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88Y1 -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88Y1
KR200479688Y1 KR2020140004998U KR20140004998U KR200479688Y1 KR 200479688 Y1 KR200479688 Y1 KR 200479688Y1 KR 2020140004998 U KR2020140004998 U KR 2020140004998U KR 20140004998 U KR20140004998 U KR 20140004998U KR 200479688 Y1 KR200479688 Y1 KR 200479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ap
hole
holde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888U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ublication of KR20150002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가 요구르트를 빨대로 마시게 될 때, 요구르트가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며, 유아의 실수로 빨대를 뽑아 요구르를 쏟지 않도록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요구르트병이 수납되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상부캡; 상기 지지판에 안착되고, 빨대결합공이 형성된 빨대꽂이와 상기 상부캡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빨대끼움관이 형성되는 푸쉬캡과, 상기 빨대꽂이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빨대꽂이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구르트병 수납용기{Case for yogurt pot}
본 고안은 요구르트병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르트병을 수납하는 용기에 푸쉬캡의 가압여부에 따라 빨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확장 또는 빨대의 외주부에 밀착되게 수축된다.
유아가 가장 많이 섭취하는 음료중 하나는 요구르트인데, 요구르트를 섭취하는 방법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요구르트 용기 뚜껑에 빨대를 꽂아 빨대로 요구르트를 섭취하는 것이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1996-0000862(1996.02.02) 빨대꽂이구멍을 가지는병뚜껑이 개시되어있다.
상기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병뚜껑의 상면에 말굽형상의 절취선에 의하여 일부 절취될 수 있도록 한 빨대 꽂이 절취부에 활형상 요홈을 가지는 누름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빨대 꽂이 절취부와는 별도로 절취선에 의하여 절취될 수 있도록 한 공기 유통 절취부를 형성하여, 뚜껑의 평면에 상기의 누름돌기의 높이보다 높은 단턱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꽂이 구멍을 가지는 병뚜껑이 개시되어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유아는 요구르트를 쥔 손의 악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힘들기 때문에, 요구르트병을 가압하여 빨대꽂이절취부로 요구르트가 넘쳐 흐르거나, 요구르트병을 기울여 요구르트가 새어나오고, 또는 유아가 빨대를 뽑아 요구르트를 쏟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가 요구르트를 빨대로 마시게 될 때, 유아가 빨대를 뽑지 못하도록 하고, 요구르트가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된 본 고안의 목적은 요구르트병이 수납되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끼움공에 결합되고, 빨대끼움공이 형성된 꼭지부가 구비된 빨대꽂이와, 상기 상부캡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꼭지부가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된 테이퍼부가 구비되며, 평상시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되어 상기 테이퍼부의 내벽을 통해 상기 빨대끼움공을 수축시키고, 가압에 따른 하향이동 시 상기 빨대끼움공을 원상복원시키는 푸쉬캡과, 상기 상부캡의 지지판에 안착되고 상기 테이퍼부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꼭지부는 상부가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 내경보다 큰 지름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 내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꼭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빨대끼움공이 수축되고, 상기 푸쉬캡을 가압하여 상기 테이퍼부가 하향이동하면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이 상기 꼭지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빨대끼움공이 원상복원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빨대결합공의 내벽에는 신축돌기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빨대꽂이부의 꼭지부 하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빨대꽂이부가 상기 상부캡의 끼움공에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요구르트병이 수납되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상부캡과, 상기 지지판에 안착되고 빨대결합공이 형성된 빨대꽂이와, 상기 상부캡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빨대끼움관이 형성되는 푸쉬캡과, 상기 빨대꽂이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빨대꽂이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빨대꽂이의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빨대꽂이를 보호하기위해 가압보호판이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빨대끼움관은 하단부가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빨대결합공은 상단부가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빨대끼움관이 상기 빨대가압부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빨대꽂이의 외주면과 빨대결합공 사이에는 신축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빨대끼움관이 상기 빨대결합공에 삽입될 때 상기 빨대결합공이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빨대꽂이의 하단에는 뚜껑형태의 보조캡이 안착되고, 상기 보조캡은 상기 꼭지부 내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꼭지결합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꼭지결합부는,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막과 통공이 형성된 차단막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질막과 통공 사이에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요구르트병을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내부에 수납하게 되어 요구르트병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오더라도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내부에 고이기 때문에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요구르트병 수납용기에는 빨대꽂이가 형성되어 빨대의 외주부를 밀폐하게 되므로 내용물이 빨대의 외주부를 따라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푸쉬캡이 상기 빨대꽂이를 한번 더 고정함으로써 빨대를 고정하여 유아가 실수로 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분해도.
도3a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단면 작동도.
도3b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보조캡이 장착된 단면도와 보조캡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분해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단면 작동도.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빨대끼움공의 단면작동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요구르트병 수납용기(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르트병이 수납되는 하부용기(210); 상기 하부용기(2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끼움공(234)이 형성된 지지판(232)을 구비하는 상부캡(230); 상기 상부캡(230)의 끼움공(234)에 결합되고, 빨대끼움공(258)이 형성된 꼭지부(254)가 구비된 빨대꽂이(250); 상기 상부캡(230)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꼭지부(254)가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된 테이퍼부(276)가 구비되며, 평상시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되어 상기 테이퍼부(276)의 내벽을 통해 상기 빨대끼움공(258)을 수축시키고, 가압에 따른 하향이동 시 상기 빨대끼움공(258)을 원상복원시키는 푸쉬캡(270); 및 상기 상부캡(230)의 지지판(232)에 안착되고 상기 테이퍼부(276)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270)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탄성부재(290)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하부용기(210)는, 요구르트병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기성 요구르트병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길쭉한 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후술될 상부캡(230)을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돌기(212)가 형성된다. 결합돌기(212)는 돌림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링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하부용기(210)의 상단에는 상부캡(230)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캡(2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중앙에 끼움공(234)이 형성된 지지판(232)이 구비된다. 하단 내벽에는 상기 하부용기에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간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중간부에 형성된 지지판(232)은 후술될 빨대꽂이(250)가 끼워지는 끼움공(234)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단에 이르는 구간은 후술될 푸쉬캡(270)이 상하 운동 하는 구간으로 내벽이 상기 지지판(232)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푸쉬캡(270)이 상기 상부캡(2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236)이 형성된다.
전술된 상부캡(230)에는 빨대꽂이(250)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 빨대꽂이(250)는 판형으로 형성된 하단면(252)과 상기 하단면(252)으로부터 젖꼭지 형태로 융기하여 형성된 꼭지부(254)와, 상기 하단면(252)과 꼭지부(254)를 관통하여 형성된 빨대끼움공(258)으로 구성된다. 상기 꼭지부(254)의 하단면(252)은 상기 지지판(23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꼭지부(254)는 상기 지지판(232)의 끼움공(234)에 끼워져 상기 지지판(23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빨대꽂이(250)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다.
전술된 빨대꽂이(250)의 상단에는 푸쉬캡(270)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 푸쉬캡(270)은 상기 상부캡(230)의 상단으로부터 지지판(232)까지 승강운동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캡(23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푸쉬캡(270)의 외벽이 형성되고, 외벽하단에는 상기 상부캡(230)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이탈방지턱(274)이 형성된다. 중앙에는 상단의 직경이 상기 꼭지부(254)의 상부 직경보다 크고 하단의 직경이 상기 꼭지부(254)의 상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테이퍼부(276)가 구비되어, 상기 테이퍼부(276)가 상향이동 시에는 상기 꼭지부(254)의 상부가 가압되어 상기 빨대끼움공(258)이 수축하게 되고, 상기 테이퍼부(276)가 하향이동 시에는 상기 꼭지부(254)의 가압이 해재되어 상기 빨대끼움공(258)이 원상복원되게 된다.
전술된 상부캡(230)의 지지판(232)에는 탄성부재(290)가 안착되게 되는데, 이 탄성부재(290)는 상기 푸쉬캡(270)의 테이퍼부(276)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270)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푸쉬캡(270)은 평상시 상향으로 탄성편향되어 테이퍼부(276)의 하단이 상기 빨대꽂이(250)를 가압하게 되므로 빨대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빨대의 외주부를 밀폐하게 되며, 상기 푸쉬캡(270)을 가압하여 하향이동 시키면 상기 테이퍼부(276)의 하단이 상기 꼭지부(254)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빨대끼움공(258)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빨대끼움공(258)으로 빨대를 꽂기 용이하게 된다.
전술된 빨대꽂이(250)의 꼭지부(254)는 상부 외경이 상기 테이퍼부(276)의 하단 내경보다 큰 지름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56)가 구비되는데, 이 돌출부(256)는 상기 테이퍼부(276)의 상단 내경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276)의 하단 내경은 상기 꼭지부(254)의 하부 외경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테이퍼부(276)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돌출부(256)가 가압 또는 가압해제 됨으로써 상기 꼭지부(254)의 중앙을 관통하며 형성된 빨대끼움공(258)이 수축하거나 원상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빨대끼움공(258)이 수축하면 빨대의 외주부를 가압하여 밀폐 고정 시키게 되고, 상기 빨대끼움공(258)이 원상복원되면 빨대를 상기 빨대끼움공(258)으로 꽂거나 뺄수 있는 것이다.
전술된 빨대꽂이(250)의 꼭지부(254) 하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2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262)는 상기 빨대꽂이(250)가 상기 상부캡(230)의 끼움공(234)에 억지끼움하여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빨대꽂이(250)의 하단면(252)이 상기 지지판(232)의 하단면(252)에 밀착되고, 상기 꼭지부(254)가 상기 끼움공(234)에 결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하단면(252)으로부터 상기 지지판(232)의 두께만큼 이격되고, 상기 끼움공(23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꼭지부(254)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신축돌기(2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신축돌기(260)는 빨대끼움공(258)으로 빨대가 삽입될 때 마찰력을 줄이고, 빨대가 삽입되었을때 가압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빨대끼움공(258)의 내벽 상단으로부터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신축돌기(260)는 꼭지부(254)의 내벽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4개가 형성되며, 푸쉬캡(270)이 하향상태일 때 4개의 신축돌기(260) 내벽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며, 푸쉬캡(270)이 상향상태일 때 꼭지부(254)가 가압되면 빨대끼움공(258)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4개 신축돌기(260)의 내벽 양측이 접촉하면서 빨대를 가압하게 된다. 빨대끼움공(258)의 상단은 신축돌기(260)의 내벽의 직경과 같은 직경을 갖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신축돌기(260)는 상기 빨대끼움공(258)의 상단으로부터 약 4mm정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신축돌기(260) 사이의 홈을 타고 요구르트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빨대꽂이(250) 하단에는 보조캡(300)이 안착되는데, 상기 보조캡(300)은 요구르트병 수납용기의 수밀성을 더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보조캡(300)은 상기 꼭지부(254) 내측에 밀착 삽입되는 꼭지결합부(310)가 구비된 상판(302)과, 상기 상판(30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측면판(304)으로 구성된 뚜껑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꼭지결합부(310)는 연질막(312)과 차단막(316)이 중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연질막(312)은 상기 꼭지결합부(3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십(十)자 형태의 절개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막(316)은 상기 꼭지결합부(3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통공(318)이 형성되며, 상기 연질막(312)과 차단막(316) 사이에는 공간부(v)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캡(300)의 상판은 내구성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 가장자리가 두꺼운 후막(330)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막(330)으로부터 상기 꼭지결합부(310)에 이러는 구간은 연질의 박막(320)으로 형성되되 상기 꼭지결합부(310)와 연질의 박막(320)이 결합되는 부분은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작동법을 살펴보면, 요구르트병(20)을 하부용기(210)에 수납하고, 상부캡(230)을 억지끼움 또는 나사돌림하여 상기 하부용기(210)의 상단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푸쉬캡(270)을 가압하여 하향이동시켜 빨대끼움공(258)을 통해 빨대를 꽂은후 푸쉬캡(270)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푸쉬캡(270)을 상향이동시킨다. 푸쉬캡(270)이 상향이동하면서 테이퍼부(276)가 꼭지부(254)를 가압하여 빨대끼움공(258)이 수축하여 빨대(10)의 외주부를 밀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꼭지부(254)에는 보조캡(300)에 형성된 꼭지결합부(310)가 밀착 결합되고, 상기 꼭지결합부(310)에 형성된 절개부(314)와 통공(316)에 빨대가 관통됨으로써 빨대 주변을 한번 더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요구르트를 마실 때 요구르트 수납용기(200)를 흔들거나 가압하더라도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되고, 빨대(10)가 상기 푸쉬캡(270)에 의해 고정되므로 유아가 빨대(10)를 뽑지 못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요구르트병 수납용기(1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르트병이 수납되는 하부용기(110); 상기 하부용기(110)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끼움공(134)이 형성된 지지판(132)을 구비하는 상부캡(130); 상기 지지판(132)에 안착되고, 빨대결합공(156)이 형성된 빨대꽂이(150); 상기 상부캡(130)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빨대끼움관(176)이 형성되는 푸쉬캡(170); 및 상기 빨대꽂이(150)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빨대꽂이(150)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170)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탄성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를 참조하면, 하부용기(110)는, 요구르트병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기성 요구르트병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길쭉한 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후술될 상부캡(130)을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돌기(112)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12)는 돌림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링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하부용기(110)의 상단에는 상부캡(130)이 결합되는데, 이 상부캡(1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중앙에 끼움공(134)이 형성된 지지판(132)이 구비된다. 하단 내벽에는 상기 하부용기(110)에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간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중간부에 형성된 지지판(132)은 빨대가 통과하게 되는 끼움공(134)이 형성되며, 후술될 빨대꽂이(15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단에 이르는 구간은 후술될 푸쉬캡(170)이 상하 운동 하는 구간으로 내벽이 상기 지지판(132)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푸쉬캡(170)이 상기 상부캡(1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136)이 형성된다.
전술된 상부캡(130)의 지지판(132)에는 빨대꽂이(150)가 안착되는데, 이 빨대꽂이(150)는 상기 지지판(132)에 안착되도록 하단면(152)이 상기 지지판(132)의 직경과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면(15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몸체(154)가 상기 하단면(152)으로부터 일체로 융기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154)와 하단면(152)을 관통하면서 빨대 결합공(156)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빨대결합공(156)은 기성 빨대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며, 빨대가 상기 빨대결합공(156)에 꽂혔을 때 빨대의 외주부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빨대결합공(156)은 탄성력과 밀폐력이 필요하므로 상기 빨대꽂이(150)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빨대꽂이(150) 상단에는 푸쉬캡(170)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 푸쉬캡(170)은 상기 상부캡(130)의 지지판(132)으로부터 상단으로 승강운동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빨대꽂이(150)와 상기 상부캡(13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외벽(172)이 형성되고, 외벽(172) 하단에는 상기 상부캡(130)의 걸림턱(136)에 걸리도록 이탈방지턱(174)이 형성된다. 중앙에는 빨대가 삽입되기 쉽도록 기성 빨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 관 형태의 빨대끼움관(176)이 형성된다. 상기 빨대끼움관의 상부(178)는 빨대를 꽂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의 직경이 넓은 깔대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빨대결합공(156)에 삽입될 때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홈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푸쉬캡(170)은 평상시 빨대끼움관(176)이 상기 빨대결합공(156)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향이동시 상기 빨대끼움관(176)이 상기 빨대결합공(156)에 삽입되면서 상기 빨대결합공(156)의 직경을 넓히게 된다. 그리하여 빨대끼움관(176)을 통하여 빨대를 손쉽게 꽂을 수 있다.
전술된 빨대꽂이(150)와 푸쉬캡(17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90)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탄성부재(190)는 상기 빨대꽂이(150)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빨대꽂이(150)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170)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푸쉬캡(170)을 가압하여 하향 이동하게 되면, 상기 빨대끼움관(176)에 의해 상기 빨대결합공(156)의 직경이 확장되게 되므로 빨대를 끼우게 되고, 상기 푸쉬캡(170)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90)에 의하여 상기 푸쉬캡(170)이 상향이동하게 되어 상기 빨대결합공(156)의 직경이 원상복원되므로 빨대의 외주부를 가압하여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된 빨대꽂이(150)의 상단에는 가압보호판(162)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가압보호판(162)은 상기 빨대꽂이(150)를 상기 탄성부재(190)로 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전술된 푸쉬캡(170)의 빨대끼움관(176)은 그 하부가 경사져 형성되는 제1경사부(182)가 형성되고, 전술된 빨대결합공(156)은 그 상부가 경사져 형성되는 제2경사부(15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빨대끼움관(176)이 상기 빨대결합공(156)으로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된 빨대꽂이(150)에는 신축공간부(16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신축공간부(160)는 상기 빨대꽂이부(150)의 외벽과 빨대결합공(156)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빨대끼움관(176)이 상기 빨대결합공(156)에 삽입 될 때 상기 빨대결합공(156)의 확장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빨대끼움관(176)이 부드럽게 삽입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작동법을 살펴보면, 요구르트병(20)을 하부용기(110)에 수납하고, 상부캡(130)을 억지끼움 또는 나사돌림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푸쉬캡(170)을 가압하여 하향이동시켜 빨대끼움관(176)을 통해 빨대를 꽂은 후 푸쉬캡(170)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푸쉬캡(170)을 상향이동시킨다. 푸쉬캡(170)이 상향이동하면서 빨대꽂이(150)의 빨대결합공(156)이 꽂혀진 빨대(10)를 가압하여 빨대(10)의 외주부를 밀폐 고정 시키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요구르트를 마실 때 용기를 흔들거나 가압하더라도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되고, 빨대(10)가 상기 푸쉬캡(170)에 의해 고정되므로 유아가 빨대를 뽑지 못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빨대 20 : 요구르트병
100 : 요구르트 수납용기 110 : 하부용기
112 : 결합돌기 130 : 상부캡
132 : 지지판 134 : 끼움공
136 : 걸림턱 150 : 빨대꽂이
152 : 하단면 154 : 몸체
156 : 빨대결합공 158 : 제2경사부
160 : 신축공간부 170 : 푸쉬캡
172 : 외벽 174 : 이탈방지턱
176 : 빨대끼움관 178 : 빨대끼움관 상부
180 : 홈 182 : 제1경사부
190 : 탄성부재 162 : 가압보호판
200 : 요구르트 수납용기 210 : 하부용기
212 : 결합돌기 230 : 상부캡
232 : 지지판 234 : 끼움공
236 : 걸림턱 250 : 빨대꽂이
252 : 하단면 254 : 꼭지부
256 : 돌출부 258 : 빨대끼움공
260 : 신축돌기 262 : 돌기
270 : 푸쉬캡 272 : 외벽
274 : 이탈방지턱 276 : 테이퍼부
290 : 탄성부재 300 : 보조캡
302 : 상판 304 : 측면판
310 : 꼭지결합부 312 : 연질막
314 : 절개부 316 : 차단막
318 : 통공 320 : 박막
330 : 후막 v : 공간부

Claims (11)

  1. 요구르트병이 수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끼움공에 결합되고, 빨대끼움공이 형성된 꼭지부가 구비된 빨대꽂이;
    상기 상부캡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꼭지부가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된 테이퍼부가 구비되며, 평상시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되어 상기 테이퍼부의 내벽을 통해 상기 빨대끼움공을 수축시키고, 가압에 따른 하향이동 시 상기 빨대끼움공을 원상복원시키는 푸쉬캡; 및
    상기 상부캡의 지지판에 안착되고 상기 테이퍼부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부는 상부가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 내경보다 큰 지름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 내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꼭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빨대끼움공이 수축되고, 상기 푸쉬캡을 가압하여 상기 테이퍼부가 하향이동하면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이 상기 꼭지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빨대끼움공이 원상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끼움공의 내벽에는 신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꽂이의 꼭지부 하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빨대꽂이가 상기 상부캡의 끼움공에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5. 요구르트병이 수납되는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상부캡;
    상기 지지판에 안착되고, 빨대결합공이 형성된 빨대꽂이;
    상기 상부캡의 상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빨대끼움관이 형성되는 푸쉬캡; 및
    상기 빨대꽂이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빨대꽂이를 둘러싸며 상기 푸쉬캡을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꽂이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상기 빨대꽂이를 보호하기 위해 가압보호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끼움관은 하단부가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빨대결합공은 상단부가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빨대끼움관이 상기 빨대결합공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꽂이의 외주면과 빨대결합공 사이에는 상기 빨대끼움관이 상기 빨대결합공에 삽입될 때 상기 빨대결합공이 용이하게 확장되도록 하는 신축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꽂이의 하단에는 뚜껑형태의 보조캡이 안착되고,
    상기 보조캡은 상기 꼭지부 내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꼭지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꽂이의 하단에는 뚜껑형태의 보조캡이 안착되고,
    상기 보조캡은 상기 빨대결합공 내에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되며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된 꼭지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11. 제 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결합부는,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막과 통공이 형성된 차단막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질막과 통공 사이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KR2020140004998U 2014-01-15 2014-07-02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KR2004796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321 2014-01-15
KR2020140000321 2014-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8U KR20150002888U (ko) 2015-07-23
KR200479688Y1 true KR200479688Y1 (ko) 2016-02-25

Family

ID=5387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98U KR200479688Y1 (ko) 2014-01-15 2014-07-02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174B1 (ko) * 2019-01-21 2020-06-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텀블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300A (ja) 2004-12-03 2006-06-22 Mitani Valve Co Ltd 内容物放出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KR200466313Y1 (ko) 2013-02-01 2013-04-08 김광현 멀티 빨대 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300A (ja) 2004-12-03 2006-06-22 Mitani Valve Co Ltd 内容物放出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KR200466313Y1 (ko) 2013-02-01 2013-04-08 김광현 멀티 빨대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88U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12410B (en) Drinking receptacle covers
KR101485171B1 (ko) 빨대삽입밸브를 구비하는 빨대컵
US9770393B2 (en) Multifunctional feeding-bottle
KR200482433Y1 (ko)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JP2010280402A (ja) 飲料用容器
US20140166679A1 (en) Beverage Container
US20180282030A1 (en) Refillable design for a closed water bottle
CN106829173A (zh) 一种按压打开的盖子
KR200453141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KR200479688Y1 (ko) 요구르트병 수납용기
US2987208A (en) Nursing nipple and cap
JP2014162518A (ja)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US20160332784A1 (en) Cap Assembly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KR200474060Y1 (ko) 유아용 음료용기
KR20080004792U (ko) 조리용기용 뚜껑의 패킹구조
JP2010001064A (ja) 容器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1513113B1 (ko) 누출 방지용 용기뚜껑
JP2020048967A (ja) 貯水装置
JP2019131216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85289Y1 (ko) 음료용기 빨대 연결구
JP2014028650A (ja) 乳幼児用飲料容器
JP4769450B2 (ja) 打栓キャップ
JP52693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