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202B1 -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202B1
KR102656202B1 KR1020220159436A KR20220159436A KR102656202B1 KR 102656202 B1 KR102656202 B1 KR 102656202B1 KR 1020220159436 A KR1020220159436 A KR 1020220159436A KR 20220159436 A KR20220159436 A KR 20220159436A KR 102656202 B1 KR102656202 B1 KR 10265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piping part
beverage
seating
leak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룡
Original Assignee
박태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룡 filed Critical 박태룡
Priority to KR102022015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빨대 조립체는, 내부에 음료를 수납할 수 있는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빨대 조립체로서, 상기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에 탈착 가능한 구조이고, 음료수납용기의 내측 바닥면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관상형 구조이며, 하단이 밀폐된 구조이고,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 다수의 제1관통구가 형성된 제1배관부; 상기 제1배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배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누수방지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안착홈; 상기 제1배관부의 하단과 안착홈 사이에 배치되고, 음료에 의해 부유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며, 음료에 의해 부유하여 제1배관부의 하단을 밀폐하는 구조의 누수방지부재; 및 상기 제1배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배관부의 하단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배관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관상형 구조이며, 상단에 음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구조가 형성된 제2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수납용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음용자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제거한 후에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수납되었던 음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Straw Assembly Having Leak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빨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납용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음료의 외부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대는 음료를 마시기 편하도록 컵 뚜껑구멍에 꽂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빨대는 컵 뚜껑구멍에 꽂아 사용할 경우 컵 뚜껑구멍의 틈 사이와 맞지 않아 음료가 새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트로우고정대 및 안심스트로우" 등록(20-0288582)이 있었다.(도 1 참조)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로우고정대 및 안심스트로우" 등록(20-0288582)은 빨대를 뚜껑구멍에 꽂아 사용할 때 빨대의 주름이 컵 뚜껑구멍 틈을 완벽하게 막아주기 어렵다는 점과 그렇기에 주름 사이로 여전히 음료가 샐 수 있는 점, 빨대의 주름이 변형된다면 전혀 기대한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빨대의 가운데 부분만 두껍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77776호 (공개일자: 2022년06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수납용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음용자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제거한 후에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수납되었던 음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빨대 조립체는, 내부에 음료를 수납할 수 있는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빨대 조립체로서, 상기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에 탈착 가능한 구조이고, 음료수납용기의 내측 바닥면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관상형 구조이며, 하단이 밀폐된 구조이고,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 다수의 제1관통구가 형성된 제1배관부; 상기 제1배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배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누수방지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안착홈; 상기 제1배관부의 하단과 안착홈 사이에 배치되고, 음료에 의해 부유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며, 음료에 의해 부유하여 제1배관부의 하단을 밀폐하는 구조의 누수방지부재; 및 상기 제1배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배관부의 하단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배관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관상형 구조이며, 상단에 음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구조가 형성된 제2배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부는, 상기 제1배관부의 상부에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과 결속되는 나사산 구조의 탈착부; 및 상기 제1배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고, 제1배관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배관부에 형성된 결착돌기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착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관부는, 상기 제2배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고, 제2배관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배관부에 형성된 결착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결착돌기; 상기 제2배관부의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결착홈과 결착돌기에 의해 제2배관부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누수방지부재를 하방으로 밀어 제1배관부의 하단과 인접하여 위치변경하는 하단연장부; 및 상기 하단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제3관통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관부는,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하부면과 제1배관부의 하단 내측면 사이에 장착되고, 누수방지부재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누수방지부재가 제1배관부의 하단을 밀폐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방으로 점차 폭이 감소하는 경사면구조 또는 곡면구조이고, 제1배관부의 중공형 구조의 중심으로 향해 수렴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안착천정면; 상기 안착천정면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제1배관부의 하단과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는 안착측면; 및 상기 안착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제2관통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안착측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내경 대비 90 내지 99% 길이의 외경을 가지고, 안착천정면이 형성하는 곡면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구형 구조이거나, 상기 안착측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내경 대비 90 내지 99% 길이의 외경을 가지고, 안착천정면이 형성하는 경사면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빨대 조립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배관부, 안착홈, 누수방지부재 및 제2배관부를 구비함으로써, 음료수납용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음용자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제거한 후에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수납되었던 음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빨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조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빨대 조립체에서 제2배관을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6든 도 3에 도시된 빨대 조립체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 및 누수방지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빨대 조립체에 탄성부재가 추가로 장착된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조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빨대 조립체(100)는, 내부에 음료를 수납할 수 있는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특정 구조의 제1배관부(110), 안착홈(130), 누수방지부재(140) 및 제2배관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음료수납용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음용자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제거한 후에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수납되었던 음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음료수납용기(10)의 상단과 상부 뚜껑(11)이 하단 즉, 두 구성의 결속부분(F)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결속되거나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열융착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음료수납용기(10)를 실수로 지면 상에 낙하시키더라도 상부 뚜껑(11)이 음료수납용기(10)로부터 탈거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빨대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빨대 조립체에서 제2배관을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배관부(110)는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서, 음료수납용기의 내측 바닥면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관상형 구조이며, 하단이 밀폐된 구조이고,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 다수의 제1관통구(H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배관부(110)는 특정 구조의 탈착부(111) 및 결착홈(11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1배관부(110)의 탈착부(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부(110)의 상부에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과 결속되는 나사산 구조이다. 제1배관부(110)의 결착홈(1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배관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배관부(120)에 형성된 결착돌기(121)와 대응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배관부(120)는 제1배관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배관부(110)의 하단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제1배관부(11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관상형 구조이며, 상단에 음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배관부(120)는 특정 구조의 결착돌기(121), 하단연장부(122) 및 제3관통구(H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2배관부(120)의 결착돌기(121)는, 제2배관부(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2배관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배관부(110)에 형성된 결착홈(112)과 대응되는 구조이다. 제2배관부(120)의 하단연장부(122)는, 제2배관부(120)의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결착홈(112)과 결착돌기(121)에 의해 제2배관부(1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누수방지부재(140)를 하방으로 밀어 제1배관부(110)의 하단과 인접하여 위치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배관부(120)의 제3관통구(H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연장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130)은 제1배관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배관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누수방지부재(14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30)은 특정 구조의 안착천정면(131), 안착측면(132) 및 제2관통구(H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안착홈(130)의 안착천정면(131)은, 상방으로 점차 폭이 감소하는 경사면구조 또는 곡면구조이고, 제1배관부(110)의 중공형 구조의 중심으로 향해 수렴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안착홈(130)의 안착측면(132)은, 안착천정면(13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제1배관부(110)의 하단과 일체형 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안착홈(130)의 제2관통구(H2)는, 안착측면(13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부재(140)는 제1배관부(110)의 하단과 안착홈(13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음료에 의해 부유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며, 음료에 의해 부유하여 제1배관부(110)의 하단을 밀폐하는 구조이다.
도 6에는 도 3에 도시된 빨대 조립체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 및 누수방지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빨대 조립체에 탄성부재가 추가로 장착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3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부재(140)는, 안착측면(132)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내경 대비 90 내지 99% 길이의 외경을 가지고, 안착천정면(131)이 형성하는 곡면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구형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방지부재(140)는, 안착측면(132)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내경 대비 90 내지 99% 길이의 외경을 가지고, 안착천정면(131)이 형성하는 경사면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누수방지부재(140)의 하부면과 제1배관부(110)의 하단 내측면 사이에 탄성부재(113)가 더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113)는, 누수방지부재(14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누수방지부재(140)가 제1배관부(110)의 하단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13)의 상방 가압력의 크기는 제2배관부(120)를 이용하여 눌러 좌굴 시킬 수 있는 가압력의 크기보다 작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빨대 조립체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배관부(110), 안착홈(130), 누수방지부재(140) 및 제2배관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음료수납용기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음용자의 입과 접촉되는 부분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제거한 후에도 음료수납용기로부터 수납되었던 음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빨대 조립체
110: 제1배관부
111: 탈착부
112: 결착홈
113: 탄성부재
120: 제2배관부
121: 결착돌기
122: 하단연장부
130: 안착홈
131: 안착천정면
132: 안착측면
140: 누수방지부재
H1: 제1관통구
H2: 제2관통구
H3: 제3관통구

Claims (5)

  1. 내부에 음료를 수납할 수 있는 음료수납용기(10)의 상부 뚜껑(11)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빨대 조립체(100)로서,
    상기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에 탈착 가능한 구조이고, 음료수납용기의 내측 바닥면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관상형 구조이며, 하단이 밀폐된 구조이고,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 다수의 제1관통구(H1)가 형성된 제1배관부(110);
    상기 제1배관부(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배관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누수방지부재(14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안착홈(130);
    상기 제1배관부(110)의 하단과 안착홈(130) 사이에 배치되고, 음료에 의해 부유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며, 음료에 의해 부유하여 제1배관부(110)의 하단을 밀폐하는 구조의 누수방지부재(140); 및
    상기 제1배관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배관부(110)의 하단까지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배관부(11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관상형 구조이며, 상단에 음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구조가 형성된 제2배관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관부(110)는,
    상기 제1배관부(110)의 상부에 소정 높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음료수납용기의 상부 뚜껑과 결속되는 나사산 구조의 탈착부(111); 및
    상기 제1배관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고, 제1배관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배관부(120)에 형성된 결착돌기(121)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착홈(112);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관부(120)는,
    상기 제2배관부(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고, 제2배관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배관부(110)에 형성된 결착홈(112)과 대응되는 구조의 결착돌기(121);
    상기 제2배관부(120)의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결착홈(112)과 결착돌기(121)에 의해 제2배관부(1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누수방지부재(140)를 하방으로 밀어 제1배관부(110)의 하단과 인접하여 위치변경하는 하단연장부(122); 및
    상기 하단연장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제3관통구(H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부(110)는,
    상기 누수방지부재(140)의 하부면과 제1배관부(110)의 하단 내측면 사이에 장착되고, 누수방지부재(14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누수방지부재(140)가 제1배관부(110)의 하단을 밀폐시키는 탄성부재(1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30)은,
    상방으로 점차 폭이 감소하는 경사면구조 또는 곡면구조이고, 제1배관부(110)의 중공형 구조의 중심으로 향해 수렴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안착천정면(131);
    상기 안착천정면(13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제1배관부(110)의 하단과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는 안착측면(132); 및
    상기 안착측면(13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제2관통구(H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140)는,
    상기 안착측면(132)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내경 대비 90 내지 99% 길이의 외경을 가지고, 안착천정면(131)이 형성하는 곡면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구형 구조이거나,
    상기 안착측면(132)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내경 대비 90 내지 99% 길이의 외경을 가지고, 안착천정면(131)이 형성하는 경사면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원통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조립체.
KR1020220159436A 2022-11-24 2022-11-24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KR10265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436A KR102656202B1 (ko) 2022-11-24 2022-11-24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436A KR102656202B1 (ko) 2022-11-24 2022-11-24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202B1 true KR102656202B1 (ko) 2024-04-08

Family

ID=9071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436A KR102656202B1 (ko) 2022-11-24 2022-11-24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2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292Y1 (ko) * 2004-06-08 2004-09-21 주식회사 반포유통 생수통 공기유입관의 물차단구조
US20050092373A1 (en) * 2003-10-30 2005-05-05 Schafer Christopher E. Fluid retaining apparatus with ball valve
KR200392270Y1 (ko) * 2005-05-24 2005-08-19 수 길 신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KR20130137737A (ko) * 2012-06-08 2013-12-18 김재홍 빨대가 내장된 컵
KR20220077776A (ko) 2020-12-02 2022-06-09 고재근 음료의 누수를 막아주는 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2373A1 (en) * 2003-10-30 2005-05-05 Schafer Christopher E. Fluid retaining apparatus with ball valve
KR200362292Y1 (ko) * 2004-06-08 2004-09-21 주식회사 반포유통 생수통 공기유입관의 물차단구조
KR200392270Y1 (ko) * 2005-05-24 2005-08-19 수 길 신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KR20130137737A (ko) * 2012-06-08 2013-12-18 김재홍 빨대가 내장된 컵
KR20220077776A (ko) 2020-12-02 2022-06-09 고재근 음료의 누수를 막아주는 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83154A1 (en) Beverage container for child
TWI412471B (zh) Water supply bottle
US7677422B2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US20110278256A1 (en) Bottle stopper
KR880002730A (ko) 개량된 측면벽 구조물을 갖는 압력용기
JP643043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キャップ
KR102656202B1 (ko)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JP6174096B2 (ja) パッキンを具備した密閉容器蓋
RU2370423C2 (ru) Плавучая многокамерная вставка для емкостей для жидкостей
ES2184222T3 (es) Contenedor de bebida u otro liquido con pico vertedor desplegable.
JP5295816B2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飲料用ボトル
KR200485719Y1 (ko) 수밀용기용 에어벤트 구조체
JP466487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RU213111U1 (ru) Трубка для питья, встраиваемая в упаковку для напитков
KR200378398Y1 (ko) 애완동물용 급수통
KR101115352B1 (ko)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KR200479688Y1 (ko)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JP3222647U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240000590U (ko) 고형체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액체분리형 용기마개
KR20220003942A (ko) 차단홈을 구비하는 음료 용기
CN111169795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JP2009541162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