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525B1 - 보틀 용기 - Google Patents

보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525B1
KR101194525B1 KR1020077018265A KR20077018265A KR101194525B1 KR 101194525 B1 KR101194525 B1 KR 101194525B1 KR 1020077018265 A KR1020077018265 A KR 1020077018265A KR 20077018265 A KR20077018265 A KR 20077018265A KR 101194525 B1 KR101194525 B1 KR 10119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houlder
opening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399A (ko
Inventor
고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ublication of KR2007010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65D51/225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and further comprising a device first inhibiting displacement of the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등이 충전된 용기본체에 대해, 용기본체의 개구부의 봉지와 어깨 부품의 장착, 개봉 방지부재 및 캡의 장착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어깨 부품의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보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원통상의 목부(21)를 구비하고, 용기본체 어깨부에 단부가 형성된 용기본체(2)와, 상기 목부(21)의 외주면에 나사식 부착되고, 선단에 주출구를 설치한 원통체(32)를 윗면에 구비한 어깨 부품(3)과, 상기 원통체(32)의 외주면에 나사식 부착되고, 주출구 개봉수단을 구비한 캡(4)과, 상기 어깨 부품(3)과 상기 캡(4) 사이에 개장되는 개봉 방지부재(5)로 되는 보틀 용기(1)로서, 상기 어깨 부품(3) 아랫면에는 돌기상의 역회전 방지부재(38)가 형성되며, 이 역회전 방지부재(38)와 상기 용기 어깨부의 단부가 역회전 불가방향으로 맞닿아 역회전 방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보틀 용기(1)이다.

Description

보틀 용기{Bottle container}
본 발명은 개봉 방지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용기본체에 어깨 부품을 장착한 보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용기가 이미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캡 부분에 부정 개봉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고, 또한 용기, 특히 화장품과 같은 미관을 필요로 하는 용기에 있어서는, 외관의 향상이나 디자인의 다양화를 위해 용기본체에 어깨 부품을 장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개봉 방지부재와 어깨 부품을 사용한 보틀 용기로서는 용기본체의 어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목부에 탈착 자유자재로 비틀어 넣어지는 캡의 장착측 개구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편을 매개로 하여 캡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일체적으로 계지(係止;맞물림)편을 형성하고, 어깨부에 상기 캡과는 별체로 장착되어 비틀어 넣어진 캡의 계합(係合;걸어 맞춤)편에 이를 은폐하면서 캡의 비틀어 넣는 방향으로부터 계합되고, 빠지는 캡에 대해 계지편을 어깨부에 유지하여 연결편을 분리하는 어깨 부품을 설치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보틀 용기의 용기본체(B)의 어깨부(3)로부터 돌출시켜서 형성된 목부(5)에 탈착 자유자재로 비틀어 넣어지는 캡(C)의 장착측 개구 가장자리 둘레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편(21)을 매개로 하여 캡(C)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일체적으로 계지편(F)을 형성하고, 어깨부(3)에 상기 캡과는 별체로 장착되어, 비틀어 넣어진 캡(C)의 계지편(F)에 이를 은폐하면서 캡(C)의 비틀어 넣는 방향으로부터 계합되고, 빠지는 캡(C)에 대해 계지편(F)을 어깨부(3)에 유지하여 연결편(21)을 분리시키는 어깨 부품(P)을 설치하고, 용기의 구성부재에 비원형의 부재(어깨 부품)를 사용한 경우라도, 용기의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일일이 부재를 마주보게 할 필요가 없는, 부정 개봉 방지기능을 구비한 보틀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보틀 용기는 캡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연결편을 개봉 방지부재로 한 것인데, 캡과는 별체의 개봉 방지부재를 설치한 용기로서는 내용물의 배출구가 봉함막으로 봉함된 용기본체와, 사용시에 용기본체의 봉함막을 찢어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봉수단을 갖는 동시에, 개방된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덮도록 용기본체에 장착 자유자재인 캡과, 캡 본체와 용기본체 사이에 개재하여, 개봉수단이 봉함막을 찢는 것을 방지하는 개봉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897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1-23606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보틀 용기에서는, 개봉 후, 캡 하부에는 분리된 연결편의 흔적이 남기 때문에 캡의 미관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용기본체에 나합(螺合)하는 원통체를 별도 설치해야만 하는 비원형의 캡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개봉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지편은 어깨 부품에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은 미개봉인지 여부가 불명한 상태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추가로 용기본체의 목부 개구에는 주출(注出) 개구가 형성된 주출 커버가 별체로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액의 충전, 주출 커버의 장착, 어깨 부품의 장착, 캡의 장착으로 4공정을 필요로 하여 번잡하다.
또한, 전술한 개봉 방지부재를 캡과 별체로 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용기에서는 개봉 방지수단은 캡과 별체이기 때문에, 상기한 보틀 용기의 개봉 방지부재와 같은 문제는 없지만, 용기본체에 약액 등을 충전한 후의 개구부로의 봉함막의 취부, 개봉 방지부재의 장착 및 캡의 장착을 각각 독립하여 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부재의 조립위치 맞춤을 특정하는 고안은 실시되어 있지 않다.
봉함막의 취부방법으로서 버진실링이 있는데, 버진실링은 개봉 후에 다시 열처리에 의해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미개봉 상태를 완전히 보증할 수 없다.
성형시에 개구부를 봉함해 두면, 구멍을 뚫어서 개구한 후 원래대로 봉함할 수 없어, 미개봉 상태를 보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허문헌 2의 튜브용기에서는 바닥부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하고, 충전 후에 바닥부를 히트실링하는 것이 상투수단으로서 가능하다. 그러나, 보틀 용기에 대해서는 튜브 용기와 같이 바닥부로부터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특허문헌 2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봉 방지부재를 캡과는 별체로 설치하여, 개봉 방지부재를 떼어내고 개봉하여 사용을 개시하는 형식의 보틀 용기로서, 약액 등이 충전된 용기본체에 대해, 용기본체의 개구부의 봉지와 어깨 부품의 장착, 개봉 방지부재 및 캡의 장착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어깨 부품의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보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상의 목부를 구비한 용기본체와, 상기 목부의 외주면에 나사식 부착하는 원통체를 윗면에 구비한 어깨 부품과, 개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 나사식 부착하는 캡과, 상기 어깨 부품과 캡 사이에 개장(介裝)되는 개봉 방지부재로 되는 보틀 용기로서, 상기 어깨 부품과 용기본체의 계합 관계에 역회전 방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양자가 나사식 부착된 후에는 안정된 고착접합이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원통체의 선단이 봉지되어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기본적으로 해결하고, 추가로 새로운 구성을 부가하여 발명을 진화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1) 적어도 용기본체, 어깨 부품, 캡, 개봉 방지부재의 4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보틀 용기에 있어서, 미사용 상태에서는 용기본체에 어깨 부품이 나사식 부착되고, 개봉 방지부재를 매개로 하여 캡이 나사식 부착되어 있는 구성의 보틀 용기로서,
용기본체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상의 목부, 대경의 용액 수용부, 및 상기 목부와 상기 용액 수용부를 연결하는 어깨부로 구성되고, 상기 어깨부에는 단부(段部)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깨 부품은 외주에 수나사,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봉쇄되어 있는 주출구를 형성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연속된 확폭부(擴幅部)로 구성되며, 확폭부의 아랫면에 상기 어깨부의 단부에 계합되는 돌기상의 부재를 설치하고,
캡은 주출구의 봉쇄를 개구하는 개봉수단과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 방지부재는 상기 개봉수단이 상기 주출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로서의 두께를 가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상의 단(短)원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2) (1)에 있어서, 용기본체 어깨부에 형성되는 단부는 1~4개소 설치되고, 어깨 부품의 확폭부 아랫면에 설치되는 돌기상 부재는 1~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3) (1) 또는 (2)에 있어서, 용기본체, 어깨 부품, 개봉 방지부재의 3부재의 상면측 주연부(周緣部)에는 단부가 형성되고, 어깨 부품, 개봉 방지부재, 캡의 3부재의 내주연부는 상기 단부에 계합하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 방지부재와 어깨 부품 사이의 계합 강도가 가장 약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용기의 외형이 타원통 형상 등의 비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어깨 부품이 용기본체에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어깨 부품의 원통체의 천장면이 용기본체의 목부 개구 상연(上緣)에 접촉되는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과잉 회전 방지기능을 하는 관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어깨 부품의 확폭부 윗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개봉 방지부재 아랫면 및/또는 캡 내부에 돌기부를 형성하며, 양돌기는 기립면끼리가 나사식 부착에 의한 조임 종단(終端)에서 접촉하는 위치관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본 발명에 특유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1. 캡과 어깨 부품 사이에 개봉 방지부재를 배치하고, 캡과 어깨 부품을 나사식 부착하여 일체화한 상태로 약액 충전 후의 용기본체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조립이 1공정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어깨 부품과 용기본체는 역회전을 저해하는 구조로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부품은 용기본체에 장착된 후에는 캡과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용기본체 상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역회전 방지부재는 어깨부재의 위치결정수단으로도 되기 때문에, 용기의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위치맞춤을 할 필요도 없다.
3. 주출 개구가 봉지된 선단부로부터 용기본체의 어깨부까지 일체적으로 덮는 어깨 부품을 실현할 수 있었다.
4. 개봉 방지부재의 유무 및 개구부의 유무에 의해 미사용 상태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캡은 개봉동작에 의한 파단부가 발생하지 않아 깨끗하다. 또한, 4부재에 의해서 보틀 용기에 각종 장식을 부여할 수 있어, 미관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
5. 비원통형 용기에 있어서, 4부재의 결합위치 맞춤이 가능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었다. 특히, 캡이나 개봉 방지부재의 형상에 제약이 없어져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었다.
6. 본 발명의 보틀 용기는 액체 누출 방지력이 높아 휴대시 등에도 누출 사고의 방지가 향상된다.
7. 어깨 부품은 떼어낼 수 없어 완전한 미개봉 상태를 보증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실시예의 보틀용기로서, 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로서,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어깨 부품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세로방향 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캡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세로방향 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개봉 방지부재로서, (a)는 상면도, (b)는 세로방향 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캡, 개봉 방지부재 및 어깨 부품을 조립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보틀 용기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보틀 용기
2…용기본체
21‥목부
21a‥ 수나사조(條)
22a, 22b‥평탄 어깨부
23a, 23b‥경사 어깨부
24‥단부(段部)
25‥수용부
26a, 26b‥수직 단차부(段差部)
27a, 27b‥테이퍼 단차부
3…어깨 부품
31‥단부
32‥원통체
32a‥수나사조
32b‥암나사조
33‥원통부
34‥노즐부
35‥단통(短筒)
36‥볼 누름
37‥돌조(突條)
38‥역회전 방지부재
4…캡
41‥둘레벽
42‥바닥부
43‥개봉수단
44‥원통체
44a‥암나사조
45‥봉상체
5…개봉 방지부재
51‥평판부
52‥단부
53‥개구
54‥돌조
55‥외주통부
56‥돌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원 발명의 보틀 용기는 적어도 용기본체, 어깨 부품, 캡, 개봉 방지부재의 4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미사용 상태에서는 용기본체에 어깨 부품이 나사식 부착되고, 개봉 방지부재를 매개로 하여 캡이 나사식 부착되어 있다. 사용시에 캡과 개봉 방지부재를 떼어내고, 캡을 재장착함으로써 내용액을 취출하여 사용이 가능해지는 용기이다.
용기본체에 충전되는 충전제는 액체로서 화장품이나 약액 등이다.
용기본체로의 내용액의 충전을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로부터 행하고, 어깨 부품, 개봉 방지부재 및 캡의 3부재를 조립하여 일체화한 세트부재를 충전 후의 용기본체에 장전함으로써, 화장품 등을 충전한 미사용 상태의 보틀 용기를 완성할 수 있다.
이 보틀 용기는 각 부재의 조립위치를 정확하고 느슨해지지 않게 확실히 접합할 수 있는 것을 골똘히 고안하고 있다. 용기본체와 어깨 부품은 조임에 의한 조립시에, 캡의 개봉동작시에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한 느슨해짐 방지기구 및 오버 조임에 의한 지나친 회전 방지기구를 설치하였다. 어깨 부품과 개봉 방지부재는, 캡의 어깨 부품으로의 나사식 부착에 의해 협지(挾持)되는 것이 기본 구성이고, 또한 어깨 부품과 개봉 방지부재의 대향면에 각각 닿아 부재를 돌출시켜서 조임방향의 위치 맞춤기구를 부가할 수 있다. 캡은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는 개봉 방지부재를 매개로 하여 어깨 부품과 나사식 부착된다.
개봉시에는 캡만이 빠지거나, 캡과 개봉 방지부재가 빠지는 상호 계합강도로 설정한 계합구조로 고안되어 있다.
용기의 형상은 용기본체, 어깨 부품, 역회전 방지부재 및 캡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용기본체의 형상으로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횡단면 형상인 것을 들 수 있고, 캡의 형상도 이들 용기본체의 형상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체의 횡단면이 타원형 등의 비원형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각 부재의 외형 윤곽을 거의 동일한 것으로 하면 보틀 용기가 일체적인 외관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각 부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상의 목부, 대경의 용액 수용부, 및 상기 목부와 상기 용액 수용부를 연결하는 어깨부로 구성되어 있다.
어깨부는 기본적으로 거의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에는 1~4개소의 계단상의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단상의 단부는 용기의 조립시에 어깨 부품의 아랫면에 설치된 돌기상 부재가 계단의 높은 면을 통과하여 단부에 떨어지고, 역회전해도, 단부의 벽면과 어깨 부품의 돌기상 부재가 맞닿아 역회전 방지기능을 발휘한다. 이 단부는 어깨 부품과 용기본체의 조립위치 규제로서의 역할도 있다. 용기본체의 어깨부와 어깨 부품의 탄성변형의 범위 내에서 단부의 벽과 돌기상 부재의 맞닿는 길이가 결정된다. 이들 부재의 재질로서는 합성수지가 주이다.
목부에 나사상의 나사산을 설치하는 경우, 용기본체의 사출성형틀은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2분할한 틀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2분할 틀을 이용하여 어깨 단부를 설치하는 경우는 틀 이동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분할 틀의 맞춤면 또는 이동방향으로 맞추게 되기 때문에, 90도씩 변위된 위치의 어느 한 곳으로서 1~4개소 설치된다.
또한, 용기본체의 어깨부 주연에 단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어깨부 주연의 단부에 어깨 부품의 확폭부의 가장자리가 맞춰져 덮혀, 양부재의 결합의 확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한다. 특히, 타원형 등인 경우는 이 결합에 의해서 상호 결합위치가 고정된다.
목부의 길이는 어깨 부품의 원통체의 천장과 접하는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상으로 설치된 목부의 개구로부터 내용액을 충전하고, 사용시에는 작은 노즐상의 구멍으로부터 취출하기 때문에, 개구에는 특허문헌 1에 있는 것과 같은 주출구 커버 등이 종래는 장착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주출구 커버를 개별로 설치하지 않고 어깨 부품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목부의 개구로부터의 액체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안할 필요가 있다. 그 하나의 수단으로서, 어깨 부품 원통체 천장에 매달아 설치된 단통의 외주면이 용기 목부의 내벽에 밀접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목부의 길이와 어깨 부품의 원통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목부의 개구가 원통체의 천장에 의해서 봉쇄되는 관계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수단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깨 부품을 비틀어 넣었을 때, 어깨 부품의 원통체의 천장이 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밀착했을 때, 상기 어깨 부품의 확폭부 아랫면의 돌기상 부재가 용기본체의 어깨부 단부의 벽면과 맞닿는 위치가 되도록 양자의 위치 관계로 설계하면, 어깨 부품의 조임은 개구 가장자리를 접촉함으로써 규제되고, 역회전은 용기본체의 단부에 의해서 규제되게 되기 때문에, 백래시(backlash)가 없는 확실한 결합이 완성된다. 또한, 타원 등의 비원통형인 경우는 용기본체 어깨부의 외주연의 단부와의 계합에 의해서 결합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내용액의 액체 누출의 위험이 작아진다.
용기본체의 재질은 강성(剛性)의 합성수지성이 사용되는데, 어깨부로부터 목부는 어느 정도 강성이 필요하지만, 용액 수용부는 연질(軟質)이어도 가능하다.
어깨 부품에는 외주에 수나사, 내주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봉쇄되어 있는 주출구를 형성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연속된 확폭부로 구성되며, 확폭부의 아랫면에 상기 용기본체의 어깨부의 단부에 계합하는 돌기상의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어깨 부품은 용기본체의 개구를 봉쇄하여 내용액의 취출 구멍으로 되는 부위와, 캡의 피착부로 되는 부위를 기능구성 요소로서 구비하는 것이다. 덧붙여,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개봉 방지부재를 캡 사이에 개장하여 협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취출 구멍은 미사용 상태에서는 봉지되어 있다.
액체 누출 방지의 확실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 어깨 부품의 원통체의 천장부에 용기본체 목부의 두께가 두꺼운 만큼 직경을 작게 한 단통을 매달아 형성한다. 이 구성은 양자의 변형 등에 의한 간극의 발생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어깨 부품의 원통체의 내주벽과 이 단통에 의해서 용기본체의 목부의 원통 상단측(上端側)이 협지되기 때문에,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개구 가장자리와의 밀착성 확보의 1수단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어깨 부품의 원통체의 길이와 용기본체의 목부의 길이를 밀착하는 정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통체의 외주에는 수나사를 형성하고, 캡의 피착부로 하고 있다.
원통체의 선단에는 취약하게 성형하여 봉지된 주출구를 설치한다. 본 발명은 스페이서로서의 개봉 방지부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사용 상태에서는 캡 내면에 설치한 관통부재와 주출구가 접촉하고 있지 않아, 미사용 상태에서 누출될 가능성은 없다. 사용 개시시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한다. 관통용 기구로서 캡 내부에 침상 돌기를 형성하고, 개봉 방지부재를 제거하여 다시 캡을 나사식 부착했을 때, 취약한 봉지가 파괴되고 관통하여 개구된다.
또한, 주출구는 작은 구멍 또는 원추상의 돌출형상의 선단에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관통 후에는 주출구 외면은 캡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정하여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에 설치된 침상 돌기는 관통구멍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밀봉작용의 향상에 기여한다.
어깨 부품은 원통체로부터의 하부에 확폭부를 구성하여 용기본체의 어깨부에 피착할 수 있도록 한다. 확폭부의 외연(外緣)은 용기본체의 어깨부의 외연에 맞춘다.
이 확폭부의 아랫면에는 용기본체의 어깨부의 단부에 맞닿아 역회전 방지기능을 발휘하는 돌기상의 부재를 설치한다. 이 돌기상 부재는 1~4개소 설치된다. 180도 또는 90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확폭부의 윗면에는 돌기를 1 내지 2개 부가할 수 있다. 이는, 상측의 개봉 방지부재 또는 캡의 회전 방지용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또는 위치결정 오목부를 설치하고, 대향부재측에 설치한 볼록부와 계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확폭부의 상연(上緣)에는 단부를 형성하여 상측의 개봉 방지부재 또는 캡의 하연(下緣)과 계합시킬 수 있다. 타원 등의 비원형인 경우는 이 계합에 의해서도 좌우의 회전 방지기능이 발휘되어, 상하의 계합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확폭부는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약간 부풀어오른 원반형으로 하고, 장착시에는 약간 변형하여 고정위치에 고착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 형상으로 한다.
어깨 부품과 용기본체는 백래시 없이 강고하게 고착하고, 상측의 개봉 방지부재 또는 캡의 떼어냄 동작에 수반하여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고착강도 설계로 한다.
캡은 주출구의 봉쇄를 개구하는 개봉수단과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개봉수단으로서 침상이나 추상의 돌기가 설치된다. 개봉 방지부재를 제거하여 사용 개시시에 봉지되어 있는 어깨 부품의 주출구로 진입하고, 관통하여 내용액을 취출하고 사용 가능하게 한다.
또한, 캡을 조인 상태에서는 개봉수단이 진입 상태가 되어 액체 누출 방지효과가 있다. 또한, 보틀이 쓰러졌을 때 등에 내용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관통 후의 주출구에 밀착하도록 캡 내면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씨름판상의 부푼 모양을 형성하면 보다 누출 방지효과가 향상된다.
캡은 어깨 부품과 나사식 부착에 의한 접합을 기본으로 한다. 위치맞춤은 나사의 설계에 의해서도 할 수 있지만, 지나친 회전이나 느슨해짐 방지 등 조임위치의 정확성, 로크에 확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로 고안을 더할 수 있다. 하나는 어깨 부품의 확폭부의 윗면에 설치된 돌기에 닿아 조임시에 스토퍼가 되는 돌출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어깨 부품 확폭부 윗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경우는 이 돌기가 끼워져 위치고정된다.
또한, 조립장착시에는 어깨 부품 하단과 용기본체 어깨부 윗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서도 조임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지나친 조임을 방지하고, 위치결정기능도 발휘하게 된다.
또는, 어깨 부품이나 개봉 방지부재의 상연에 단부가 설치된 경우는 이 단부에 캡의 하연이 계합하도록 할 수 있다. 타원형 등의 비원형인 경우는 계합 상태가 위치결정 작용도 나타내게 된다. 비원형의 단부인 경우는 개봉동작의 초기에는 계합을 푸는 힘이 걸리기 때문에, 어깨 부품과 용기본체의 계합력 보다도 작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단부를 얕게 하는 것이나 캡의 하연에 느슨한 밖으로 열리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등의 수단을 실시할 수 있다.
캡이 조여진 상태에서 강하게 계합하고, 안이하게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특히 휴대용 등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누출 방지로서 중요한 요소이다.
개봉 방지부재는 상기 개봉수단이 상기 주출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로서의 높이를 가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상의 단원통체로 한다. 본 발명의 개봉 방지부재는 미사용 상태와 사용 상태를 언뜻 보아 구별할 수 있도록 외관(外觀)할 수 있게 설치하고, 사용시에는 제거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외연은 하부의 어깨 부품, 상부는 캡과 일치 또는 계합하도록 한다.
최초 개봉시에 캡과 함께 빠지는지, 또는 캡만이 빠지도록 하는지에 따라서 캡과의 계합강도를 조정한다. 원통형인 경우는 캡만이 빠지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타원형 등의 비원형인 경우는 상연에 깊은 단부를 형성하여 캡과의 계합력을 강하게 하고, 캡과 함께 빠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계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단부로부터 장변부(長邊部)에 둘레벽을 세울 수 있다.
또한, 조임위치 특정을 위해, 어깨 부품의 확폭부 상부의 돌기에 맞닿는 돌기를 아랫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질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틀 용기는 용기본체에 내용액을 충전한 후, 어깨 부품, 개봉 방지부재, 및 캡을 일체화한 상측 부재를 1공정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측의 일체화는 캡에 개봉 방지부재를 조합한 후 어깨 부품에 나사식 부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일체화는 용기의 각 부품의 제조공정에 계속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의 보틀링 공정에서는 이 일체화한 상측 부재를 동시에 용기본체에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에 일체화 및 용기본체와의 조립작업에 있어서는, 어깨 부품의 확폭부 윗면에 설치한 돌기와 개봉 방지부재의 아랫면에 설치한 돌기의 맞닿음 및 개봉 방지부재의 윗면에 설치한 돌기와 캡의 아래쪽에 설치한 돌기의 맞닿음은, 상측 부재의 일체화 작업시 및 일체화 한 상측 부재를 용기본체에 조립하는 작업시에 필요해지는 조임방향으로 힘을 전하는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보틀 용기는 합성수지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질계(硬質系)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깨 부품의 장착에 있어서는 용기 어깨부 또는 어깨 부품의 확폭부의 한쪽 또는 양쪽이 탄성변형하여 계합위치에 들어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 보다도 탄성변형이 커지도록 한다. 또한, 캡 부재의 재질은 어깨 부품의 소재 보다도 경질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봉지되어 있는 주출구를 관통하는 정도의 경도를 가진 합성수지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보틀 용기를 도 1 내지 도 8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보틀 용기로서, 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용기본체로서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어깨 부품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세로방향 단면도, (c)는 저면도이고, 도 4는 캡으로서 (a)는 상면도, (b)는 세로방향 단면도, (c)는 저면도이며, 도 5는 개봉 방지부재로서 (a)는 상면도, (b)는 세로방향 단면도, (c)는 저면도이고, 도 6은 캡, 개봉 방지부재 및 어깨 부품을 일체화한 상측 부재의 도면이며, 도 7은 보틀 용기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용기본체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보틀 용기는 합성수지제이고, 전체적으로 경질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 부품은 약간 연질계의 소재를 사용하여 성형하고, 용기본체로의 장착시에는 어깨 부품의 확폭부가 탄성변형하여 조립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캡의 재질은 어깨 부품 보다도 경질소재를 사용하여 성형하고, 주출구의 봉지를 관통하여 개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의 보틀 용기(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목부(21)를 구비한 용기본체(2), 상기 원통상의 목부(21)의 외주면에 나합하는 원통체(31)를 구비한 상기 용기본체(2)의 상면부에 장착되는 어깨 부품(3), 개봉수단(43)을 구비한 상기 원통체(31)의 외주면에 나합하는 캡(4) 및 상기 어깨 부품(3)과 캡(4) 사이에 개장되는 개봉 방지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본체(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25)를 갖는 횡단면이 타원형으로서, 윗면 중앙에는 원통상의 목부(21)가 돌설(突設)되어 있고, 목부(21)의 상부는 개구되며, 그 둘레측면에는 수나사조(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윗면에는 평탄 어깨부(22)와 목부(21) 기단(基端)으로부터 주연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 어깨부(23)가 번갈아 각각 2개 형성되고, 주연에는 어깨 부품(3)의 장착시에 어깨 부품(3)의 주연에 설치되어 있는 단부 아랫면이 맞닿는 단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 어깨부(22)와 경사 어깨부(23)의 경계는 계단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단변측(短邊側)의 계단은 테이퍼가 부착된 테이퍼 단차부(27a, 27b)가 형성되어, 조임동작시의 어깨 부품측의 돌기가 안내되어 타고 넘어가도록 한다. 한편, 좌우의 장변부의 계단은 수직벽으로 된 수직 단차부(26a, 26b)로 함으로써, 어깨 부품측의 역회전 방지부재(38)가 빠졌을 때 되돌아감에 큰 저항이 발생하여, 어깨 부품의 빠짐 방지, 즉 역회전 방지기능이 발휘되도록 한다.
도 8에 용기본체(2)의 사시도를 나타내어, 용기 어깨부의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어깨 부품(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연에 단부(31)를 설치한 약간 부풀어오른 원반상의 얕은 중공체(中空體)로서, 바깥쪽이 판상의 중공체의 중앙부에 용기 목부를 덮도록 원통체(32)를 돌출시키고, 용기본체(2)의 윗면을 덮도록 용기본체(2)와 거의 동일한 외형 윤곽을 구비하고 있다. 단부(31)는 캡(4)의 단부와의 계합을 약하게 하기 위해, 얕게 형성되는 동시에 측면을 볼록 원호상으로 하고 있다.
원통체(32)는 원통부(33)와 원통부(33)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선단이 취약하게 봉지된 원통상의 노즐부(34)로 구성되고, 원통부(33)의 외주면에는 캡을 나사식 부착시키는 수나사조(33a)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용기본체(2)의 목부(21)에 나사식 부착하는 암나사조(3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33)의 내부에는 용기본체(2)의 목부(21)와 원통부(33)가 나사식 부착했을 때, 목부(21)의 개구에 침입하여 목부(21)에 밀착되는 원통상의 단통(35)이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노즐부(34)에 연통하는 개구를 따라서 볼 누름(36)이 설치되어 있다. 볼 누름(36)은 교반의 목적으로 용기 내에 넣은 볼이 개구부의 안쪽에 밀착하여, 내용액의 주출을 저해하지 않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어깨 부품(3)의 윗면에는 원통부(33)의 기단부를 따라서 2개의 돌조(37, 37)가 점대칭의 위치에 설치되고, 내면에는 어깨 부품(3)을 용기본체(2)에 나사식 부착했을 때, 용기본체(2) 윗면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단차부(26a, 26b)와 협동하여 역방향(빼냄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2개의 돌출된 판상의 역회전 방지부재(38, 38)가 점대칭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캡 부재(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이 타원형이고, 개구단을 향해서 개구하는 둘레벽(41)을 구비한 바닥이 있는 통상체로서, 바닥부(42) 내면의 중앙부에는 개봉수단인 원추상 돌기(43)가 설치되고, 이 원추상 돌기(43)를 둘러싸도록 원통체(44)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체(44)의 내주면에는 어깨 부품(3)에 돌설되어 있는 원통부(33)에 나합하는 암나사조(4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체(44)의 길이는 캡(4)의 둘레벽(41)의 길이 보다도 짧게 되어 있어, 개봉 방지부재(5)를 제거한 후에 캡(4)을 비틀어 넣어 어깨 부품(3)에 나사식 부착했을 때, 어깨 부품(3)의 원통체(32)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돌조(37, 37)에 맞닿아 과잉의 비틀어 넣음을 저지하도록, 원통체(44)의 외주면에는 단부로부터 연출(延出)되는 2개의 봉상체(45, 45)가 점대칭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캡 둘레벽(41)의 하연은 어깨 부품의 주연에 설치된 단부(31)에 맞닿는다. 비원형인 본 실시예에서는 강한 계합력이 얻어져, 확실하게 고정하여 느슨해짐 방지작용을 발휘한다.
개봉 방지부재(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의 평탄부(51)와 외주연에 형성된 단부(52)가 형성되고, 평판부(51)의 중앙에는 어깨 부품(3)의 원통체(32)가 삽통(揷通) 가능한 개구(53)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51) 윗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캡 내면에 합치되는 원호상의 돌조(54, 54)가 단부(52)를 따라서 돌설되고, 단부(52) 아래쪽에는 용기본체(2)에 캡(4)을 장착했을 때, 캡(4)에 설치되어 있는 원추상 돌기(43)가 어깨 부품(3)의 봉지되어 있는 노즐부(34)에 들어가지 않도록, 즉 개봉시키지 않도록 스페이서가 되는 외주 통부(55)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53) 근방의 평판부(51) 내면에는 캡(4), 개봉 방지부재(5) 및 어깨 부품(3)을 일체화하여 용기본체(2)에 장착할 때, 어깨 부품(3)의 원통부(31) 기단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돌조(37, 37)에 각각 맞닿아, 어깨 부품의 공전(空轉)을 방지하는 2개의 돌기(56, 56)가 점대칭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 통부(55)의 하연이 어깨 부품(3)의 단부(31)과 맞닿아 계합하는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보틀 용기에 대해서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캡(4), 개봉 방지부재(5) 및 어깨 부품(3)의 상측 부재를 일체화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먼저, 캡(4)의 개구 단부로부터 개봉 방지부재(5)를 삽입하면, 개봉 방지부재(5) 주연의 단부(52)가 캡(4)의 개구 단부에 맞닿는 동시에, 윗면에 설치되어 있는 원호상의 돌조(54, 54)가 캡(4) 내에 감합(嵌合;끼워 맞춤)되어, 캡(4)에 대해 회전불능으로 장착된다. 이어서, 개봉 방지부재(5)의 개구(53)로부터 어깨 부품(3)의 원통체(32)를 캡(4)의 원통체(44)에 비틀어 넣으면, 개봉 방지부재(5)의 외주 통부(55)의 하연이 어깨 부품(3)의 단부(31)에 맞닿는 동시에, 개봉 방지부재(5)의 아랫면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56, 56)는 어깨 부품의 원통부 기단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돌조(37, 37)와 계합하여 회동(回動)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어깨 부품(3)의 노즐부(34) 선단에는 캡(4) 내에 설치된 원추상 돌기(43)의 선단이 침입하지 않도록, 즉 개봉을 저지하도록 캡(4)에 나사식 부착된다.
이와 같이, 캡(4)와 어깨 부품(3)은 개봉 방지부재(5)를 협지하여 일체화(도 6 참조)하기 때문에, 용기본체(2)에 약액 등을 충전한 후, 어깨 부품(3) 및 개봉 방지부재(5)와 함께 일체화한 캡(4)를 용기본체(2)의 목부(21)에 비틀어 넣으면, 어깨 부품(3)의 외주 하단이 용기본체(2)의 경사 어깨부(23a, 23b) 윗면에 맞닿으면서 어깨 부품(3)이 탄성변형되어, 어깨 부품(3)의 판상의 돌출된 역회전 방지부재(38, 38)가 수직 단차부(26a, 26b)에 떨어지고, 이와 동시에 어깨 부품(3)의 외주 하단은 용기본체(2) 어깨부의 단부(24)에 맞닿고, 위치결정되어 이 상태로 장착된다.
지나친 조임에 의한 위치 어긋남 방지는 원통체(33)의 내천장이 용기본체의 목부의 상단에 접하여 멈추도록, 원통체(33)에 내측의 깊이를 설정하여, 규제부재의 하나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또한, 어깨 부품(3)의 외주 하단이 용기본체(2)의 단부(24)에 맞닿기 때문에, 비틀어 넣는 동작에 수반하는 어깨 부품의 아래쪽으로의 운동은 저항을 받아, 지나친 회전에 의한 위치 어긋남 방지작용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보틀 용기(1)를 사용할 때에는, 용기본체(2)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으로 캡(4)을 돌리면, 개봉 방지부재(5)는 캡에 대해서 회동불능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캡(4)과 함께 떼어내어진다. 이 때, 어깨 부품(3)의 역회전 방지부재(38, 38)는 용기본체(2)의 어깨부(23)에 맞닿기 때문에, 캡(4)과 함께 회동하지 않고 용기본체(2)에 장착된 그대로의 상태가 된다. 또한, 용기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회전 방지규제가 된다. 이어서, 캡(4)으로부터 개봉 방지부재(5)를 빼낸 후, 다시 캡(4)을 어깨 부품(3)의 원통체(32)에 비틀어 넣으면, 어깨 부품(3)의 주연에 설치된 단부(31)에 캡의 둘레벽(41)의 하연이 맞닿는 동시에, 캡(4)의 원통 체(44)로부터 연출된 봉상체(45, 45)가 어깨 부품(3)의 원통체 기단을 따라서 설치된 돌조(37, 37)에 맞닿아 비틀어 넣음을 정지시킨다. 이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에 설치되어 있는 원추상 돌기(43)가 노즐부(34) 선단의 봉지부(34a)를 관통하여 노즐부가 개봉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캡(4)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깨 부품(3)의 단부(31)는 얕고, 측면에는 볼록 원호상으로 되어 있으며, 캡(4)의 둘레벽(41)은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 부품과 캡의 계합이 떼어져 캡을 취출시킨다.
또한, 사용 후 폐기하는 경우에는 어깨 부품(3)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시키면, 역회전 방지부재(38, 38)는 용기본체(2)의 수직 단차부(26a, 26b)를 탄성변형하여 타고 넘거나, 또는 용기본체 어깨부를 파단하여 용기본체(2)와 어깨 부품(3)의 계합을 떼어내고 어깨 부품(3)을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부품의 외주는 동일 또는 연속하도록 자연적인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보틀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상의 목부를 구비한 용기본체와, 상기 목부의 외주면에 나사식 부착하는 원통체를 윗면에 구비한 어깨 부품과, 개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 나사식 부착하는 캡과, 상기 어깨 부품과 캡 사이에 개장되는 개봉 방지부재로 되며, 상기 어깨 부품은 용기본체에 나사식 부착했을 때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을 아랫면에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체의 선단은 봉지되어 있기 때문에, 약액 등이 충전된 용기본체에 대해서 용기본체의 개구부의 봉지, 어깨 부품의 장착 및 캡의 장착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4부재를 일체감이 있도록 스무드하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개봉 방지부재를 제거해도 흔적이 남지 않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어, 우수한 미관을 주는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 후에는 각 부품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재질마다 분별 수집이 가능하고, 리사이클 사용 등 환경부하가 작은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적어도 용기본체(2), 어깨 부품(3), 캡(4), 개봉 방지부재(5)의 4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보틀 용기에 있어서, 미사용 상태에서는 용기본체(2)에 어깨 부품(3)이 나사식 부착되고, 개봉 방지부재(5)를 매개로 하여 캡(4)이 나사식 부착되어 있는 구성의 보틀 용기로서,
    용기본체(2)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수나사(21a)가 형성된 원통상의 목부(21), 대경의 용액 수용부(25), 및 상기 목부(21)와 상기 용액 수용부(25)를 연결하는 어깨부(22a),(22b),(23a),(23b)로 구성되고, 상기 어깨부(22a),(22b),(23a),(23b)에는 단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깨 부품(3)은 외주에 수나사(33a), 내주에 암나사(33b)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봉쇄되어 있는 주출구를 형성한 원통체(32)와 상기 원통체(32)로부터 연속된 확폭부로 구성되며, 확폭부의 아랫면에 상기 어깨부(22a),(22b),(23a),(23b)의 단부(24)에 계합되는 돌기상의 부재를 설치하고,
    캡(4)은 주출구의 봉쇄를 개구하는 개봉수단(43)과 암나사(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 방지부재(5)는 상기 개봉수단(43)이 상기 주출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로서의 두께를 가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상의 단원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본체 어깨부(22a),(22b),(23a),(23b)에 형성되는 단부(24)는 1~4개소 설치되고, 어깨 부품(3)의 확폭부 아랫면에 설치되는 돌기상 부재는 1~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본체(2), 어깨 부품(3), 개봉 방지부재(5)의 3부재의 상면측 주연부에는 단부가 형성되고, 어깨 부품(3), 개봉 방지부재(5), 캡(4)의 3부재의 내주연부는 상기 단부에 계합하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 방지부재(5)와 어깨 부품(3) 사이의 계합 강도가 가장 약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의 외형이 타원통 형상 등의 비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어깨 부품(3)이 용기본체(2)에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어깨 부품(3)의 원통체(32)의 천장면이 용기본체(2)의 목부(21) 개구 상연에 접촉되는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과잉 회전 방지기능을 하는 관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어깨 부품(3)의 확폭부 윗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개봉 방지부재 아랫면, 캡 내부, 또는 개봉 방지부재 아랫면 및 캡 내부에 돌기부를 형성하며, 양돌기는 기립면끼리가 나사식 부착에 의한 조임 종단에서 접촉하는 위치관계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용기.
KR1020077018265A 2005-01-17 2005-12-27 보틀 용기 KR101194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9332 2005-01-17
JP2005009332A JP4045277B2 (ja) 2005-01-17 2005-01-17 ボトル容器
PCT/JP2005/023879 WO2006075522A1 (ja) 2005-01-17 2005-12-27 ボトル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399A KR20070104399A (ko) 2007-10-25
KR101194525B1 true KR101194525B1 (ko) 2012-10-25

Family

ID=3667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265A KR101194525B1 (ko) 2005-01-17 2005-12-27 보틀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62161B2 (ko)
JP (1) JP4045277B2 (ko)
KR (1) KR101194525B1 (ko)
CN (1) CN101098819B (ko)
HK (1) HK1110051A1 (ko)
TW (1) TW200708450A (ko)
WO (1) WO2006075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8625B2 (ja) * 2010-09-14 2012-05-0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開封手段付き容器
US20120234789A1 (en) * 2010-11-24 2012-09-20 Cool Gear International, Llc Caps and containers
JP5204320B1 (ja) * 2012-01-31 2013-06-0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バージンキャップ付き容器
JP5933314B2 (ja) * 2012-03-30 2016-06-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混合容器用キャップ
JP6143342B2 (ja) * 2013-05-31 2017-06-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ねじキャップ付き容器
CN107814076B (zh) * 2017-11-10 2023-04-14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开闭卫生盖
CN109018608B (zh) * 2018-09-29 2023-12-22 李佳晟 一种用于盛放颗粒状药品、食品的瓶子
US11772851B2 (en) * 2021-06-21 2023-10-03 Medmix Switzerland Ag Liquid applic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9168A (ja) 1997-08-04 1999-02-23 Yoshida Kogyo Kk <Ykk> 異材質部材組付容器
JPH11236064A (ja) 1998-02-20 1999-08-31 Hata:Kk 封緘膜付き容器
JP2001018974A (ja) 1999-07-02 2001-01-23 Yoshida Industry Co Ltd ボトル容器
JP2002059956A (ja) 2000-08-17 2002-02-26 Sooma:Kk 容 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1218A (en) * 1954-05-19 1956-11-20 Henderson Edward Closure assembly
US3109562A (en) * 1954-09-07 1963-11-05 Schering Corp Nozzle perforating cap for collapsible tubes
US3182858A (en) * 1962-07-30 1965-05-11 Beaudoin Jean Perforating stopper for collapsible tubes
US3454196A (en) * 1967-07-20 1969-07-08 Polytop Corp Fixed spout closure with auxiliary cap
US4238042A (en) * 1979-07-16 1980-12-09 Yoshida Kogyo Co., Ltd. Air-tight cap for bottle
US4307821A (en) * 1980-08-22 1981-12-29 Mack-Wayne Plastics Company Container-closure assembly
IT206497Z2 (it) * 1985-12-31 1987-08-10 Lameplast Di Ferrari & C Snc S Contenitore in plastica per l' erogazione controllata di polveri e di liquidi in gocce,dotato di capsula di chiusura perforante azionabile al momento dell'uso
US4678098A (en) * 1986-03-24 1987-07-07 Yasuo Oka Fastening structure of tube and car assembly
US4867326A (en) * 1988-08-25 1989-09-19 Cp Packaging Child resistant cap and tube assembly
US5052589A (en) * 1990-02-08 1991-10-01 Cp Packaging, Inc. Unit dose assembly
JPH04109044A (ja) 1990-08-24 1992-04-10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H04109044U (ja) * 1991-03-04 1992-09-21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シール装置
JP2602451Y2 (ja) * 1992-10-14 2000-01-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US5590798A (en) * 1995-08-08 1997-01-07 Wheaton Holding, Inc. Container-closure assembly
CN2379425Y (zh) * 1999-05-26 2000-05-24 董国华 饮料瓶盖
JP4467689B2 (ja) 1999-12-16 2010-05-26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CN2423232Y (zh) * 2000-03-06 2001-03-14 北京市天山新材料技术公司 一种瞬干胶的包装瓶瓶盖
JP2002211622A (ja) * 2001-01-23 2002-07-31 Mikuni Corp 内容物混合用キャップ
CA2482390C (en) * 2002-04-30 2010-05-25 Bormioli Rocco & Figlio S.P.A. A capsule containing a mixer substance for bottles containing pressurised liquids
CN2598909Y (zh) * 2002-10-15 2004-01-14 舒忠明 直插式吸管瓶盖
ES2295539T3 (es) * 2003-07-11 2008-04-16 Jose Luis Galaz Rodriguez Envase para contenedor separados y mezclar dos productos diferentes.
US7188750B2 (en) * 2003-09-05 2007-03-13 Hospira, Inc. Blow fill sealed container with twist off top operated by overca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9168A (ja) 1997-08-04 1999-02-23 Yoshida Kogyo Kk <Ykk> 異材質部材組付容器
JPH11236064A (ja) 1998-02-20 1999-08-31 Hata:Kk 封緘膜付き容器
JP2001018974A (ja) 1999-07-02 2001-01-23 Yoshida Industry Co Ltd ボトル容器
JP2002059956A (ja) 2000-08-17 2002-02-26 Sooma:Kk 容 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8450A (en) 2007-03-01
HK1110051A1 (en) 2008-07-04
CN101098819B (zh) 2011-04-06
JP4045277B2 (ja) 2008-02-13
WO2006075522A1 (ja) 2006-07-20
KR20070104399A (ko) 2007-10-25
TWI316496B (ko) 2009-11-01
JP2006193202A (ja) 2006-07-27
US8162161B2 (en) 2012-04-24
US20090014406A1 (en) 2009-01-15
CN101098819A (zh)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525B1 (ko) 보틀 용기
US5433716A (en) Safety closing device for biological liquid containers
KR20090085053A (ko) 보틀 용기
US10994903B2 (en) Plastic ca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9718572B2 (en) Receptacle having a premolded insert with a surface irregularity
KR20020086553A (ko) 합성수지제 주출캡
MX2014009127A (es) Dispositivo de bloqueo para un tapon.
JP2019523185A (ja) 不正開封防止バンドを備えたクロージャ
KR101630314B1 (ko) 안전 캡을 구비한 용기
KR20080017019A (ko)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 관통 슬리브를 구비한 분배마개
KR20000010653A (ko) 일체형으로 장착된 재사용 가능한 상측부를구비한 용기 및상측부 제조 방법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JP5965039B1 (ja)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KR200491060Y1 (ko) 튜브형 용기
GB2242678A (en) Non-resealable dispenser cap assembly
US11013663B2 (en) Container for a medical liquid
TWI566998B (zh) 附設開啟手段之容器
JP4794880B2 (ja) 液だれ防止中栓付きキャップ
JP6736558B2 (ja) 容器注出口の封止構造
KR101161317B1 (ko) 이중캡 누액 방지용 용기
KR20010109559A (ko) 용기뚜껑
CN104781158B (zh) 吸嘴、带吸嘴的包装体、以及该包装体的制造方法
CN217261837U (zh) 一种瓶口封口结构
KR200416612Y1 (ko) 안전용기 캡
KR200201672Y1 (ko) 용기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