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635B1 -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635B1
KR102094635B1 KR1020190038582A KR20190038582A KR102094635B1 KR 102094635 B1 KR102094635 B1 KR 102094635B1 KR 1020190038582 A KR1020190038582 A KR 1020190038582A KR 20190038582 A KR20190038582 A KR 20190038582A KR 102094635 B1 KR102094635 B1 KR 10209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irtight
container
opening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철
Original Assignee
정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철 filed Critical 정규철
Priority to KR102019003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하여 캡을 회전 개폐 방향에 관계없이 비 나사 방식으로 신속 용이하고, 간편하게 개폐조작 되도록 하면서도 임의적인 캡의 개방 조작이 방지되어 휴대 사용에 따른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한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입구부(112)를 통해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개폐 조작되는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2) 외주면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 테(11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112)의 하단 외측이 연결되는 용기 본체(110)의 단차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116)가 일정 간격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캡(120)으로는 상기 걸림 테(114)에 대해 걸림 턱(121)이 탄성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배치되게 절제 형성되고, 또 상기 캡(120)의 하단 내측 둘레로는 캡의 개폐 조작시, 상기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의 걸림 턱(121)이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로부터 강제로 이탈 개방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의 걸림 턱(121)이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에 강제로 걸림 조작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가 수용되어져 폐방 조작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123) 및 파형 홈(12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진 구성이다.

Description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cap and cosmetic container easy to airtight}
본 발명은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하여 캡을 회전 개폐 방향에 관계없이 비 나사 방식으로 신속 용이하고, 간편하게 개폐조작 되도록 하면서도 임의적인 캡의 개방 조작이 방지되어 휴대 사용에 따른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한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각종 형태나 종류의 화장품을 담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형태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크게,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의 누설이나 누출,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캡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캡은 용기 본체에 대하여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개폐 조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캡을 나사 방식으로 결합하는 이유는, 언더 컷 결합 방식에 비하여 강한 결합력을 유지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캡의 개폐 조작시 일정거리만큼 항상 조이거나 풀어주어야 하는 개폐 조작 상의 번거로움이나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나사 결합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부주의로 캡을 덜 닫게되는 경우에는 화장품 용기의 휴대 사용시, 부득이하게 캡이 분리 개방되거나 또는 제대로 닫혀지지 않은 틈새를 통해 화장품이 외부로 누설되거나 누출되는 문제를 비롯하여 외기의 유입으로 인해 화장품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문헌 1(도 1 참조)에는, 양 수직간(6)(6')의 하단부에 돌부(6a)(6a')를 형성하고 수직간과 인접된 뚜껑 외측면에 호형 홈(7)(7')을 요설하여 상기 양 수직간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그 하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통해 상기 돌부(6a)(6a')가 환형홈(3)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서 뚜껑(4)이 용기(1)의 구부(2)로부터 열리거나, 또는 구부에 대한 뚜껑(4)을 강제로 눌러 끼우는 것을 통해 상기 돌부(6a)(6a')가 환형홈(3)에 결합되도록 하는 동작을 통해 뚜껑이 개폐되도록 고안된 “화장품 용기 뚜껑의 개폐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도 2 참조)에는 배출펌프(2)의 펌프체(3) 외주면에 형성되어진 걸림 환 테(3a)를 넘어서 걸림 고정되는 걸림 돌부(13)를 이용하여 뚜껑(10)을 비 나사결합방식으로 개폐 조작하는 “화장품 용기 뚜껑”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제안되고 있는 뚜껑 개폐 구조의 경우에는, 외부 충격이나 의도하지 않는 수직간의 눌림에 의한 임의 개방 조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거나, 또는 걸림 돌부가 걸림 환 테에 대해 강제로 걸림됨에 따라, 특히 뚜껑의 개방 조작이 신속 용이하지 못하고, 곤란하게 되거나 뚜껑의 잦은 개폐 조작에 따라 걸림돌부의 마모로 인해 개폐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1. KR2019950004766 Y1(1995.06.15. 공고) 2. KR2020080003555 U(2008.08.2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하여 캡을 회전 개폐 방향에 관계없이 비 나사 방식으로 신속 용이하게 개폐 가능하면서도 기밀이 확보되도록 하여 캡의 개폐 조작 편리성 및 높은 기밀성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는, 입구부를 통해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개폐 조작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 외주면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 테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의 하단 외측이 연결되는 용기 본체의 단차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캡으로는 상기 걸림 테에 대해 걸림 턱이 탄성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 걸림 조작 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배치되게 절제 형성되고, 또 상기 캡의 하단 내측 둘레로는 상기 캡의 개폐 조작시, 상기 용기 본체의 파형 돌기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의 걸림 턱을 입구부의 걸림 테로부터 강제로 이탈 개방 조작하거나 또는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의 걸림 턱이 입구부의 걸림 테에 강제로 걸림 조작되도록 상기 파형 돌기가 수용되어져 폐방 조작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 및 파형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 본체는 내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 용기의 개구 상단에는 링 형태의 기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대응 내주면으로는 상기 링 형태의 기밀 돌기가 끼워지는 기밀 홈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기밀 홈으로는 기밀 패킹이 끼워져 상기 내 용기의 기밀 돌기가 탄성 밀착되도록 하여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의 내주면으로는, 캡의 폐방 조작시, 상기 내 용기의 개구 상단에 밀착되어져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소재의 기밀 패드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밀 패드는 캡의 내주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짐을 특징르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밀 패드는 캡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작동공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동시에 이탈 방지 턱에 걸림되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 상단 내측으로는 화장품 사용시에만 분리 개방되는 리드가 더 받침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본체와 입구부의 단차면 둘레에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또 캡의 하단 내주면 둘레로는 이에 대응되는 파형 돌기 및 파형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하여 캡을 눌러준 다음 상기 파형 돌기가 파형 홈에 수용되어 지도록 돌려주는 것에 의해 입구부의 걸림 테에 대하여 캡의 탄성 걸림 조작 편에 형성된 걸림 턱이 강제로 탄성 걸림되어 폐방 조작되고, 또 캡을 살짝 돌려주는 것에 의해 이에 형성된 파형 돌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파형 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순간 캡이 상부로 들려지고 동시에 캡의 탄성 걸림 조작 편에 형성된 걸림 턱이 입구부의 걸림 테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동작을 통해 캡의 개방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캡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누르고 돌려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캡의 개폐를 신속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의 개폐 조작이 신속 용이하고 편리하면서도, 용기 본체 및 캡의 내부에 마련되는 기밀수단들을 통해 화장품 용기의 휴대 사용에 따른 누설이나 누출이 방지되고, 떠 기밀이 유지되어 외기의 유입에 따른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특단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제공되고 있는 뚜껑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에 파형 돌기가 형성된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반 단면도이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캡에 파형 돌기 및 파형 홈이 형성된 구조를 보인 반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부 확대 발췌 단면도이다.
도 7의 (a)(b)(c)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개폐 조작시 캡에 형성된 파형 돌기 및 파형 홈이 용기 본체에 형성된 파형 돌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작동하면서 캡이 용기 본체에 대해여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기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B”부를 기준으로 확대 발췌한 조립 전후의 도면이다.
도 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기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B”부를 기준으로 확대 발췌한 조립 전후 도면이다.
도 10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기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의 “B”부를 기준으로 확대 발췌한 조립 전후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100)는, 입구부(112)를 통해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개폐 조작되는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2) 외주면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 테(1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구부(112)의 하단 외측이 연결되는 용기 본체(110)와 단차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116)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120)의 측벽으로는 상기 걸림 테(114)에 대해 탄성 걸림 및 해제되는 걸림 턱(12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배치되어 있다.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은 도면상에 표시된 바와 같이 4군데 정도로 균등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은 캡(120)의 측벽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3면이 절제 공간(122b)을 통해 탄성 조작이 가능하게 절제 형성되어 있다. 즉, 좌우 및 하면이 절제 형성되어져 있다.(도 5의 (a) 참조)
따라서,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은 3면의 절제 공간(122a)을 통해 캡(120)의 개폐 조작시, 상단부가 캡의 측벽과 일체로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걸림 턱(121)이 형성된 하단부가 탄성 작용 공간(122b) 범위 내에서 탄성 작동하면서 상기 걸림 턱(121)이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에 대해 탄성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120)의 하단 내측 둘레로는,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2)에 대한 캡(120)의 개폐 조작시, 상기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의 걸림 턱(121)을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로부터 강제로 이탈 개방 조작하거나 또는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의 걸림 턱이 입구부의 걸림 테에 강제로 걸림 조작되도록 상기 파형 돌기(116)가 수용되어져 폐방 조작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123) 및 파형 홈(12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 본체(110)와 입구부(112)의 단차면 둘레에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고, 또 캡(120)의 하단 내주면 둘레로는 이에 대응되는 파형 돌기(123) 및 파형 홈(12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입구부(112)에 대하여 캡(120)을 눌러준 다음 상기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에 대해 파형 홈(124)이 수용되어 지도록 돌려주는 것에 의해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에 대하여 캡(120)의 탄성 걸림 조작 편(122)에 형성된 걸림 턱(121)이 강제로 탄성 걸림되어 폐방 조작되고, 또 캡(120)을 살짝 돌려주는 것에 의해 이에 형성된 파형 돌기(123)가 상기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를 타고 넘어가는 순간 캡(120)이 상부로 들려지고 동시에 캡(120)의 탄성 걸림 조작 편(122)에 형성된 걸림 턱(121)이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로부터 강제 이탈되는 동작을 통해 캡(120)의 개방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캡(120)의 하단으로 파형 돌기(123) 및 파형 홈(12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120)을 잡고 어느 방향으로 돌리더라도, 즉,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누르고 살짝 돌려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에 수용되거나 상호 접촉되면서 그 돌출 높이만큼 들려지기 때문에 캡(120)의 개폐 작동이 그만큼 신속 용이하고, 또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용기 본체(110)에 대한 캡(120)의 개방 동작은 도 7을 참조하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즉, 도 7의 (a)는 용기 본체(110)에 대해 캡(120)이 닫혀있는 상태로서, 용기 본체의 파형 돌기(116)가 캡의 파형 홈(124)에 수용되어진 상태이며, 도 7의 (b)는 캡(120)을 용기 본체(110)로부터 개방하기 위하여 일 측으로 살짝 돌려준 상태로서,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에 대해 캡(120)의 파형돌기(123)가 접촉하면서 살짝 타고 올라간 상태이며, 도 7의 (c)는 캡이 용기 본체로부터 개방이 완료된 상태로서, 캡(120)의 파형 돌기(123)가 용기본체(110)의 파형돌기(116)를 벗어나 완전히 올라타고 있는 상태이며, 이 경우 캡의 탄성 걸림 조작편(121)의 걸림 턱(122) 역시 용기 본체(110)의 걸림 테(114)로부터 강제로 걸림이 해제되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 용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a)(b)를 참조하면, 상기 내 용기(130)의 개구 상단(131)에는 링 형태의 기밀 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캡(120)의 대응 내주면으로는 상기 링 형태의 기밀 돌기(132)가 끼워지는 기밀 홈(125)이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기밀 돌기(132) 및 기밀 홈(125)은 다양한 모양과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그리고, 기밀 홈(132)의 입구부 부분은 상기 기밀 돌기(132)가 신속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9의 (a)(b)를 참조하면, 상기 캡(120)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기밀 홈(125)으로는 탄성 소재의 기밀 패킹(126)이 끼워져 상기 내 용기(130)의 기밀 돌기(132)가 탄성 밀착되도록 하여 더욱 높은 기밀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밀 패킹(126) 소재는 우레탄 소재를 비롯하여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 NBR 고무 소재 등 다양한 탄성 소재가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밀 패킹(126) 소재를 선택함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화장품과의 접촉시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소재를 선택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120)의 내주면으로는, 캡의 폐방 조작시, 상기 내 용기(130)의 개구 상단(131)에 밀착되어져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소재의 기밀 패드(127)가 더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밀 패드(127)는 캡(120)의 내주면에 대해 일체로 접착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또한, 도 10의 (a)(b)를 참조하면, 상기 기밀 패드(127)는 캡(120)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작동공간(128)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동시에 이탈 방지 턱(129)에 걸림되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상기 내 용기(130)의 개구 상단(131) 내측으로는 화장품 사용시에만 분리 개방되는 리드(140)가 더 받침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리드(140)로는 별도의 분리 손잡이(141)가 더 갖추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분리 손잡이(141)를 통해 리드의 분리 개방 조작을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캡의 개폐 조작이 신속 용이하면서도 상기와 같이 캡의 내주면 및 내 용기에 대응되게 형성된 링 형태의 기밀 돌기(132) 및 기밀 홈(125) 구성과, 상기 기밀 홈에 끼워진 기밀 패킹(126), 캡의 내주면에 구비된 기밀 패드(127)와 같은 기밀 구성들에 의해 캡(120)의 개폐 조작시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 제공될 수 있는 것이어서, 화장품 용기의 휴대 사용시, 화장품이 외부로 누설, 누출되거나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화장품의 변질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용기 본체 112: 입구부
114: 걸림 테 116: 파형 돌기
120: 캡 121: 걸림 턱
122: 탄성 걸림 조작 편 123: 파형 돌기
124: 파형 홈 125: 기밀 홈
126: 기밀 패킹 127: 작동공간
128: 이탈 방지 턱 130: 내 용기
140: 리드

Claims (7)

  1. 입구부(112)를 통해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대해 개폐 조작되는 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2) 외주면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 테(11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112)의 하단 외측이 연결되는 용기 본체(110)의 단차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116)가 일정 간격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캡(120)으로는 상기 걸림 테(114)에 대해 걸림 턱(121)이 탄성 걸림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 배치되게 절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캡(120)의 하단 내측 둘레로는 캡의 개폐 조작시, 상기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의 걸림 턱(121)이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로부터 강제로 이탈 개방 조작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 걸림 조작 편(122)의 걸림 턱(121)이 입구부(112)의 걸림 테(114)에 강제로 걸림 조작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10)의 파형 돌기(116)가 수용되어져 폐방 조작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파형 돌기(123) 및 파형 홈(12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지며,
    상기 용기 본체(110)는 내 용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 용기(130)의 개구 상단(131)에는 링 형태의 기밀 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캡(120)의 대응 내주면으로는 상기 링 형태의 기밀 돌기(132)가 끼워지는 기밀 홈(125)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기밀 홈(125)으로는 탄성 소재의 기밀 패킹(126)이 끼워져 상기 내 용기(130)의 기밀 돌기(132)가 탄성 밀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120)의 내주면으로는, 캡의 폐방 조작시, 상기 내 용기(130)의 개구 상단(131)에 밀착되어져 기밀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소재의 기밀 패드(127)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패드(127)는 캡(120)의 내주면에 대해 일체로 접착 사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패드(127)는 캡(120)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작동공간(128)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동시에 이탈 방지 턱(129)에 걸림되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130)의 개구 상단(131) 내측으로는 화장품 사용시에만 분리 개방되는 리드(140)가 더 받침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0190038582A 2019-04-02 2019-04-02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09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82A KR102094635B1 (ko) 2019-04-02 2019-04-02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82A KR102094635B1 (ko) 2019-04-02 2019-04-02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635B1 true KR102094635B1 (ko) 2020-03-27

Family

ID=6995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582A KR102094635B1 (ko) 2019-04-02 2019-04-02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157B1 (ko) * 2020-04-10 2021-07-28 정규철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353633B1 (ko) * 2021-05-17 2022-01-19 정규철 내용기 리필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66U (ko) 1993-07-26 1995-02-18 전자총용 비이드 글래스
KR20080003555U (ko) 2007-02-22 2008-08-2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뚜껑
KR20120006767U (ko) * 2011-03-23 2012-10-0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101268157B1 (ko) * 2012-09-26 2013-05-27 김진우 밀폐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20180001581U (ko) * 2016-11-18 2018-05-28 오한선 겔형 패치가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766U (ko) 1993-07-26 1995-02-18 전자총용 비이드 글래스
KR20080003555U (ko) 2007-02-22 2008-08-2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뚜껑
KR20120006767U (ko) * 2011-03-23 2012-10-0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KR101268157B1 (ko) * 2012-09-26 2013-05-27 김진우 밀폐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20180001581U (ko) * 2016-11-18 2018-05-28 오한선 겔형 패치가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157B1 (ko) * 2020-04-10 2021-07-28 정규철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353633B1 (ko) * 2021-05-17 2022-01-19 정규철 내용기 리필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931B2 (en) Puff-embedded cosmetic powder container
KR101147005B1 (ko) 버튼식 용기마개
KR102094635B1 (ko)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RU2365527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а
US20140231304A1 (en) Cosmetic case having sealing function
KR101548102B1 (ko) 쐐기 결합 방식의 기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396617B1 (ko) 캔 덮개의 4중 밀폐구조
KR101189619B1 (ko) 에어 타이트 기능을 갖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485094B1 (ko) 화장품용 포트
JP4764198B2 (ja) 気密容器
KR10143138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0856469B1 (ko) 밀폐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2116203B1 (ko)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1892401B1 (ko)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250978B1 (ko) 캡의 개폐 조작 및 기밀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2283157B1 (ko) 캡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150003202U (ko) 퍼프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918473B1 (ko) 듀얼 캡슐 화장품 용기
KR100814317B1 (ko) 토출유닛 출몰식 디스펜서
JP7190807B2 (ja) 吐出器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US20210086965A1 (en) Double button cream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