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596Y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596Y1
KR200429596Y1 KR2020060021614U KR20060021614U KR200429596Y1 KR 200429596 Y1 KR200429596 Y1 KR 200429596Y1 KR 2020060021614 U KR2020060021614 U KR 2020060021614U KR 20060021614 U KR20060021614 U KR 20060021614U KR 200429596 Y1 KR200429596 Y1 KR 200429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hole
beverage
cap
dr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원근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60021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59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를 마시기 직전에 음료에 별도의 성분을 간편하게 추가로 혼합하여 마실 수 있으므로 음료의 맛이나 향이 향상되며, 또한, 음료를 간편하게 토출시켜 마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단에는 토출구(12)가 돌출형성된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토출구(12)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되는 보조용기(20)와, 상면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공(32)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20)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토출구(12)에 결합되는 고정마개(3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상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토출공(32)과 어긋나도록 제2토출공(42)이 형성된 유동마개(4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하단에 절취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마개(3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스띠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마개(30)의 내부에는 하단이 상기 보조용기(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파단부재(38)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스띠부재(50)가 제거되어 상기 고정마개(30)가 하강되면 상기 보조용기(20)가 파단부재(38)에 의해 파손되어 제2내용물이 메인용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 용기, 메인용기, 보조용기, 스페이스띠부재, 격리포장

Description

음료용기{A container for drink}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용기 20. 보조용기
30. 고정캡 32. 제1토출공
38. 파단부재 40. 유동캡
42. 제2토출공 50. 스페이스띠부재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를 마시기 직전에 음료에 별도의 성분을 간편하게 추가로 혼합하여 마실 수 있으므로 음료의 맛이나 향이 향상되며, 또한, 음료를 간편하게 토출시켜 마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 조의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음료들이 용기에 포장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들 음료가 포장되는 용기들은 대부분 상단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에 캡이 나사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료용기는 음료를 마실 때 마다 일일이 캡을 손으로 돌려서 열어야 하고, 반대로 음료를 마신 다음에는 다시 캡을 돌려 용기의 토출구를 막아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 또한, 캡이 용기에서 분리되므로 캡이 분실될 우려도 있다.
한편, 음료에는 음료의 풍미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감미제들이 혼합된다. 이들 감미제 중에는 혼합 바로 직후에 최상의 효과를 발하는 것도 있으며, 혼합되어 음료의 풍미를 높이기는 하지만 음료의 변질을 촉진시키는 것도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입맛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동일한 종류의 음료라 할지라도 농도 등을 다르게 하여 제조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 음료회사에서 음료의 농도 등을 다르게 음료를 제공하기란 쉽지 않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의 맛과 향을 증가시키는 별도의 성분이 음료와 격리 포장되고,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기 직전에 상기 성분과 음료를 간단하게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비자가 맛과 향이 우수하고 각자의 기호에 맞는 음료를 마실 수 있으 며, 또한, 음료를 토출시키기도 용이하며 캡이 분실될 우려도 없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음료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단에는 토출구(12)가 돌출형성된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토출구(12)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되는 보조용기(20)와, 상면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공(32)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20)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토출구(12)에 결합되는 고정마개(3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상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토출공(32)과 어긋나도록 제2토출공(42)이 형성된 유동마개(4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하단에 절취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마개(3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스띠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마개(30)의 내부에는 하단이 상기 보조용기(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파단부재(38)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스띠부재(50)가 제거되어 상기 고정마개(30)가 하강되면 상기 보조용기(20)가 파단부재(38)에 의해 파손되어 제2내용물이 메인용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사용상태도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단에는 토 출구(12)가 돌출형성된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토출구(12)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되는 보조용기(20)와, 상면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공(32)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20)를 커버하도록 상기 토출구(1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마개(3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상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고정마개(30)에 형성된 제1토출공(32)에 어긋나도록 제2토출공(42)이 형성된 유동마개(4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하단에 절취가능하게 구비된 스페이스띠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용기(10)는 플라스틱병으로 이루어져서 제1내용물인 음료가 저장되며, 상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토출구(12)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용기(20)는 연질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된다. 제2내용물은 제1내용물과 혼합되어 음료의 향이나 맛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액상이나 분말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용기(2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필름 내부에 제2내용물이 저장되고 이 연질필름 둘레부에는 경질의 지지부(22)가 형성되어, 이 지지부(22)가 메인용기(10)의 토출구(12) 상면에 부착된다. 보조용기(20)가 연질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나, 보조용기(20)는 바닥에 취약선이 형성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보조용기(20)에 제2내용물이 진공포장되어 제2내용물이 수분과 반응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한편, 상기 메인용기(10)의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개폐시키는 고정캡(30) 및 유동캡(4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캡(30)은 하단부가 상기 토출구(12)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폭이 축소되어 토출구(12) 보다 상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고정캡(30)의 상면 중앙에는 원판형상으로 되어 상향 돌출된 돌출부(34)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34) 둘레에 환형으로 제1토출공(32)이 형성되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슬라이드홈(36)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캡(30)의 돌출부(34) 하측에는 선단이 뾰족한 파단부재(38)가 하향돌출된다. 파단부재(38)는 삼각형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31은 상기 돌출부(34)를 고정캡(30)에 연결시키는 연결리브이다.
그리고 고정캡(30)의 하단에는 소비자가 절취할 수 있도록 스페이스띠부재(50)가 구비된다. 이 스페이스띠부재(50)는 고정캡(30)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스페이스띠부재(50)에 의해 고정캡(30)이 토출구(12)에 완전히 나사결합되지 않고 스페이스띠부재(50)의 상하 폭 만큼 덜 체결된 상태로 토출구(12)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스띠부재(50)를 제거하고 고정캡(30)을 돌리면 고정캡(30)이 스페이스띠부재(50)의 상하 폭 만큼 하강된다.
한편, 상기 유동캡(40)은 내주면에 상기 슬라이드홈(36)의 상하 단부에 걸리는 띠형상의 걸림턱(44,45)이 상하로 2줄 형성되며, 그 상면 중앙에는 상기 돌출부(3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토출공(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캡(40)은 상기 걸림턱(44,45)이 고정캡(30)의 슬라이드홈(36)에 끼워져서 고정캡(30)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유공캡(40)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44)에 의해 임의로 슬라이드되는 것이 방지되며 하측에 형성된 걸림턱(45)에 의해 고정캡(3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44)은 상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홈(36)의 상측 내벽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으로 되어 유동캡(40)이 상향으로 용이하게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토출공(32)과 제2토출공(42)이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유동캡(40)의 저면이 고정캡(3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 2토출공(32,42)이 막혀서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대로 유동캡(40)이 상향으로 당겨져서 고정캡(30)과 유동캡(40)의 상면이 이격되면, 제1, 2토출공(32,42)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캡(40)의 외측에는 유동캡(4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캡(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페이스띠부재(50)를 제거하고, 고정캡(30)을 돌려 고정캡(30)을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캡(30)이 하강되면 고정캡(30)에 형성된 상기 파단부재(38)도 하강되며, 파단부재(38)에 의해 보조용기(20)가 파손되고 제2내용물이 메인용기(10)로 유입되어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2내용물을 혼합한 다음, 유동캡(40)을 상측으로 당겨서 제1, 2토출공(32,42)을 개방시키고 음료를 마신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인 제1내용물과 이 제1내용물에 혼합되어 음료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는 제2내용물이 격리 포장되고, 소비자가 음용 직전에 제2내용물이 포장된 보조용기(20)를 파손시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기가 제공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는 고정캡(30)의 하단에 형성된 스페이스띠부재(50)를 제거하고 고정캡(30)을 하강시키기만 하면 고정캡(30)에 구비된 파단부재(38)에 의해 보조용기(20)찢어져서 제2내용물이 제1내용물과 혼합되므로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캡이 메인용기(10)에 결합되는 고정캡(30)과 이 고정캡(30)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공(32,42)을 개폐시키는 유동캡(40)으로 구성되므로 내용물을 토출시키기도 용이하며, 캡이 분실될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료회사에서 음료를 다양한 종류로 제조하기 않고 단지 보조용기에 저장되는 제2내용물의 종류와 양을 달리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각자의 취향에 맞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음료를 마시기 직전에 내용물을 혼합하여 맛과 향이 최상의 상태에 있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단에는 토출구(12)가 돌출형성된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토출구(12)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저장되는 보조용기(20)와, 상면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제1토출공(32)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용기(20)를 커버하도록 상기 토출구(12)에 결합되는 고정마개(3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상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토출공(32)과 어긋나도록 제2토출공(42)이 형성된 유동마개(40)와, 상기 고정마개(30)의 하단에 절취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마개(3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스띠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마개(30)의 내부에는 하단이 상기 보조용기(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파단부재(38)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스띠부재(50)가 제거되어 상기 고정마개(30)가 하강되면 상기 보조용기(20)가 파단부재(38)에 의해 파손되어 제2내용물이 메인용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2020060021614U 2006-08-11 2006-08-11 음료용기 Ceased KR200429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14U KR200429596Y1 (ko) 2006-08-11 2006-08-11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14U KR200429596Y1 (ko) 2006-08-11 2006-08-11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596Y1 true KR200429596Y1 (ko) 2006-10-24

Family

ID=4177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614U Ceased KR200429596Y1 (ko) 2006-08-11 2006-08-11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71B1 (ko) * 2011-11-30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71B1 (ko) * 2011-11-30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716B2 (en) Disposable cup lid with condiment tab
KR100872159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버팀부를 구비한 용기
CA2683924C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US20040118709A1 (en) Cap device for attachment to a container
US20150001108A1 (en) Bottle Cap
KR20150083129A (ko) 안전 봉인된 저장 캡
US20090020546A1 (en) Tamper Resistant Closures
US20160143467A1 (en) Air Purging Lid
KR100880006B1 (ko) 마개가 버팀지지되는 용기
KR200429596Y1 (ko) 음료용기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MXPA06008076A (es) Capsula que incorpora un dosificador y capa de seguridad que se puede abrir, en particular para envases de dosis individuales.
JP2004238022A (ja) ペットボトル用パウダー茶抽出キャップ
KR101392957B1 (ko)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KR101117578B1 (ko)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KR101014806B1 (ko) 넘침 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KR100840386B1 (ko) 용기마개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120064878A (ko) 음료 용기
KR100593244B1 (ko) 용기 마개
KR20130031753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US20070193893A1 (en) Structure of cap having storage space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AU2019100448A4 (en) Measured Dose &amp; Closure cap for a Container
KR200415293Y1 (ko) 수납공간을 갖은 음료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8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7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