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157B1 -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157B1
KR102283157B1 KR1020200043801A KR20200043801A KR102283157B1 KR 102283157 B1 KR102283157 B1 KR 102283157B1 KR 1020200043801 A KR1020200043801 A KR 1020200043801A KR 20200043801 A KR20200043801 A KR 20200043801A KR 102283157 B1 KR102283157 B1 KR 10228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button
elastic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철
Original Assignee
정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철 filed Critical 정규철
Priority to KR102020004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65D50/045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where one action elastically deforms or deflects at least part of the closure, the container or an intermediate element, e.g. a r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의 중앙 상면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의 주입구로부터 캡을 비 나사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2)을 갖는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 외주면 둘레로 형성된 걸림 테(116)와; 상기 걸림 테에 대하여 열고 닫히는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120)은 내캡(121) 및 외캡(122)으로 구성되되, 이들 사이에는 작동공간(123)이 형성되며, 상기 외캡(122)의 상면 중앙으로는 상기 작동공간(123)과 연통되는 버튼 조작공(12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123) 및 버튼 조작공(124)으로는, 상기 주입구(114)의 걸림 테(116)에 대하여 캡(120)을 눌러주는 것에 의해 닫혀지도록 걸림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버튼 조작공(124)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131)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 테(116)에 대한 걸림력을 강제로 해제하여 캡(120)이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로부터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 조작부(130)가 장착되어진 구성이다.

Description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P}
본 발명은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의 중앙 상면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의 주입구로부터 캡을 비 나사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각종 형태나 종류의 화장품을 담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형태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크게,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의 누설이나 누출,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캡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캡은 용기 본체에 대하여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개폐 조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캡을 나사 방식으로 결합하는 이유는, 언더 컷 결합 방식에 비하여 강한 결합력을 유지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캡의 개폐 조작시 일정거리만큼 항상 조이거나 풀어주어야 하는 개폐 조작 상의 번거로움이나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나사 결합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부주의로 캡을 덜 닫게되는 경우에는 화장품 용기의 휴대 사용시, 부득이하게 캡이 분리 개방되거나 또는 제대로 닫혀지지 않은 틈새를 통해 화장품이 외부로 누설되거나 누출되는 문제를 비롯하여 외기의 유입으로 인해 화장품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문헌 1(도 1 참조)에는, 양 수직간(6)(6')의 하단부에 돌부(6a)(6a')를 형성하고 수직간과 인접된 뚜껑 외측면에 호형 홈(7)(7')을 요설하여 상기 양 수직간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그 하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통해 상기 돌부(6a)(6a')가 환형홈(3)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서 뚜껑(4)이 용기(1)의 구부(2)로부터 열리거나, 또는 구부에 대한 뚜껑(4)을 강제로 눌러 끼우는 것을 통해 상기 돌부(6a)(6a')가 환형홈(3)에 결합되도록 하는 동작을 통해 뚜껑이 개폐되도록 고안된 “화장품 용기 뚜껑의 개폐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도 2 참조)에는 배출펌프(2)의 펌프체(3) 외주면에 형성되어진 걸림 환 테(3a)를 넘어서 걸림 고정되는 걸림 돌부(13)를 이용하여 뚜껑(10)을 비 나사결합방식으로 개폐 조작하는 “화장품 용기 뚜껑”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제안되고 있는 뚜껑 개폐 구조의 경우에는, 외부 충격이나 의도하지 않는 수직간의 눌림에 의한 임의 개방 조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거나, 또는 걸림 돌부가 걸림 환 테에 대해 강제로 걸림됨에 따라, 특히 뚜껑의 개방 조작이 신속 용이하지 못하고, 곤란하게 되거나 뚜껑의 잦은 개폐 조작에 따라 걸림돌부의 마모로 인해 개폐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1. KR2019950004766 Y1(1995.06.15. 공고) 2. KR2020080003555 U(2008.08.2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의 중앙 상면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의 주입구로부터 캡을 비 나사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는, 일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의 주입구 외주면 둘레로 형성된 걸림 테와; 상기 걸림 테에 대하여 열고 닫히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은 내캡 및 외캡으로 구성되되, 이들 사이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외캡의 상면 중앙으로는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버튼 조작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 및 버튼 조작공으로는, 상기 주입구의 걸림 테에 대하여 캡을 눌러주는 것에 의해 닫혀지도록 걸림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버튼 조작공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 테에 대한 걸림력을 강제로 해제하여 캡이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 조작부가 장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캡의 외캡으로 형성된 버튼 조작공에 끼워지는 개방조작버튼과, 상기 개방조작버튼의 하단으로부터 연이어지게 수평적으로 분할형성되어지되 그 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지는 탄성 조작편들과, 상기 탄성 조작편들의 각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동시에 그 단부 내측으로는 내캡의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된 탄성 조작공을 통해 출입되면서 상기 주입구의 걸림 테에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탄성 지지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는, 탄성 조작편들 사이에 마련되는 각 분할공간에 대해 내캡의 상면 대응 위치로 각각 분할 형성되어진 수직 가이드 편이 끼워지도록 하여 캡의 개방작동시, 상기 탄성 조작편들이 상기 수직 가이드 편에 의해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의 탄성 지지편들은 내캡의 측벽 외주면에 대응 위치로 파여진 수직요구에 대해서도 탄성 결합되도록 하여 캡이 닫혀진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탄성 결합되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테가 형성된 주입구의 외주면으로는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 조작부의 탄성 지지편들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으로 이와 대응 접촉되는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캡의 닫음 조작시 부드러운 하강 이동 접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의 내캡 내주면으로는 기밀패킹이 더 구비되고, 또, 주입구의 상면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속캡에 의해 차단 커버되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의 중앙 상면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을 살짝 눌러주는 것에 의해 이와 연동 조작되는 탄성 조작편의 걸림턱이 용기 본체의 주입구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걸림 테로부터 강제로 이탈되어 지는 작동을 통해 캡의 개방 조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캡의 개방 조작을 비 나사 방식으로 하더라도 그 만큼 편리하고, 또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캡의 측면을 잡은 상태에서 상면 중앙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캡을 개방조작 하기 때문에 캡의 높은 개방 조작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게 되고, 특히, 캡을 한 손을 이용하여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그 만큼 캡의 높은 개폐 조작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는, 탄성 조작편들의 각 분할공간에 대해 내캡의 상면 대응 위치로 분할 형성되어진 수직 가이드 편이 끼워짐에 따라 캡의 개방 작동시, 상기 수직 가이드 편에 의해 수직 이동이 항상 유지됨에 따라 탄성 조작편의 좌우 편심없이 안정적인 수직 가압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의 각 탄성 지지편들은 내캡의 측벽 외주면에 대응 위치로 파여진 수직요구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캡이 닫혀진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탄성 결합되어 지도록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테가 형성된 주입구의 외주면으로는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또 상기 개폐 조작부의 탄성 지지편들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으로는 이와 대응 접촉되는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캡의 닫음 조작시 부드러운 하강 이동 접촉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화장품 용기의 각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빌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조작부의 평면도 및 A-A선 내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캡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캡의 상면에 개폐 조작부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조작부의 개방조작버튼이 가압된 상태의 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조작부의 개방조작버튼이 가압된 상태에서 캡이 용기 본체의 주입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조작부의 개방조작버튼이 가압 해제된 상태에서 캡이 용기 본체의 주입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용기(100)는, 일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2)을 갖는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 외주면 둘레로 형성된 걸림 테(116)와; 상기 걸림 테에 대하여 열고 닫히는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120)은 내캡(121) 및 외캡(122)으로 구성되되, 이들 사이에는 작동공간(123)이 형성되며, 상기 외캡(122)의 상면 중앙으로는 상기 작동공간(123)과 연통되는 버튼 조작공(12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123) 및 버튼 조작공(124)으로는, 상기 주입구(114)의 걸림 테(116)에 대하여 캡(120)을 눌러주는 것에 의해 닫혀지도록 걸림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버튼 조작공(124)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131)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 테(116)에 대한 걸림력을 강제로 해제하여 캡(120)이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로부터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 조작부(130)가 장착되어진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130)는, 상기 캡(120)의 외캡(122)으로 형성된 버튼 조작공(124)에 끼워지는 개방조작버튼(131)과, 상기 개방조작버튼의 하단으로부터 연이어지게 수평적으로 분할 형성되어지되 그 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지는 탄성 조작편들(132)과, 상기 탄성 조작편들의 각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동시에 그 단부 내측으로는 내캡(121)의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된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출입되면서 상기 주입구(114)의 걸림 테(116)에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걸림턱(134)이 형성된 탄성 지지편들(13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130)는, 탄성 조작편들(132)의 각 분할공간(135)에 대해 내캡(121)의 상면 대응 위치로 분할 형성되어진 수직 가이드 편(126)이 끼워지도록 하여 캡(120)의 개방작동시, 상기 탄성 조작편들(132)이 상기 수직 가이드 편(126)에 의해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130)의 각 탄성 지지편들(133)은, 내캡(121)의 측벽 외주면에 대응 위치로 파여진 수직요구(127)에 탄성 결합되도록 하여 캡(120)이 닫혀진 상태에서 탄성 지지편들(133)의 좌우 유동없이 보다 안정된 탄성 결합상태가 유지되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 지지편들(133)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각 걸림턱(134)은 그 하면을 상향 경사면(134a)으로 형성하여, 캡(120)의 닫음 조작시, 주입구(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테(116)의 하향 경사면(116a)에 대해 미끄럼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120)을 구성하는 내캡(121) 및 외캡(122)은 이들 사이의 작동공간(123)에 개폐 조작부(130)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가 언더컷 조립 등의 다양한 고정 구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캡(120)의 작동공간(123)에 개폐 조작부(130)가 장착될 때 각 탄성 지지편들(133)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134)은 내캡(121)의 대응 위치에 각각 형성된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그 단부가 내캡(121)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끼워져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내캡(121)의 내측으로 단부가 노출되게 끼워진 걸림턱(134)은, 탄성 조작편들(132)의 가압에 의해 탄성 지지편들(133)이 인위적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걸림턱 자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탄성 조작공을 벗어나지 않게된다.
한편, 외캡(122)의 버튼 조작공(124)에 관통 상태로 끼워지는 개폐 조작부(130)의 개방조작버튼(131)은 외부로 노출되는 가압부분이 외캡의 외주면 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외캡(122)의 외주면보다 더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 화장품 용기의 휴대 보관시 상기 개방조작버튼이 의도하지 않게 임의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내캡(121)의 내주면으로는 주입구(114) 상면을 기밀하기 위한 기밀패킹(128)이 부착되어 있고, 또 주입구(114)의 상단 내주면에는 화장 내용물의 사용시에 분리되는 속캡(129)이 더 갖추어질 수 있다. 속캡(129)의 상면으로는 분리를 위한 손잡이가 더 갖추어 질 수 있다. 주입구의 상면은 상기 속캡(129)에 의해 차단 커버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의 개폐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100)는, 캡(120)이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에 대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조작부(130)의 탄성 지지편들(133)에 각각 구비된 걸림턱(134)이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내캡(121)내측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그 단부가 상기 주입구(114)의 걸림 테(116)에 각각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캡(120)은 주입구(114)로 부터 임의적인 개방이 방지될 수 있고, 또 안정된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로부터 캡(120)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진 개폐 조작부(130)의 개방조작버튼(131)을 가압하여 준다. 그러면 이와 연계하여 그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 조작편들(132)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눌려지고, 상기 탄성 조작편들이 하측으로 눌려지는 만큼 그 단부로 수직 연장된 탄성 지지편들(133)이 작동공간(123)에 의해 외측으로 동시에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편들(133)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과 동시에 그 단부로 각각 구비된 걸림턱(134) 역시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주입구(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테(116)로부터 강제로 이탈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걸림 테(116)로 부터 탄성 지지편들에 구비된 걸림턱(135)의 강제 이탈을 통해 걸림력이 해제되면 동시에 개방조작버튼(131)을 가압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20)을 상부로 들어올려주는 것에 의해 주입구(114)로부터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캡(120)의 분리가 완료되면 개방조작버튼(131)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함으로써 개폐 조작부(130)의 탄성 조작편들(13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자체 탄성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지고, 이와 동시에 탄성 지지편들(133) 역시 원 위치되어 지면서 이에 형성된 각 걸림턱(134) 역시 내캡(121)의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다시 그 단부가 내캡의 내측으로 관통 노출되게 위치되어 진다.
한편, 개방 상태에 있는 캡(120)을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에 대해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캡(120)을 주입구(114)의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그대로 잡고 눌러주면 닫혀지게 된다. 즉, 주입구(114)에 대해 캡(120)을 잡고 그대로 눌러 주면, 내캡(121)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던 각 걸림턱(134)이 주입구(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향 경사면(116a)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연적으로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걸림턱(134)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에 따라 각 탄성 지지편들(133) 역시 외측으로 벌어지는 탄성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캡(120)을 계속해서 눌러주면 상기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걸림턱(134)이 걸림 테(116)의 하향 경사면(116a)을 지나 걸림 테(116)의 하단에 도달되는 경우, 탄성 지지편들(133)의 자체 복귀 탄성력에 의해 다시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내측으로 원상 복귀되면서 걸림 테(116)의 하단에 걸림되어 지고, 이러한 걸림 테(116)에 대해 걸림턱(134)의 강제 걸림 동작을 통해 주입구(114)에 대한 캡(120)의 닫힘 동작이 완료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캡(120)의 닫음 조작 과정에서 개폐 조작부(130)의 탄성 지지편들(133)에 형성된 걸림턱(134)은 그 하면에 형성된 상향 경사면(134a)이 걸림 테(116)의 하향 경사면(116a)에 대응하여 접촉되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그 만큼 캡의 누름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걸림턱의 탄성 조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캡(120)의 개방 조작시, 개방조작버튼(131)의 가압시, 각 탄성 조작편들(132)은 이들 사이에 마련되는 분할공간(135)에 대해 내캡(121)의 상면 대응 위치로 분할 형성되어진 수직 가이드 편(126)이 가이드되도록 끼우져 있기 때문에 안정된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또 내캡(121)의 측변 외주면으로 파여진 수직요구(127)에 대해 각 탄성 지지편들(133)의 내측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캡이 닫혀져 있을때 좌우 유동없이 보다 안정된 탄성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캡의 개폐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100)는, 캡(120)을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에 위치시킨 다음 누르는 동작을 통해 닫힘이 가능하게 되고, 외캡의 중앙 상면으로 노출된 개방조작버튼(131)을 가압하는 것을 통해 주입구로부터 캡의 분리 개방 동작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캡의 개폐 조작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잇음은 물론이다.
110: 용기 본체 112: 수용공간
114: 주입구 116: 걸림 테
116a: 하향 경사면 120: 캡
121: 내캡 122: 외캡
123: 작동공간 124: 버튼 조작공
125: 탄성 조작공 126: 수직 가이드 편
127: 수직요구 128: 기밀패킹
129: 속캡 130: 개폐 조작부
131: 개방조작버튼 132: 탄성 조작편들
133: 탄성 지지편들 134: 걸림턱
134a: 상향 경사면 135: 분할공간

Claims (5)

  1. 일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2)을 갖는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 외주면 둘레로 형성된 걸림 테(116)와;
    상기 걸림 테에 대하여 열고 닫히는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캡(120)은 내캡(121) 및 외캡(122)으로 구성되되, 이들 사이에는 작동공간(123)이 형성되며,
    상기 외캡(122)의 상면 중앙으로는 상기 작동공간(123)과 연통되는 버튼 조작공(12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123) 및 버튼 조작공(124)으로는, 상기 주입구(114)의 걸림 테(116)에 대하여 캡(120)을 눌러주는 것에 의해 닫혀지도록 걸림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버튼 조작공(124)으로 노출되어진 개방조작버튼(131)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 테(116)에 대한 걸림력을 강제로 해제하여 캡(120)이 용기 본체(110)의 주입구(114)로부터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 조작부(130)가 장착되어지되,
    상기 개폐 조작부(130)는, 상기 캡(120)의 외캡(122)으로 형성된 버튼 조작공(124)에 끼워지는 개방조작버튼(131)과, 상기 개방조작버튼의 하단으로부터 연이어지게 수평적으로 분할 형성되어지되 그 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지는 탄성 조작편들(132)과, 상기 탄성 조작편들의 각 단부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동시에 그 단부 내측으로는 내캡(121)의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된 탄성 조작공(125)을 통해 출입되면서 상기 주입구(114)의 걸림 테(116)에 걸림되거나 해제되는 걸림턱(134)이 형성된 탄성 지지편들(133)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작부(130)는, 탄성 조작편들(132)의 각 분할공간(135)에 대해 내캡(121)의 상면 대응 위치로 분할 형성되어진 수직 가이드 편(126)이 끼워지도록 하여 캡(120)의 개방작동시, 상기 탄성 조작편들(132)이 상기 수직 가이드 편(126)에 의해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들(133)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각 걸림턱(134)은 그 하면을 상향 경사면(134a)으로 형성하여, 캡(120)의 닫음 조작시, 주입구(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테(116)의 하향 경사면(116a)에 대해 미끄럼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캡(121) 내주면으로는 기밀패킹(128)이 더 구비되고, 또, 주입구(114)의 상면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속캡(129)에 의해 차단 커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용기.
KR1020200043801A 2020-04-10 2020-04-10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28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01A KR102283157B1 (ko) 2020-04-10 2020-04-10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01A KR102283157B1 (ko) 2020-04-10 2020-04-10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157B1 true KR102283157B1 (ko) 2021-07-28

Family

ID=7712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801A KR102283157B1 (ko) 2020-04-10 2020-04-10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93A (ko) * 2022-06-09 2023-12-18 (주)아모레퍼시픽 결합형 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66U (ko) 1993-07-26 1995-02-18 전자총용 비이드 글래스
KR20080003555U (ko) 2007-02-22 2008-08-2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뚜껑
KR101308231B1 (ko) * 2013-06-18 2013-09-13 김진우 능동형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101562915B1 (ko) * 2015-09-01 2015-10-26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101707455B1 (ko) *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94635B1 (ko) * 2019-04-02 2020-03-27 정규철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66U (ko) 1993-07-26 1995-02-18 전자총용 비이드 글래스
KR20080003555U (ko) 2007-02-22 2008-08-2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뚜껑
KR101308231B1 (ko) * 2013-06-18 2013-09-13 김진우 능동형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101562915B1 (ko) * 2015-09-01 2015-10-26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101707455B1 (ko) *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94635B1 (ko) * 2019-04-02 2020-03-27 정규철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93A (ko) * 2022-06-09 2023-12-18 (주)아모레퍼시픽 결합형 용기
KR102621647B1 (ko) * 2022-06-09 2024-01-05 (주)아모레퍼시픽 결합형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836B2 (en) Cosmetic case having sealing function
KR200200762Y1 (ko) 화장품 용기
KR100757795B1 (ko)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555135B1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102066349B1 (ko)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
US20190014881A1 (en) Push Type Cosmetic Container
CN110811114A (zh) 具有一键式开闭结构的化妆品容器
KR101803794B1 (ko)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564981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2283157B1 (ko)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120025169A (ko) 화장품용기의 기밀링 구조
US20210253310A1 (en)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lid
KR20210050865A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170003701U (ko) 기밀성 있는 화장품 수납상자
JP2007008553A (ja) 容器のキャップ
KR101677336B1 (ko) 에어 타이트 리필 케이스를 갖는 화장품용기의 기밀장치
KR100856469B1 (ko) 밀폐용기
KR102094635B1 (ko)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250978B1 (ko)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180049539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1892401B1 (ko)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JP4068397B2 (ja) 気密容器
KR20170001855U (ko)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한 화운데이션 화장품용기
KR102481752B1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