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52B1 -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 Google Patents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52B1
KR101115352B1 KR1020120001312A KR20120001312A KR101115352B1 KR 101115352 B1 KR101115352 B1 KR 101115352B1 KR 1020120001312 A KR1020120001312 A KR 1020120001312A KR 20120001312 A KR20120001312 A KR 20120001312A KR 101115352 B1 KR101115352 B1 KR 10111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housing
beverage container
peripheral surfac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성씨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성씨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성씨앤디
Priority to KR102012000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1Drinking straws or the like combined with cutlery or other eating utens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빨대가 형성되어,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에 있어서,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에 결합되는 중공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관부와, 상기 주름관부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빨대부를 포함하는 주름빨대부 및 저면 중앙에 빨대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부의 하단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주름관부의 하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 일측에 고정설치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주름관부를 하부캡에 의해 압입고정함으로써, 비 접착식으로 주름관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하부캡에 형성된 빨대고정공을 통해 빨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에 형성된 캡본체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부와 수평연장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를 구비하여 음료수 용기 상단 외주면에 마개 대신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 둘레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립부를 더 구비하여, 주름관부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시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과 가이드립부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하부캡의 결합시 주름관부의 내주면과 하부캡에 형성된 압입부의 외주면에 가이드립부가 개재되어 주름관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A Flexible Straw Having Housing}
본 발명은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거나 외주면에 결합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빨대를 수용하여 사용자가 음료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에 있어서, 주름빨대의 하단부 내주면을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에 하부캡으로 압입고정하여 비접착식이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하부캡에 형성된 빨대고정공을 통해 빨대를 탈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수를 저장하는 저장 용기는 합성수지나 유리로 제조되는 병 형태의 것과 금속재로 제작되는 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 중 병 형태의 것은 음료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병 상단의 직경이 감소하는 목부가 형성되고 목부 상단에 마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한편, 음료의 섭취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빨대를 캔이나 병 용기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으며, 빨대를 음료 용기에 내장하여 보다 편리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그 중 병에 빨대를 삽입하는 기술로서, 국내특허출원 제 10-2000-0034985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이 2~3개 뚫려 있는 상기 빨대 고정판(21)이 음료수 용기 입구 안쪽 돌출부위(10a)에 장착되어, 빨대(20)와 그 음료수 용기(10)가 일체로 형성된 음료수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음료수 용기 입구 밖으로 상당한 길이로 돌출된 빨대(20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음료수 용기 입구와 밀착될 용기마개 부위(30a)를 제외한 용기마개(30) 가운데쪽 상층 부위(30b)를 상당한 길이로 더 연장하여 돌출된 빨대(20a)도 수납하고 외부공기 차단 목적의 밀봉(밀폐)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는 상당한 길이로 돌출된 빨대(20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마개(30) 가운데쪽 상층 부위(30b)를 상당한 길이로 더 연장하여야 하므로 용기의 전체 크기가 커질 뿐 아니라 기존의 음료수 용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빨대 고정판(21)이 원판 형태로 되어 있어 빨대 고정판(21)이 음료수 용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용기마개 부위(30a)에 의해 밀폐되어 있어야 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관부를 수용하여 사용자가 음료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주름관부의 하단부 내주면을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에 하부캡으로 압입고정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하부캡에 형성된 빨대고정공을 통해 빨대를 탈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에 형성된 캡본체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부와 수평연장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를 구비하여 음료수 용기 상단 외주면에 마개 대신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 둘레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립부를 더 구비하여, 주름관부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시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과 가이드립부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하부캡의 결합시 주름관부의 내주면과 하부캡에 형성된 압입부의 외주면에 개재되는 가이드립부에 의해 주름관부의 고정력이 향상된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빨대가 형성되어,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에 있어서,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에 결합되는 중공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관부와, 상기 주름관부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빨대부를 포함하는 주름빨대부 및 저면 중앙에 빨대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부의 하단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주름관부의 하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 일측에 고정설치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캡은 저면 중앙에 빨대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빨대고정공의 상방으로 관형상의 빨대고정부가 연장형성되며, 하단부 외주면이 내측으로 경사형성되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름관부 하단부 내주면을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압입고정하는 압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관체 형상으로 외주면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환턱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턱의 하부와 상기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캡은 상기 캡본체의 상단부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연장부가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단부 내주면 둘레에 상방으로 경사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주름관부를 하부캡에 의해 압입고정함으로써, 비 접착식으로 주름관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하부캡에 형성된 빨대고정공을 통해 빨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에 형성된 캡본체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부와 수평연장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를 구비하여 음료수 용기 상단 외주면에 마개 대신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 둘레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립부를 더 구비하여, 주름관부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시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과 가이드립부 사이에 안착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하부캡의 결합시 주름관부의 내주면과 하부캡에 형성된 압입부의 외주면에 가이드립부가 개재되어 주름관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빨대 내장용 음료수 용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사용상태도로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사용상태도로 마개가 개방된 후 주름관부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부에 가이드립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부캡에 형성된 압입부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부에 가이드립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부캡에 형성된 압입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1)는 중공의 하우징(100),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주름빨대부(200) 및 주름빨대부의 하단부 내주면에 압입되는 하부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원통형상의 중공의 통체(102)의 상단부 외측으로 환턱(101)이 연장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통체(102)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상으로 상하부가 개방되어 중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직경이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내주면에 삽입된다.
또한, 통체(102)는 음료수 용기 목부 상단 내주면에 결합시 충분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환턱(101)은 통체(102)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음료수 용기의 내주면에 통체(102)가 삽입될 시 음료수 용기 목부 상단면에 걸림결합되어 하우징(100)을 용기 목부 상단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주름빨대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관부(202)와 주름관부(202)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빨대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름관부(202)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유동성이 있는 관체로 하우징(100)의 중공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주름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 내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빨대부(201)는 주름관부(202)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음료수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하부캡(300)은 캡본체(301)와 캡본체(301)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압입부(302)로 구성된다.
캡본체(301)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하우징(100)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저면중앙에 빨대고정공(305)이 형성되며, 상기 빨대고정공(305)의 상방으로 관형상의 빨대고정부(306)가 연장형성된다.
또한, 캡본체(301)는 하단부 외주면이 빨대고정공(305)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내주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되어있다.
압입부(302)는 캡본체(301)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 내주면에 밀착된 주름관부(202)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주름관부(202)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접착체를 사용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캡본체(301)와 압입부(302)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사용상태도로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사용상태도로 마개가 개방된 후 주름관부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통체(102)가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고, 통체(102)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환턱(101)이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에 걸림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400)가 닫혀지게 되면, 마개(400)에 의해 하우징(100)의 중공내에 수용된 주름관부(202)가 수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높은 높이를 갖는 마개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음료수 용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고, 음료의 미 섭취시에는 마개로 밀폐할 수 있어 내부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료수 용기에 내장된 상태로 유통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환턱(101)의 하부와 음료수 용기 목부 상단면 사이에는 대응되는 링 형상의 패킹부재(104)를 구비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음료의 섭취시 마개(400)를 개방하면 수축된 주름관부(202)의 탄성력에 의해 주름관부(202)가 음료수 용기의 상부로 돌출되고, 사용자는 돌출된 주름관부(202)를 손이나 입으로 잡아당겨 충분한 길이만큼 신장시킨 후 빨대부(201)를 흡입하면 하부캡(300)에 형성된 빨대고정공(305)에 결합된 빨대(500)를 통해 음료가 주름관부(202)로 상승함과 동시에 주름관부(202)에 연결된 빨대부(201)를 통해 음료를 섭취하게 된다.
이 때, 주름관부(202)가 상방으로 잡아당겨지더라도, 주름관부(202)의 하단부가 하부캡(300)의 압입부(302)에 의해 하우징(100)의 하단부 내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주름관부(202)가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빨대고정공(305)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빨대고정부(306)에 의해 빨대고정공(305)에 결합된 빨대(500)의 좌우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름관부(202)를 하우징(100)의 통체(102) 내부에 수용하여 마개(400)의 밀폐시에는 음료수 용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가 마개(400)를 개방하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기존의 병 형태의 음료 용기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음료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1)는 중공의 하우징(100), 하우징의 중공내에 수용되는 주름빨대부(200) 및 하부캡(30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상의 통체(102)로 형성되고,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일 실시예에 형성된 환턱이 불필요하게 된다.
주름빨대부(200)는 상기에 서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캡(300)은 캡본체(301), 압입부(302), 수평연장부(303) 및 수직연장부(304)로 구성되며, 캡본체(301)와 압입부(302)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언급된 구성과 동일하여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평연장부(303)는 캡본체(301)의 상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캡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음료수 용기 목부 상단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연장형성되고, 수평연장부(303)의 하방으로 수직연장부(304)가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수직연장부(304)의 내측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외주면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에 일 실시예와 달리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외주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부에 가이드립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부캡에 형성된 압입부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부에 가이드립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부캡에 형성된 압입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유동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하우징(10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가이드립부(103)가 하우징(100)의 하단 내주면 둘레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하우징(100)의 하단 내주면과 가이드립부(10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주름관부(202)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될 경우 주름관부(202)의 하단부가 상기 공간에 안착하게 되어 주름관부(202)의 내설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하부캡(300)에 형성된 압입부(302)가 주름관부(202)의 내주면에 결합시 주름관부(202)의 내주면과 압입부(302)의 외주면 사이에 가이드립부(103)가 위치하여 압입부(302)에 의해 주름관부(202)의 하단부를 하우징(100)의 하단부 내주면에 고정하는 압입력이 향상되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압입부(302) 삽입시 가이드립부(103)가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면서 가이드립부(103)가 주름관부(202)의 내주면과 압입부(302)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 결합된다.
이와 같이, 주름관부(202)의 내주면과 압입부(302)의 외주면에 개재된 가이드립부(103)에 의해 주름관부(202)의 하단부가 하우징(100)의 하단부 내주면에 견고하게 압입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의 섭취시 주름관부(202)의 신장을 위해 상방으로 잡아당기거나, 어린 유아들이 빨대부(201)를 물고 주름관부(202)를 상방으로 잡아당길 경우 하우징(100)의 중공에 수용된 주름관부(202)가 탈거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름관부(202)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압입부(302) 직경과 하우징(100)의 내주면 직경간의 공차가 가이드립부(103)의 두께만큼의 여유를 가지게 되어, 압입부(302)의 조립공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100 : 하우징
101 : 환턱 102 : 통체
103 : 가이드립부 104 : 패킹부재
200 : 주름빨대부 201 : 빨대부
202 : 주름관부 300 : 하부캡
301 : 캡본체 302 : 압입부
303 : 수평연장부 304 : 수직연장부
305 : 빨대고정공 306 : 빨대고정부
400 : 마개 500 : 빨대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빨대가 형성되어,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에 있어서,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에 결합되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수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관부와, 상기 주름관부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빨대부를 포함하는 주름빨대부; 및
    저면 중앙에 빨대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부의 하단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주름관부의 하단부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주면 일측에 고정설치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저면 중앙에 빨대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빨대고정공의 상방으로 관형상의 빨대고정부가 연장형성되며, 하단부 외주면이 내측으로 경사형성되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주름관부 하단부 내주면을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압입고정하는 압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관체 형상으로 외주면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상단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환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턱의 하부와 상기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상기 캡본체의 상단부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연장부가 음료수 용기의 목부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부 내주면 둘레에 상방으로 경사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KR1020120001312A 2012-01-05 2012-01-05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KR101115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312A KR101115352B1 (ko) 2012-01-05 2012-01-05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312A KR101115352B1 (ko) 2012-01-05 2012-01-05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352B1 true KR101115352B1 (ko) 2012-02-27

Family

ID=4584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312A KR101115352B1 (ko) 2012-01-05 2012-01-05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000A (zh) * 2018-02-28 2018-07-24 深圳市乐高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伸缩式吸管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467A (ja) * 2000-09-13 2002-03-27 Kyowa Electric & Chem Co Ltd プラグ付きストロー
KR100541339B1 (ko) * 2004-05-11 2006-01-11 송태성 유출방향 변경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용 마개 체결부재 및 그러한 마개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덮개 조립체
KR100634629B1 (ko) * 2000-06-26 2006-10-16 김순홍 빨대를 갖고 있는 유출구가 접철되는 특징의 음료용기
KR20110000538U (ko) * 2009-07-10 2011-01-18 송태성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 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629B1 (ko) * 2000-06-26 2006-10-16 김순홍 빨대를 갖고 있는 유출구가 접철되는 특징의 음료용기
JP2002087467A (ja) * 2000-09-13 2002-03-27 Kyowa Electric & Chem Co Ltd プラグ付きストロー
KR100541339B1 (ko) * 2004-05-11 2006-01-11 송태성 유출방향 변경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용 마개 체결부재 및 그러한 마개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덮개 조립체
KR20110000538U (ko) * 2009-07-10 2011-01-18 송태성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 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000A (zh) * 2018-02-28 2018-07-24 深圳市乐高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伸缩式吸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67852B (en) A drinking vessel
RU2475228C2 (ru)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US20160100703A1 (en) Universal threaded bottle cap and straw
US20110297698A1 (en) Vented bottle
JP2006506292A (ja) 液体容器の排出アセンブリ
KR101115352B1 (ko)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빨대
CN200974664Y (zh) 一种多功能容器盖
US20080223817A1 (en) Cup assembly with Integrated Bottle Cap
US20120097677A1 (en) Hermetic Container
CN209834289U (zh) 清洁滴液管
KR20110000538U (ko) 하우징이 구비된 주름 빨대
CN203381891U (zh) 分合式饮料瓶
CN110902093A (zh) 一种pe塑料瓶
CN104760752A (zh) 一种容器瓶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JP3185665U (ja) 開栓具
US20170340521A1 (en) Clip-on nipple assembly
CN208463538U (zh) 一种具有杯盖的陶瓷杯
CN114671389B (zh) 一种用于取液的通断结构和取液组件
KR200434081Y1 (ko)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20180085158A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누출방지용 마개
CN217754895U (zh) 一种盖子
CN218401474U (zh) 滴管瓶
CN201537297U (zh) 芳香鼻器
JP4769450B2 (ja) 打栓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