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267B1 - 용기 마개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마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267B1
KR102108267B1 KR1020170171771A KR20170171771A KR102108267B1 KR 102108267 B1 KR102108267 B1 KR 102108267B1 KR 1020170171771 A KR1020170171771 A KR 1020170171771A KR 20170171771 A KR20170171771 A KR 20170171771A KR 102108267 B1 KR102108267 B1 KR 10210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eck valve
lid
cup
closu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059A (ko
Inventor
박갑환
박기백
Original Assignee
박갑환
박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환, 박기백 filed Critical 박갑환
Priority to KR102017017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2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이나 병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쏟지 않고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개장치를 풀지 않고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흡입할 수 있는 용기 마개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는 뚜껑 및 제1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은 용기의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는 사용자가 입으로 빨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의 타측에 장착되어 폐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에 체크밸브를 구비한 마개장치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용기가 넘어지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크밸브를 통하여 뚜껑을 열지 않더라도 용기 내부의 음료를 사용자가 마실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마개장치{the closer of a container}
본 발명은 컵이나 병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쏟지 않고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개장치를 풀지 않고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흡입할 수 있는 용기 마개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회용 커피 컵 등의 경우 컵 내부에 수용된 커피가 쏟아지지 않도록 뚜껑이 장착되며, 뚜껑을 열지 않고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뚜껑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홈에 빨대를 꼽아서 커피를 마시거나 또는 빨대 없이 홈을 통하여 커피를 흡입한다.
이때 컵이 넘어지는 경우 내부의 커피를 마시기 위하여 형성된 홈을 통하여 컵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컵 뚜껑은 음료를 쏟지 않기 위해서 홈을 형성하지 아니하면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뚜껑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홈을 형성하면 컵이 넘어지면 음료가 홈을 통하여 쏟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4217호(등록일자 2014년 08월 22일)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147호(공개일자 2011년 08월 18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컵이나 병 등과 같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가 넘어지더라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을 열지 않더라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마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는 뚜껑 및 제1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은 용기의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뚜껑의 일측에 장착되어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타측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체크밸브는 사용자가 입으로 빨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장치는 파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수단은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파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용기를 파지하면 상기 손의 엄지와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엄지와 접촉하도록 상기 뚜껑의 일측면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2파지부는 상기 손의 나머지 손가락과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나머지 손가락과 접촉하도록 상기 뚜껑의 타측면에서 연장된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상기 제2파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엄지 및 나머지 손가락이 상기 용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장치는 상기 제1체크밸브로 상기 용기 내부의 용액이 유출되면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어 폐쇄된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장치는 상기 제2체크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크밸브와 결합된 제1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장치는 상기 제1체크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상기 제1체크밸브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크밸브와 결합된 제2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 또는 상기 제2체크밸브는 일측이 개방되어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가 가압되면 타측으로 상기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벌어지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에 체크밸브를 구비한 마개장치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용기가 넘어지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크밸브를 통하여 뚜껑을 열지 않더라도 용기 내부의 음료를 사용자가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의 양측에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를 구비한 마개장치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용기에 뜨거운 음료가 수용되더라도 사용자는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를 통하여 뜨거운 용기를 잡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A부분의 단면확대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제1체크밸브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는 커피나 쥬스 등의 음료를 수용하는 컵이나 병, 꿀 또는 캐첩이나 마요네즈 등의 점성이 있는 용액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기타 용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 등의 일회용 음료 컵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기 마개장치는 뚜껑(10) 및 제1체크밸브(20)를 포함한다.
뚜껑(10)은 컵(1)의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상부에 장착되며, 컵(1) 내부의 음료가 배출되면 외부에서 컵(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관통공(11)이 형성된다. 관통공(11)은 공기만 유입될 수 있도록 가능한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뚜껑(10)의 컵(1)의 상부에 고정되어 장착되거나 또는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제1체크밸브(20)는 뚜껑(10)의 타측(10a)에 장착되어 폐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으로 빨면 컵(1)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를 위하여 제1체크밸브(20)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수용된 공기가 가압되면 타측으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벌어지도록 절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보통 때에는 절개부(22)가 닫혀서 제1체크밸브(20)를 통하여 공기나 음료가 통과하지 못한다. 물론 도 3의 (a)와 같이 타측의 외부에서 공기가 가압되면 절개부(22)가 닫혀서 공기나 음료가 통과하지 못한다. 그러나 도 3의 (b)와 같이 수용부(21) 내부의 공기가 가압되면 절개부(22)가 벌어져서 공기나 음료가 제1체크밸브(20)를 통과할 수 있다. 물론, 수용부(21) 내부의 공기가 가압되는 대신 타측의 외부의 압력이 감소되어 수용부(21) 내부보다 압력보다 낮아질 때에도 절개부(22)가 벌어져서 공기나 음료가 제1체트밸브(20)를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컵(1)에 적용하면 보통 때에는 절개부(22)가 닫혀 있으므로 컵(1)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입으로 제1개폐밸브(20)가 장착된 뚜껑(10)의 타측(10a)을 빨면 제1개폐밸브(20)의 타측의 외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제1개폐밸브(20)가 개방되어 컵(1) 내부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 컵(1)의 내부에 뜨거운 음료가 있으면 사용자가 손으로 컵을 잡기 힘들다.
도 4의 실시예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의 실시예에서 파지수단(15)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파지수단(15)은 사용자가 뜨거운 용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하여 파지수단(15)은 제1파지부(15a) 및 제2파지부(15b)를 구비한다.
제1파지부(15a)는 사용자가 컵(1)을 잡을 때 엄지손가락으로 제1파지부(15a)를 눌러서 컵(1)을 잡을 수 있도록 컵(1)의 일측면에서 연장된다. 즉 제1파지부(15a)는 엄지손가락과 컵(1) 사이에 위치한다. 제2파지부(15b)는 사용자가 컵(1)을 잡을 때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으로 눌러서 컵(1)을 잡을 수 있도록 컵(1)의 타측면에서 연장된다. 즉 제2파지부(15b)는 4개의 손가락과 컵(1)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파지부(15a) 및 제2파지부(15b)에는 손가락과 컵(1)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요철(15c)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1)을 손으로 잡으면 손가락이 직접 컵(1)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제1파지부(15a) 및 제2파지부(15b)를 통하여 컵(1)을 잡으므로 컵(1)의 내부에 뜨거운 음료가 있다고 하더라도 컵(1)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제2체크밸브(23)를 더 포함한다.
컵(1)의 내부에 음료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면 음료가 배출된 만큼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1의 실시예는 뚜껑(10)에 관통공(11)을 형성하였다. 도 5의 실시예는 관통공(11)에 제2체크밸브(23)를 장착하였다. 물론 이때에는 제2체크밸브(23)가 장착될 수 있을 정도로 관통공(11)이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제2체크밸브(23)는 제1체크밸브(20)와 동일한 구조이지만 방향이 반대로 장착된다. 즉 제2체크밸브(23)는 제1체크밸브(20)가 거꾸로 장착된 구조이다.
이 경우 평상시에는 제1체크밸브(20) 및 제2체크밸브(23)가 모두 닫혀있으므로 컵(1)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물론 컵(1)이 넘어지더라도 음료는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뚜껑(10)의 타측(10a)을 입으로 빨면 제1체크밸브(20)는 수용부(21)의 압력보다 외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개방된다. 이 경우 컵(1)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는 제1개폐밸브(2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컵(1)의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므로 제2개폐밸브(23)의 경우 반대로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의 압력이 제2개폐밸브(23) 외부의 압력보다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제2개폐밸브(23)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컵(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뚜껑(10)의 타측(10a)을 빠는 것을 중지하면 제1개폐밸브(20)가 폐쇄되고 그리고 제2개폐밸브(23)도 폐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마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의 실시예에서 제1빨대(26)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제1빨대(26)는 컵(1)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개폐밸브(23)가 개방되면 제2개폐밸브(23)로 유입되는 공기가 컵(1)의 하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2개폐밸브(23)와 결합된다. 예를들면 컵(1)의 내부에 꿀이나 캐첩 등 점성이 높은 용액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컵(1)을 뒤집어 올리면 용액이 컵(1)의 뚜껑으로 쌓이게 된다. 그러면 제2개폐밸브(23)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빨대(26)에 제2개폐밸브(23)가 장착되어 있으면 컵(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실시예는 제1빨대(26)가 컵(1)에 삽입되어 제2개폐밸브(23)에 결합되었으나 또 다른 제2빨대가 컵(1)에 삽입되어 제1개폐밸브(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빨대(26) 및 제2빨대가 모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제2빨대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2빨대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컵(1)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10 : 뚜껑 11 : 관통공
15 : 파지수단 15a : 제1파지부
15b : 제2파지부 15c : 요철
20 : 제1체크밸브 21 : 수용부
22 : 절개부 26 : 제1빨대

Claims (8)

  1. 용기의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타측에 장착되어 일방향으로만 유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으로 빨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개방될 수 있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1체크밸브로 상기 용기 내부의 용액이 유출되면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어 폐쇄된 제2체크밸브와,
    상기 제2체크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크밸브와 결합된 제1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크밸브 또는 상기 제2체크밸브는 일측이 개방되어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공기가 가압되면 타측으로 상기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벌어지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용기를 파지하면 상기 손의 엄지와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엄지와 접촉하도록 상기 뚜껑의 일측면에서 연장된 제1파지부와, 상기 손의 나머지 손가락과 상기 용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나머지 손가락과 접촉하도록 상기 뚜껑의 타측면에서 연장된 제2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 및 상기 제2파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엄지 및 나머지 손가락이 상기 용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상기 제1체크밸브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크밸브와 결합된 제2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71771A 2017-12-14 2017-12-14 용기 마개장치 KR10210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771A KR102108267B1 (ko) 2017-12-14 2017-12-14 용기 마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771A KR102108267B1 (ko) 2017-12-14 2017-12-14 용기 마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59A KR20190071059A (ko) 2019-06-24
KR102108267B1 true KR102108267B1 (ko) 2020-05-07

Family

ID=6705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771A KR102108267B1 (ko) 2017-12-14 2017-12-14 용기 마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2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5Y1 (ko) * 2006-01-26 2006-04-07 주식회사 태평양 용기패킹
KR101567544B1 (ko) * 2014-04-14 2015-11-20 정재영 스마트 음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416A (ko) * 2004-10-12 2006-04-17 백상열 유동체 수납용기
KR200461543Y1 (ko) 2010-02-11 2012-07-20 정만 일회용 컵 뚜껑
BR112014003334A2 (pt) * 2011-08-12 2017-03-14 Desarrollos Tamarit Plaza Sl tampa
KR200474217Y1 (ko) 2013-04-16 2014-08-28 남철환 핸드폰 거치대 겸용 일회용 컵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5Y1 (ko) * 2006-01-26 2006-04-07 주식회사 태평양 용기패킹
KR101567544B1 (ko) * 2014-04-14 2015-11-20 정재영 스마트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59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098B2 (ja) 特に使い捨てカップのための蓋
RU2012112841A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US20080302754A1 (en) Closure Cap For Using With Containers to Allow Sharing Drinks in a Hygienic Manner
JP6784567B2 (ja) 飲料容器
US20070034594A1 (en) Vented no-spill drinking bottle, bottle cap and associated bottle and pouch system
KR20120097306A (ko) 마개가 있는 컵 뚜껑
US20090194535A1 (en) Closure for Container
KR102108267B1 (ko) 용기 마개장치
KR20200012549A (ko) 컵 뚜껑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KR20210055959A (ko) 개봉 시 입에 닿는 부분이 돌출되는 캔 음료수 용기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CN111169796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KR101391783B1 (ko) 이중 컵
KR200423236Y1 (ko)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
KR102208172B1 (ko) 공기 흡수 구멍이 형성된 기능성 음료캔
US20230040658A1 (en) Water Bottle
KR20040043720A (ko) 배출대를 수용하도록 된 배출대지지부를 갖고 있는 뚜껑의구조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KR200289219Y1 (ko) 음용이 용이한 위생캔
KR890007168Y1 (ko) 음료용기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KR20170026989A (ko) 위생 빨대
JP4367699B2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