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172B1 -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 Google Patents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8172B1 KR102208172B1 KR1020200013228A KR20200013228A KR102208172B1 KR 102208172 B1 KR102208172 B1 KR 102208172B1 KR 1020200013228 A KR1020200013228 A KR 1020200013228A KR 20200013228 A KR20200013228 A KR 20200013228A KR 102208172 B1 KR102208172 B1 KR 102208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container
- storage space
- opening member
- drinking water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65D2205/025—Venting holes having a removable label, sticker or adhesive foil covering the h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1—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 B65D2517/0094—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formed as a separat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이 개시된다.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은,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마개부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음료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마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 공간을 외기와 연통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용수를 출렁임 및 쿨렁임없이 안정적으로 마시는 것이 가능한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음료용 캔은 뚜껑에 형성되는 음용부를 리벳 타입으로 연결된 병따개 탭의 손잡이부를 위로 들어올려 가압부가 병따개가 음용부를 가압하여 개봉된다.
그러나, 전술한 음료용 캔은 병따개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출구로서 배출되려는 음료와 흡수되려는 공기와의 마찰로인하여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음료의 쿨렁임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용수를 용이하게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료 용기의 상부에 공기 흡수 구멍을 형성되도록 하여 음용수의 흡입과정에서 배출과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하여 음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게 하는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마개부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음료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마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 공간을 외기와 연통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한다.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알루미늄 캔이고, 마개부는 음료 용기의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캔따개이며, 개방부재는 마개부의 미개방시 마개부의 저면과 음료 용기의 상부면 사이를 연결하고 마개부의 개방시 마개부의 측면에서 음료 용기의 상부면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개방 돌부일 수 있다.
개방 돌부가 음료 용기의 상부면에 연결된 위치에는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알루미늄 캔이고 마개부는 음료 용기의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캔따개이며, 음료 용기의 상부면에는 마개부의 측면에 저장 공간과 연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개방부재는, 관통홀에 가결합되는 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홀커버의 측면에는 파지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개방부재는, 음료 용기의 상부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용수의 흡입 과정에서 가압 변형되어 공기 구멍을 형성하는 절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용수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입구의 측면에 홀 커버가 가결합되며 저장 공간을 외기와 연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바, 음용수의 흡입 과정에서 출렁임 없이 안정적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의 개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캔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개방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개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의 개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캔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개방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개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의 개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100)은,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마개부(20)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10)와, 음료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마개부(20)의 측면에 형성되어 마개부(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 공간을 외기와 연통하는 개방부재(30)를 포함한다.
음료 용기(10)는,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알루미늄 캔으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음료 용기(10)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마개부(20)를 제거한 상태로 사용자가 음용이 가능한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10)는 표면에 광고 또는 음용수의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1)는 음료 용기(1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소정의 문자 또는 이미지 형태로 인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음료 용기(10)의 상부에는 음용수의 섭취를 위한 마개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20)는 알루미늄 재질의 음료 용기(10)의 상부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흡입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캔따개의 형태로 음료 용기(1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마개부(20)는 사용자가 가장자리 일부분을 파지한 상태로 음료 용기(10)의 상측에서 이탈되도록 들어올리는 경우, 음료 용기(10)의 상부에서 제거되어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부(20)가 음료 용기(10)에서 제거되는 경우, 음료 용기(10)의 상부에는 음용수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 용기(1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흡입구를 통해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용수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용기(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음료 용기(10)를 파지한 상태로 흡입구를 통해 음용수의 안정적인 흡입을 위한 개방부재(3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재(30)는 음료 용기(10)를 파지하여 음용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음용수가 출렁이거나 꿀렁거리지 않은 상태로 음용수를 안정적으로 흡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방부재(30)는 관통홀(12a)에 가결합되는 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개방부재와 홀커버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홀 커버(30)는 음료 용기(10)의 상부에 가결합될 수 있다.
즉, 홀 커버(30)는 음료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12a)의 개구된 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크기로 형성되어, 관통홀(12a)에 가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홀 커버(30)는 음료 용기(10)의 관통홀(12a)을 밀폐한 상태로 가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바, 사용자가 음용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 커버(30)는 음용수의 흡입 과정에서 마개부(20)의 제거와 함께 제거되는 바, 음용수의 흡입 과정에서 저장 공간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출렁 거림 없이 안정적인 음용수의 흡입이 가능하다.
한편, 홀 커버(30)의 측면에는 파지 돌기(31)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 돌기(31)는 홀 커버(30)의 일측에 하나로 돌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파지 돌기(31)는 홀 커버(30)의 재질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홀 커버(30)의 직경의 길이 보다 작은 길이로 홀 커버(30)의 측면에 돌출될 수 있다. 물론 파지 돌기(31)의 돌출된 길이는 일정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료 용기(10)의 크기와 관통홀(12a)의 직경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파지 돌기(31)는 홀 커버(30)의 측면에 하나로 돌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능성 음료캔(10)은, 음용수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입구의 측면에 홀 커버(30)가 가결합되며 저장 공간을 외기와 연통하는 관통홀(12a)을 형성하는 바, 음용수의 흡입 과정에서 출렁임 없이 안정적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이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200)의 개방부재(130)는, 마개부(20)의 미개방시 마개부(20)의 저면과 음료 용기(10)의 상부면(12) 사이를 연결하고, 마개부(20)의 개방시 마개부(20)의 측면에서 음료 용기의 상부의 일부분을 개방하는 개방 돌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방부재와 개방 돌부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개방 돌부(130)는 마개부(20)의 저면에 돌출된 상태로 음료 용기(10)의 상부면(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 돌부(130)가 연결된 가장자리를 따라 음료 용기(10)의 상부면(12)에는 절개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31)은 음료 용기(10)의 상부면(12)에 인입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마개부(20)의 제거 과정에서 개방 돌부(130)가 음료 용기(10)의 상부면에서 이탈되어, 절개홈(131) 위치에 관통홀(12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의 흡입 과정에서 출렁임 없이 안정적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이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캔의 개방부재(230)는, 음료 용기의 상부면(12)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절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절개부와 개방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절개부(23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의 외경을 가지고, 그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의 절취선(231)이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 돌부(130) 등에 의해 절개부(230)가 가압되어 관통홀이 형성되더라도 절개부(230)의 외경을 이루는 원호 부분(232)은 음료 용기의 상부면(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절개부(230)가 음료 용기(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의 흡입 과정에서 출렁임 없이 안정적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캔 개방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개방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개방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이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음료캔(400)은, 음료 용기(10)는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알루미늄 캔일 수 있다. 마개부(20)는 음료 용기(10)의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캔따개일 수 있다.
그리고, 음료 용기(10)의 상부면에는 마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절개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방부재(310)는, 음료 용기(10)의 상부면에 가결합되고, 저면에는 절개부(230)에 접촉되는 가압 돌부(312)가 돌출되는 가압 커버(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커버(311)의 저면에는 대략 중앙에 지렛대 기능의 지지 돌부(313)가 소정 두께로 하향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커버(311)의 일측 예컨대, 지지 돌부(313)를 기준으로 가압 돌부(312)와 대향되는 측에는 사용자가 가압 커버(311)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 커버(311)의 일측을 파지한 상태로 들어올리는 경우, 지렛대 기능에 의해 가압 돌부(312)가 절개부(230)를 가압하는 바, 음료 용기(10)의 상부에 공기 구멍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230)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의 절취선(231)이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가압 돌부(312)에 의해 절개부(230)가 가압 관통되더라도 절개부(230)의 외경을 이루는 원호 부분(232)은 음료 용기(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절개부(230)가 음료 용기(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절개부(230)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의 절취선(231)이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가압 돌부(312)에 의해 절개부(230)가 가압 관통되더라도 절개부(230)의 외경을 이루는 원호 부분(232)은 음료 용기(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절개부(230)가 음료 용기(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음료 용기 11...표시부
12...상부면 20...마개부
30, 130, 230, 310..개방부재
31..파지 돌기 311..가압 커버
312..가압 돌부
12...상부면 20...마개부
30, 130, 230, 310..개방부재
31..파지 돌기 311..가압 커버
312..가압 돌부
Claims (5)
- 삭제
-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마개부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
상기 음료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을 외기와 연통하는 개방부재;
상기 음료 용기의 상면에 마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절개부에 가결합되는 가압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커버의 저면에는 가압 돌부가 돌출되고,
상기 절개부는 음료 용기의 상부면에 평면상 원형의 외경을 가지고, 그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절취선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 돌부에 의해 절개부가 가압되어 관통홀이 형성될 때 절개부의 외경을 이루는 원호 부분은 음료 용기의 상부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음용수가 저장되는 알루미늄 캔이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음료 용기의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캔따개이며,
상기 가압 커버에는 지렛대 기능의 지지 돌부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지지 돌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 돌부와 대향되는 측의 가압 커버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는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3228A KR102208172B1 (ko) | 2020-02-04 | 2020-02-04 |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3228A KR102208172B1 (ko) | 2020-02-04 | 2020-02-04 |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8172B1 true KR102208172B1 (ko) | 2021-01-27 |
Family
ID=7423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3228A KR102208172B1 (ko) | 2020-02-04 | 2020-02-04 |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817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1347U (ja) * | 1994-09-19 | 1995-05-23 | 一修 三原 | 発泡性飲料用缶容器 |
KR200169037Y1 (ko) * | 1999-07-21 | 2000-02-15 | 강병열 | 공기유입 음료캔 |
KR200183948Y1 (ko) * | 1999-12-13 | 2000-06-01 | 김기철 | 음료수 캔의 출렁거림 방지장치 |
KR101638292B1 (ko) | 2015-10-14 | 2016-07-08 | 고한덕 | 음료캔 |
-
2020
- 2020-02-04 KR KR1020200013228A patent/KR102208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1347U (ja) * | 1994-09-19 | 1995-05-23 | 一修 三原 | 発泡性飲料用缶容器 |
KR200169037Y1 (ko) * | 1999-07-21 | 2000-02-15 | 강병열 | 공기유입 음료캔 |
KR200183948Y1 (ko) * | 1999-12-13 | 2000-06-01 | 김기철 | 음료수 캔의 출렁거림 방지장치 |
KR101638292B1 (ko) | 2015-10-14 | 2016-07-08 | 고한덕 | 음료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73223A (en) | Container opener | |
KR102208172B1 (ko) |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 |
JP2006160366A (ja) | 飲料用カップの蓋 | |
WO2006125340A1 (fr) | Recipient de boisson jetable et son bouchon | |
US7086556B1 (en) | Two-piece juice box holder | |
KR20040107758A (ko) |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 |
JP3981607B2 (ja) | ボトル保持具 | |
KR101922480B1 (ko) | 딸깍이 결합형 음료용기 | |
KR101504834B1 (ko) |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캡 | |
US6983861B2 (en) | Dispensing apparatus | |
KR102108267B1 (ko) | 용기 마개장치 | |
KR200207440Y1 (ko) |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 |
JP3078799U (ja) | 飲料容器の蓋付把手 | |
KR200289219Y1 (ko) | 음용이 용이한 위생캔 | |
KR200292047Y1 (ko) | 마개를 구비한 캔 | |
JPH0744604Y2 (ja) | ストロ−付きの飲料用容器 | |
KR960000862Y1 (ko) | 빨대 꽂이 구멍을 가지는 병뚜껑 | |
KR950003564Y1 (ko) | 음료용 캔 | |
KR100333055B1 (ko) |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 |
KR20000000197A (ko) | 음료수 캔 | |
KR200447003Y1 (ko) | 캔 따개 | |
KR200210336Y1 (ko) |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 |
KR200202774Y1 (ko) | 음료수용 캔의 개폐 장치 | |
KR20040043720A (ko) | 배출대를 수용하도록 된 배출대지지부를 갖고 있는 뚜껑의구조 | |
KR200387626Y1 (ko) | 눌러 따는 캔마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