안내면
83 : 모서리부

Claims (4)

  1.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개 본체의 내측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개구되는 입구로부터 외부로 개구되는 출구에 이르는 유액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액 경로의 입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마개 본체의 상단에 상기 마개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에 구비한 액체 용기의 마개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닫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이 탄성부재의 빠짐 방지를 위해 밸브체 커버가 장착되고, 이 밸브체 커버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자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에는 상기 밸브체 커버가 상기 밸브체와 결합하는 적어도 2개소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상단측에는 상기 돌기부와 동수 혹은 정수배의 돌기 도입홈 및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 커버의 상하 동작에 의해 밸브체 커버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밸브체 커버를 장착했을 때, 이 밸브체의 상단이 상기 밸브체 커버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체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가 상기 밸브체 커버와 맞닿음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 봉이 별개이며, 상기 밸브 봉에는 상기 밸브체 상부의 유액 경로의 입구를 닫는 밸브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 봉이 별개이며, 상기 밸브 봉을 눌러 내렸을 때 상기 밸브체와 맞닿아, 이 밸브체를 눌러 내리는 걸림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20130063726A 2012-06-04 2013-06-03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1584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7508A JP5573890B2 (ja) 2012-06-04 2012-06-04 飲料容器の栓体
JPJP-P-2012-127508 2012-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405A true KR20130136405A (ko) 2013-12-12
KR101584400B1 KR101584400B1 (ko) 2016-01-11

Family

ID=4862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726A KR101584400B1 (ko) 2012-06-04 2013-06-03 음료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85406B2 (ko)
EP (1) EP2671484B1 (ko)
JP (1) JP5573890B2 (ko)
KR (1) KR101584400B1 (ko)
CN (1) CN103449014B (ko)
AU (1) AU2013206149B2 (ko)
CA (1) CA2817439A1 (ko)
HK (1) HK1191916A1 (ko)
TW (1) TWI4876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22A (ko) * 2018-08-20 2020-02-28 써모스 엘.엘.씨. 밸브 조립체용 액추에이터를 갖는 리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101352U1 (de) * 2014-03-24 2015-06-25 Melitta Europa Gmbh & Co. Kg Isolierkanne
DE202014101351U1 (de) * 2014-03-24 2015-06-25 Melitta Europa Gmbh & Co. Kg Isolierkanne
US9334090B1 (en) * 2015-01-23 2016-05-10 Zak Designs, Inc. Liquid dispensing lid
US10093460B2 (en) 2015-08-14 2018-10-09 Yeti Coolers, Llc Container with magnetic cap
US9708108B2 (en) * 2015-09-22 2017-07-18 Rubbermaid Incorporated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D787893S1 (en) 2015-11-20 2017-05-30 Yeti Coolers, Llc Jug
CN105476499B (zh) * 2016-01-20 2017-10-24 潮州时代五金实业有限公司 一种保温壶
USD815901S1 (en) 2016-05-04 2018-04-24 Hardy Steinman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D821146S1 (en) 2016-05-04 2018-06-26 Hardy Steinman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CA3040708A1 (en) 2016-10-17 2018-04-26 John Alan Tolman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0959553B2 (en) 2016-10-17 2021-03-30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1034505B2 (en) 2016-10-17 2021-06-15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10959552B2 (en) 2016-10-17 2021-03-30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USD860716S1 (en) 2017-03-27 2019-09-24 Yeti Coolers, Llc Container lid
CN107215912B (zh) * 2017-07-11 2023-03-03 东莞市倍益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出水过滤式净水壶
US11517131B2 (en) * 2017-10-06 2022-12-06 Iwasaki Industry Inc. Cover, and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same
CN108861040A (zh) * 2018-06-26 2018-11-23 孟芷萱 瓶盖及具有该瓶盖的液体容器
CN109231102B (zh) * 2018-07-25 2020-08-28 绍兴大纬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独臂人用按压式罐头合盖装置
USD896572S1 (en) 2018-08-20 2020-09-22 Yeti Coolers, Llc Container lid
US11174062B1 (en) * 2018-09-17 2021-11-16 Irina Boulgakova Interchangeable vacuum-sealed beverage bottle and associated methods
USD883738S1 (en) 2018-10-17 2020-05-12 Yeti Coolers, Llc Lid
USD871133S1 (en) 2018-10-17 2019-12-31 Yeti Coolers, Llc Lid
USD883737S1 (en) 2018-10-17 2020-05-12 Yeti Coolers, Llc Lid
USD897151S1 (en) 2018-10-17 2020-09-29 Yeti Coolers, Llc Lid
CN111572989B (zh) * 2020-05-20 2022-02-01 杭州暄妍包装有限公司 一种用于小型溶液瓶具有双向双功能的可翻盖式封口盖
JP2021186014A (ja) * 2020-05-26 2021-12-13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11628985B2 (en) * 2021-03-08 2023-04-18 Gary Ross Lid
US11136171B1 (en) * 2021-03-08 2021-10-05 Highwave Lid
CN114623263B (zh) * 2021-04-21 2023-12-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排浆和清洗的食品加工机用阀体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015A (en) * 1987-03-23 1991-08-06 Service Ideas, Inc. Cap with integral pouring spout for pitchers
JP2002165709A (ja) 2000-11-30 2002-06-11 Nippon Sanso Corp 飲料容器の栓体
JP2002238760A (ja) * 2001-02-08 2002-08-27 Leifheit Ag ポット
JP2004315009A (ja) * 2003-04-15 2004-11-11 Thermos Kk 飲料容器の栓体
JP4514692B2 (ja) 2005-11-18 2010-07-2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の中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6A (en) * 1854-07-11 Ship-vkntilatob
DE8333674U1 (de) * 1983-11-23 1984-04-05 Rotpunkt Dr. Anso Zimmermann, 6434 Niederaula Kanne für Flüssigkeiten, insbesondere Isolierkanne
DE29504343U1 (de) * 1995-03-14 1996-07-18 Wulf & Co Emsa Werk Kanne für Flüssigkeiten
US5615808A (en) * 1996-05-21 1997-04-01 Huang; Frank T.-H. Teapot
JP3574778B2 (ja) * 2000-08-10 2004-10-06 パール金属株式会社 液体容器の栓装置
US6805266B2 (en) * 2001-06-04 2004-10-19 Av Doron Safety device for a liquid-containing vessel
US6648183B2 (en) * 2002-02-13 2003-11-18 Service Ideas, Inc. Cap for a beverage server
US6935536B2 (en) * 2002-12-09 2005-08-30 Trudeau Corporation 1889 Inc. Cap for a container
FR2873275B1 (fr) * 2004-07-26 2008-05-16 Seb Sa Recipient verseur et appareil d'infusion comprenant un tel recipient
CN201299448Y (zh) * 2008-10-27 2009-09-02 胡飞鹏 一种电热保温壶
CN201452862U (zh) * 2009-07-03 2010-05-12 合一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电茶壶壶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015A (en) * 1987-03-23 1991-08-06 Service Ideas, Inc. Cap with integral pouring spout for pitchers
JP2002165709A (ja) 2000-11-30 2002-06-11 Nippon Sanso Corp 飲料容器の栓体
JP2002238760A (ja) * 2001-02-08 2002-08-27 Leifheit Ag ポット
JP2004315009A (ja) * 2003-04-15 2004-11-11 Thermos Kk 飲料容器の栓体
JP4514692B2 (ja) 2005-11-18 2010-07-2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の中栓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422A (ko) * 2018-08-20 2020-02-28 써모스 엘.엘.씨. 밸브 조립체용 액추에이터를 갖는 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1484A1 (en) 2013-12-11
CN103449014A (zh) 2013-12-18
EP2671484B1 (en) 2017-05-17
AU2013206149A1 (en) 2013-12-19
JP2013249134A (ja) 2013-12-12
CN103449014B (zh) 2016-05-25
AU2013206149B2 (en) 2016-09-08
US8985406B2 (en) 2015-03-24
TWI487658B (zh) 2015-06-11
US20130320011A1 (en) 2013-12-05
KR101584400B1 (ko) 2016-01-11
HK1191916A1 (zh) 2014-08-08
TW201404707A (zh) 2014-02-01
JP5573890B2 (ja) 2014-08-20
CA2817439A1 (en)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6405A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1528024B1 (ko) 음료용기의 마개체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5481388B2 (ja) 飲料容器の蓋
JP531254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3913227B2 (ja) 飲料容器の栓体
CN103129824A (zh) 能够排气的饮料容器封闭件
JP2009119232A (ja) 液体収納容器
KR10144242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140014012A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JP5556937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7244750B2 (ja) 液体容器
KR102035516B1 (ko)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JPS5817563Y2 (ja) ベロ−ズポンプの押板ロツク装置
KR0129554Y1 (ko) 보온용기용 액체 인출장치
JP2020171367A (ja) 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