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055B1 -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055B1
KR100333055B1 KR1019990060077A KR19990060077A KR100333055B1 KR 100333055 B1 KR100333055 B1 KR 100333055B1 KR 1019990060077 A KR1019990060077 A KR 1019990060077A KR 19990060077 A KR19990060077 A KR 19990060077A KR 100333055 B1 KR100333055 B1 KR 10033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iece
contents
beverage
cap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865A (ko
Inventor
안우현
Original Assignee
안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우현 filed Critical 안우현
Priority to KR101999006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05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65D2517/0062U-shaped and provided with an additional U-shaped periphera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홈(41)이 타압된 개구편(40)과 상기 개구편(40)을 오픈하기 위한 캔따개(30)가 형성된 캡(20)과, 원통형의 용기부(10)가 결합되어 형성된 종래의 캔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홈(21)을 개구편(40)의 중앙을 중심으로 30~45°바깥쪽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개구편(40)의 절개홈(41)의 끝단이 캡(20)의 안쪽 가장자리 모서리와 접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용기안쪽면과 음료유출공 사이, 즉 용기와 개구편의 끝단사이에 형성되던 단턱을 없애게 되어 캔을 약간만 기울인다 해도 캔 내부의 모든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고, 내용물의 유출이 매우 용이해 지므로 음용자가 아주 편한 자세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으며, 캔 내부에 내용물이 남지않게 되어 자원을 낭비를 줄이면서 캔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캔의 상단 가장자리에 음료유도팁을 형성하므로써 내용물이 정확하게 유출되는 부분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가 확실하게 입안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A structure of can in which filler can be flow out easily}
본 발명은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의 용기부와 음료유출공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을 없애므로써 음료의 완전히 유출을 유도하고, 사용자는 그다지 크게 고개를 젖히지 않아도 캔 내부에 담겨있는 음료를 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음료의 낭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캔(1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형의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캡에는 절개홈이 타압된 개구편이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편을 제거하기 위한 캔따개가 리벳팅되어 캡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캔따개를 들어올려 개구편을 제거하므로써 음료유출공(C)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음료유출공을 통해 음료는 유출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캔(100)는 캡과 용기를 결합함에 있어 서로의 양단을 겹쳐 말게 되는데 도 10에 확대도시한 바와같이 캔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캡의 안쪽 가장자리에 360° 빙둘러서 요홈(21)이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음료유출공(C)은 상기 요홈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할 수 밖에 없는 것이고, 이로인해 결국 용기의 안쪽면(D)과 음료유출공(C) 사이에는 상당한 높이의 단턱(B)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캔은 단턱에 의해 캔내용물이 모두 배출되기 곤란한 구조를 갖는 것이며, 특히 내용물이 과일알갱이를 포함하는 음료수일 경우 일부 음용자들은 남아있는 내용물을 모두 마시기 위하여 고개를 완전히 뒤로 젖히고 캔을 상당한 각도로 기울기도 하고, 머리를 흔들면서 음용하기도 하는데 이때 음료가 입주변으로 흘러내릴 우려가 높고, 신체구조상 고개에도 상당한 무리를 주는 동작이 아닐 수 없다.
또한 모두 유출되지 않고 캔 내부에 남아있는 내용물은 1년에도 수천만개의 음료캔이 소비되는 것을 볼때 결코 작은 자원의 낭비가 아니며, 음료가 남아있는 상태로 버려져서 해충을 유인하게 되고, 주변을 오염시키는 폐단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캔이 가지는 음료의 유출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안쪽면과 음료유출공 사이, 즉 용기와 개구편의 끝단사이에 형성되던 단턱을 없애므로써 캔을 약간만 기울인다 해도 캔 내부의 모든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인해 인체구조상 캔을 손에 들고 목을 약 45°정도로 뒤로 젖힌 가장 바람직한 상태에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으며, 캔 내부의 내용물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음료유출공이 형성된 쪽의 캡 가장자리를 밖으로 프레싱하여 음료유도 팁을 형성하므로써 캔을 약간만 기울이더라도 모든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남은 내용물의 유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음용자의 음용도 더욱 편리하게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음료유출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 - 도 1의 평면도.
도 5 -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 - 도 5의 단면도.
도 7 - 본 발명의 음료유출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8 - 도 5의 평면도.
도 9 - 종래 캔의 사시도.
도 10 - 도 9의 단면도.
도 11 - 종래 캔의 음료유출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캔(can) 1O: 용기부
20: 캡(cap) 21: 요홈
30: 캔따개 40: 개구편(開口片)
41: 절개홈 50: 음료유도 팁(tip)
100: 종래의 캔 A: 결합부
B,b: 단턱 C: 음료유출공
D: 용기의 안쪽면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절개홈(41)이 타압된 개구편(40)과 상기 개구편(40)을 오픈하기 위한 캔따개(30)가 형성된 캡(20)과, 원통형의 용기부(10)가 결합되어 형성된 종래의 캔에 있어서 상기 개구편(40)의 절개홈(41)의 끝단이 캡(20)의 안쪽 가장자리 모서리와 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 캔(100)의 상단에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요홈(21), 즉 캡의 안쪽 가장자리에 360°빙둘러서 형성된 요홈(21)을 그대로 두고는 단턱(B)을 없앤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캔(100)의 내구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개구편(40)의 끝단이 용기부(10)의 안쪽면에 접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캡(2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홈(21)을 개구편(40)의 중앙을 중심으로 30~45°바깥쪽으로만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개구편(40)의 주변을 제외한 바깥쪽으로만 270~300°각도로 요홈(21)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개구편(40)의 끝단은 용기부(10)의 안쪽면에 바로 접하게 되므로 개구편(40)이 제거되면 음료유출공(C)에는 어떠한 단턱(B)도 형성되지 않으므로 음료의 유출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구편(40)이 연장되는 캡(20)의 가장자리까지에는 요홈(21)이 형성되질 않게 되므로 종래 먼지등이 잘 끼어 닦아내기도 곤란하던 요홈(21)이 입이 직접 닿는 음료유출공(C)에는 형성되어있지 않으므로 보다 청결한 상태에서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핵심은 개구편(40)이 캔따개(30)에 의해 절개홈(41)을 따라 절개되어 제거되므로써 음료유출공(C)이 개봉되어짐에 있어 개구편(40)과 용기(10) 안쪽면 사이에 단턱(B)이 가급적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단턱(b)을 없애는 것은 물론 음료유출공(C) 개구편(40) 주위의 결합부(A) 가장자리를 밖으로 밀어서 음료유도팁(50)을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거의 고개를 젖히지 않은 상태에서 음료를 음용할 수도 있고, 음료의 유출을 음료유도팁(50)에 의해 유도하여 주므로써 음료의 음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캔과 종래 캔의 음료음용상태를 살펴보면 같은 기울기로 기울였을 때 남은 음료수의 양이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캔 내부의 내용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므로 음용자가 아주 편한 자세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으며, 캔 내부에 내용물이 남지않게 되어 자원을 낭비를 줄이면서 캔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캔의 상단 가장자리에 음료유도팁을 형성하므로써 내용물이 정확하게 유출되는 부분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가 확실하게 입안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캔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절개홈(41)이 타압된 개구편(40)과 상기 개구편(40)을 오픈하기 위한 캔따개(30)가 형성된 캡(20)과, 원통형의 용기부(10)가 결합되어 형성된 종래의 캔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홈(21)을 개구편(40)의 중앙을 중심으로 30~45°바깥쪽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개구편(40)의 절개홈(41)의 끝단이 캡(20)의 안쪽 가장자리 모서리와 접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편(40) 주위의 결합부(A)의 가장자리를 밖으로 밀어 음료유도 팁(5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KR1019990060077A 1999-12-16 1999-12-16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KR10033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077A KR100333055B1 (ko) 1999-12-16 1999-12-16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077A KR100333055B1 (ko) 1999-12-16 1999-12-16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65A KR20010062865A (ko) 2001-07-09
KR100333055B1 true KR100333055B1 (ko) 2002-04-22

Family

ID=1962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077A KR100333055B1 (ko) 1999-12-16 1999-12-16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56A (ko) * 2002-07-19 2004-01-31 김종헌 음료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65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US6073797A (en) Sanitary lid for a beverage can that forms a seal with an aperture of the can
KR100872159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버팀부를 구비한 용기
US20070039960A1 (en) Spill-Resistant Reclosable Closure Assembly for a Lid
US9586732B2 (en) Drink can lid comprising an articulated neck
US20030102312A1 (en) Disposable lid with cream and sugar port
JP4258603B2 (ja) カップ型容器の開封補助具
KR200171248Y1 (ko) 용기 상부 외면일측에 개봉부를 형성한 캔음료용기
JP2009083899A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100333055B1 (ko)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KR100789491B1 (ko) 음료용기 개방구조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1294252A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KR200203506Y1 (ko) 알루미늄캔용 보조뚜껑
CN110870651A (zh) 组合式吸管容器
JP4671071B2 (ja) 注出装置
KR200224476Y1 (ko) 음료수병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JP4780861B2 (ja) ストロー
TWI822293B (zh) 具有可互換插入件之飲料容器系統
JP2001206328A (ja) 飲料用ボトル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182085Y1 (ko) 빨대를 구비하는 음료캔
KR200188691Y1 (ko) 음료컵
KR200178658Y1 (ko) 간장 내입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