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202Y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202Y1
KR200462202Y1 KR2020100007567U KR20100007567U KR200462202Y1 KR 200462202 Y1 KR200462202 Y1 KR 200462202Y1 KR 2020100007567 U KR2020100007567 U KR 2020100007567U KR 20100007567 U KR20100007567 U KR 20100007567U KR 200462202 Y1 KR200462202 Y1 KR 200462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torage body
hole
beverage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695U (ko
Inventor
김창휘
Original Assignee
김창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휘 filed Critical 김창휘
Priority to KR2020100007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20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1Drinking straws or the like combined with cutlery or other eat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용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구멍 및 구멍을 중심으로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깔때기부가 형성되는 내측 바닥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 본체; 및 저장 본체에 고정되며, 구멍과 연결되는 빨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Container for drink}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를 담아서 마시는데 사용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물, 콜라, 주스 등과 같은 각종 음료는 캔이나 컵 등의 용기에 담겨 진다. 그리고, 사람들은 음료용기에 담겨진 음료를 용기에 입을 대고 직접 마시거나 음료용기에 빨대를 꽂아서 마신다.
그런데, 종래의 음료용기에 있어서는 음료를 대부분 마신 후 나머지 부분을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부분을 마시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캔에 담겨진 음료를 직접 또는 빨대를 통해 마신다 하더라도, 캔의 바닥면과 측면 사이의 구석 등에 잔존하는 음료는 마실 수 없게 된다.
또한 빨대를 이용하여 마시더라도 음료용기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져서, 빨대가 움직이게 되므로, 음료를 마시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무더운 여름날에 상방으로 개방된 음료용기에 음료 및 얼음을 채운 후, 음료용기를 기울여서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는, 얼음이 옷이나 얼굴 등에 떨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를 한 방울까지 모두 쉽게 마실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구멍 및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깔때기부가 형성되는 내측 바닥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 본체; 및 상기 저장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구멍과 연결되는 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빨대에는 신축 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빨대가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빨대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음료의 상기 빨대를 통한 배출을 방지하는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저장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 본체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된 주입공을 가지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료를 한 방울까지 모두 쉽게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에는 덮개부재 및 마개를 이용하여 외부 이물질이 저장 본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위생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은 저장 본체(10)와, 덮개(20)와, 빨대(40)와, 브라켓(50)과, 마개(50)를 구비한다.
저장 본체(10)는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방으로 개방되며, 저장 본체(10)의 내부에는 음료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저장 본체(10)의 내측 바닥면에는 구멍(11) 및 깔때기부(12)가 형성된다.
구멍(11)은 저장본체(10)의 내측 바닥면에는 형성된다.
깔때기부(12)는 구멍(10)을 중심으로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깔때기부(12)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된다. 깔때기부(12)는 내측 바닥면의 중앙이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측 바닥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깔때기부(12)가 내측 바닥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면, 음료는 항상 깔때기부(12)에 의해 구멍쪽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음료용기를 기울일 필요도 없이 음료를 한 방울까지도 쉽게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 본체(10)에는 구멍(10)과 연결되는 연결유로(13)가 형성된다. 연결유로(13)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연결유로(13)의 일단은 구멍(10)과 연결되며, 연결유로(13)의 타단은 외부와 연결된다.
덮개(20)는 저장 본체(10)의 개방된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20)에는 주입공(21)이 관통 형성된다. 주입공(21)은 음료를 저장 본체(10)에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주입공(21)을 통해서, 저장 본체(10)의 내부는 외부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개폐부재(25)는 덮개(20)의 상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부재(25)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는 주입공(21)을 개방하나,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는 주입공(21)을 폐쇄한다. 개폐부재(25)의 직선 이동은 개폐부재(25)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미도시) 및 덮개에 형성되며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미도시)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러한 가이드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빨대(30)는 저장 본체(10)에 고정된다. 빨대(30)의 일측은 연결유로(13)에 삽입되어 구멍(11)과 연결된다. 빨대(30)의 타측은 사람이 빠는 부분이다. 빨대(30)에는 주름부(31)가 형성된다. 주름부(31)는 신축 가능한 부분이며, 주름부(31)가 축소되면 빨대(30)의 길이가 줄어들면 주름부(31)가 신장되면 빨대(30)의 길이가 증가한다. 빨대(30)는 주름부(31)에 의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부러질 수도 있게 된다.
브라켓(40)은 저장 본체(10)의 측면에 고정된다. 브라켓(40)에는 빨대(30)가 삽입되며, 삽입된 빨대(30)는 브라켓(40)에 고정된다. 빨대(30)는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마개(50)는 브라켓(40)에 연결되어 브라켓(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마개(50)는 빨대(30)의 타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마개(50)의 단부에는 빨대(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반구형상의 삽입돌기가 형성된다. 즉, 빨대(30)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에서는 마개(50)가 빨대(30)의 타측까지 닿지 않게 되나, 빨대(3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소되면 마개(50)가 빨대(30)의 타측까지 닿게 되므로, 마개(50)의 반구형상의 삽입돌기가 빨대(30)에 삽입되어 빨대(30)의 타단부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빨대(30)를 막게 되면,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경우에 이물질이 음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료용기(100)에 있어서는, 음료가 깔때기부(12)와 연결된 구멍(11)을 통해서 배출되며, 특히 음료는 깔때기부(12)의 경사에 의해 아무런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구멍(11)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빨대((30)를 빨기만 하면 저장 본체(10)에 남아 았는 음료를 마지막 방울까지도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빨대(30)의 주름부(31)를 수축시킨 후에 마개(50)의 반구형상의 삽입돌기를 빨대(30)에 삽입하기만 하면, 외부 이물질이 빨대(30)를 통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생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폐부재(25)는 덮개의 주입공(21)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므로, 필요에 따라서 주입공(2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저장 본체 11...구멍
12...깔때기부 13...연결유로
20...덮개 21...주입공
25...개폐부재 30...빨대
31...주름부 40...브라켓
50...마개

Claims (3)

  1. 구멍 및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깔때기 모양을 형성하는 깔때기부가 형성되는 내측 바닥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 본체;
    상기 저장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저장 본체의 외부까지 연장되되 상기 내측 바닥면의 하방에 위치하는 연결유로; 및
    상기 저장 본체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구멍과 연결되는 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에는 신축 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빨대가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빨대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음료의 상기 빨대를 통한 배출을 방지하는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 본체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된 주입공을 가지는 덮개; 및
    상기 덮개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입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2020100007567U 2010-07-19 2010-07-19 음료용기 KR200462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67U KR200462202Y1 (ko) 2010-07-19 2010-07-19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567U KR200462202Y1 (ko) 2010-07-19 2010-07-19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95U KR20120000695U (ko) 2012-02-02
KR200462202Y1 true KR200462202Y1 (ko) 2012-09-04

Family

ID=4584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567U KR200462202Y1 (ko) 2010-07-19 2010-07-19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2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258B2 (en) 2016-03-10 2020-05-0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comprising a drinking device restrict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plane
WO2017153343A1 (en) * 2016-03-10 2017-09-1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package designed to reduce the risk of spill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2Y1 (ko) * 2003-03-18 2003-06-27 주식회사 서울보온 2중 컵용 뚜껑
KR200380306Y1 (ko) * 2004-10-20 2005-03-29 허규 빨대를 고정 할 수 있는 컵.
KR100870696B1 (ko) * 2007-08-29 2008-1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372Y1 (ko) * 2003-03-18 2003-06-27 주식회사 서울보온 2중 컵용 뚜껑
KR200380306Y1 (ko) * 2004-10-20 2005-03-29 허규 빨대를 고정 할 수 있는 컵.
KR100870696B1 (ko) * 2007-08-29 2008-1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95U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KR20120097306A (ko) 마개가 있는 컵 뚜껑
KR20120030671A (ko) 빨대 조립체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US20130092699A1 (en) Beverage can sealer and holder
CN209436809U (zh) 一种压强自控式控液容器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CN110395480A (zh) 一种即溶饮料的瓶盖及饮料瓶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20080096738A (ko) 스트로우를 내장한 음료용 팩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US20100288773A1 (en) Pitcher
KR101014806B1 (ko)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CN103300671A (zh) 一种饮料杯杯盖
CN106395113B (zh) 饮料容器
CN217397293U (zh) 一种饮料瓶盖
CN216438955U (zh) 双饮口杯
KR101391783B1 (ko) 이중 컵
CA2692059A1 (en) Cap for a container
CN219306452U (zh) 一种连体杯盖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CN214631465U (zh) 能防止饮口塞丢失的饮料杯杯盖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CN209136088U (zh) 水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