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270Y1 -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270Y1
KR200392270Y1 KR20-2005-0014698U KR20050014698U KR200392270Y1 KR 200392270 Y1 KR200392270 Y1 KR 200392270Y1 KR 20050014698 U KR20050014698 U KR 20050014698U KR 200392270 Y1 KR200392270 Y1 KR 200392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rain
outer cylinder
opening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 길 신
Original Assignee
수 길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 길 신 filed Critical 수 길 신
Priority to KR20-2005-0014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배수구가 관통되고 하부면에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배수구 덮개와, 상기 배수구의 저면에는 상부에 배수용 통공이 형성되고 저면부가 막혀진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는 싱크볼에 담겨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의 배수구 덮개에 의하면, 일반적인 싱크대에 오버플로우관으로 인해서 악취가 발생되는 근본적인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실현함과 동시에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오버플로우관의 누수문제와 싱크대의 배관 작업이 없어지며, 이로 인해 비용절감은 물론 싱크대 하부 공간 활용을 많이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OVERFLOWING DEVICE OF A SINK}
본 고안은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싱크대에 구비되어 있는 오버플로우관을 제거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을 없애고,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싱크대는 싱크대에서 넘치는 물이
싱크볼(14)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2)과 오버플로우관(18)을 거쳐 배수관(19)을 통하여 배수되도록 배관이 되어 있다.
그런데, 오버플로우관(18)의 주름형상과 직각으로 굽어져 연결부(20)에 이어지는 수평배관으로 인해 오버플로우관(18)으로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가 연결부(20)와 오버플로우관(18) 하부에 남아 부패되어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오버플로우관(18)으로 인해 싱크대 하부 공간을 넓게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노후로 인한 오버플로우관(18)의 누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싱크대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을 제거해서 악취가 발생되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의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배수구(10)가 관통되고, 하부면에 결합부(2)가 일체로 형성된 배수구 덮개(1)와;
상기 배수구(10)의 아래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배수용 통공(11)이 형성되고 저면부가 막혀진 외통체(3)와;
상기 외통체(3)의 내부에서 싱크볼(14)에 담겨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수구(10)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개폐수단이 부유체(4)이거나 스프링(13)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부재(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2)에 외통체(3)가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결합부(2)에는 결합돌기(2a)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체(3)의 상부에는 결합요홈(6a,6b)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a)가 결합요홈(6a,6b)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의 결합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결합부(2)를 포함하는 배수구 덮개(1)와 외통체(3) 그리고 부유체(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구 덮개(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싱크볼(14)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테두리를 갖으며, 어느 한 부분에 관통되는 배수구(1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는 배수구(10) 아래에 형성되는데, 그 외주면에는 결합돌기(2a)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개폐수단과 밀착되어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체(3)는 상기 결합부(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a)에 대응되는 결합요홈(6a,6b)이 상부에 형성된 플렌지부(6)와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된 외주면과 막혀진 하부면 그리고 내부공간을 가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유체(4)는 플라스틱,고무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채워져있거나 공기로 충진되어서 물에 뜨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외통체(3)는 그 내부에 부유체(4)를 삽입하고 결합부(2)의 결합돌기(2a)가 결합요홈(6a,6b)에 끼워지게 외통체(3)를 회전시키면 배수구 덮개(1)와 일체로 된다.
또한, 통공(11)의 높이와 개수는 배수구(10)에서 나온 물을 충분히 외통체(3)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고, 개폐작동에 이상 없는 선에서 결정되어 오버플로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싱크대에 담겨진 물이 배수구(10)를 통해 외통체(3) 내부로 들어오게되면, 부유체(4)가 부력에 의해 위로 떠오르게 되고,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부유체(4)가 싱크볼(14)에 담긴 물이 배출되지 않게 결합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막음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싱크볼(14)의 상부까지(종래에 있던 관통공 부위까지) 수위가 높아져, 부유체(4)에 가해지는 수압이 외통체(3) 내부에 차있는 물에 의한 부력보다 더 커지게 되면 부유체(4)가 수압에 의해 눌러져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배수구(10)를 거쳐 외통체(3)의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와 통공(11)을 통해서 배수된다.
한편, 물이 빠져나가 싱크볼(14)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가 낮아져 수압이 낮아지면, 부유체(4)는 부력에 의해 다시 떠올라 배수구(10)를 막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배수구(10)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스프링(13)과 이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부재(12)를 이용하고 있다. 개폐부재(12)와 스프링(13)의 탄력은 앞의 실시예의 외통체(3) 내부의 부유체(4)와 부력을 각각 대체한 것으로서, 이 스프링(13)은 외통체(3)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 스프링(13)의 위에는 결합부(2)에 밀착될 수 있는 개폐부재(12)를 위치시키며, 스프링(13)의 탄력에 의해 개폐부재(12)가 배수구(10)를 막는다.
싱크볼(14)에 물이 차도 스프링(13)의 탄력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부재(12)가 결합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싱크볼(14)의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싱크볼(14)의 상부까지(종래에 있던 관통공 부위까지) 수위가 높아지면, 개폐부재(12)에 가해지는 수압이 스프링(13)의 탄력보다 더 커지게 됨에 따라, 개폐부재(12)가 수압에 의해 눌러지므로 물은 배수구(10)를 거쳐 외통체(3)의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와 통공(11)을 통해서 배수된다.
한편, 배수구(10)를 통해 외통체(3) 외부로 물이 빠져나가 싱크볼(14)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개폐부재(12)는 스프링(13)의 탄력에 의해 다시 떠올라 배수구(10)를 막게된다.
미설명부호 (16)은 배수구 덮개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이다.
한편, 배수구 덮개(1)와 외통체(3)과의 결합은 위에서 설명한 결합돌기(2a)와 결합요홈(6a,6b)에 의할 수 있고, 나사결합에 의할 수도 있으며, 배수구 덮개(1)에 일체로 개폐수단이 내장된 외통체(3)를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는 종래 싱크대의 오버플로우관으로 인한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실현함과 동시에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오버플로우관의 누수문제와 싱크대의 배관 작업이 없어지며, 이로 인해 비용절감은 물론 싱크대 하부 공간 활용을 많이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싱크볼의 상부 측면에 오버플로우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관에도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구멍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싱크볼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배수구 덮개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4의 결합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싱크대의 배관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배수구 덮개 2 : 결합부
2a : 결합돌기 3 : 외통체
4 : 부유체 6 : 플렌지부
6a,6b : 결합요홈 10 : 배수구
11 : 통공 12 : 개폐부재
13 : 스프링 14 : 싱크볼
16 : 손잡이부 17 : 배수통
18 : 오버플로우관 19 : 배수관
20 : 연결부 21 : 배수구 덮개
22 : 관통공

Claims (5)

  1.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배수구가 관통되고 하부면에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배수구 덮개와;
    상기 배수구의 아래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배수용 통공이 형성되고 저면부가 막혀진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서 싱크볼에 담겨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되는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이 부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이 스프링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배수구 덮개와 외통체가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체의 상부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KR20-2005-0014698U 2005-05-24 2005-05-24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KR200392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98U KR200392270Y1 (ko) 2005-05-24 2005-05-24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98U KR200392270Y1 (ko) 2005-05-24 2005-05-24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270Y1 true KR200392270Y1 (ko) 2005-08-19

Family

ID=4369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698U KR200392270Y1 (ko) 2005-05-24 2005-05-24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27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487B1 (ko) * 2009-09-15 2010-11-05 조지현 역류방지 기능 배수장치를 구비한 맨홀
KR101101235B1 (ko) * 2008-12-02 2012-01-04 조득행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160003431U (ko) * 2015-03-27 2016-10-06 이상윤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2518058B1 (ko) * 2021-12-17 2023-04-04 신세욱 자동개폐형 싱크대 배수통 덮개
KR102656202B1 (ko) * 2022-11-24 2024-04-08 박태룡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35B1 (ko) * 2008-12-02 2012-01-04 조득행 악취역류방지장치
KR100992487B1 (ko) * 2009-09-15 2010-11-05 조지현 역류방지 기능 배수장치를 구비한 맨홀
KR20160003431U (ko) * 2015-03-27 2016-10-06 이상윤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82529Y1 (ko) * 2015-03-27 2017-02-06 이상윤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2518058B1 (ko) * 2021-12-17 2023-04-04 신세욱 자동개폐형 싱크대 배수통 덮개
KR102656202B1 (ko) * 2022-11-24 2024-04-08 박태룡 누수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빨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2270Y1 (ko) 싱크대 오버플로우 장치
US8528122B2 (en) Drain closure device
US20230078805A1 (en) Pop-up sink drain with overflow knock-out blank
KR200431056Y1 (ko) 오버플로우 배관용 역류방지트랩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100789132B1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0360573Y1 (ko)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
JP6564987B2 (ja) 排水トラップ
US20230111926A1 (en) Pop-up sink drain assembly with overflow knock-out blank band
KR100644096B1 (ko) 배수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역류방지 배수전
KR100642314B1 (ko)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CN219604460U (zh) 一体式台盆隔臭下水器
JP2008169575A (ja) 排水トラップ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KR200388665Y1 (ko) 배수구
KR200360049Y1 (ko) 세면기용 배수관 연결구조
JP2008013948A (ja) 排水トラップ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0348120Y1 (ko) 슬림형 배수트랩
JP2002322703A (ja) 浴槽排水栓装置
CN221054365U (zh) 一种阻逆芯及阻逆装置
KR200376677Y1 (ko)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
KR200211700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구조
JP2001098603A (ja) 排水トラップ
JP5277398B2 (ja) 浴室の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