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40Y1 -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 Google Patents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40Y1
KR200207440Y1 KR2020000015912U KR20000015912U KR200207440Y1 KR 200207440 Y1 KR200207440 Y1 KR 200207440Y1 KR 2020000015912 U KR2020000015912 U KR 2020000015912U KR 20000015912 U KR20000015912 U KR 20000015912U KR 200207440 Y1 KR200207440 Y1 KR 200207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ab
main body
ope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두산테크팩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테크팩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테크팩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5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4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9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beneath tab hand grip to facilitate initial l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에 관한 것으로,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뚜껑부(20)로 이루어지고, 이 뚜껑부(20)에는 회동가능한 탭부(30)와, 이 탭부(30)에 의해 눌려져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부(40)가 형성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의 표면과의 간격(d)이 넓어지도록 상기 탭부(30)의 엔드부(31)를 절곡하여 이루어진 절곡부(31a)가 형성된 구조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탭부를 잡고,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The Cover of Can for Easy Opening}
본 고안은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안의 음료등을 식음하기 위해 캔뚜껑의 탭엔드부를 절곡하여 쉽게 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등을 담아 마실 수 있도록 구비된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예를들어, 병의 형태로 형성되어 그 안에 음료를 담고, 용기의 상부에 뚜껑으로 막아 밀폐시킨 것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뚜껑이 결합된 구조가 돌려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원터치식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겨 뚜껑을 분리하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병의 형태외에 알루미늄재 등으로 이루어진 캔용기가 있는바, 이 캔용기는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여 근래에 많은 음료들을 담아 제조,판매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캔용기는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을 살펴보면, 대개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뚜껑부(20)로 이루어지고, 이 뚜껑부(20)에는 회동가능한 탭부(30)와, 이 탭부(30)에 의해 눌려져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부(40)의 둘레에는 개방부(40)가 눌려지면서 따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선(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개선(41)은 둘레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않고, 일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어 개방부(40)가 눌려졌을때 개방부(4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탭부(3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엔드부(31)와, 탭부(30)의 타단에는 상기 개방부(40)를 누를 수 있도록 위치하는 노즈부(32)와, 탭부(30)가 회동되도록 대략 중앙위치에 결합된 핀부(33)로 이루어져 있다. 이 핀부(33)는 리벳팅 처리하여 탭부(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탭부(3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엔드부(31)의 하부위치인 뚜껑부(20)의 표면에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캔용기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 먼저, 탭부(30)의 엔드부(31)를 통해 손가락의 단부, 즉 손톱 부위를 집어 넣으면서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핀부(33)를 중심으로 하여 탭부(30)가 상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맞은편에 형성된 노즈부(3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 노즈부(32)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개방부(40)의 절개선(41)이 따지면서 개방이 이루어져 음료를 식음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캔용기는 탭부(30)가 뚜껑부(20)의 표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거의 맞닿아 있어, 탭부(30)의 엔드부(31)와 뚜껑부(20)의 표면과의 간격이 매우 협소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손톱)을 삽입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무리하게 탭부(30)를 잡아당기는 도중에 손톱이 깨지거나 하는 등의 손상을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고, 특히 노약자나 여성과 같이 남성에 비해 파지력이 약한 사람들은 더욱 캔뚜껑을 개방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뚜껑부(20)의 표면에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어느정도 간격이 있지만, 사용자가 쉽게 탭부(30)를 잡고 사용할 정도가 되지못해 그다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탭의 엔드부를 손가락으로 잡고 상방향으로 잡아당겨 노즈부가 그 아래에 형성된 개방부를 눌러 개방함에 있어 보다 쉽고 안전하게 탭의 엔드부를 잡을 수 있도록 한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을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d : 간격
10 : 본체
20 : 뚜껑부
30 : 탭부
31 : 엔드부
31a : 절곡부
40 : 개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이 뚜껑부에는 회동가능한 탭부와, 이 탭부에 의해 눌려져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표면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상기 탭부의 엔드부를 절곡하여 이루어진 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새로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캔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뚜껑부(20)로 이루어지고, 이 뚜껑부(20)에는 회동가능한 탭부(30)와, 이 탭부(30)에 의해 눌려져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부(40)가 형성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의 표면과의 간격(d)이 넓어지도록 상기 탭부(30)의 엔드부(31)를 절곡하여 이루어진 절곡부(31a)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절곡부(31a)의 절곡방향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탭부(30)의 엔드부(31)에 절곡부(31a)가 형성되어 있어 뚜껑부(20)와의 간격(d)이 넓어져 사용자가 손톱을 이용하지 않고, 손가락을 바로 삽입하여 보다 간편하게 탭부(30)을 상방향으로 잡아당겨 개방부(4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캔용기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탭부를 잡고,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도면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뚜껑부(20)로 이루어지고, 이 뚜껑부(20)에는 회동가능한 탭부(30)와, 이 탭부(30)에 의해 눌려져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부(40)가 형성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20)의 표면과의 간격(d)이 넓어지도록 상기 탭부(30)의 엔드부(31)를 절곡하여 이루어진 절곡부(3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2020000015912U 2000-06-05 2000-06-05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KR200207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912U KR200207440Y1 (ko) 2000-06-05 2000-06-05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912U KR200207440Y1 (ko) 2000-06-05 2000-06-05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40Y1 true KR200207440Y1 (ko) 2000-12-15

Family

ID=1965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912U KR200207440Y1 (ko) 2000-06-05 2000-06-05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06A (ko) * 2001-01-19 2002-07-12 이성호 캔따개 손잡이에 손가락삽입부가 구성된 원터치식 캔따개.
KR102146643B1 (ko) 2020-01-15 2020-08-20 김주용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KR20210084034A (ko) 2019-12-27 2021-07-07 박신형 캔홀이 구비되어 개방이 편리한 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06A (ko) * 2001-01-19 2002-07-12 이성호 캔따개 손잡이에 손가락삽입부가 구성된 원터치식 캔따개.
KR20210084034A (ko) 2019-12-27 2021-07-07 박신형 캔홀이 구비되어 개방이 편리한 캔
KR102146643B1 (ko) 2020-01-15 2020-08-20 김주용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2464A (en) Combination can opening tool
US6098830A (en) Resealable flip-top beverage can lid
US4287794A (en) Container opening tool
US2624489A (en) Container opener
US5309794A (en) Opening device for cans having tear-away closure panels with ring tabs
KR200207440Y1 (ko) 개방이 용이한 캔뚜껑
US20100108678A1 (en) Easisly openable can and method of opening the can
JPH0769358A (ja) 合成樹脂製の瓶蓋
KR200174376Y1 (ko) 고리를 구비한 캔
KR200253051Y1 (ko) 음료용 캔의 절취장치
KR200386475Y1 (ko) 돌려 따는 캔뚜껑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KR200341592Y1 (ko)
JPH11105868A (ja) 飲料用容器
US2820289A (en) Combination can opener and drinking spout
KR20000000197A (ko) 음료수 캔
KR200174372Y1 (ko) 캔따개
KR200223549Y1 (ko) 원터치식 캔용기의 오픈 구조
KR200307681Y1 (ko) 요입홈이 형성된 캔
JP2002145394A (ja) 缶オープナー
KR20010047176A (ko) 캔 따개
KR200190576Y1 (ko) 밀폐캔개방기구
JP3046378U (ja) 開缶補助器具
KR20000005607U (ko) 알루미늄 캔의 오픈마개 개봉구조
US7918147B2 (en) Removal device for pour top spo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