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758A -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 Google Patents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758A
KR20040107758A KR1020030038171A KR20030038171A KR20040107758A KR 20040107758 A KR20040107758 A KR 20040107758A KR 1020030038171 A KR1020030038171 A KR 1020030038171A KR 20030038171 A KR20030038171 A KR 20030038171A KR 20040107758 A KR20040107758 A KR 20040107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body
lid
couple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열
서동진
Original Assignee
서동열
서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열, 서동진 filed Critical 서동열
Priority to KR102003003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758A/ko
Priority to AU2003274787A priority patent/AU2003274787A1/en
Priority to PCT/KR2003/002307 priority patent/WO2004110891A1/en
Publication of KR2004010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1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된 출입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출입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시 일부영역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부를 갖는 뚜껑; 상기 뚜껑의 중앙영역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타단부가 상기 뚜껑의 절취부를 가압 절취하여 상기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하는 레버;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외측면에 접촉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상단부를 덮는 가동캡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배출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를 마실 때 입에 접촉되는 음료용 캔의 뚜껑과 본체 상단부가 유통과정 중 먼지 및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료용 캔이 개봉된 경우에도 마시고 남은 음료수 또는 주류가 먼지 등에 오염되지 않거나 음료수로부터 탄산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음료용 캔으로부터 이탈되어 캡이 망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Cap of can for drinking and can for drinkin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 캔의 뚜껑과 상단부가 유통과정 중 먼지 및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음료수 또는 주류를 마실 수 있으며, 음료용 캔이 개봉된 경우에도 마시고 남은 음료수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 캔(can)이라 함은 금속제 용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음료수나 주류 등의 액체가 내부에 담기는 저장용기를 지칭한다. 음료용 캔은 음료수 또는 주류를 밀봉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취음 시 사용자가 레버의 일단부를 상부로 젖히면 타단부가 뚜껑의 일부 영역에 절취선이 형성된 절취부를 가압 절취하게 되어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 또는 주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개구를 형성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 배출개구를 통하여 음료수 또는 주류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음료용 캔은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수용된 내용물을 안정적이며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현재 저장용기로서 폭넓게 적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 캔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음료용 캔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된 출입개구를 갖는 본체와, 출입개구를 차단하도록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시 일부영역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부를 갖는 뚜껑과, 뚜껑의 중앙영역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리벳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타단부가 뚜껑의 절취부를 가압 절취하여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하는 레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원통 형상인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음료용 캔의 본체의 수용공간에 음료수나 주류 등이 수용되고 뚜껑과 본체의 상단부가 압착되어 테두리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를 밀폐시켜 음료용 캔의 제작이 완료되며, 제작이 완료된 음료용 캔이 유통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이르게 되면 소비자는, 리벳을 매개로 뚜껑에 연결된 레버의 일단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상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절취선을 따라 절취부를 절취하여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하고 이 배출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료수나 주류를 마시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음료용 캔의 테두리부는 운반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뚜껑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데, 이러한 테두리부는 먼지의 적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통과정 중 테두리부를 포함한 본체 상단부와 뚜껑, 즉 테두리부와 그 인접영역이 먼지 및 세균에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용 캔의 내부에 들어있는 음료수나 주류를 마시기 위해 테두리부와 그 인접영역에 입을 접촉하여야 하므로 결국 오염물질과 함께 음료수나 주류를 마시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별도의 휴지 등을 이용하여 테두리부와 그 인접영역을 깨끗이 닦은 후 마셔야만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료용 캔은 절취부를 절취하여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함으로써 개봉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개봉이 일단 이루어지면 다시 배출개구를 폐쇄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개봉 상태에서 보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관 시에 배출개구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거나 음료용 캔이 흔들리는 경우 마시고 남은 음료수나 주류가 배출개구를 통하여 넘치게 되는 등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과일 주스와 같은 음료수는 공기 중에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가 이루어져 신맛이 강해지게 되고 탄산음료수는 내용물 중에 내포된 이산화탄소가 이탈되어 고유의 맛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현재 종이 커피잔 위에 덮는 덮개 등을 음료용 캔에 씌우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으나, 이러한 덮개는 분리시킨 후 음료수를 마실 때 별도로 들고 있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또한 분실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음료용 캔에 있어서는, 음료용 캔 상단부를 덮는 별도의 캡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마실 때 입이 접촉하게 되는 음료용 캔 상단부가 유통과정 중의 먼지나 세균에 의하여 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음료용 캔을 일단 개봉하게 되면 다시 배출개구를 덮을 수 없기 때문에 마시고 남은 음료수나 주류를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본래 청량감을 주기 위해 주입한 탄산성분이 모두 빠져나와 본래의 맛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다.그리고 음료용 캔 상단부에 단순한 구조의 비닐이나 플라스틱 캡 등을 씌우는 것은 캡이 쉽게 분실될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출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를 마실 때 입에 접촉되는 음료용 캔의 뚜껑과 본체 상단부가 유통과정 중 먼지 및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료용 캔이 개봉된 경우에도 마시고 남은 음료수 또는 주류가 먼지 등에 오염되지 않거나 음료수로부터 탄산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음료용 캔으로부터 이탈되어 캡이 망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을 구비한 음료용 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을 구비한 음료용 캔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용 캔 10 : 캡
11 : 고정캡 15 : 가동캡
16 : 물림수용홈 17 : 걸림결합부
20 : 본체 22 : 수용공간
23 : 테두리부 24 : 출입개구
30 : 뚜껑 31 : 절취부
32 : 배출개구 33 : 절취선
40 : 레버 41 : 리벳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된 출입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출입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시 일부영역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부를 갖는 뚜껑; 상기 뚜껑의 중앙영역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타단부가 상기 뚜껑의 절취부를 가압 절취하여 상기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하는 레버;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외측면에 접촉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상단부를 덮는 가동캡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캡의 하단부가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가 물림수용되는 물림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캡의 상면은 중앙영역이 외측에 대해 소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복수 개의 음료용 캔이 적층되기 용이하므로 보관 및 운반에 보다 용이하며, 상기 고정캡은 지름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버클 구조로 된 것이 고정캡을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데 보다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된 출입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출입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시 일부영역이 절취되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중앙영역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타단부가 상기 뚜껑의 절취선 내측을 가압하여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하는 레버를 갖는 음료용 캔에 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음료용 캔의 캡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뚜껑을 덮는 가동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캡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캡의 하단부가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가 물림수용되는 물림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캡의 상면은 중앙영역이 외측에 대해 소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복수 개의 음료용 캔이 적층되기 용이하므로 보관 및 운반에 보다 용이하며, 상기 고정캡은 지름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버클 구조로 된 것이 고정캡을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데 보다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을 구비한 음료용 캔의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을 구비한 음료용 캔(1)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22)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된 출입개구(24)를 갖는 본체(20)와, 출입개구(24)를 차단하도록 본체(2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 시 일부영역에 형성된 절취선(33)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부(31)를 갖는 뚜껑(30)과, 뚜껑(30)의 중앙영역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리벳(41)에 의하여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타단부가 뚜껑(30)의 절취부(31)를 가압 절취하여 뚜껑(30)에 배출개구(32)를 형성하는 레버(40)와, 본체(20)에 결합되어 본체(20)의 상단부와 뚜껑(30)을 덮는 캡(10)을 구비한다.
본체(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알루미늄 또는 철제 등의 금속으로 제작되며, 본체(2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22)에는 음료수 또는 주류가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뚜껑(30)은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20) 상부의 출입개구(24)를 차단함으로써 수용공간(22)을 외부와 차단하게 된다. 뚜껑(30)이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본체(20)와 일체로 형성하는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뚜껑(30)의 외주연과 본체(20)의 상단이 상호 압착되어 결합되는 방식이다. 뚜껑(30)의 외주연과 본체(20)의 상단이 상호 압착되며 뚜껑(30)의 표면에 대하여 상향 돌출된 테두리부(23)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뚜껑(30)의 일부 영역에는 절취부(31)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절취부(31)는 완전히 절취되어 있지 않은 절취선(33)에 의해구분된다. 만약 절취부(31)가 상하방향으로 가압되게 되면 절취부(31)는 절취선(33)을 따라 절취되어 본체(20)의 내부의 수용공간(22)으로 절곡되게 된다. 그리고 절취부(31)가 절취되어 절곡되게 되면 수용공간(22)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개구(32)가 뚜껑(30)에 형성되게 된다. 절취부(31)와 배출개구(32)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취부(31)를 가압하기 위한 레버(40)는 뚜껑(30)의 중앙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리벳(41)에 의해 뚜껑(30)에 결합되어 있다. 레버(40)의 일단부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일단부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리벳(41)에 의해 지렛대 방식으로 타단부가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타단부는 절취부(31)를 하향 가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절취부(31)가 절취선(33)을 따라 절개되어 본체(20) 내부의 수용공간(22) 측으로 절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취부(31)가 절개됨으로써 뚜껑(30)에는 수용공간(22)의 음료수나 주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개구(32)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캡(10)은, 본체(20)의 상단부 외측면에 접촉 결합되는 고정캡(11)과, 고정캡(1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고정캡(11)에 결합되어 본체(20)의 상단부와 뚜껑(30)을 덮는 가동캡(15)을 구비한다. 이러한 캡(10)은 가능한 가격이 저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 예를 들어 PET 필름(film)으로 제조되며, 음료용 캔(1)의 제작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작과정에서 캡(10)이 장착되지 않은 음료용 캔(1)에 대해서도 후에 필요에 따라 장착될 수도있다.
고정캡(11)은 본체(20)의 외측면에 접촉 결합될 수 있도록 대략 고리형상을 가지며 가동캡(15)이 고정캡(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일부영역에서 가동캡(15)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캡(15)이 고정캡(11)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가동캡(15)이 음료용 캔(1)의 상단부를 개폐하게 된다. 가동캡(15)의 하단부에는 대략 'ㄴ' 형상의 걸림결합부(17)가 마련되어 있는데, 가동캡(15)의 걸림결합부(17)가 고정캡(11)의 하단부에 걸림결합되게 함으로써 캡(10)이 음료용 캔(1)의 상단부를 폐쇄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캡(11)은, 본체(20)의 상단부 외측면에 밀착되게 접촉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캡(11)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테두리부(23)의 하단에 걸리게 되어 본체(20)로부터 쉽게 이탈이 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의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가 사용되며 다소 변경된 부분에는 'a'가 부가되어 지시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걸림결합부(17)가 돌출되게 복수 개 마련되어 있는데 반해 제2실시예의 가동캡(15a)의 걸림결합부(17a)는 가동캡(15a)의 하단부 전체가 절곡됨으로써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의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가 사용되며 다소 변경된 부분에는 'b'가 부가되어 지시된다 여기서, 고정캡(11b)은 지름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버클 구조로 되어 고정캡(11b)의 지름을 조절함으로써 본체(20)의 외측면에 고정캡(11b)을 용이하게 밀착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을 구비한 음료용 캔의 분해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가 사용되며 다소 변경된 부분에는 'c'가 부가되어 지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가동캡(15c)의 하단부에, 테두리부(23)가 물림수용되는 물림수용홈(16)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동캡(15)의 물림수용홈(16)에 테두리부(23)가 억지끼워맞춤됨으로써 가동캡(15)이 뚜껑(30)과 테두리부(23)를 덮게 된다. 고정캡(11)은, 본체(20)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있는데, 고정캡(11)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테두리부(23)의 하단에 걸리어 본체(2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가동캡(15)의 상면은 중앙영역이 외측에 대해 소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데, 이는 음료용 캔(1)의 상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복수개의 음료용 캔(1)이 상하방향으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적층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정캡(11)을 음료용 캔(1)의 상부 외측면에 장착시킨다. 이 때 고정캡(11)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음료용 캔(1)을 파지한 후 고정캡(11)을 음료용 캔(1)의 상부에 누르듯이 가압하면 고정캡(11)이 다소 신축되면서 테두리부(23)를 통과하여 캔의 상부 외측면에 억지끼워맞춤되게 된다. 고정캡(11)은 PET 필름(film)으로 제작되었으므로 테두리부(23)를 통과할 만큼의 탄성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캡(11b)이 지름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버클 구조이므로 고정캡(11b)의 지름을 조절함으로써 본체(20)의 외측면에 고정캡(11b)이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가동캡(15)을 고정캡(11)에 대하여 회동시켜 가동캡(15)의 걸림결합부(17)가 고정캡(11)의 하단부에 걸림결합되게 하여 가동캡(15)이 뚜껑(30)과 본체(20)의 상단부를 폐쇄 유지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의 캡(10c)의 경우에는 가동캡(15c)의 하단부에 형성된 물림수용홈(16)에 테두리부(23)를 물림수용시킴으로써 가동캡(15c)을 본체(20)에 결합시킨다.
한편, 가동캡(15)으로 음료용 캔(1)의 상단부를 덮을 때 뚜껑(30)과 가동캡(15) 사이에 별지의 삽입이 가능하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광고지를 삽입함으로써 광고 및 홍보에 도움이 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캡(10)이 장착된 음료용 캔(1)에서 음료 또는 주류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동캡(15)을 고정캡(11)에 대하여 회동시켜 음료용 캔(1)의 뚜껑(30) 부위가 노출되게 한다. 그런 다음에 레버(40)의 일단부를 상향으로 잡아당기면 레버(40)의 타단부가 절취부(31)를 가압 절취하게 되고 뚜껑(30)에는 배출개구(32)가 형성되게 된다. 이 후 배출개구(32) 부근에 입을 대고서 음료용 캔(1)을 기울이면 배출개구(32)를 통하여 음료수 또는 주류가 배출되게 되어 이를 입으로 받아 마실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체(20)의 상단부와 뚜껑(30)이 캡(10)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었으므로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을 차단하게 되어 위생적으로 음료수 등을 마실 수 있게 되며, 고정캡(11)은 본체(20)에 결합되어 있고 가동캡(15)은 고정캡(1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별도로 캡(10)을 잡을 필요가 없어 간편하다.
한편, 음료용 캔(1)에 들어있는 음료수나 주류를 한 번에 다 마시지 못한 경우에는 다시 가동캡(15)을 고정캡(11)에 대하여 회동시켜 본체(20)의 상단부와 뚜껑(30)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여 다 마시지 못한 음료수를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음료수에 포함된 탄산성분이 모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체(20)의 상단부 외측면에 접촉 결합되는 고정캡(11)과, 고정캡(1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고정캡(11)에 결합된 가동캡(15)을 구비한 캡(10)으로 음료용 캔(1)의 상단부와 뚜껑(30)을 덮어씌움으로써, 배출개구(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를 마실 때 입에 접촉되는 뚜껑(30)과 본체(20) 상단부가 유통과정 중 먼지 및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료용 캔(1)이 개봉된 경우에도 마시고 남은 음료수 또는 주류가 오염되지 않게 보관하고 음료수로부터 탄산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음료용 캔(1)으로부터 이탈되어 캡(10)이 망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는, 지름조절이 가능한 고정캡(11b)이 슬라이드형 버클과 같은 구조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지름조절이 가능한 고정캡(11b)은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료수 또는 주류를 마실 때 입에 접촉되는 음료용 캔의 뚜껑과 본체 상단부가 유통과정 중 먼지 및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료용 캔이 개봉된 경우에도 마시고 남은 음료수 또는 주류가 먼지 등에 오염되지 않거나 음료수로부터 탄산성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으며, 음료용 캔으로부터 이탈되어 캡이 망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이 제공된다.

Claims (8)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된 출입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출입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시 일부영역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부를 갖는 뚜껑;
    상기 뚜껑의 중앙영역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타단부가 상기 뚜껑의 절취부를 가압 절취하여 상기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하는 레버;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외측면에 접촉 결합되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상단부를 덮는 가동캡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캡의 하단부가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가 물림수용되는 물림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캡의 상면은 중앙영역이 외측에 대해 소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캡은 지름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버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
  5.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된 출입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출입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가압시 일부영역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절취부를 갖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중앙영역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가 상측으로 회동시 타단부가 상기 뚜껑의 절취부를 가압 절취하여 상기 뚜껑에 배출개구를 형성하는 레버를 갖는 음료용 캔에 부착되어 사용 가능한 음료용 캔의 캡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 외측면에 접촉 결합되는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와 상기 뚜껑을 덮는 가동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캡의 하단부가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캡.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캡의 하단부에는,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가 물림수용되는 물림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캡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뚜껑의 외주연과 상기 본체의 상단을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걸리어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캡.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캡의 상면은 중앙영역이 외측에 대해 소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캡은 지름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버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의 캡.
KR1020030038171A 2003-06-13 2003-06-13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KR20040107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71A KR20040107758A (ko) 2003-06-13 2003-06-13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AU2003274787A AU2003274787A1 (en) 2003-06-13 2003-10-30 Cap of can for drinking and can for drinking having the same
PCT/KR2003/002307 WO2004110891A1 (en) 2003-06-13 2003-10-30 Cap of can for drinking and can for drinking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71A KR20040107758A (ko) 2003-06-13 2003-06-13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633U Division KR200327608Y1 (ko) 2003-06-13 2003-06-13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758A true KR20040107758A (ko) 2004-12-23

Family

ID=3355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171A KR20040107758A (ko) 2003-06-13 2003-06-13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0107758A (ko)
AU (1) AU2003274787A1 (ko)
WO (1) WO20041108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79A (ko) 2014-09-24 2016-04-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91285B1 (fr) * 2005-03-14 2006-12-15 Louza Legorreta Joaquin Couvercle hygiénique pour canette
WO2011015203A1 (en) * 2009-08-05 2011-02-10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with monitoring opening
ES1071329Y (es) * 2009-09-30 2010-05-12 Martinez Javier Cana Protector para envases
EP2439147B1 (de) * 2010-10-06 2013-05-08 Fabian Schütz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 Getränkedose
ES2429942B1 (es) * 2013-07-05 2014-09-10 José Francisco González Sánchez Precinto higiénico para envases
ES2541790B1 (es) 2015-01-15 2016-01-26 José Francisco González Sánchez Tapa protectora para envases y envase provisto de dicha tapa protectora
ES1204636Y (es) * 2017-12-29 2018-04-30 Sanchez Jose Francisco Gonzalez Protector de envas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25787Y1 (ko) * 1965-02-11 1967-03-22
US4054221A (en) * 1976-06-22 1977-10-18 Glover Ellis C Bottle closure
US4869389A (en) * 1988-04-18 1989-09-26 Cerrone Jr Frank J Cover for container with screen to prevent insect intrusion
JPH0720051Y2 (ja) * 1989-08-16 1995-05-10 凸版印刷株式会社 キャップ付容器
KR200216378Y1 (ko) * 2000-10-10 2001-03-15 한정희 음료용기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79A (ko) 2014-09-24 2016-04-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10891A1 (en) 2004-12-23
AU2003274787A1 (en) 200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503A (en) Beverage container with enclosed straw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4728001A (en) Beverage container and packaging method
KR20040107758A (ko)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KR200327608Y1 (ko)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WO2006027234A1 (en) High-functionality beverage can
KR200271146Y1 (ko)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RU2667455C2 (ru) Накладной колпачок с механизмом, упрощающим открытие контейнера и прямое употребление в пищу содержимого контейнера, способ употребления в пищу содержимого контейнера с накладным колпачком, емкость с накладным колпачком
KR200397824Y1 (ko) 다층적재가 가능한 캔용기용 위생커버
KR200253222Y1 (ko) 캔용기
KR950003564Y1 (ko) 음료용 캔
KR200395478Y1 (ko) 음료수 캔
KR100683815B1 (ko) 내장 분리형 캔 용기
KR200199549Y1 (ko) 음료수 보관용 캔 용기
JP2885720B2 (ja) 飲料容器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102208172B1 (ko)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KR20100005515U (ko) 음료용 캔
KR200167107Y1 (ko) 캔음료용기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200282183Y1 (ko) 캔용기의 오픈구조
JP2682664B2 (ja) 飲料容器
KR200289219Y1 (ko) 음용이 용이한 위생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