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470Y1 -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 Google Patents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470Y1
KR200275470Y1 KR2020020001458U KR20020001458U KR200275470Y1 KR 200275470 Y1 KR200275470 Y1 KR 200275470Y1 KR 2020020001458 U KR2020020001458 U KR 2020020001458U KR 20020001458 U KR20020001458 U KR 20020001458U KR 200275470 Y1 KR200275470 Y1 KR 200275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low tank
water
drain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동수
Original Assignee
최의택
설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의택, 설동수 filed Critical 최의택
Priority to KR202002000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470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수가 저장된 양변기 로우탱크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의 부력을 조절하여 배수구를 폐쇄시키는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세척수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의 덮개(131)와 하부의 반구체(132)가 결합되어 양변기 로우탱크(100)의 배수구(140)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130)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130)의 반구체(132)는 그 내부에 배수밸브(130)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추(132a)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로우탱크에 세척수가 일정 부분 남아 있는 경우에도 이를 모두 배수시키지 않고 배수구를 폐쇄시켜 세척수의 불필요한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 A Drainage Valve for Saving Water of Toilet Bowl }
본 고안은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세척수가 저장된 양변기 로우탱크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의 부력을 조절하여 배수구를 폐쇄시키는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세척수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의 로우탱크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구는 배수밸브에 의해 개폐되어 로우탱크에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세척수를 변기로 배수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양변기 로우탱크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양변기 로우탱크(100)에는 로우탱크(10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50)과, 배수구(140)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1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150)은 로우탱크(100)에 채워진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는 부유체(151)에 의해 밸브가 개폐되어 로우탱크(100)에 세척수를 공급하며, 배수밸브(130)는 배수레버(110)의 조작에 따라 체인 등의 연결줄(120)에 의해 들어 올려져 배수구(140)를 개방시켜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양변기로 배수시키게 된다. 또한, 로우탱크(100)의 중앙에는 상기 급수관(150)과 연결되어 로우탱크(100)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오버플로우관(1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버플로우관(160)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밸브(13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배수밸브(130)가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 배수밸브(130)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부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 로우탱크는 사용자가 배수레버(11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줄(120)에 의해 배수밸브(130)의 일측이 들어 올려져 배수구(140)가 개방됨으로써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가 양변기로 배수되게 된다. 세척수가 배수되는 동안 배수밸브(130)는 부력을 받아 세척수 속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세척수가 점차 배수되어 수위가 배수밸브(130)의 위치보다 낮아지게 되면 배수밸브(130)의 부력이 소멸되어 자체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배수구(140)를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배수밸브(130)가 배수구(140)를 폐쇄시키는 과정에서 급수관(150)은 로우탱크(100)에 적정량의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며, 이때 배수밸브(130)는 수압에 의해 배수구(140)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양변기 로우탱크의 세척수 배수과정에서 배수밸브(130)는 세척수가 거의 모두 배수되어 부력이 소멸되는 경우에만 하중에 의해 배수구(140)를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양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세척수를 절감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37184호의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가 있는데, 이 등록실용신안은 개폐밸브의 하단에 형성된 공의 공기구멍을 개폐밸브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길게 개구구멍으로 형성토록 하여 들어올려진 개폐밸브에 의하여 로우탱크의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 일정한 한계에서 급수전에서 급수되는 물살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개폐밸브 공의 개구구멍의 하단으로 채워지면서 공에 충전되어 있는 공기가 개구구멍의 상부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부력이 저하되어 개폐밸브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
즉, 이는 개폐밸브의 공을 세척수로 채워줌으로써 그 부력이 저하되도록 하여 로우탱크의 일정수위에서 배수구를 폐쇄시켜 불필요한 세척수의 사용을 어느 정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실제적으로 공에 채워지는 세척수로는 개폐밸브의 부력을 충분히 저하시키기 어려워 사용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세척수를 절감하기 위하여 양변기 로우탱크의 내부에 벽돌을 넣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는 실제로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벽돌을 넣으면 로우탱크의 세척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수압이 약해져 양변기가 제대로세척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두세번 세척해야 함으로써 오히려 세척수가 더 낭비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 로우탱크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압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세척수를 절수하면서 양변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는 상부의 덮개와 하부의 반구체가 결합되어 양변기 로우탱크의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반구체의 내부에 배수밸브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구체는 내부에 설치되는 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 로우탱크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의 결합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가 배수구를 폐쇄시킴으로써 로우탱크에 세척수가 가득찬 상태를 나타낸 사용도,
도 5b는 사용자가 배수레버를 조작하여 배수밸브가 배수구를 개방시켜 세척수가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도,
도 5c는 세척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배수밸브가 배수구를 폐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우탱크 110 : 배수레버
120 : 연결줄 130 : 배수밸브
131 : 덮개 131a : 지지부
131b : 결합공 131c : 연결부
132 : 반구체 132a : 추
140 : 배수구 150 : 급수관
151 : 부유체 160 : 오버플로우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종래의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1에서 설명한 명칭 및 도면부호와 동일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배수밸브는 통상의 배수밸브와 마찬가지로 상부의 덮개(131)와, 이 덮개(131)와 결합되는 하부의 반구체(132)로 이루어진다.
덮개(131)의 일측에는 로우탱크(100)의 내측에 형성된 오버플로우관(160)에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부(131a)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지지부(131a)에는 오버플로우관(160)의 결합돌기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공(131b)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131)의 타측에는 배수레버(110)와 연결된 연결줄(120)이 부착되는 연결부(131c)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덮개(131)는 탄력성과 부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구체(132)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의 덮개(131)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는 비교적 하중이 무거운 금속재질의 추(13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반구체(132)는 덮개(131)와의 결합시 내부가 밀폐되어 세척수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 반구체(132)는 부력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재의 추(132a)와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밸브(130)는 배수구(140)를 개방시키고 폐쇄시키는 과정에는 배수밸브(130)의 부력과 하중 및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중 세척수의 수압은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의 양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로우탱크(10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양을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배수밸브(130)의 부력과 하중을 조절하여 배수밸브(130)가 세척수의 적절한 수위에서 배수구(140)를 폐쇄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이 배수밸브(130)의 부력과 하중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압은 세척수가 배수됨에 따라 약해지며, 이에 따라 세척수 내에 위치한 배수밸브(130)의 부력 또한 약해져 배수밸브(130)의 하중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 배수밸브(130)의 하중을 적절히 설정하면 세척수가 모두 배수되지 않은 상태, 즉 로우탱크(100)에 어느 정도의 세척수가 남아 배수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배수밸브(130)가 배수구(140)를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배수밸브(130)의 하중을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밸브의 하중보다 무겁게 차별화하여 구성함으로써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배수구(140)를 효과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배수밸브(130)의 하중은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 또는 수압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로우탱크(100)가 대용량의 경우에는 배수밸브(130)의 하중을 무겁게 하고, 소용량의 경우에는 보다 덜 무겁게 구성함으로써 로우탱크(100)의 용량에 따라 적절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는 배수밸브(130)의 반구체(132) 내부에 형성되는 추(132a)를 통하여 하중을 차별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용 배수밸브(130)는 추(132a)의 무게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각각의 반구체(132)를 제작함으로써, 로우탱크(100)의 용량에 적절한 반구체(132)를 선택하여 덮개(131)와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덮개(131)에 결합된 반구체(132)를 분리하고 다른 하중을 갖는 반구체(132)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배수밸브가 양변기 로우탱크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폐쇄시킴으로써 로우탱크에 세척수가 가득찬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사용자가 배수레버를 조작하여 배수밸브가 배수구를 개방시켜 세척수가 배수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c는 세척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배수밸브가 배수구를 폐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관(160)에 지지부(131a)를 통하여 힌지 결합된 배수밸브(130)가 배수구(140)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급수관(150)을 통하여 세척수가 로우탱크(100)에 공급되면, 배수밸브(130)는 오버플로우관(160)의 지지상태와 자체의 하중 및 수직으로 받게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배수구(140)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수가 로우탱크(100)를 채우게 된다. 로우탱크(100)에 세척수가 채워져 부유체(151)가 일정 수위로 상승되면 급수관(150)의 세척수 공급이 중단되고 로우탱크(100)는 현 상태를 유지한 채 대기상태에 들어간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배수레버(110)를 누르게 되면 연결줄(120)이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131c)를 통하여 연결줄(120)에 부착된 배수밸브(130)도 들어올려져 배수구(14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수밸브(130)는 지지부(131c)를 통하여 오버플로우관(160)에 고정된 채 회전하게 되며, 개방된 배수구(140)를 통하여 세척수가 양변기로 배수된다. 이때, 배수밸브(130)가 세척수 내로 들어올려져 수평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면 배수밸브(130)의 부력이 작용하여 세척수 내에서 뜬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계속하여 개방된 배수구(140)를 통하여 세척수가 배수된다. 배수밸브(130)의 부력은 세척수가 배수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수밸브(130)의 하중이 부력을 감쇄시키기 시작한다. 또한, 세척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부유체(151)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어 급수관(150)으로부터 세척수가 로우탱크(100)로 공급되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되어 일정 수준으로 수위가 낮아지면 배수밸브(130)의 하중이 부력을 감쇄시켜 이후에는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밸브(130)는 남아 있는 세척수 하부로 가라앉아 배수구(140)를 폐쇄시키게 된다. 배수밸브(130)가 배수구(140)를 폐쇄시키게 되면, 세척수의 배수가 중단되고 급수관(150)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가 로우탱크(100)를 채우게 되어, 이후 도 5a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수밸브(130)의 하중이 부력을 상쇄하여 가라앉게 되는 세척수의 수위는 배수밸브(130)의 하중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배수밸브(130)의 하중을반구체(132)의 추(132a)를 통하여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로우탱크(100)의 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절수용 배수밸브(130)는 로우탱크(100)에 저장된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키지 않고도 배수구(140)를 폐쇄시키게 되어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는 로우탱크에 세척수가 일정 부분 남아 있는 경우에도 이를 모두 배수시키지 않고 배수구를 폐쇄시킴으로서 양변기 내부의 대·소변을 충분히 씻어낸 후에도 과잉으로 배출되던 세척수의 불필요한 사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배수구를 통하여 양변기에 배수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키지 않아 양변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배수밸브는 종래의 양변기 로우탱크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종래의 배수밸브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상부의 덮개(131)와 하부의 반구체(132)가 결합되어 양변기 로우탱크(100)의 배수구(140)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130)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130)의 반구체(132)는 그 내부에 배수밸브(130)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추(132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체(132)는 내부에 설치되는 추(132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KR2020020001458U 2002-01-17 2002-01-17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KR200275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58U KR200275470Y1 (ko) 2002-01-17 2002-01-17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458U KR200275470Y1 (ko) 2002-01-17 2002-01-17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470Y1 true KR200275470Y1 (ko) 2002-05-16

Family

ID=7311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458U KR200275470Y1 (ko) 2002-01-17 2002-01-17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4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5470Y1 (ko)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KR20140019134A (ko) 절수가능한 투명변기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20090026007A (ko) 좌변기 절수용 배수 개폐밸브
KR100458200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01100Y1 (ko) 변기 절수형 밸브
KR102053529B1 (ko) 배수 조절 장치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KR102318753B1 (ko) 좌변기 절수장치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102053528B1 (ko) 배수 조절 장치
CN114045913B (zh) 水箱式排便器用排水阀
KR200210865Y1 (ko) 변기용 절수기
CN2414116Y (zh) 密闭旋流式坐便器
KR200187598Y1 (ko) 좌변기용 절수형 차단벽
KR200207426Y1 (ko) 공기개폐장치가 부착된 이중볼탑
KR100394508B1 (ko) 절수형 욕조
KR19990034064U (ko) 절수기가 설치된 수세식변기
KR100354526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CN2401616Y (zh) 多功能节水水箱
KR200237184Y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KR200301112Y1 (ko) 절수용 사이폰
KR200229787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229713Y1 (ko)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KR200301128Y1 (ko) 절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