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491B1 - 음료용기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491B1
KR100789491B1 KR1020060117150A KR20060117150A KR100789491B1 KR 100789491 B1 KR100789491 B1 KR 100789491B1 KR 1020060117150 A KR1020060117150 A KR 1020060117150A KR 20060117150 A KR20060117150 A KR 20060117150A KR 100789491 B1 KR100789491 B1 KR 10078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otrusion
cutout
beverage contain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안
Original Assignee
양성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안 filed Critical 양성안
Priority to KR102006011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491B1/ko
Priority to PCT/KR2007/006000 priority patent/WO200806303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the valve member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tainer mouth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 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연질의 폴리에틸렌을 재료로 제작되는 음료용기의 마개를 개방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자칫 내용물을 흘릴 우려가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방이 안정된 동작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마개 개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가 연질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상부의 개봉부를 절개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 일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되 양측면은 용기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상면과 인접한 양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면은 막혀있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절개가 용이하도록 그 경계면이 얇게 형성되는 제1 절개부와, 상기 양측 제1 절개부의 전방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부와 인접한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걸림홀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돌출개봉부와;
상기 돌출개봉부의 상면에 상응하고 후방 및 측면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개봉부의 측면과 배면에 상응하여 인접하되 연장된 측면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에 상응하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돌출부의 높이만큼 수직 아래로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는 걸림훅이 형성되는 가이드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

Description

음료용기 개방구조{The opening of beverage vessel with stop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캡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a ~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개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개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 음료용기 개방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돌출개봉부
21 : 가이드레일 22 : 제1 절개부
23 : 제2 절개부 24 : 걸림홀
25 : 돌출부 26 : 제1 절첩홈
3 : 가이드캡
31 : 가이드돌출부 32 : 걸림훅
4 : 절개부
5 : 파지부
본 발명은 음료용기 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연질의 폴리에틸렌을 재료로 제작되는 음료용기의 마개를 개방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자칫 내용물을 흘릴 우려가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방이 안정된 동작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마개 개방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음료용기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음료용기는 밀봉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병, 캔, 종이팩의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몇몇 음료에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제조되는 비교적 연질의 합성수지를 포함한 음료용기가 개발되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폴리에틸렌을 내면의 주재질로 하고 종이를 포함한 수 겹의 특수재질을 겹쳐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상면의 경우에는 일반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에 개봉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이 있으나 소형의 음료용기는 뚜껑과 마개의 구조를 적용시키기에는 단가상승 및 한번에 음료를 섭취하기에 다시 밀봉할 필요성이 없는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채택되지 않고 있다.
도 6은 종래 음료용기 개방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음료용기(1)의 상면에는 일정형태의 그 두께가 얇아 용이하게 찢어지는 절개부(4)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4)의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파지부(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5)를 파지하고 후방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절개부(4)가 절개되면서 음료용기가 개방되게 된다.
이러한 개방구조는 그 구조가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용기를 잡고 개봉하는 과정에서 절개부(4)를 절개하는 일정하지 않은 힘에 의하여 용기가 흔들려 내부 음료가 피부나 의복에 묻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형의 음료 용기라 하더라도 보통 200ml 이상의 음료가 담겨있어 사람에 따라서는 개방한 상태에서 음료를 한번에 마시지 않고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서 마시는 경우가 있으나 개방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갈 우려 때문에 소비자가 기피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료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개방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용기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개방된 음료용기를 덮을 수 있는 개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가 연질의 폴리에틸렌으 로 이루어져 상부의 개봉부를 절개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 일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되 양측면은 용기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상면과 인접한 양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면은 막혀있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절개가 용이하도록 그 경계면이 얇게 형성되는 제1 절개부와, 상기 양측 제1 절개부의 전방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부와 인접한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걸림홀을 형성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돌출개봉부와;
상기 돌출개봉부의 상면에 상응하고 후방 및 측면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개봉부의 측면과 배면에 상응하여 인접하되 연장된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상응하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돌출부의 높이만큼 수직 아래로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는 걸림훅이 형성되는 가이드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돌출개봉부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개봉부의 상면 후방은 전방과 단턱져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부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절개부 및 상기 돌출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일정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절개부 및 상기 돌출부는 전방으로 오목한 일정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절개부 및 상기 돌출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꼭지점과 상기 꼭지점에서 양측 제1 절개부의 전방 끝단으로 각각 연장되는 사선으로 이루어지는 삼각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내측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절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내측은 상부로 볼록한 반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캡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몸체가 연질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상부의 개봉부를 절개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 일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되 양측면은 용기(1)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상면과 인접한 양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 이 함몰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을 구비하고, 상면은 막혀있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절개가 용이하도록 그 경계면이 얇게 형성되는 제1 절개부(22)와, 상기 양측 제1 절개부(22)의 전방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절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부(23)와 인접한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걸림홀(24)을 형성하는 돌출부(25)가 형성되는 돌출개봉부(2)와;
상기 돌출개봉부(2)의 상면에 상응하고 후방 및 측면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개봉부(2)의 측면과 배면에 상응하여 인접하되 연장된 측면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21)에 상응하는 가이드돌출부(31)가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돌출부(25)의 높이만큼 수직 아래로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홀(24)에 삽입되는 걸림훅(32)이 형성되는 가이드캡(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를 나타내었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가이드캡(3)의 상면을 파지하고 후방으로 밀면 최초 상기 걸림훅(32)이 상기 걸림홀(24)에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미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3 절개부(23)와 제1 절개부(22)를 따라 절개되면서 용기의 내부가 개방된다.
이러한 구조는 파지하고 미는 동작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들고 있는 용기(1)가 흔들리는 것이 최소화되어 내부의 음료가 순간적인 충격에 의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정량의 음료를 음용한 뒤에 다시 가이드캡(3)을 전방으로 밀면 개봉 된 부분에 덮어지게 되어 소비자가 가질 수 있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음료의 오염 우려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어 기존 동일한 재질로 제작 판매어지는 음료용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가이드캡(3)을 보다 정밀하게 제작하게 되면 완전한 밀봉에 가깝도록 재밀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돌출부(31)는 상부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가이드캡(3)은 돌출개봉부(2)를 포함하는 음료용기(1)를 제작한 후 마지막에 조립되는 것으로 조립시 상기 테이퍼진 면을 따라 미끄러지다가 상기 가이드레일(21)에 가이드돌출부(31)가 끼워짐으로 조립되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절개부(23) 및 상기 돌출부(25)는 전방으로 볼록한 일정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는데 상기 실시 예는 최초 가이드캡(3)을 밀면서 개봉하고자할 때 개봉되는 부분은 면이 아닌 점에서 시작해서 점차 확대되는 것이 힘이 적게 든다.
따라서. 제2 절개부(23)의 돌출된 원호 끝단부터 절개되도록 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개봉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4a는 상기 제2 절개부(23) 및 상기 돌출부(25)는 전방으로 오목한 일정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최초 절개되는 부분이 상기 제2 절개부(23)와 제1 절개부(22)의 양측 연결점부터 시작하는 실시 예는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상기 제2 절개부(23) 및 상기 돌출부(25)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꼭지점과 상기 꼭지점에서 양측 제1 절개부(22)의 전방 끝단으로 각각 연장되는 사선으로 이루어지는 삼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최초 절개되는 부분을 보다 첨단으로 하여 보다 절개가 용이하도록 한 실시 예이다.
도 4c는 상기 제1 절개부(22)와 제2 절개부(23)로 이루어지는 내측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절첩홈(26)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1 절첩홈(26)은 상기 절첩홈을 따라 일정하게 정첩되도록 함으로서, 구칙적인 절첩으로 절첩된 부분에 의하여 가이드캡(3)에 밀착되어 진행을 막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4d는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22) 와 제2 절개부(23)로 이루어지는 내측은 상부로 볼록한 반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의 경우 처음부터 상부로 볼록한 반구의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서 절개된 부분이 별도의 절첩을 위한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상부로 접히도록 한 실시 예에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개봉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돌출개봉부(2)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b는 상기 돌출개봉부(2)의 상면 후방은 전방과 단턱져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는 개봉되어 절첩된 부분이 용이하게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캡(3)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한 것으로서, 전술한 모든 실시 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개방구조를 가이드캡을 밀면 개방되도록 하여 안정된 동작에 의하여 용기가 흔들려 내부 음료를 흘릴 우려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량 섭취 후에 상기 가이드캡을 다시 닫으면 외기와 직접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먼지 등에 의한 음료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몸체가 연질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상부의 개봉부를 절개하여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면 일부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되 양측면은 용기(1)의 상면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상면과 인접한 양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을 구비하고, 상면은 막혀있되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절개가 용이하도록 그 경계면이 얇게 형성되는 제1 절개부(22)와, 상기 양측 제1 절개부(22)의 전방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절개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절개부(23)와 인접한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걸림홀(24)을 형성하는 돌출부(25)가 형성되는 돌출개봉부(2)와;
    상기 돌출개봉부(2)의 상면에 상응하고 후방 및 측면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개봉부(2)의 측면과 배면에 상응하여 인접하되 연장된 측면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21)에 상응하는 가이드돌출부(31)가 형성되며, 전방은 상기 돌출부(25)의 높이만큼 수직 아래로 연장되고 연장된 내측에는 후방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홀(24)에 삽입되는 걸림훅(32)이 형성되는 가이드캡(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개봉부(2)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개봉부(2)의 상면 후방은 전방과 단턱져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출부(31)는 상부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5.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부(23) 및 상기 돌출부(25)는 전방으로 볼록한 일정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6.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부(23) 및 상기 돌출부(25)는 전방으로 오목한 일정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7.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부(23) 및 상기 돌출부(25)는 전방으로 돌출된 하나의 꼭지점과 상기 꼭지점에서 양측 제1 절개부(22)의 전방 끝단으로 각각 연장되는 사선으로 이루어지는 삼각의 형태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8.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22)와 제2 절개부(23)로 이루어지는 내측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절첩홈(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9.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22)와 제2 절개부(23)로 이루어지는 내측은 상부로 볼록한 반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개방구조.
KR1020060117150A 2006-11-24 2006-11-24 음료용기 개방구조 KR10078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150A KR100789491B1 (ko) 2006-11-24 2006-11-24 음료용기 개방구조
PCT/KR2007/006000 WO2008063037A1 (en) 2006-11-24 2007-11-26 The opening of beverage vessel with sto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150A KR100789491B1 (ko) 2006-11-24 2006-11-24 음료용기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491B1 true KR100789491B1 (ko) 2007-12-28

Family

ID=3914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150A KR100789491B1 (ko) 2006-11-24 2006-11-24 음료용기 개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89491B1 (ko)
WO (1) WO20080630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12Y1 (ko) * 2008-05-19 2010-06-24 양성안 경구용 내용물 용기구조
WO2019157097A1 (en) * 2018-02-06 2019-08-1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ctuator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8875B1 (ja) 2014-03-04 2015-07-15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蓋体構造
JP5873123B2 (ja) * 2014-03-04 2016-03-01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蓋体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264U (ko) 1987-08-10 1989-02-14
KR20050040457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 입력창 커버 개폐장치
KR20060069978A (ko) * 2004-12-20 2006-06-23 최상근 캔용기 개폐장치
KR20060102532A (ko) * 2005-03-22 2006-09-27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264U (ko) 1987-08-10 1989-02-14
KR20050040457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 입력창 커버 개폐장치
KR20060069978A (ko) * 2004-12-20 2006-06-23 최상근 캔용기 개폐장치
KR20060102532A (ko) * 2005-03-22 2006-09-27 양성안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12Y1 (ko) * 2008-05-19 2010-06-24 양성안 경구용 내용물 용기구조
WO2019157097A1 (en) * 2018-02-06 2019-08-1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ctuator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US11156439B2 (en) 2018-02-06 2021-10-26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Actuator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3037A1 (en)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9873C (zh) 用于饮料杯的一次性盖
CA2258724C (en) Dome lid for drinking cup
US4767019A (en) Splash resistant cup lid
KR200461543Y1 (ko) 일회용 컵 뚜껑
US20070039960A1 (en) Spill-Resistant Reclosable Closure Assembly for a Lid
GB2426970A (en) Reclosable container such as a drink can
KR100789491B1 (ko) 음료용기 개방구조
US20030102312A1 (en) Disposable lid with cream and sugar port
JP4300882B2 (ja)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TWM580559U (zh) Cup cover structure
US11111059B2 (en) Drink-through reclosable spill resistant beverage cup lid with vent structure
KR20130107126A (ko) 선택적 결합사용이 가능한 트윈형 수용용기
JP2009083899A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US20130299447A1 (en) Bottle cap for cutting seal attached to spout of bottle
JP4671071B2 (ja) 注出装置
JP4644764B2 (ja) ホット飲料用密封容器
JP5340650B2 (ja) 合成樹脂製のケーキ収納容器
KR101036709B1 (ko) 스트로우 사용이 용이한 캔
JP2001328661A (ja) 飲物用カップの蓋
KR100333055B1 (ko)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한 캔의 구조
JPH0242582Y2 (ko)
KR200285715Y1 (ko) 음료용기
JP4222477B2 (ja) 蓋体付きキャップ
JP3100591U (ja) 飲料容器缶の飲み口
JP2001206328A (ja) 飲料用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