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808B1 -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808B1
KR100430808B1 KR10-2000-0029234A KR20000029234A KR100430808B1 KR 100430808 B1 KR100430808 B1 KR 100430808B1 KR 20000029234 A KR20000029234 A KR 20000029234A KR 100430808 B1 KR100430808 B1 KR 10043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ner cap
outer cap
container li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559A (ko
Inventor
서욱배
Original Assignee
서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욱배 filed Critical 서욱배
Priority to KR10-2000-002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808B1/ko
Priority to KR2020000015385U priority patent/KR200201672Y1/ko
Publication of KR2001010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8Upper closure of the 5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78Lower closure of the 4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캡과 외부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내부캡의 단부에 안착돌기가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며, 외부캡에는 상기 안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외부캡의 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캡의 단부에 외향으로 플랜지를 형성하되 상기 플랜지의 끝 부분에 안착돌기를 형성하고, 외부캡의 단부에는 상기 내부캡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걸림턱과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요부가 형성된 용기뚜껑이다.

Description

용기뚜껑{Vessel cap}
본 발명은 내부캡의 단부에 안착돌기가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며, 외부캡에는 상기 안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외부캡의 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뚜껑은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미관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양자의 기능을 모두 살리기 위해서 통상은 내부캡과 외부캡으로 별도로 구성하고 있으며, 내부캡은 용기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외부캡은 내부캡을 보호하면서도 미관을 살릴 수 있는 아크릴 이나 프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도1은 종래 용기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2는 종래 용기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용기뚜껑(1)은 용기의 병목부(미도시)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된 내부캡(2)과 상기 내부캡(2)을 보호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된 외부캡(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캡(2)의 내부에는 용기의 병목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5)를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내부캡(2)에는 상기 내부캡(2)으로부터 상기 외부캡(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캡(2)의 단부에 원주상의 돌출테(6)를 형성하고,상기 돌출테(6)에 대응하도록 외부캡(3)의 단부 안쪽에 원주상의 언더컷(8)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캡(2)과 상기 외부캡(3)을 결합하였을 때 내부캡의 상기 돌출테(6)가 외부캡의 상기 언더컷(8)과 결합하도록 하여 내부캡(2)으로부터 외부캡(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내부캡(2)에는 돌출된 스토퍼(7)를 형성하고, 외부캡(3)에는 상기 스토퍼(7)에 대응되는 부위에 요홈(9)을 형성하여 외부캡의 요홈(9)에 내부캡의 스토퍼(7)가 결합되도록 하여 용기의 병목부와 용기뚜껑(1)이 나사결합하기 위해 외부캡(3)을 회전시킬 때 내부캡(2)으로부터 외부캡(3)이 겉도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뚜껑(1)은 외부캡(3)과 내부캡(2)을 별도로 형성한 후 상기 외부캡(3)에 상기 내부캡(2)을 삽입하여 용기뚜껑(1)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캡의 상기 돌출테(6)와 외부캡의 상기 언더컷(8)이 결합되어 상기 내부캡(2)과 상기 외부캡(3) 단부부분에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나 상기 돌출테(6)가 상기 언더컷(8)에 밀접하게 결합되지 못한 경우 틈새가 발생하여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하여 용기를 사용할 때 용기내의 내용물 또는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틈새(4)로 스며들게 되므로 용기뚜껑(1)이 지저분해지는 등 미관을 해치게 된다.
또한, 상기 틈새(4)에 이물질 등이 장기간 끼어 있음으로써 위생적이지 못하다.
또한, 미관을 고려하여 외부캡을 투명재질로 형성하였을 경우 이물질 등이 외부캡과 내부캡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따라 용기뚜껑 깊숙이 스며듦으로써 깨끗한 겉보기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외부캡과 내부캡의 단부에 안착홈과 안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용기의 내용물이나 이물질 등이 용기뚜껑 깊숙히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용기뚜껑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용기뚜껑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이물질 등이 스며들 수 있는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처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발명의 용기뚜껑이 용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래 용기뚜껑 50 : 용기뚜껑
2, 60 : 내부캡 3, 70 : 외부캡
4 : 틈새 5 : 나사부
6, 63 : 돌출테 7, 64 : 스토퍼
8, 73 : 언더컷 9, 74 : 요홈
61 : 플랜지 62 : 안착돌기
71 : 안착홈 72 : 걸림턱
80 : 병목부 90 : 금박띠
본 발명의 용기뚜껑은 내부캡의 단부에 외향으로 플랜지를 형성하되 상기 플랜지의 끝 부분에 안착돌기를 형성하고, 외부캡의 단부에는 상기 내부캡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걸림턱과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요부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용기뚜껑의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용기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50)은 내부캡(60)과 외부캡(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캡(60)의 단부에는 외향으로 원주상의 플랜지(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61)의 끝 부분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안착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62)의 외주면에는 돌출테(63)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캡(60)의 소정부위에 돌출된 스토퍼(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캡(70)의 단부에는 상기 내부캡(60)의 플랜지(61)와 안착돌기(62)에 대응되도록 걸림턱(72)과 안착홈(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캡(70) 단부의 측벽에는 상기 내부캡(60)의 안착돌기(62)의 외주면에 원주상으로 형성된 돌출테(63)에 대응되도록 언더컷(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캡(70)의 소정부위에 상기 내부캡(60)의 스토퍼(64)가 대응되도록 요홈(7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50은 내부캡과 외부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이다.
60은 내부캡으로 용기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못하도록 통상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통상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캡(60)의 단부에는 외향으로 원주상의 플랜지(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61)의 끝 부분에는 상기 플랜지(61)를 따라 돌출되도록 원주상의 안착돌기(6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6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상의 돌출테(63)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캡(60)의 일정부위에 스토퍼(64)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64)는 상기 안착돌기(6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캡(60)의 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내부캡(60)의 본체 외주면에 형성한다.
한편, 상기 내부캡(60)의 내부에는 용기의 병목부(8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5)가 형성된다.
70은 외부캡으로 상기 내부캡(60)을 보호하고 미관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내부캡(60)보다 재질이 단단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PCTG, 아크릴,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캡(70)의 내부는 상기 내부캡(6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캡(60)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캡(70)의 단부에는 상기 내부캡(60)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기(62)로 이루어진 상기 플랜지(6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원주상의 안착홈(71)이 형성된 걸림턱(7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6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원주상의 돌출테(63)에 대응하도록 외부캡(70)의 단부 측벽 내측에 오목한 형상의 언더컷(73)을 형성한다.
또한, 외부캡(70)의 일정부위에는 상기 내부캡(60)에 형성된 스토퍼(64)와 대응되도록 오목한 형상의 요홈(74)을 형성한다.
상기 요홈(74)은 상기 내부캡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64)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턱(72)이 형성된 외부캡의 단부나 상기 단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외부캡의 본체 내부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50)은 용기뚜껑을 구성하는 내부캡(60)과 외부캡(70)은 통상 별도로 사출한 후 결합하여 제작된다.
상기 외부캡(70)에는 상기 내부캡(60)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부캡(60)이 상기 외부캡(70)에 완전히 삽입되어 양 단부가 일치하도록 결합될 때, 상기 내부캡(6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상의 안착돌기(62)로 이루어진 플랜지(61)가 상기 외부캡(7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주상의 안착홈(71)으로 이루어진 걸림턱(72)에 상호 대응되어 완전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캡(60)의 안착돌기(6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원주상의 돌출테(63)는 상기 외부캡(70)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언더컷(73)과 대응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부캡(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64)는 상기 외부캡(7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요홈(74)과 각각 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내부캡(60)과 외부캡(70)에 상기 돌출테(63)와 상기 언더컷(73)을 각각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내부캡(60)과 상기 외부캡(70)을 접착제 등으로 결합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내부캡(60)이 상기 외부캡(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부캡(60)과 상기 외부캡(70)에 상호 대응되도록 돌출된 상기 스토퍼(64)와 오목한 형상의 상기 요홈(74)을 각각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용기뚜껑(50)이 병목부(80)와 나사결합하기 위해 상기 외부캡(7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외부캡(70)이 상기 내부캡(60)으로부터 겉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캡(60)과 상기 외부캡(70)의 단부가 원주상의 안착돌기(62)로 이루어진 플랜지(61)와 원주상의 안착홈(71)으로 이루어진 걸림턱(72)에 의하여 상호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부캡(60)을 상기 외부캡(70)에 보다 밀접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뚜껑(50)의 단부는 상기 외부캡(70)의 단부에 형성된 원주상의 안착홈(71)과 상기 내부캡(60)의 단부에 형성된 원주상의 안착돌기(62)에 의하여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틈새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세관 현상을 막을 수 있으므로 상기 외부캡(70)과 상기 내부캡(60)사이에 이물질 등이 스며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캡(60)에 형성된 돌출테(63)와 상기 외부캡(70)에 형성된 언더컷(73)이 불완전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캡(60)과 상기 외부캡(7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안착홈(71)과 상기 안착돌기(6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내부캡(60)과 상기 외부캡(70) 사이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틈새에 의하여 이물질 등이 스며드는 길이를 상기 안착돌기(62)의 높이로 한정할 수 있다.
제5도는 이물질 등이 스며들 수 있는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처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외부캡(70)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캡(70)과 내부캡(60)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이물질이 스며들 수 있는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부캡의 외둘레에 금박띠(90) 등을 입히거나 불투명한 재질로 처리함으로써 내부캡(60)과 외부캡(70) 사이로 스며드는 이물질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용기뚜껑이 용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뚜껑을 이루고 있는 외부캡에 내부캡이 삽입결합될 때 외부캡과 내부캡의 단부에 끝 부분이 돌출된 플랜지 형상과 이에 대응되는 안착홈을 각각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외부캡과 내부캡의 단부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용기내의 내용물 또는 외부의 이물질이 외부캡과 내부캡의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캡과 외부캡에 각각 안착돌기와 안착홈을 두어 결합함으로써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접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내부캡과 외부캡에 각각 형성된 돌출테와 언더컷이 불완전하게 결합하여 틈새가 발생한다하더라도 이물질 등이 스며드는 높이를 안착돌기의 높이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틈새를 제거하기 위해 내부캡과 외부캡 사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캡에 내부캡을 결합할 때 무리한 힘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캡의 파손이나 내부캡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내의 내용물이나 이물질들이 내부캡과 외부캡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거나 스며드는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외부캡을 투명재질로 사용할 수 있어서 겉보기 현상으로 인하여 내부캡이 떠 올라와 보이므로 입체감을 줄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부캡과 외부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의 단부에 외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끝 부분에 원주상의 안착돌기가 형성된 플랜지;
    상기 안착돌기가 형성된 플랜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캡의 단부에 원주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걸림턱;
    상기 안착돌기의 외주면에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출테;
    상기 내부캡의 적소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
    상기 외부캡과 내부캡의 결합시 상기 돌출테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캡의 단부에 형성된 언터컷 및
    상기 스토퍼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캡의 일정 부위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캡의 단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안착 돌기 이상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부캡의 표면에 불투명 코팅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KR10-2000-0029234A 2000-05-30 2000-05-30 용기뚜껑 KR10043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234A KR100430808B1 (ko) 2000-05-30 2000-05-30 용기뚜껑
KR2020000015385U KR200201672Y1 (ko) 2000-05-30 2000-05-31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234A KR100430808B1 (ko) 2000-05-30 2000-05-30 용기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385U Division KR200201672Y1 (ko) 2000-05-30 2000-05-31 용기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559A KR20010109559A (ko) 2001-12-12
KR100430808B1 true KR100430808B1 (ko) 2004-05-17

Family

ID=4586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234A KR100430808B1 (ko) 2000-05-30 2000-05-30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61A (ko) 2020-08-12 2022-02-22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20220047418A (ko)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944B1 (ko) * 2018-01-26 2019-09-26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용이하게 제작되고 체결시 터짐되지 않으면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CN108371463B (zh) * 2018-02-28 2023-12-05 浙江雅德杯业有限公司 杯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5147U (ko) * 1975-08-09 1977-02-22
JPS5498442U (ko) * 1977-12-22 1979-07-11
JPS55104653U (ko) * 1979-01-16 1980-07-22
JPS55104650U (ko) * 1979-01-16 1980-07-22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5147U (ko) * 1975-08-09 1977-02-22
JPS5498442U (ko) * 1977-12-22 1979-07-11
JPS55104653U (ko) * 1979-01-16 1980-07-22
JPS55104650U (ko) * 1979-01-16 1980-07-2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61A (ko) 2020-08-12 2022-02-22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20220047418A (ko) 2020-10-08 2022-04-18 주식회사 하나플라텍 음료 용기용 이중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559A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55182B2 (en) Bottle stopper
KR101194525B1 (ko) 보틀 용기
KR20050069118A (ko)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의 용기몸체를 가지는 음식물 보관용기
KR100430808B1 (ko) 용기뚜껑
KR200201672Y1 (ko) 용기뚜껑
JP4029600B2 (ja) 高密封性容器
JP3689782B2 (ja) 棒状化粧品繰り出し容器
JP475380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EP36630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sert-molded container, and insert-molded container
JPH09169350A (ja) 成形容器の位置合わせ機構
KR100579072B1 (ko) 절첩부의 절단방지를 위하여 2중사출되는 연질의 도포층에대한 성형조건을 개선한 밀폐 용기 뚜껑
KR840003200A (ko) 개선된 장벽 삽입물을 갖는 분배용기
KR102596441B1 (ko) 동일한 파트를 사용하면서 화장품 리셉터클을 제조하기 위한 화장품 리셉터클 시스템
JP2813975B2 (ja) 炭酸飲料びんの封緘体
JPH0318368Y2 (ko)
JP2519871B2 (ja) スパウト
JP2007314211A (ja) キャップ
JPS5839605Y2 (ja) 化粧用容器
JP2603988Y2 (ja) ふりかけ用ヒンジキャップ
KR940004746Y1 (ko) 뚜껑의 텐션장치(Tension 裝置)
KR200210076Y1 (ko)
GB2330135A (en) Closure with diverging plug seal
KR0131059Y1 (ko) 1회용 주사기
KR200236969Y1 (ko) 식품용기 뚜껑
JP4440504B2 (ja) キャップの緩み止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