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806B1 -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806B1
KR101014806B1 KR1020090011317A KR20090011317A KR101014806B1 KR 101014806 B1 KR101014806 B1 KR 101014806B1 KR 1020090011317 A KR1020090011317 A KR 1020090011317A KR 20090011317 A KR20090011317 A KR 20090011317A KR 101014806 B1 KR101014806 B1 KR 10101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lid
lid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114A (ko
Inventor
박동연
Original Assignee
박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연 filed Critical 박동연
Priority to KR102009001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10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opening automatically when container is tilted for pou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7Non-retur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직접 음용이 용이하도록 용기 뚜껑에 배출구를 형성함과 함께 이동시 이러한 배출구를 통해 용기 내부에 담겨진 음료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용기(20)의 상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뚜껑(10)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10)은 음료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배출구(1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구(11)에는 개폐를 위한 가림막(12)이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고; 상기 가림막(12)에는 상면측으로 돌출되어지는 돌출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 용기, 뚜껑, 넘침, 방지, 배출, 개폐

Description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A DRINK VESSEL CAP}
본 발명은 음료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에 형성된 배출구를 이용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음료의 넘침이 방지될 수 있는 뚜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점에서는 콜라, 사이다 등의 탄산음료, 밀크 쉐이크, 과일주스, 커피 등을 별도의 용기에 담은 후 프라스틱 뚜껑으로 밀봉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패스트푸드점(예를 들어, 햄버거, 피자, 커피 등)에서 테이크 아웃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부분의 음료용기는 내용물인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어서 마신 후 다시 뚜껑을 닫아 주거나, 빨대를 뚜껑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를 음용함으로서 이동과정에서 음료가 용기 외부로 넘치는 현상이 뚜껑에 의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빨대를 이용한 음용은 음료의 배출량이 한정될 수 밖에 없으며, 그렇다고 음료를 마실때 마다 뚜껑을 매번 열었다 닫아주는 동작 역시 불편함을 줄 수 밖에 없다.
한편, 용기뚜껑에 별도의 배출구를 일정크기로 형성하게 되면, 어느정도의 음료 넘침현상을 방지하면서 배출량이 빨대에 비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 역시 용기를 들고 이동을 하거나 대중 교통수단의 이용시 음료가 배출구를 통해 튀면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음료용기 이용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음료용기에 입을 대고 직접 음용이 가능하면서도 음료의 넘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용기뚜껑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로 하여금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상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음료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개폐를 위한 가림막이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고; 상기 가림막에는 상면측으로 돌출되어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기뚜껑의 배출구를 회동 가능하게 가려주는 가림막이 평상시에는 배출구를 막아주어 음료가 순간적으로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방지해 주며 음료의 음용시는 사용자가 입을 갖다 대는 순간 입술이 자연스럽게 가리막의 돌출부를 밀어주게 됨으로서 가림막이 회동 개방되어 음료의 음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가림막이 체크밸브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음료용기를 테이크아웃하여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 구조를 살펴보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저면 둘레를 따라 용기본체(20)와의 끼움 결합에 의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탈홈(16)이 형성되어져 있는 용기뚜껑(10) 일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배출구(11)에는 통공부위를 개폐하기 위한 가림막(12)이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연결 구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가림막(12)은 배출구(11)를 형성시킴과 함께, 자체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합성수지(플라스틱) 재질로 성형 제작되어진 용기뚜껑(10)의 해당 부위를 "ㄷ" 형태로 절개시킴으로서 형성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가림막(12)의 상부면을 소정 높이로 돌출시킨 돌출부(13)를 형성하였다.
한편, 가림막(12)은 배출구(11) 하부에서만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림막(12)의 크기(D)는 배출구(11)의 크기(d)보다 크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용기뚜껑(10)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용기본체(20)에 일정 수위로 음료를 담은 후에 본 발명의 용기뚜껑(10)을 닫아주게 되면, 평상시에는 배출구(11)가 가림막(12)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내부의 음료가 외부로 넘치거나 튀는것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용기를 들고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 전달되어지거나 용기가 일정 기울기로 기울어지는 경우, 음료의 유동이 발생되어지면서 가림막(12)을 밀고 배출구(11)로 배출되어질 수 있으나, 이때 가림막(12)은 배출구(11)와의 크기 차(D>d)로 인해 배출구(11)에 걸려지게 됨으로 이러한 음료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음료를 음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배출구(11)측에 입을 접촉시키게 되면, 윗입술 부위가 가림막(12)의 돌출부(13)에 닿게 되면서 누름력이 작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가림막(12)이 내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열림회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가림막(12)이 회동되면서 배출구(11)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용이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림막(12)을 밀고 있던 입술을 떨어뜨리고 용기본체(20)를 바로 세워주게 되면 가림막(12)은 자체적인 원형 복원력에 의해 배출구(11)를 막는 상태로 원위치 되어짐으로 음료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12)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배출구(11)의 일측에 걸림돌부(11A)를 형성시킨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의 벽면에 걸림돌부(11A)를 형성시킴으로서, 가림막(12)의 크기(D)가 배출구(11)의 크기(d)와 동일하더라도, 걸림돌부(11A) 에 걸려져서 상부로 유동이 제한되어짐으로서 음료의 넘침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12)의 하부에 연결대(14)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부구(15)를 구성시킨 것이다.
즉, 가림막(12)이 자체 복원력이 쇠퇴되어지더라도, 부구(15)가 용기내에 저장된 음료의 수면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부력에 의한 상승력이 작용하여 연결대(14)를 통해 가림막(12)을 올려주는 효과를 나타내게 됨으로 가림막(12)의 배출구(11) 폐쇄력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부구(15)는 스치로폴 또는 내부가 빈 플라스틱체가 사용되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음료용 용기뚜껑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과 용기본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용기뚜껑의 용기본체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음료용기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부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구 구성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뚜껑 11 : 배출구
11A: 걸림돌부 12 : 가림막
13 : 돌출부 14 : 연결대
15 : 부구 16 : 착탈홈
20 : 용기본체

Claims (4)

  1. 음료용기(20)의 상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뚜껑(10)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10)은 음료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배출구(1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구(11)에는 개폐를 위한 가림막(12)이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고;
    상기 가림막(12)에는 상면측으로 돌출되어지는 돌출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가림막(12) 저면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연결대(14)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대(14) 하단부에는 부력을 갖는 부구(15)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12)은 용기뚜껑(10)의 저면측에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가림막(12)의 크기(D)는 배출구(11)의 크기(d)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에는 가림막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돌부(11A)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4. 삭제
KR1020090011317A 2009-02-12 2009-02-12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KR10101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17A KR101014806B1 (ko) 2009-02-12 2009-02-12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17A KR101014806B1 (ko) 2009-02-12 2009-02-12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14A KR20100092114A (ko) 2010-08-20
KR101014806B1 true KR101014806B1 (ko) 2011-02-14

Family

ID=4275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17A KR101014806B1 (ko) 2009-02-12 2009-02-12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1552A1 (en) * 2018-08-22 2020-02-2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Lid with dispensing feature
USD993025S1 (en) 2021-04-06 2023-07-2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L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162A (en) * 1972-10-10 1975-01-14 Nospil Limited Non-spill drinking cup top
US4190174A (en) * 1979-01-29 1980-02-26 Thermo-Seal, Inc. Drinking receptacle cover with a lip operated valve
US20040190174A1 (en) * 2003-03-26 2004-09-30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Japan, Ltd. Method for compensating timing to start data recording and magnetic disk devic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162A (en) * 1972-10-10 1975-01-14 Nospil Limited Non-spill drinking cup top
US4190174A (en) * 1979-01-29 1980-02-26 Thermo-Seal, Inc. Drinking receptacle cover with a lip operated valve
US20040190174A1 (en) * 2003-03-26 2004-09-30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Japan, Ltd. Method for compensating timing to start data recording and magnetic disk device u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1552A1 (en) * 2018-08-22 2020-02-2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Lid with dispensing feature
USD993025S1 (en) 2021-04-06 2023-07-2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14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1977A (en) Bottle top drinking cup
RU2387591C2 (ru) Многоэлементный запор из пластмассы
KR101014806B1 (ko)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WO2021000009A1 (en) Lid for drinking container with drinking passage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US20170275063A1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US20100213203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US20100288773A1 (en) Pitcher
WO2017014638A1 (en) Liqui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WO2020078256A1 (en) Stackable container with built-in channel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CN220595790U (zh) 一种方便拿取的茶叶保存罐
KR200429596Y1 (ko) 음료용기
KR200359793Y1 (ko) 거품 배출 방지용 액체용기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RU2766328C2 (ru) Кружка
KR20100037720A (ko) 스트로가 구비된 용기
KR200489712Y1 (ko) 일회용 컵 뚜껑
KR200280889Y1 (ko) 원터치형 위생병뚜껑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210340Y1 (ko) 음료수 용기 뚜껑
JP3119607U (ja) 注液用アダプター
KR200212959Y1 (ko) 파우치 음료용기용 스파우트
TWM577831U (zh) Improved bod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