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553A - 합성수지제 주출캡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주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553A
KR20020086553A KR1020027010839A KR20027010839A KR20020086553A KR 20020086553 A KR20020086553 A KR 20020086553A KR 1020027010839 A KR1020027010839 A KR 1020027010839A KR 20027010839 A KR20027010839 A KR 20027010839A KR 20020086553 A KR20020086553 A KR 20020086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p body
stopper
cylind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925B1 (ko
Inventor
마사루 다무라
시노자키나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마사루 다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501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59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50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416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마사루 다무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2008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25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65D41/344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5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especially suited for or with means facilitating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병주둥이통(24)에 기밀하게 끼워넣어 주출구를 개설하는 캡본체(2)와, 캡본체(2)에 나사맞춤 착탈하고 주출구를 개폐하는 바깥 캡본체(l5)로 이루어져, 캡본체(2)에 조립통(3)의 바깥둘레면 중앙에 제 1 걸어멈춤부(5)를 형성하고, 바깥 캡본체(15)의 파단편(21)을 통해 일체로 설치된 걸어멈춤통(22)에, 제 1 걸어멈춤부 (5)의 아래쪽으로부터 걸리는 제 2 걸어멈춤부(23)를 설치하고, 병주둥이통(24)으로의 캡본체(2)의 조립강도를,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뗀 상태의 벗겨내기를 할 수 있는 정도로 되도록 설정하여, 주출 캡(1)의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의 분별을 간단히 달성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주출캡{SYNTHETIC RESIN FILLER CAP}
합성수지제 병 용기의 재이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폐기되는 합성수지제품을 분별·회수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고, 그 하나로서, 병 용기의 병주둥이 통에 조립하여 주출구(filler port)를 형성하는 주출캡을, 병 용기의 파기(破棄) 시에 병 용기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종래 기술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1-255251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병주둥이 통에, 밖에서 끼워 타고 넘어가서 걸리는 조립통(fitted tube)을 가지며, 기밀하게 끼워만들어 주출구를 형성하는 캡 본체와, 이 캡 본체에 착탈(着脫)이 자유롭게 나사맞춤하여 캡본체의 주출구를 개폐하는 바깥 캡본체로 구성되어, 캡본체의 조립 통의, 복수의 세로로 쪼개진 홈을 하단부에 설치한, 병 주둥이통과의 걸어멈춤 기능부분의 바깥둘레에 제 1 걸어멈춤부로 되는 오목한 걸어멈춤 끼워넣음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조립통에 밖에서 끼워만든 바깥 캡의 외부 케이스의 하단에, 복수의 파단편을 통해, 조립통의 걸어멈춤 끼워넣음부에, 위쪽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또한 끌어내리는 조작에 의해 아래쪽으로 타고 넘어갈 수 있게 걸어멈춤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가지는 걸어멈춤통을 연이어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바깥 캡본체의 외부장착통으로부터 걸어멈춤통이 분리되는 것에 의해, 부정개봉방지작용을 발휘하도록 하고, 조립통의 하단부에 대한 걸어멈춤통의 걸어멈춤에 의해, 캡본체의 병주둥이통(bottle mouth tube)에 대한 조립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조립통의 하단부로부터 걸어멈춤통이, 아래쪽으로 이탈함에 의해, 캡본체의 병 주둥이로부터의 이탈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단이 노출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 등의 딱딱한 물체의 선단부분을, 이 조립통과 병주둥이통과의 사이에 꽂아서, 비틀어 연 상태로 캡본체를 병주둥이통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캡본체의 조립통 하단부에, 병주둥이 통에 대한 걸어멈춤 기능부분과, 외부 캡본체의 제 2 걸어멈춤부를 끼워맞추어 걸어멈춤통의 상승을 저지함과 동시에, 걸어멈춤통의 자유이동을 저지하여 강제이동을 허용하는 제 1 걸어멈춤부로 되는 걸어멈춤 오목부를, 일체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단편(破斷片)의 파단 후에도, 걸어멈춤통의 조립통 하단부에 대한조립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파단편의 파단 전후에서, 조립통에 대한 걸어맞춤통의 조립위치에 큰 변화가 없고, 이 때문에 외관으로 보아서 파단편의 파단을 인식하기가 어렵고, 부정개봉방지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딱딱한 물체를 사용하여 올바르지 않게 비틀어 열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를 간단히 하고, 더욱 부정개봉방지효과를 명확히 발휘할 수 있고, 따라서 상품으로서의 안전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비용의 저감을 무리 없이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병(bottle)의 주둥이통(mouth tube)에 맞붙여지고, 내용액의 주출구(注出口)를 개설한 캡 본체(cap body)와, 이 캡 본체의 주출구를 개폐하는 바깥 캡본체(outer cap body)로 구성되어, 폐기 시에 분별회수가 유리하도록 구성된, 부정개봉방지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제 주출 캡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하기 전의 주출 캡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하기 전의 주출 캡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제 4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5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l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6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전의 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바깥 캡본체의 나사이탈 후의 반 종단면도이다.
제 1 의 발명은, 병주둥이 통에, 밖에서 끼워 타고 넘어가서 걸어멈춤되는 조립통(fitted tube)을 가짐과 동시에 기밀하게 끼워만들어 주출구(filler port)를 형성하는 캡본체(cap body)와, 상기 캡본체에 착탈(着脫)이 자유롭게 나사맞춤하여, 캡본체의 주출구를 개폐하는 꼭대기가 있는 통형상의 바깥 캡본체(outer cap body)로 구성되어, 캡본체의 조립통의, 병주둥이통(bottle mouth tube)의 걸어멈춤 기능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의 바깥둘레면 개소에, 제 l 걸어멈춤부를 형성하고, 닫힌 상태에서 캡본체의 조립통에 외장(外裝)하는 바깥 캡본체의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병주둥이 통의 목부분 고리(neck ring)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며, 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추는 제 2 걸어멈춤부를 설치한 걸어멈춤통을, 복수의 파단편(broken piece)을 통해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고, 또한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를, 내용액의 수격력(water hammer power)으로 벗겨지지 않음과 동시에, 병주둥이통에 대하여 헛도는 일 없는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해 비틀어 뗀 상태의 떼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설정한 것이다.
주출 캡을 병주둥이통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캡본체의 주출구를 이 캡본체에 나사맞춤하여 조립한 바깥 캡본체가 밀폐되고, 또한 캡본체의 조립통에 밖에서 끼운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이, 그 제 2 걸어멈춤부를, 캡본체의 조립통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에서부터 걸어멈춤시킨 합성수지제 주출캡(synthetic resin filler cap)이다.
이 상태로부터 바깥 캡본체를 나사이탈하여 회전시키면, 위로 이동하는 바깥 캡본체의 본체통과 외부장착통의 조합물에 대하여, 걸어멈춤통은, 제 l 걸어멈춤부와 제 2 걸어멈춤부와의 걸어멈춤에 의해, 위로 이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파단편이 파단된다.
파단편이 파단되면, 걸어멈춤통은,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떨어져 내려, 파단편의 파단 전과 그 위치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 걸어멈춤통의 큰 위치변화에 의해, 파단편의 파단을 명확히 인식할 수가 있어, 부정개봉방지기능이 확실히 발휘되게 된다.
이 때, 걸어멈춤통의 안지름이 목부분 고리(neck ring)의 바깥지름보다도 크기 때문에, 걸어멈춤통의 낙하(落下)하는 변위동작이 목부분 고리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고, 걸어멈춤통은 확실하고 원활하게 낙하하여 변위한다.
주출 캡을, 병주둥이통으로부터 분별하여 회수할 때에는, 캡본체를 쥐고, 그대로 비틀어 떼는 힘을 작용시켜, 조립통을 지름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휨 변형시킴으로써, 병주둥이통으로부터 강제로 비틀어 뗀다.
이 때, 병주둥이통에 조립되어 있는 캡본체에, 바깥 캡본체의 본체통과 외부장착통과의 조합물을 나사맞춤하여 조립하여 두고, 손으로 주출 캡을 잡는 것이 양호한 상태로 달성된다.
캡본체를 병주둥이통으로부터 비틀어 떼었으면, 걸어멈춤통을 병주둥이 통으로부터 끌어올려 이탈시켜, 주출 캡의 병주둥이통으로부터의 분별을 완료한다.
또한, 파단편의 파단 전에 있어서는, 캡본체의 조립통에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이 밖에서 끼워지고 있기 때문에, 조립통은 그 지름이 확대되는 변형을 저지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캡본체의 병주둥이통에 대하여 끼워 조립하는 것이 안정하게 확보되는 것으로 된다.
제 2 의 발명은, 병주둥이통에, 밖에서 끼워 타고 넘어가서 걸어멈춤하는 조립통을 가지며, 기밀하게 끼워만들어 주출구를 형성하는 캡본체와, 해당 캡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맞춤되어, 캡본체의 주출구를 개폐하는 꼭대기를 갖는 통형상의 바깥 캡본체로 구성되어, 캡본체의 조립통의, 병주둥이의 걸어멈춤 기능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의 바깥둘레면 개소에 제 1 걸어멈춤부를, 또한 바깥둘레면 하단부에 돌출 높이가 낮은 걸림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닫힌 상태에서, 캡본체의 조립통에 끼워만든 바깥 캡본체의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병주둥이통의 목부분 고리(neck ring)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며, 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에서부터 걸어멈춤하고, 또한 캡본체의 걸림 돌기에 위쪽으로부터 약하게 걸어멈춤되는제 2 걸어멈춤부를 설치한 걸어멈춤통을, 복수의 파단편을 통해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고, 또한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를, 병주둥이통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상태의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정도가 되도록 설정한 합성수지제 주출캡이다.
파단편이 파단되면, 걸어멈춤통은, 그 제 2 걸어멈춤부가 캡본체의 걸림 돌기에 위쪽으로부터 걸릴 때까지, 자중에 의해 낙하·변위하여, 파단편의 파단 전과 그 위치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 걸어멈춤통의 큰 위치변화에 의해, 파단편의 파단이 명확히 인식될 수 있고, 부정개봉방지기능이 확실히 발휘되게 된다.
파단편의 파단 전에 있어서는, 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단부에,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이 밖에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캡본체의 조립통은, 함부로 지름이 확대되는 변형을 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캡본체의 병주둥이통에 대하여 기밀하게 끼워만들어 조립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주출 캡을, 병주둥이통으로부터 분별하여 회수하는 때에는, 걸어멈춤통에 끌어내리는 힘을 작용시켜, 걸림 돌기에 대한 제 2 걸어멈춤부의 약한 걸어멈춤을 해제시켜, 이 걸어멈춤통을 캡본체의 조립통으로부터 하강하여 분리시키고 나서, 캡본체를 쥐고, 병주둥이통으로부터 강제로 비틀어 뗀 상태로 분리시킨다.
이 때, 병주둥이통에 조립되어 있는 캡본체에, 바깥 캡본체의 본체통과 외부장착통과의 조합물을 나사맞춤하여 조립하여 두면, 손에 의한 주출 캡의 붙잡음이 양호한 상태로 달성된다.
캡본체를 병주둥이통으로부터 비틀어 떼어냈다면, 걸어멈춤통을 병주둥이통으로부터 끌어올려 이탈시켜, 주출 캡의 병주둥이통으로부터의 분별을 완료한다.
제 3 의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의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제 주출 캡의 구성에,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의 설정수단을, 캡본체의 조립통의 두께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본체의 조립통의 두께를 얇게 하면, 외력에 의한 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의 휨 변형되기 쉽게 되고, 역으로 두껍게 하면 변형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이 두께를 적정히 설정함으로써, 병 몸체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fitting strength)를 적정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특별한 구조를 부가하지 않고 달성된다.
제 4 의 발명은, 제 l 또는 제 2 의 발명의 구성에,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의 설정수단을, 캡본체의 조립통의 적어도 하단부에 쪼개진 홈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쪼개진 홈의 개수나, 홈 길이 등의 형상에 의해, 외력(外力)에 의한 조립통의 지름확대 방향으로의 휨 변형 정도를 설정하여,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를 적정한 범위로 정밀도 높게 설정할 수가 있다.
제 5 의 발명은,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의 발명의 구성에,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을, 캡본체의 조립통의 제 1 걸어멈춤부로부터 병주둥이통의 목부분 고리(neck ring)까지의 높이 폭으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체의 걸어멈춤통이, 조립통의 하단 테두리와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형성된 빈틈을 덮어서 숨기는 것으로 되고, 이에 따라 조립통의하단 테두리와 목부분 고리(neck ring)와의 사이에 형성된 빈틈에 드라이버 등의 딱딱한 물체를 집어넣어, 주출 캡을 병주둥이통으로부터 부정하게 비틀어 열어서 분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의 발명은, 제 1, 제 2, 제 3, 제 4 또는 제 5 기재의 발명의 구성에, 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를, 단순한 테두리 돌출조 형상구조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걸어멈춤부의 구조가 대단히 간단한 것으로 되고, 또한 조립통의, 병주둥이통에 대한 밖에서 끼워 조립한 주요부분에 제 1 걸어멈춤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주요부분의 두께를 제 1 걸어멈춤부의 부분만 크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립통의 다른 부분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의 발명은,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또는 제 6 의 발명의 구성에, 제 2 걸어멈춤부를, 제 1 걸어멈춤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의 안쪽에 돌출하여 설치한 테두리 돌출조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걸어멈춤부를 단순형상인 테두리 돌출조로 하였기 때문에, 제 2 걸어멈춤부의 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되고, 병주둥이통, 캡본체 및 바깥 캡본체의 상호 조립을 정밀도 좋게 하기 위해서, 정밀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는 바깥 캡본체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제 8 의 발명은, 제 1, 제 2, 제 3, 제 5, 제 6 또는 제 7 의 발명의 구성에, 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 또는 바깥 캡본체의 제 2 걸어멈춤부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단속(斷續)한 테두리 돌출조 형상구조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걸어멈춤부 또는 제 2 걸어멈춤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단속(斷續)한 테두리 돌출조 형상구조로 되어있으면, 두께로 되어있는 제 1 걸어멈춤부 또는 제 2 걸어멈춤부가, 지름 확대되기 쉽게 되어, 바깥 캡본체를 조립한 상태의 캡본체의 병주둥이통으로의 조립이 용이하여 진다.
또한, 단속(斷續)한 테두리 돌출조 형상구조란, 대향하는 2개소, 또는 등간격(等間隔)의 복수 개소에, 테두리 돌출조가 제거되어, 도중에서 끊긴 부분을 갖는 테두리 돌출조 형상구조를 말한다.
제 9 의 발명은,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또는 제 6 의 발명의 구성에, 제 2 걸어멈춤부를,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의 안쪽, 또한, 경사진 상방에 돌출하는 탄성변위 가능한 복수의 탄성편으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성편인 제 2 걸어멈춤부가, 무리 없이 캡본체의 제 l 걸어멈춤부를 타고 넘어가서, 파단하기 쉬운 파단편을 파단하지 않고, 아래쪽으로부터 확실히 탄성편(彈性片)을 제 1 걸어멈춤부에 걸어멈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l0 의 발명은, 제 l,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8 또는 제 9 의 발명의 구성에, 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단 테두리와 목부분 고리(neck ring)와의 사이에, 경화(硬貨)의 테두리 끝단부가 침입 가능한 틈을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경화 등 몸 가까이의 딱딱한 물체를 사용하여, 캡본체의 병주둥이통으로부터의 분리를, 억지로 여는 상태로 간단히 달성할 수가 있다.
제 l1의 발명은, 제 l,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8, 제 9 또는 제 l0의 발명의 구성에, 제 2 걸어멈춤부를 포함시킨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의 최소 안지름값을, 목부분 고리(neck ring)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단편의 파단에 의해 하강하여 변위하는 걸어멈춤통의 하강 변위가, 목부분 고리에 방해되는 일없이, 충분한 양으로 되기 때문에, 부정개봉방지기능이, 보다 명확히 발휘되는 것으로 됨과 함께, 캡본체의 조립통과 목부분 고리(neck ring)와의 사이의 틈을 확실히 노출시킨다.
제 12 의 발명은, 제 l,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8, 제 9, 제 10 또는 제 1l의 발명의 구성에, 캡본체와 바깥 캡본체를 다른 색깔로 한 것을 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단편을 파단하여,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이, 하강한도까지 하강변위하기 때문에, 바깥 캡본체의 아래쪽에 다른 색의 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부가 노출하여 눈에 띄게 되고, 이에 따라 부정개봉방지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게 된다.
제 13 의 발명은, 제 l,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8, 제 9, 제 10, 제 1l 또는 제 12 의 발명의 구성에, 캡본체에 형성되는 주출구를, 내용액의 주출(注出)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한 주출통의 저벽(底壁)으로서의 걸어멈춤벽에, 폐쇄고리를 그리는 파단구에 의해 구획형성된, 당김 고리(pull ring) 등을 갖는 병따개부분의 파단제거에 의해 개설되는, 당겨 여는 방식의 주출구로 한 것을 더한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구의 개설까지의 병용기의 밀폐를, 확실하고 견고하게 달성·유지할 수가 있다.
본원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제 주출 캡에 대하여,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원발명의 주출 캡(1)은,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제의 캡 본체(2)와 바깥 캡본체(15)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본체(2)는, 병주둥이통(24)에 밖에서 끼워, 목부분 고리(neck ring)(26)와의 사이에, 경화(硬貨)의 테두리 끝부분이 침입할 수 있는 틈을 형성하는 높이에 성형된 조립통(3)의 상단에, 안쪽의 날밑형상의 꼭대기 벽(7)을 통해, 바깥둘레면에 나사모양을 새겨 만든 나사맞춤통(8)을 세워 설치하고, 이 나사맞춤통(8)의 상단에 안쪽 날밑편(10)을 통해, 상단부를 나팔모양으로 지름확대되며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주출통(l1)을 연달아 설치하며, 이 주출통(11)의 저벽(底壁)인 봉지벽(12)에, 폐쇄고리형상으로 형성된 파단홈(l4)에 의해 구획·형성된 당김고리(pull ring) 등을 갖는 떼어내기 마개부(13)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병주둥이통(24)에 밖에서 끼운 조립통(3)은, 그 안둘레면 하단부에, 병주둥이통(24)의 개구부 바깥둘레에 설치된 걸어멈춤 테두리부(25)를 타고 넘어가서 걸리는 걸어멈춤 돌출조(4)를 설치하여, 병주둥이통(24)에 대한 걸어멈춤 기능부분을구성하며, 이 걸어멈춤 돌출조(4)에 인접하는 위쪽의 바깥둘레면 개소로 된 걸어멈춤 테두리부(25)에 바깥쪽으로부터 대향하는 부분의 바깥둘레면 개소에, 테두리 돌출조 형상의 제 1 걸어멈춤부(5)를 형성하고 있다.
캡본체(2)의 병주둥이통(24)으로의 조립강도는, 조립통(3)의 두께에 의해, 내용액의 수격력으로 벗겨지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병주둥이통(24)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없는 범위, 및 당김 고리를 갖는 떼어내기 마개부(l3)의 파단·제거조작에 의해 벗겨지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또한 바깥 캡본체(15)의 걸어멈춤통(22)이 이탈한 상태에서, 사람의 손에 의한 잡아 뗀 상태의 떼어내기를 할 수 있는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때, 캡본체(2)의 걸어멈춤 돌출조(4)를 단속(斷續)구조로 하면, 조립통(3)의 캡본체(2)의 병주둥이통(24)으로의 조립강도를, 잡아 뗀 상태의 떼어내기가 용이하게 되도록, 약하게 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나사맞춤통(8)을 수직 하강 상태로 연장하여 설치된 시일통(seal tube)(9)은, 병주둥이통(24)에 기밀하게 끼워넣음으로써, 캡본체(2)의 병주둥이통 (24)에 대한 조립을 충분히 기밀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바깥 캡본체(15)는, 주출통(l1)의 개구 끝단에 기밀하게 끼워넣은 마개통 편(18)을 하면에 수직 아래로 설치한 꼭대기 판(l6)의 둘레끝단 테두리로부터, 나사맞춤통(8)에 나사맞춤하는 본체통(l7)을 수직 아래로 설치하고, 이 본체통(17)의 하단에, 바깥 날밑편(19)을 통하여, 조립통(3)에 밖에서 끼우는 외부장착통(20)을 수직 아래로 설치하며, 이 외부장착통(20)의 하단에, 파단하기 쉬운 복수의 파단편 (21)을 통해, 제 l 걸어멈춤부(5)를 타고 넘어가서 아래쪽으로부터 걸리는 제 2 걸어멈춤부(23)로 되는 둘레 돌출조(27)를 안쪽에 설치한 걸어멈춤통(22)을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캡본체(2)의 제 1 걸어멈춤부(5)를 단속(斷續)한 둘레 돌출조 형상구조로 하거나, 혹은, 바깥 캡본체(15)의 제 2 걸어멈춤부(23)를 단속(斷續)한 둘레 돌출조 (27)로 하거나, 또는 제 1 걸어멈춤부(5) 및 제 2 걸어멈춤부(23)의 쌍방을 단속(斷續)한 둘레 돌출조 형상구조로 하면, 두께가 두꺼운 제 1 걸어멈춤부(5) 혹은 제 2 걸어멈춤부(23)가, 지름이 확대되기 쉽게 되어, 바깥 캡본체(15)를 조립한 상태의 캡본체(2)를 병주둥이(24)에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다.
도 2에 나타낸 개봉 전의 상태에서는, 걸어멈춤통(22)은, 목부분 고리(26)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한 둘레 돌출조(27)까지 포함시킨 최소 안지름값을 갖고 있기 때문에, 둘레 돌출조(27)를 제 1 걸어멈춤부(5)에 아래쪽에서 대략 맞닿게 하여, 걸어멈춤통(22)의 하단부를 목부분 고리(26)의 바깥둘레면에 대향시키는 것으로 되고, 파단편(2l)의 파단 시에는, 목부분 고리(26)에 방해되는 일없이, 확실히 낙하·변위한다.
이 때문에, 개봉 전의 상태에 있어서, 걸어멈춤통(22)은, 특히 둘레 돌출조 (27)로 조립통(3)을 외측에서 눌러, 이 조립통(3)이 함부로 지름확대되어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하여, 이에 따라 캡본체(2)가 병주둥이통(24)에 대하여 안정하게 끼워 조립되는 것을 달성·유지한다.
또한, 걸어멈춤통(22)은, 제 1 걸어멈춤부(5)로부터 목부분 고리(26)까지의 높이 폭을 가지고, 조립통(3)과 목부분 고리(26)(neck ring)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덮어서 숨기기 때문에, 캡본체(2)를 직접 비틀어 여는 상태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부정처리를 할 수 없게 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단편(21)이 파단되었을 때는, 걸어멈춤통(22)은, 그 자중에 의해, 목부분 고리(26)의 아래위치까지 하강 변위한다.
최초에 내용액을 빼서 사용하는 때는, 바깥 캡본체(l5)를 나사이탈 방향으로 돌려 벗기고, 당김 고리(pull ring)를 잡아 당겨 떼어내기 마개부(13)를 파단·제거하지만, 이 때, 떼어내기 마개부(13)의 파단·제거 조작에 의해, 캡본체(2)가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는 범위가 되도록, 조립통(3)의 두께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통(3)이 지름확대방향으로 크게 변형하기 어렵고, 걸어멈춤 돌출조(4)가 걸어멈춤 둘레돌출부(25)를 타고 넘어가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 주출 캡(1)을 분별(分別)할 때에는, 바깥 캡본체(15)를 나사부착시킨 상태로 캡본체(2)에,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힘을 작용시키면,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뗀 상태의 떼어내기를 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한 두께의 조립통(3)이, 지름확대방향으로 충분히 휨 변형하여,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간단히 주출 캡(1)을 뗄 수 있다.
주출 캡(1)을 분별하는 때에는, 바깥 캡본체(15)를 나사부착시킨 상태에서 캡본체(2)를 잡아 뗀 상태로 분별하더라도 좋지만, 도 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통(3)과 목부분 고리(26)(neck ring)와의 틈에, 경화(硬貨)의 둘레끝단부 등 근처의 딱딱한 물체의 첨단부를 끼워넣어, 이것으로 조립통(3)을 지름확대방향으로 억지로 여는 것에 의해, 주출캡(1)을 간단히 분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캡본체(2)의 구성에 더하여, 병주둥이통(24)에 밖에서 끼우는 조립통(3)은, 둘레 돌출조 형상구조의 제 l 걸어멈춤부(5)의 하단부에, 돌출 높이가 낮은 돌출조 형상의 걸림돌기 (6)를 설치한 구성이다.
캡본체(2)의 병주둥이통(24)으로의 조립강도는, 조립통(3)의 두께에 의해, 병주둥이통(24)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뗀 상태의 떼어내기를 할 수 있는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바깥 캡본체(l5)는, 주출통(1l)의 개구 끝단에 기밀하게 끼워넣은 마개통 편(片)(18)을 하면에 수직 아래로 설치한 꼭대기 판(16)의 둘레 끝단 테두리로부터, 나사맞춤통(8)에 나사맞춤하는 본체통(17)을 수직 아래로 설치하여, 이 본체통 (17)의 하단에, 바깥 날밑편(19)을 통해, 조립통(3)에 밖에서 끼운 외부장착통(20)을 수직 아래로 설치하여, 이 외부장착통(20)의 하단에, 파단하기 쉬운 복수의 파단편(21)을 통해, 안둘레면에 제 1 걸어멈춤부(5)를 타고 넘어가서 아래쪽으로부터 강하게 걸림과 동시에, 걸림 돌기(6)에 위쪽으로부터 약하게 걸리는 제 2 걸어멈춤부(23)로서 둘레 돌출조(27)를 설치한 걸어멈춤통(22)을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2 걸어멈춤부(23)인 둘레 돌출조(27)는, 그 상하방향의 폭이, 제 1 걸어멈춤부(5)와 걸림 돌기(6)와의 사이의 간격보다도 충분히 작고, 파단편(21)을 파단하였을 때의 걸어멈춤통(22)의 낙하변위량(落下變位量)을 가능한 한 크게 하도록 하고 있다.
걸어멈춤통(22)은, 목부분 고리(26)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안지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 2의 개봉 전의 상태에서는, 그 상단부를 제 1 걸어멈춤부(5)에 대략 맞닿게 하고, 그 하단부를 목부분 고리(26)의 바깥둘레면에 대향하게 한 것으로 되고, 걸어멈춤통(22)은, 조립통(3)을 외측에서 눌러, 이 조립통(3)이 함부로 지름확대 변형하는 것을 저지하여, 이에 따라 캡본체(2)가 병주둥이통(24)에 대하여 안정하게 끼워 조립되는 것이 달성·유지된다.
또한, 걸어멈춤통(22)은, 파단편(21)의 파단 시에, 목부분 고리(26)에 방해되는 일없이, 둘레 돌출조(27)가 걸림 돌기(6)에 걸리는 위치까지 낙하변위하여, 확실한 낙하변위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에 내용액을 주출할 때는, 바깥 캡본체(l5)를 나사이탈 방향으로 돌려 떼어내고, 당김 고리를 잡아 당겨, 떼어내기 마개부(l3)를 파단·제거하지만, 이 때, 걸어멈춤통(22)의 둘레 돌출조(27)가 걸림 돌기(6)에 걸어멈춤되어, 조립통(3)에 밖에서 끼운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조립통(3)이 지름확대방향으로 크게 변형하는 일은 없고, 걸어멈춤 돌출조(4)가 걸어멈춤 둘레부 병주둥이통(24)을 타고 넘어가서 벗겨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제 2 걸어멈춤부(23)를 포함한 걸어멈춤통(22)의 최소 안지름 값은, 목부분 고리(26)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도 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멈춤통(22)은, 목부분 고리(26)(neck ring)에 방해되는 일없이, 하강 한도까지 하강변위하여, 조립통(3)으로부터 확실히 분리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조립통(3)은, 걸어멈춤통(22)에 방해되는 일없이,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힘의 작용에 의해, 지름확대방향으로 충분히 휨 변형하여,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주출 캡(l)의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의 잡아 뗀 상태의 분별이 원활히 달성된다.
또한, 걸어멈춤통(22)이 목부분 고리(26)에 방해되는 일없이 하강 한도까지 변위하였을 때에, 조립통(3)의 하단과 목부분 고리(26)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노출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 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硬貨)의 둘레 끝단부 등 근처의 딱딱한 물체의 첨단부를 끼워서, 이것으로써 조립통(3)을 지름확대방향으로 억지로 열리게 하여, 주출 캡(l)을 간단히 분별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제 3 실시예는, 병주둥이통(24)에 대한 캡본체(2)의 조립강도를, 캡본체(2)의 조립통(3)의 하단부에 설치한 쪼개진 홈(4a)에 의해 설정한 구성이다. 캡본체(2)의 제 1 걸어멈춤부(5)는, 쪼개진 홈(4a)에 의해 단속(斷續)한 둘레 돌출조(27) 형상구조로 되어있다. 쪼개진 홈(4a)의 형성에 있어서는, 병주둥이통(24)에 대한 캡본체(2)의 조립강도가 적정한 범위로 되고, 또한, 약한 비틀어 떼기 작용에 의해서 캡본체(2)의 비틀어 떼기가 가능해지는 범위가 되도록, 갯수 뿐만 아니라, 길이, 폭 등을, 병 용기 전체의 구조, 사용상태를 고려하면서 설계해야 한다.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 주출 캡(1)을 분별할 때는, 바깥 캡본체(l5)를 나사부착시킨 상태로 캡본체(2)에,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힘을 작용시키면, 약한 잡아 떼기 힘이더라도, 조립통(3)이 쪼개진 홈(4a)에 의해 지름확대방향으로 충분히 휨 변형하기 때문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간단히 주출 캡(l)을 뗄 수 있다.
[실시예 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제 4 실시예는, 바깥둘레면의 하단부에 걸림 돌기 (6)를 설치한 캡본체(2)의 병주둥이통(24)에 대한 조립강도를, 캡본체(2)의 조립통 (3)의 하단부에 설치한 쪼개진 홈(4a)에 의해 설정한 구성이다.
주출 캡(l)을 잡아 뗀 상태로 분별하면, 약한 잡아 떼기 힘이더라도, 조립통 (3)이 쪼개진 홈(4a)에 의해 지름확대방향으로 충분히 휨 변형하기 때문에, 주출 캡(1)의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의 잡아 뗀 상태의 분별이 간단히 달성된다.
[실시예 5]
도 11 및 도 l2에 나타낸 제 5 실시예는, 바깥 캡본체(15)의 걸어멈춤통(22)에 설치한 제 2 걸어멈춤부를, 걸어멈춤통(22)의 내측에, 또한, 경사진 상방에 돌출설치한 탄성편(28)으로 한 구성이다.
탄성편(28)은, 걸어멈춤통(22)의 하단부에,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홈을 형성하여 복수의 플랩(flap) 형상으로 한 것을, 목부분 고리(26)의 높이 위치에서, 걸어멈춤통(22)의 내측의 경사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려 형성하고 있다. 또한, 탄성편(28)은, 걸어멈춤통(22)의 안둘레면의 하부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한 복수의 돌기를 돌출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캡본체(2)에 바깥 캡본체(15)를 조립할 때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28)이 탄성변위하여, 걸어멈춤통(22)에 연달아 설치되어 있는 파단하기 쉬운 복수의 파단편(21)을 파단하지 않고, 무리 없이 제 1 걸어멈춤부(5)를 타고 넘어가서, 캡본체(2)에 바깥 캡본체(15)를 나사맞춤하여 조립한다.
개봉하는 때에는, 탄성편(28)이 제 1 걸어멈춤부(5)의 아래쪽으로부터 확실히 걸어멈춤되고, 걸어멈춤통(22)의 상승을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단편(21)이 확실히 파단되어, 걸어멈춤통(22)이, 목부분 고리(26)에 방해되는 일없이, 낙하변위한다.
[실시예 6]
도 13 및 도14에 나타낸 제 6 실시예는, 바깥 캡본체(15)의 걸어멈춤통(22)에 설치한 제 2 걸어멈춤부를, 걸어멈춤통(22)의 내측에, 또한, 경사 상방에 돌출설치한 탄성편(28)으로 한 구성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둘레면의 하단부에 걸림 돌기(6)를 설치한 캡본체(2)에 바깥 캡본체(15)를 조립하는 때에는, 탄성편(28)이 탄성변위하여, 걸어멈춤통(22)에 연달아 설치되어 있는 파단하기 쉬운 복수의 파단편(21)을 파단하지 않고, 무리 없이 제 1 걸어멈춤부(5)를 타고 넘어가서, 캡본체(2)에 바깥 캡본체(15)를 나사맞춤하여 조립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단편(21)의 파단 시에는, 제 1 걸어멈춤부(5)의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춤되고, 걸어멈춤통(22)의 상승을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파단편(21)이 확실히 파단되어, 목부분 고리(26)에 방해되는 일없이, 걸림 돌기(6)에 걸리는 위치까지, 걸어멈춤통(22)이 낙하변위하여, 조립통(3)을 외측에서 눌러,캡본체(2)의 병주둥이통(24)에 대한 안정한 끼워 조립하는 것이 달성·유지됨과 동시에, 조립통(3)과 목부분 고리(2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덮어 숨겨서, 캡본체(2)를 직접 억지로 연 상태로 분리시키도록 하는 부정처리를 할 수 없게 한다.
더욱이, 주출 캡(1)을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 분별하여 회수하는 때에는, 도 1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멈춤통(22)에 끌어내리는 힘을 작용시켜, 탄성편(27)과 걸림 돌기(6)와의 약한 걸어멈춤 힘을 해제시켜, 걸어멈춤통 (22)을 하강 한도까지 하강시켜, 캡본체(2)를 쥐고서 병주둥이통(24)으로부터, 주출 캡을 잡아 뗀 상태로 분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주출 캡을 부정하게 억지로 여는 것을 할 수 없게 함과 동시에, 주출 캡의 병주둥이통으로부터의 분별을 간단히 달성한다.

Claims (13)

  1. 병주둥이 통에, 밖에서 끼워 타고 넘어가서 걸어멈춤되는 조립통을 가짐과 동시에 기밀하게 끼워만들어 주출구를 형성하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맞춤하여, 캡본체의 주출구를 개폐하는 꼭대기가 있는 통형상의 바깥 캡본체로 구성되어, 캡본체의 조립통의, 병주둥이통의 걸어멈춤 기능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의 바깥둘레면 개소에, 제 l 걸어멈춤부를 형성하고, 닫힌 상태에서 캡본체의 조립통에 외장하는 바깥 캡본체의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병주둥이 통의 목부분 고리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며, 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으로부터 걸어멈추는 제 2 걸어멈춤부를 설치한 걸어멈춤통을, 복수의 파단편을 통해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고, 또한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를, 내용액의 수격력으로 벗겨지지 않음과 동시에, 병주둥이통에 대하여 헛도는 일 없는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해 비틀어 뗀 상태의 떼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2. 병주둥이통에, 밖에서 끼워 타고 넘어가서 걸어멈춤하는 조립통을 가지며, 기밀하게 끼워만들어 주출구를 형성하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맞춤되어, 캡본체의 주출구를 개폐하는 꼭대기를 갖는 통형상의 바깥 캡본체로 구성되어, 캡본체의 조립통의, 병주둥이의 걸어멈춤 기능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의 바깥둘레면 개소에 제 1 걸어멈춤부를, 또한 바깥둘레면 하단부에 돌출 높이가 낮은 걸림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닫힌 상태에서, 캡본체의 조립통에 끼워만든 바깥 캡본체의 외부장착통의 하단에, 병주둥이통의 목부분 고리(neck ring)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며, 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에 아래쪽에서부터 걸어멈춤하고, 또한 캡본체의 걸림 돌기에 위쪽으로부터 약하게 걸어멈춤되는 제 2 걸어멈춤부를 설치한 걸어멈춤통을, 복수의 파단편을 통해 일체로 연달아 설치하고, 또한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를, 병주둥이통에 대하여 헛도는 일이 범위에서, 사람 손에 의한 비틀어 떼는 상태의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정도가 되도록 설정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의 설정수단을, 캡본체의 조립통의 두께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병주둥이통에 대한 캡본체의 조립강도의 설정수단을, 캡본체의 조립통의 적어도 하단부에 쪼개진 홈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을, 캡본체의 조립통의 제 1 걸어멈춤부로부터 병주둥이통의 목부분 고리까지의 높이 폭으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걸어멈춤부를, 단순한 테두리 돌출조 형상구조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걸어멈춤부를, 제 1 걸어멈춤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의 안쪽에 돌출하여 설치한 테두리 돌출조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본체의 제 1 걸어멈춤부 또는 바깥 캡본체의 제 2 걸어멈춤부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단속(斷續)한 테두리 돌출조 형상구조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걸어멈춤부를,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의 안쪽, 또한, 경사진 상방에 돌출하는 탄성변위 가능한 복수의 탄성편으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본체의 조립통의 하단 테두리와 목부분 고리와의 사이에, 경화(硬貨)의 테두리 끝단부가 침입가능한 틈을 형성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걸어멈춤부를 포함시킨 바깥 캡본체의 걸어멈춤통의 최소 안지름값을, 목부분 고리의 바깥지름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한 합성수제 주출캡.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본체와 바깥 캡본체를 다른 색깔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본체에 형성되는 주출구를, 내용액의 주출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한 주출통의 저벽(底壁)으로서의 걸어멈춤벽에, 폐쇄고리를 그리는 파단구에 의해 구획형성된, 당김 고리 등을 갖는 병따개부분의 파단제거에 의해 개설되는, 당겨 여는 방식의 주출구로 한 합성수지제 주출캡.
KR1020027010839A 2000-12-21 2001-12-19 합성수지제 주출캡 KR100822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8943 2000-12-21
JPJP-P-2000-00388944 2000-12-21
JP2000388944 2000-12-21
JPJP-P-2000-00388943 2000-12-21
JPJP-P-2001-00350181 2001-11-15
JPJP-P-2001-00350182 2001-11-15
JP2001350181A JP4235965B2 (ja) 2000-12-21 2001-11-15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JP2001350182A JP3874169B2 (ja) 2000-12-21 2001-11-15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553A true KR20020086553A (ko) 2002-11-18
KR100822925B1 KR100822925B1 (ko) 2008-04-16

Family

ID=2748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839A KR100822925B1 (ko) 2000-12-21 2001-12-19 합성수지제 주출캡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93101B2 (ko)
EP (1) EP1354810B1 (ko)
KR (1) KR100822925B1 (ko)
CN (1) CN1239357C (ko)
AU (2) AU1745402A (ko)
CA (1) CA2411402C (ko)
DE (1) DE60144575D1 (ko)
WO (1) WO2002049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8174B1 (fr) * 2001-07-31 2003-09-26 Rical Sa Dispositif de bouchage d'un recipient et de soutirage d'un produit fluide
KR100553806B1 (ko) * 2002-09-27 2006-02-2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CA2406805A1 (en) * 2002-10-07 2004-04-07 Fernando Segovia Pull tab spout
WO2004058589A1 (de) * 2002-12-23 2004-07-15 Action Uno, S.L.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einer öffnung eines behälters und behälter
GB2428669B (en) * 2003-03-26 2007-08-15 Portola Packaging Ltd Closures and containers in combination therewith
CN1816480B (zh) * 2003-05-27 2010-06-16 美国博得来包装集团公司 用于容器的防盗用封盖
ATE410972T1 (de) * 2003-10-16 2008-10-15 Straumann Holding Ag Kapsel aus zyklischem olefin copolymer zur aufbewahrung eines medizinischen gegenstands
US7854336B2 (en) * 2005-07-05 2010-12-21 Jordan Kerner Beverage dispenser having an airtight valve and seal
AU2008281249A1 (en) * 2007-08-02 2009-02-05 Kisling Ag Closure for the metered dispensing of adhesive from a container
US8028852B2 (en) * 2008-05-30 2011-10-04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Two-piece shipping cap for a seal
GB0916083D0 (en) * 2009-09-14 2009-10-28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closure
US20150336724A1 (en) * 2010-05-28 2015-11-26 Pep Innovations, Inc. Universal bottle cap
KR200461241Y1 (ko) * 2010-06-07 2012-06-28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EP2595892A4 (en) * 2010-07-23 2013-12-18 Du Pont LOCKING DEVICE FOR CONTAINER
FR2963779B1 (fr) * 2010-08-11 2012-09-21 Nouvelle Manufacture Bourguignonne De Plastique Bouchon en plastique comportant des moyens autorisant le passage d'air lors de l'ecoulement de liquide a travers le bouchon
US8733567B1 (en) * 2012-11-17 2014-05-27 Daniel A. Dopps Bottle capping assembly
WO2014115857A1 (ja) * 2013-01-25 2014-07-31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封止装置
USD747201S1 (en) 2013-09-18 2016-01-12 Bericap Closure
FR3015442B1 (fr) 2013-12-24 2016-02-05 Bericap Dispositif de bouchage articule avec indicateur de premiere ouverture
US11273962B2 (en) 2014-02-14 2022-03-15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Tamper-evident closure
PL226209B1 (pl) * 2014-05-09 2017-06-30 Kaj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Zakretka bezpieczna z elementem gwarancyjnym, zwlaszcza dla przemyslu farmaceutycznego
USD833278S1 (en) 2014-09-03 2018-11-13 Bericap Closure for a container
EP3663226B1 (en) * 2015-11-10 2024-01-31 GCL International S.A.R.L. Closure for a container neck
ITUB20161004A1 (it) * 2016-02-24 2017-08-24 Nicola Fabiano Dispositivo di chiusura per bottiglie con sigillo di sicurezza.
US10301057B2 (en) 2016-07-11 2019-05-28 Calibre Closures Llc Dispensing container with internal squeeze limiting member
CN106428964A (zh) * 2016-07-23 2017-02-22 李红彪 一种具有内盖的容器
CN107662757A (zh) * 2016-07-29 2018-02-06 重庆莱美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盖、带组合盖的接口及包装容器
CN110831867A (zh) * 2017-07-06 2020-02-21 菲仕兰坎皮纳荷兰公司 显窃启封闭物以及设有其的容器
CN107902245A (zh) * 2017-11-12 2018-04-13 广州承天包装设计有限公司 一种防盗瓶盖
EP3847107A4 (en) * 2018-09-09 2022-06-01 NOVEMBAL USA Inc. CAPTIVE PLASTIC PLUG
CN116177023A (zh) * 2018-10-19 2023-05-30 凸版印刷株式会社 管容器及其制造方法
CN109250294B (zh) * 2018-11-01 2024-03-29 广州曼盛包装有限公司 一种带点状螺纹的可以快速拆卸的盖子
CN109279168B (zh) * 2018-11-01 2024-03-29 广州曼盛包装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防开启保护结构的盖子
JP2022533413A (ja) * 2019-05-24 2022-07-22 ユニリーバー・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ベスローテン・ヴェンノーツハップ 濃縮詰め替えカプセル用のカプセルおよびキャップアセンブリ
JP2022533416A (ja) * 2019-05-24 2022-07-22 ユニリーバー・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ベスローテン・ヴェンノーツハップ 濃縮詰め替えカプセル用のカプセルおよびプラグ
AU2020286015B2 (en) 2019-05-24 2023-06-01 Unilever Global Ip Limited Capsule and plug for a concentrated refill capsule
JP2022551480A (ja) 2019-10-07 2022-12-09 クロージャー・システム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リップトップ式クロージャ
JP7438639B2 (ja) 2020-11-30 2024-0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USD996968S1 (en) 2021-05-17 2023-08-29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996967S1 (en) 2021-05-17 2023-08-29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981234S1 (en) 2021-09-15 2023-03-21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1012705S1 (en) 2021-09-20 2024-01-30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998463S1 (en) 2021-10-29 2023-09-12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D998464S1 (en) 2021-10-29 2023-09-12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US11970319B2 (en) 2022-05-10 2024-04-30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Anti-rotational and removal closure
IT202200010205A1 (it) * 2022-05-17 2023-11-17 Guala Closures Spa Chiusura per bottiglie
US11945625B2 (en) 2022-06-24 2024-04-02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ackage with closure
US11801977B1 (en) 2022-12-02 2023-10-31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Package with one-piece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0327A (en) * 1961-01-23 1964-12-08 Polymold Plastics Inc Dispensing spout with rupturable breathing diaphragm and closure therefor
DE2813940A1 (de) * 1977-04-23 1978-10-26 Zensho Honma Flaschenverschluss
FR2442196A1 (fr) * 1978-11-21 1980-06-20 Astra Plastique Perfectionnements aux bouchons verseurs
JPH0223358U (ko) * 1988-07-27 1990-02-15
DE4228090C2 (de) * 1992-08-24 1995-01-05 Pohl Gmbh & Co Kg Verschluß für eine Flasche
DE4314923C2 (de) * 1993-05-06 1998-08-27 West Company Deutschland Gmbh Verschlußkappe zum Verschließen einer Flasche
US5725115A (en) * 1995-02-21 1998-03-10 Crown Cork Ag Closure cap with tether
US5979682A (en) * 1997-04-14 1999-11-09 Zumbuhl; Bruno Tab construction for closures having tamper evident rings
JP3874136B2 (ja) 1997-12-25 2007-01-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JP4005208B2 (ja) 1998-03-10 2007-11-07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FR2775959B1 (fr) * 1998-03-13 2000-06-09 Plastiques De France Ind Bouchon filete inviolable bi-matiere pour bouteill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17454B2 (en) 2005-11-17
AU1745402A (en) 2002-07-01
DE60144575D1 (de) 2011-06-16
EP1354810B1 (en) 2011-05-04
CN1239357C (zh) 2006-02-01
KR100822925B1 (ko) 2008-04-16
US20040020943A1 (en) 2004-02-05
EP1354810A4 (en) 2009-04-08
US6793101B2 (en) 2004-09-21
CA2411402A1 (en) 2002-11-27
WO2002049929A1 (fr) 2002-06-27
CA2411402C (en) 2011-01-04
EP1354810A1 (en) 2003-10-22
CN1400949A (zh)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925B1 (ko) 합성수지제 주출캡
US4747498A (en) Safety dispensing closure-container package
US6332550B1 (en) Tamper-evident container closure
EP0775075B1 (en) Child resistant bottle closure
EP0209356B1 (en) Tamper-resistant and child-resistant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US6029834A (en) Childproof and tamper-proof container closure for containers
KR100873258B1 (ko) 합성수지제 나사 캡
US4771923A (en) Tamper evidencing cap
US5829610A (en) Closure with a tamper-indicating element optionally suitable for use as a tool
US4784281A (en) Tamper-evident closures
US5462183A (en) Closure with a tamper-evident element
US4534477A (en) One-piece childproof tamper-evident bottle and cap
JP4794880B2 (ja) 液だれ防止中栓付きキャップ
WO2015089544A1 (en) A container
JP3665973B2 (ja) 不正開封防止用ヒンジ付キャップ
US20030217987A1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JP3874169B2 (ja)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JP4235965B2 (ja)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EP0739294B1 (en) Closure with a tamper-evident element
JP4437035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のヒンジキャップ
JP2004262473A (ja) 封緘式キャップ
WO2021224101A1 (en) Tamper evident & child resistant closure
JP4344981B2 (ja) 合成樹脂製注出キャップ
JP3785493B2 (ja) 容器のキャップ構造
JP2022027120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