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213B1 - 이중 캔 - Google Patents

이중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213B1
KR101993213B1 KR1020180147280A KR20180147280A KR101993213B1 KR 101993213 B1 KR101993213 B1 KR 101993213B1 KR 1020180147280 A KR1020180147280 A KR 1020180147280A KR 20180147280 A KR20180147280 A KR 20180147280A KR 101993213 B1 KR101993213 B1 KR 10199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beverage
opening portion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봉
Original Assignee
서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봉 filed Critical 서주봉
Priority to KR102018014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213B1/ko
Priority to PCT/KR2019/015533 priority patent/WO20201116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4Details of the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중 캔은, 제1 개구부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는 외부 캔; 상기 외부 캔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개구부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 캔; 및 상기 외부 캔의 제1 개구부와 상기 내부 캔의 제2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캔 두껑을 포함하고, 상기 캔 두껑은, 상기 제1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1 개봉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1 개봉부, 상기 제2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2 개봉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2 개봉부, 상기 제1 개봉부와 상기 제2 개봉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개봉부와 상기 제2 개봉부를 개봉시킬 수 있는 개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캔 {Double cans}
본 발명은 음료용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음료를 수용하는 외부 캔과 제2 음료를 수용하는 내부 캔으로 구성된 이중 캔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 캔은 콜라, 사이다, 커피 등의 음료수나 맥주, 소주, 막걸리 등의 주류(이하, 음료수와 주류를 통칭하여 '음료'라 함)를 수용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조되는 용기이다. 음료용 캔은 유리 병이나 플라스틱 병에 비해 밀폐도가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음료용 용기로서 많이 선호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음료용 캔의 경우 하나의 캔에 한 종류의 음료를 수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음료를 하나의 캔에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는 음료용 캔에 대한 요구가 많이 있었으며, 이에 등록특허 제10-0324891호(수직분할 이중 캔), 등록실용신안 제20-0271146호(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등은 하나의 캔에 두 종류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이중 캔에 대한 기술을 선보였다.
등록특허 제10-0324891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의 중앙을 수직격벽(2)으로 분할하여 2개의 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중 캔을 구현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20-0271146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본체(30)의 내부에 소형용기(40)를 구비하여 2개의 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중 캔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324891호에 개시된 이중 캔은 두 종류의 음료를 2개의 수용공간에 각각 충입한 후 캔(1) 중앙의 수직격벽(2)과 캔 두껑을 완전히 결합시켜 2개의 수용공간을 서로 밀폐시켜야 하는데, 두 종류의 음료를 각각의 수용공간에 충입한 상태에서 수직격벽(2)과 캔 두껑을 용접 등에 의해 서로 밀폐시키는 것은 실제 기술적으로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설령 구현하더라도 제조 비용이 높아 상용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271146호에 개시된 이중 캔은 캔 본체(30) 상단의 두껑(20)에 구비된 개봉장치(50)를 따서 분리시키면 캔 본체(30) 내부의 소형용기(40)가 하부로 떨어져 두 종류의 음료가 혼합되게 되는데, 이는 단순히 혼합음료(혼합주)만을 음용할 수 있을 뿐 두 종류의 순수한 음료를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489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114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종류의 순수한 음료를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이중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종류의 순수한 음료를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이들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도 있는 이중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종류의 음료를 외부 캔과 내부 캔에 용이하게 충입할 수 있는 이중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캔에 수용된 음료와 내부 캔에 수용된 음료를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는 이중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중 캔은, 제1 개구부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는 외부 캔; 상기 외부 캔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개구부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 캔; 및 상기 외부 캔의 제1 개구부와 상기 내부 캔의 제2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캔 두껑을 포함하고, 상기 캔 두껑은, 상기 제1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1 개봉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1 개봉부, 상기 제2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2 개봉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2 개봉부, 상기 제1 개봉부와 상기 제2 개봉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개봉부와 상기 제2 개봉부를 개봉시킬 수 있는 개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캔은, 일 단부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혼합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혼합용 개봉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용 개봉부는 상기 내부 캔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내부 캔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캔 두껑에는 상기 연결부가 절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봉용 절취선과 제2 개봉용 절취선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절취선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캔은 상기 연결부와 인접하는 상부 일측에 경사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캔의 상부벽체, 상기 캔 두껑의 연결부, 및 상기 캔 두껑의 개봉부재는 리벳결합되며, 상기 리벳결합된 상기 캔 두껑의 연결부와 상기 캔 두껑의 개봉부재 사이에는 완충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캔을 개봉할 수 있는 제1 개봉부와 내부 캔을 개봉할 수 있는 제2 개봉부가 별개로 구비되고, 또한 외부 캔의 제1 음료와 내부 캔의 제2 음료를 서로 혼합할 수 있는 혼합용 개봉부가 구비되어 있어, 순수한 제1 음료와 제2 음료를 개별적으로 음용할 수 있으면서도 또한 이들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캔의 하부를 통해 제2 음료를 충입한 후 하부벽체로 제2 수용공간을 밀폐시키고 외부 캔의 상부를 통해 제1 음료를 충입한 후 내부 캔과 결합된 캔 두껑으로 제1 수용공간을 밀폐시키기 때문에, 제1 및 제2 수용공간에 제1 및 제2 음료의 충입이 용이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캔과 내부 캔에 물질 특성이 다른 두 종류의 음료를 충입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외부 캔에는 응고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음료를 충입하고 내부 캔에는 응고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음료를 충입하여 내부 캔의 음료를 시원한 상태에서 먼저 음용한 후 외부 캔의 음료를 마찬가지로 시원한 상태에서 음용하여 두 종류의 음료를 모두 시원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두껑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캔과 캔 두껑을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캔에 음료를 충입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캔에 음료를 충입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음료를 선택적으로 음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에 있어 혼합용 개봉부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이중 캔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도 3a의 A-A' 선으로 절단된 이중 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100)은 제1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캔(110), 제2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캔(120), 외부 캔(110)과 내부 캔(120)을 밀폐시키는 캔 두껑(130) 등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외부 캔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도 4a의 B-B' 선으로 절단된 외부 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캔(110)은 내부가 비어 제1 수용공간(110a)을 형성하는 외부 캔 본체(111)와 상기 외부 캔 본체(111)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외부 캔 하부벽체(112)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 캔(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제1 개구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115)를 통해 제1 음료를 제1 수용공간(110a)에 충입할 수 있다.
참고로, 외부 캔 본체(111)와 외부 캔 하부벽체(112)는 별개로 제조된 후 결합될 수도 있지만(이 경우에는 외부 캔 하부를 통해 제1 음료를 충입하고 하부벽체로 밀폐시키는 방식도 가능함), 외부 캔 본체(111)와 외부 캔 하부벽체(112)는 제조 시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 캔 본체(111)의 형상은 원통형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캔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내부 캔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도 5a의 C-C' 선으로 절단된 내부 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캔(120)은 내부가 비어 제2 수용공간(120a)을 형성하는 내부 캔 본체(121), 상기 내부 캔 본체(121)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내부 캔 하부벽체(122), 상기 내부 캔 본체(121)의 상부 일부를 밀폐시키는 내부 캔 상부벽체(123) 등으로 구성된다.
내부 캔 상부벽체(123)에는 캔 두껑(130)의 제2 개봉부(134)보다 큰 형상을 갖는 제2 개구부(125)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캔 두껑(130)의 제2 개봉부(134)가 개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2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캔 상부벽체(123)의 일부(예컨대, 캔 두껑(130)의 연결부(135) 및 개봉부재(132)와 리벳결합되는 부분) 및 이와 연결된 내부 캔 본체(121)의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용 절취선, 예컨대 제1 혼합용 절취선(126')과 제2 혼합용 절취선(126 ")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혼합용 개봉부(126)가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부 캔(120)의 상부 일측(예컨대, 캔 두껑(130)의 제1 개봉부(133)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에는 경사부(124)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개봉부(133)와 제2 개봉부(134)를 완전히 개봉한 후 혼합용 개봉부(126)를 개봉할 때 작은 힘으로 쉽게 개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두껑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캔 두껑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도 6a의 D-D' 선으로 절단된 캔 두껑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c는 개봉부재를 분리한 캔 두껑의 평면도이며, 도 6d는 개봉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두껑(130)은 외부 캔(110)과 내부 캔(120)을 밀폐시키는 캔 두껑 본체(131), 상기 캔 두껑 본체(131)에 결합되는 개봉부재(132) 등으로 구성된다.
캔 두껑 본체(131)에는 그 일측에 예컨대 대략적인 타원 형상의 제1 개봉용 절취선(133')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1 개봉부(133)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 예컨대 대략적인 타원 형상의 제2 개봉용 절취선(134')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2 개봉부(134)가 형성되며, 제1 개봉부(133)와 제2 개봉부(134)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135)가 형성된다(도 6c 참조).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35)의 가장자리에는 제1 개봉용 절취선(133')과 제2 개봉용 절취선(134')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절취선(예컨대, 제1 연결부 절취선(135')과 제2 연결부 절취선(135"))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135)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절취선(135', 135")을 따라서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개봉용 절취선(133')과 제2 개봉용 절취선(134')이 아주 인접해 있거나 서로 접해 있는 경우에는 연결부 절취선 없이 구현될 수 있다.
개봉부재(13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손잡이부(132a),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개봉부(133, 134)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132b), 캔 두껑(130)의 연결부(135)와 리벳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리벳결합용 홀(132c) 등을 구비한다(도 6d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캔과 캔 두껑을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캔 두껑 본체와 내부 캔 본체를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도 7b는 내부 캔 본체와 결합된 캔 두껑 본체에 개봉부재를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7c는 캔 두껑 본체와 개봉부재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캔 두껑 본체(131)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캔 두껑(130)의 제2 개봉부(134)가 내부 캔(120)의 제2 개구부(125) 내에 들어오도록 내부 캔 본체(121)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내부 캔(120)의 제2 개구부(125)를 따라서 또는 내부 캔(120)의 상부벽체(123)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접 등을 수행하여 내부 캔 본체(121)(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캔 상부벽체(123))와 캔 두껑 본체(131)를 결합한다(도 7a 참조).
그 후, 상호 결합된 내부 캔 본체(121)와 캔 두껑 본체(131)를 다시 뒤집어 정상 상태로 위치시킨 후 리벳결합부(136)에 개봉부재(132)를 결합시켜 내부 캔 본체(121), 캔 두껑 본체(131), 및 개봉부재(132)를 서로 결합한다(도 7b 참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캔 두껑(130)의 리벳결합부(136)에 완충링(137)을 끼운 후 개봉부재(132)를 끼워 리벳결합을 수행하며(도 7c 참조), 이에 따라 개봉부재(132)가 리벳결합부(136)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르면, 캔 두껑 본체(131)(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135))와 개봉부재(132)를 리벳결합할 때 내부 캔 상부벽체(123)(보다 구체적으로는 혼합용 개봉부(126)가 있는 부분)도 함께 리벳결합되도록 구현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음료와 제2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하고자 할 경우 개봉부재(132)로 제1 및 제2 개봉부(133, 134)와 연결부(135)를 완전히 절취한 후 혼합용 개봉부(126)로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캔에 음료를 충입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내부 캔에 제2 음료를 충입하기 위해 내부 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제2 음료 충입 후 내부 캔 하부를 하부벽체로 밀폐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캔 두껑(130)과 결합되어 있는 내부 캔 본체(121)를 뒤집어 내부 캔(120)의 하부가 위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내부 캔(120)에 제2 음료를 충입한다(도 8a 참조).
그리고, 내부 캔 하부벽체(122)를 내부 캔 본체(121)와 결합하여, 예컨대 내부 캔 하부벽체(122)의 가장자리와 내부 캔 본체(121)의 하부 가장자리를 시밍(seaming) 결합하여, 내부 캔(120)의 제2 수용공간(120a)에 제2 음료가 완전 밀폐상태로 수용되게 한다(도 8b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캔에 음료를 충입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외부 캔에 제1 음료를 충입하기 위해 외부 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b는 제1 음료 충입 후 외부 캔 상부를 내부 캔과 결합된 캔 두껑으로 밀폐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외부 캔 본체(111)를 정상 상태로 위치시킨 후 외부 캔(110)에 제1 음료를 충입한다(도 9a 참조). 이 경우, 제1 음료는 내부 캔(120)이 차지하는 공간을 고려하여 적당량을 충입한다.
그리고, 제2 음료가 충입된 내부 캔(120)과 결합되어 있는 캔 두껑(130)을 상부 캔 본체(111)와 결합하여, 예컨대 캔 두껑 본체(131)의 가장자리와 외부 캔 본체(111)의 상부 가장자리를 시밍(seaming) 결합하여, 외부 캔(110)의 제1 수용공간(110a)에 제1 음료가 완전 밀폐상태로 수용되게 한다(도 9b 참조). 그러면, 외부 캔(110)에는 제1 음료가 충입되고 외부 캔(110)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캔(120)에는 제2 음료가 충입된 이중 캔(100)이 완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음료를 선택적으로 음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외부 캔에 들어 있는 제1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b는 내부 캔에 들어 있는 제2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만약 사용자가 외부 캔(110)에 들어 있는 제1 음료를 마시고 싶은 경우, 개봉부재(132)의 가압부(132b)를 제1 개봉부(133)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32a)를 위로 당기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가압부(132b)가 제1 개봉부(133)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제1 개봉부(133)가 제1 개봉용 절취선(133')을 따라서 절취되어 개봉되게 된다(도 10a 참조).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내부 캔(120)에 들어 있는 제2 음료를 마시고 싶은 경우, 개봉부재(132)의 가압부(132b)를 제2 개봉부(134)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위로 손잡이부(132a)를 당기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가압부(132b)가 제2 개봉부(13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제2 개봉부(134)가 제2 개봉용 절취선(134')을 따라서 절취되어 개봉되게 된다(도 10b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캔에 들어 있는 순수한 제1 음료와 내부 캔에 들어 있는 순수한 제2 음료를 개별적으로 마실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음료를 혼합하여 음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도 11a는 혼합용 개봉부를 절취하기 위해 개봉부재를 세운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b는 개봉부재로 혼합용 개봉부를 일부 절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c는 개봉부재로 혼합용 개봉부를 완전히 절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만약 사용자가 외부 캔(110)에 들어 있는 제1 음료와 내부 캔(120)에 들어 있는 제2 음료를 혼합하여 마시고 싶은 경우, 개봉부재(132)의 가압부(132b)를 제2 개봉부(134)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32a)를 위로 당겨 제2 개봉부(134)를 절취하고(도 10b 참조), 개봉부재(132)의 가압부(132b)를 180도 회전시켜 제1 개봉부(133)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32a)를 위로 당겨 제1 개봉부(133)를 절취한 후(도 10a 참조), 개봉부재(132)의 손잡이부(132a)를 위로 더 당겨 연결부(135)마져 절취하여 캔 두껑(130)에서 개봉부재(132)를 완전히 분리시킨다(도 11a 참조).
그리고, 개봉부재(132)의 손잡이부(132a)를 계속 위로 당기거나 및/또는 옆으로 돌려 내부 캔(120)의 혼합용 개봉부(126)가 제1 및 제2 혼합용 절취선(126', 126")을 따라서 조금씩 절취되도록 한다(도 11b 참조). 이러한 과정을 계속하여 혼합용 개봉부(126)가 완전히 절취되어 내부 캔(120)로부터 분리되면, 혼합용 개봉부(126)와 결합되어 있는 개봉부재(132)를 완전히 빼내며, 이에 따라 내부 캔(120)은 하부로 떨어져 그 내부에 있던 제2 음료가 외부 캔의 제1 음료와 혼합되게 된다(도 11c 참조).
마지막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캔에서 혼합용 개봉부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개봉부(126)는 내부 캔 본체(121)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시계방향으로 절취하는 방식(도 12a 참조), 반시계방향으로 절취하는 방식(도 12b 참조), 양방향으로 절취하는 방식(도 12c 참조) 등에 의해 절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캔 본체(121)의 측면에 경사부(124)를 따라서 상하방향(내부 캔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1 및 제2 개봉부(133, 134)와 연결부(135)를 완전히 절취한 후 계속 위로 당기면 절취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중 캔
110: 외부 캔 110a: 제1 수용공간
111: 외부 캔 본체 112: 외부 캔 하부벽체
115: 제1 개구부
120: 내부 캔 120a: 제2 수용공간
121: 내부 캔 본체 122: 내부 캔 하부벽체
123: 내부 캔 상부벽체 124: 경사부
125: 제2 개구부 126: 혼합용 개봉부
130: 캔 두껑 131: 캔 두껑 본체
132: 개봉부재 133: 제1 개봉부
134: 제2 개봉부 135: 연결부
136: 리벳결합부 137: 완충링

Claims (8)

  1. 제1 개구부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는 외부 캔;
    상기 외부 캔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2 개구부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 캔; 및
    상기 외부 캔의 제1 개구부와 상기 내부 캔의 제2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캔 두껑을 포함하고,
    상기 캔 두껑은, 상기 제1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1 개봉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1 개봉부, 상기 제2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부분에 형성되며 제2 개봉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제2 개봉부, 상기 제1 개봉부와 상기 제2 개봉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개봉부와 상기 제2 개봉부를 개봉시킬 수 있는 개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캔은, 일 단부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혼합용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될 수 있는 혼합용 개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개봉부와 상기 제2 개봉부는 상기 캔 두껑에 있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절취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용 개봉부는 상기 제1 개봉부 및 상기 제2 개봉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개봉부와 함께 상기 연결부가 절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혼합용 절취선을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 개봉부는 상기 내부 캔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 개봉부는 상기 내부 캔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캔.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두껑에는 상기 연결부가 절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봉용 절취선과 제2 개봉용 절취선을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캔.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캔은 상기 연결부와 인접하는 상부 일측에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캔.
  7.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캔의 상부벽체, 상기 캔 두껑의 연결부, 및 상기 캔 두껑의 개봉부재는 리벳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결합된 상기 캔 두껑의 연결부와 상기 캔 두껑의 개봉부재 사이에 완충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캔.
KR1020180147280A 2018-11-26 2018-11-26 이중 캔 KR10199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80A KR101993213B1 (ko) 2018-11-26 2018-11-26 이중 캔
PCT/KR2019/015533 WO2020111600A1 (ko) 2018-11-26 2019-11-14 이중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80A KR101993213B1 (ko) 2018-11-26 2018-11-26 이중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213B1 true KR101993213B1 (ko) 2019-06-26

Family

ID=6710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80A KR101993213B1 (ko) 2018-11-26 2018-11-26 이중 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3213B1 (ko)
WO (1) WO20201116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00A1 (ko) * 2018-11-26 2020-06-04 서주봉 이중 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621U (ja) * 1984-06-13 1986-02-24 北海製罐株式会社 簡易開口容器
JPH0516939A (ja) * 1991-07-01 1993-01-26 Mitsuhisa Nakagawa 調味可能な飲料容器
KR200271146Y1 (ko) 2002-01-23 2002-04-09 주경원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100324891B1 (ko) 1998-08-11 2002-08-21 김정인 수직분할이중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515U (ko) * 2008-11-20 2010-05-28 김주일 음료용 캔
US7967135B2 (en) * 2009-03-06 2011-06-28 Barry Boatner Bifurcated beverage can with unified opening and mixing operation
KR101993213B1 (ko) * 2018-11-26 2019-06-26 서주봉 이중 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0621U (ja) * 1984-06-13 1986-02-24 北海製罐株式会社 簡易開口容器
JPH0516939A (ja) * 1991-07-01 1993-01-26 Mitsuhisa Nakagawa 調味可能な飲料容器
KR100324891B1 (ko) 1998-08-11 2002-08-21 김정인 수직분할이중캔
KR200271146Y1 (ko) 2002-01-23 2002-04-09 주경원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600A1 (ko) * 2018-11-26 2020-06-04 서주봉 이중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600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141A (en) Beverage storage and mixing device
EP1947024B1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US20090272747A1 (en) Multi-compartment fluid storage device
US7967135B2 (en) Bifurcated beverage can with unified opening and mixing operation
US20120055818A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US8584890B2 (en) Multiple-opening container and method
BR112015002642A2 (pt) recipientes resseláveis de bebidas, métodos para obtenção de topo de lata resselável e tampas resseláveis para recipiente de bebidas
US3081926A (en) Containers and closures therefor
JPH02127221A (ja) 飲料パッケージ方法及び飲料パッケージ構造
KR101993213B1 (ko) 이중 캔
US7896154B2 (en) Bifurcated beverage can with unified opening and mixing operation
US6173579B1 (en) Sealed liquid container
CN216187569U (zh) 一种可多次开启密封的杯盖及使用其的容器
US20230105236A1 (en) Multilayer drinking can system
KR200271146Y1 (ko)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JP2014061925A (ja) 二室容器
KR102170442B1 (ko) 이중 캔
KR20210000791U (ko) 이액 음료 용기캔
CN212606882U (zh) 一种瓶盖结构
CN212710733U (zh) 一种瓶盖
KR101261475B1 (ko) 원터치식 혼합용 뚜껑조립체
JP2001206428A (ja) 飲料容器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JP2003034367A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