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053A - 보틀 용기 - Google Patents
보틀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5053A KR20090085053A KR1020097009389A KR20097009389A KR20090085053A KR 20090085053 A KR20090085053 A KR 20090085053A KR 1020097009389 A KR1020097009389 A KR 1020097009389A KR 20097009389 A KR20097009389 A KR 20097009389A KR 20090085053 A KR20090085053 A KR 200900850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container
- neck
- opening
- cutting bla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65D51/225—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and further comprising a device first inhibiting displacement of the outer 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 B65D2255/20—Locking devices with coacting elements, e.g. ratchet and pawl, formed integrally in the container and closure or dispensing device, e.g. spout, for permanently preventing removal of the la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틀 용기는 용기 본체에 내캡이 직접 접촉하여, 내캡에 캡 본체가 나사결합하여 씌워진다. 내캡과 용기 본체 목부(21)의 접합기구는, 수평방향의 볼록상 고리상 부재끼리를 상하 배치하여 발출 방지로 하고, 양자에 설치한 세로 리브(23, 36)끼리를 얽어 회동(回動) 규제를 구성한다. 나사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캡을 강하게 역회전시켜도, 나사결합의 록 유지력보다도 리브 걸어 맞춤을 작은 계합력으로 설계함으로써 캡 본체가 내캡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봉수단을 구비하는 캡에 관한 것이다.
미사용 상태에서는 주출공(注出孔)을 봉지(封止)상태로 유지하고, 사용 개시시에 주출공에 설치된 실 등을 개봉하여 사용하는 캡 구조를 구비한 용기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서 부주의하게 개봉되지 않도록 부정 개봉방지기구를 수반하고 있는 캡 구조가 많다. 실 중간 마개를 개봉하여 사용하는 힌지 부착 캡을 설치한 용기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9019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평11-349025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국 특허 제3024089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47351호 공보) 등이 있다.
이들의 종래예는, 찢어진 실이 용기 내로 낙하하는 것이나 커팅되지 않고 남는 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배려되어 있지 않다.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선행문헌 3에 개시된 개봉구조는, 바깥 뚜껑(110)을 설치한 외장 캡(109)에 설치한 비스듬하게 절단면을 형성한 가이드 통(120)의 선단(先端)에 의해서 실(108)을 눌러 찢는 형태이기 때문에, 실 개봉작업시에 외장 캡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잡균의 혼입이나 손가락의 오염의 위험이 없으며, 사용 개시 후에도 용기에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도 13, 도 14, 도 15, 도 16은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선행발명을 소개한다. 도 13은 용기의 전체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미사용 상태의 두부(頭部) 단면도, 도 15는 고리상 띠부를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 16은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종래예는, 용기(101)에 화장액을 주입하고, 입구(102)에 상기 중간 마개(108)를 씌워 고정하여 용기(101)를 밀봉하고, 추가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 캡(109)을 씌워 고정한다. 이 상태로 수요자의 손에 전달될 때까지 보관된다. 그리고 수요자가 이 화장액을 사용할 경우, 상기 고리상 띠부(108f)의 일단부(108g)를 잡아당기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상 띠부(108f)가 중간 마개(108)의 외주벽(108a)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고리상 띠부(108f)가 박리된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캡(109)을 위에서부터 밀어누르면, 외장 캡(109)이 아래쪽으로 옮겨져 본체 캡(110)의 외주벽(110c)이 중간 마개(108)의 외주벽(108a) 외주 및 용기(101)의 입구(102)의 고리상 돌부(突部)(105)의 외주를 미끄러져, 본체 캡(110)의 상면판(110b)의 아랫면이 중간 마개(108)의 외주벽(108a)과 내주벽(108b)의 상단에 닿는다.
이때 이 본체 캡(110)의 가이드 통(112)이 중간 마개(108)의 내주벽(108b)의 내측을 하강하여, 가이드 통(112)의 최하단(最下端) 개소(112b)와 수직 단연(端緣)(112c)에 의해 형성된 첨단부가 중간 마개(108)의 차폐판(108c)의 박육(薄肉)의 외주연(外周緣)을 찔러, 가이드 통(112)의 하강에 따라서 가이드 통(112)의 경사진 하단연을 따라 점차 커팅깊이가 확대되어 간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차폐판(108c)은 내주벽(108b)으로부터 잘라내어진다. 또한 그때 외장 캡(109)의 본체 캡(110)의 외주벽(110c)의 내주 고리상 돌부(110d)가 용기(101)의 외주벽(103)의 고리상 돌부(105) 아래의 하부 고리상 오목부(107)에 꼭 끼여, 외장 캡(109)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101)의 입구(102)의 중간 마개(108)는 열린다. 그리고 용기(101) 내의 화장액을 꺼내기 위해서는 외장 캡(109)의 바깥 뚜껑(111)을 경첩(蝶番)(111b)을 중심으로 돌려서 연다. 이것에 의해 본체 캡(110)의 상면판(110b)의 소공(小孔)(110a)은 열리고, 용기(101)를 기울이면 화장액은 가이드 통(112)을 통해서 소공(110a)으로부터 주출(注出)된다. 그리고 다시 바깥 뚜껑(111)을 본체 캡(110)에 씌우면, 바깥 뚜껑(111)의 돌기(111a)가 본체 캡(110)의 소공(110a)에 감입(嵌入)되어, 용기(101)는 밀폐된다.
특허문헌 4(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47351호 공보)에 개시된 캡은 기본구조는 특허문헌 3과 유사하다. 중간 마개와 뚜껑 본체가 틀어박는 식으로 되어 있고, 중간 마개의 하단측에 커다란 통상체를 부설하여, 뚜껑 본체를 틀어박았을 때 이 커다란 통상체가 분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이용하여, 외관에서 용이하게 개봉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901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4902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제302408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4735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사용상태로 세팅한 캡을 부주의하게 떼어내는 경우가 없는 구조의 캡 부착 용기를 제안한다. 특히, 내캡 위에 캡 본체를 나사결합(螺合)하는 캡에 있어서, 캡 본체를 역회전시켜도 나사결합 관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 구조의 캡 부착 용기를 제안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캡을 장착한 캡 부착 용기로서, 내캡이 용기 목부에 직접 장착되는 구성이며, 내용물을 꺼내는 것은 뚜껑체의 정부(頂部)에 형성된 주출구(注出口)로부터 행하고, 이 주출구의 개폐는 힌지 부착 캡에 의해 행하는 것이며, 또한 사용 개시시에 봉지막(封止膜)을 개봉하기 위해 캡 본체를 내캡에 틀어박는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캡 본체를 역회전시켜도 나사가 느슨해지지 않아 용기 목부와 내캡 사이에 있어서 회동(回動)을 허용하는 걸어 맞춤(係合) 구조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봉지막의 개봉기구로서 2장의 칼날을 대향 배치한 원통형상의 커팅칼날을 사용하여, 사용 개시시에 캡 본체를 틀어박는 동작에 따라 봉지막의 일부를 남기고 개봉상태로 하고, 언컷부(uncut portion,切殘部)를 설치함으로써 개봉 후의 실 부재를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1) 용기 목부에 힌지 부착 캡을 장착한 캡 부착 용기에 있어서, 힌지 부착 캡은 용기 목부에 직접 감합(嵌合)하는 봉지막이 설치된 내캡과,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체와 주출구와 주출구를 개폐하는 힌지 부착 정개(頂蓋)가 설치된 캡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내캡과 캡 본체는 나사결합에 의한 접합관계를 가지며, 사용상태가 되는 나사결합 종단(終端)에 역회전을 방지하는 록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캡의 봉지막이 사용 개시시에 행하는 상기 나사결합에 의해 개봉되는 것이며, 용기 본체와 내캡의 장착기구가 수평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와 수직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로 구성되고,
수평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가,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와 캡 내면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를 걸어 맞춤하여 회동 가능하고 또한 발출(拔出) 방지의 구성으로 하며,
수직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가,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한 세로 리브와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를 걸어 맞춤한 것으로, 이 걸어 맞춤 관계는 어느 정도 커다란 힘을 가하여 캡을 역회전 및/또는 정회전하였을 때 회동을 허용하는 정도의 걸어 맞춤 저항으로 구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2) 수직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가,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한 세로 리브를, 목부의 중간부에 설치한 주 세로 리브와 이 목부의 기단부(基端部)에 설치한 보조 세로 리브로 구성하며, 통상 상태에서는 주 세로 리브와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가 걸어 맞춤하고, 보조 리브와는 걸어 맞춤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캡 본체를 아래쪽으로 강하게 눌렀을 때 보조 리브와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가 걸어 맞춤하는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3)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 또는 캡 내면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는 한쪽이 링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이 점상으로 복수 배치된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4)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한 세로 리브 및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는 선단이 테이퍼면으로, 쌍방 테이퍼의 경사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5)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봉지막이 개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봉방지 링을 내캡과 캡 본체 사이에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6) 캡 본체에 설치된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체는 커팅칼날이 2장 설치되고, 당해 2장의 커팅칼날은 원통단(圓筒端)에 비 점대칭 및/또는 커팅칼날 선단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2장의 커팅칼날에 의한 개봉거리가 상이하며, 이 개봉동작에 의해서 봉지막의 언컷부가 1개소 잔존하는 개봉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7) 캡 본체에 설치된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체에 설치된 커팅칼날은 2장으로서,
이 2장의 커팅칼날은 원통체의 선단에 비 점대칭으로 대항하여 배치되고, 이 원통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의 커팅칼날의 선단을 0°로 하는 원주방향의 위치관계 및 파단회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파단조작 후에 연결부가 1개소 형성된 봉지막의 개봉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한쪽의 커팅칼날 A의 위치=0°
다른 쪽의 커팅칼날 B의 위치 θb>180°
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
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360°
(8) 내캡은 2중의 원통형상으로서,
캡 내면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가 바깥쪽의 원통체 내주면에 형성되고, 이 고리상 돌기부는 걸어 맞춤시에 용기 본체 목부에 설치된 고리상 돌기부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바깥쪽 원통체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설치되고,
또한, 안쪽의 원통체는 개봉 후는 주출공으로 되며, 미사용시에는 봉지막인 바닥부가 형성된 짧은 지름의 바닥이 있는 원통체이고,
캡 본체는 상기 내캡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안지름을 갖는 통형상 뚜껑체로, 이 뚜껑의 천장면에 상기 주출공 내에 내접하여 진퇴 가능하게 하는 커팅칼날 부착 원통체를 형성하고, 이 커팅칼날은 2장 형성되며, 이 돌출칼날의 간격은 대이간(大離間) 각도인 큰 간격과, 소이간(小離間) 각도인 짧은 간격으로 하는 비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캡 본체에 설치된 돌출칼날의 선단이 내캡의 주출공의 봉지막을 파단하는 단서(端緖)의 위치로부터, 회전 진입하는 한도를 상기 소이간 각도보다 크고 상기 대이간 각도보다도 작아지는 범위로 내캡과 캡 본체의 나사결합 관계로 설정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9) 캡 및 용기 본체는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본 발명에 특유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1. 캡을 역회전시켜도 캡이 용기로부터 벗겨지는 경우가 없어 안전하다. 힌지 캡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고 캡 본체를 역회전시켜도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2. 캡을 역회전시켜도, 캡 본체의 나사결합 록 유지력보다도 내캡과 용기 본체의 목부 사이에서 회동의 허용 저항을 작게 하였기 때문에, 캡 본체의 나사결합이 느슨해지는 경우는 없다.
3. 실 부재를 구비한 내캡과, 커팅칼날을 설치한 원통체를 나사결합함으로써, 개봉에 소요되는 힘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회동 종단이 특정되기 때문에 개봉 개소의 특정, 실의 언컷부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2장의 커팅칼날에 의해서 2개소로부터 절삭이 개시되고, 한쪽은 분리될 때 절단음이 나, 개봉작업이 종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사용상태가 유지되어, 캡 본체를 떼어내고 개봉방지 링을 재장착하여 버진상태를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6. 사용 개시시의 세팅 조작시에 주(主) 걸어 맞춤이 불가능해지더라도, 보조의 걸어 맞춤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초기의 세팅 조작을 완료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실시예의 캡을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a)는 미사용 상태, (b)는 실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용기 본체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힌지 부착 캡 본체를 나타내고, (a)는 힌지 부착 캡 본체의 단면도, (b)는 아랫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의 (a)는 힌지 부착 캡 본체의 외관도, (b)는 힌지 부착 캡을 오픈으로 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내캡을 나타내고, (a)는 윗면에서 본 도면, (b)는 단면도, (c)는 아랫면에서 본 도면, (d)는 내캡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개봉방지 링의 일부 파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걸어 맞춤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걸어 맞춤 세팅이 종료된 도면, (b)는 캡 본체의 세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캡 본체와 내캡 세팅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커팅칼날의 상태를 아랫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커팅칼날의 개봉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a)는 미사용 상태의 커팅칼날의 위치(기준위치, 링 세팅시), (b)는 절삭 개시위치(45°회전위치), (c)는 절삭 종료위치(180°회전위치, 스코어 개구 완료시)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캡을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a)는 미사용 상태, (b)는 실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어져 있는 각 구성부재의 단면도이다. (a)는 용기 목부 단면도, (b)는 내캡 단면도, (c)는 캡 본체 단면도이고, 오른쪽 절반(c1)에는 개봉 링이 감삽(嵌揷)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3은 종래예의 용기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14는 종래예의 미사용 상태의 두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예의 고리상 띠부를 제거한 상태의 두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예의 사용상태의 두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보틀 용기
2 용기 본체
21 목부(頸部)
22 고리상 돌기부
23 세로 리브
23a 주 세로 리브
23b 보조 세로 리브
23c 경사면
3 내캡
31 외통부
32 내통부
33 수나사
34a 고리상 오목부
34b 고리상 돌기부
35 공극
35a 상부 공극
36 세로 리브
36a 경사면
37 걸어 맞춤(係合) 오목부
38 내계합조(內係合爪)
38b 내계합 소조(小爪)
38c 계합 마크
39a 고단부(高段部)
4 캡 본체
41 원통부
42 암나사
43 원통 하단부
44 걸어 맞춤 볼록부
45 계합 마크
47 외계합조(外係合爪)
5 개봉방지 링
54 개봉방지 링 볼록부
57 오목부
6 힌지 캡
61 힌지
62 마개
63 손잡이
64 정개(頂蓋)
65 주출구(注出口)
7 봉지막(封止膜)
70 원통 커팅칼날
71 커팅칼날 A
72 커팅칼날 B
73 커팅칼날끝부
74 커팅칼날끝 빗면
75 평탄부
77 후부 빗면
78 평탄
79 연결편
81a 미사용 상태의 커팅칼날 A의 세로방향 위치
81b 미사용 상태의 커팅칼날 B의 세로방향 위치
82a 봉지막 절개 시점(始點)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A의 세로방향 위치
82b 봉지막 절개 시점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B의 세로방향 위치
83a 봉지막 절개 종점(終點)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A의 세로방향 위치
83b 봉지막 절개 종점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B의 세로방향 위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목부에 캡을 장착한 캡 부착 용기에 관하여, 용기 본체의 목부에 직접 씌우는 내캡, 이 내캡에 나착(螺着)에 의해 씌우는 캡 본체로 되고, 내캡은 미사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실 부재를 가지며, 캡 본체에는 사용 개시시에 이 실을 파단하는 커팅칼날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부정개봉을 방지하는 개봉방지 링을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의 사용시의 틀어박음에 의해서, 실의 개봉과 사용상태에 캡 기구가 록되게 된다. 용기 본체 목부와 내캡의 계합력(係合力)과, 내캡과 캡 본체의 걸어 맞춤 록의 힘의 관계가, 전자가 후자보다도 약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초기 조작에 있어서, 내캡과 용기 목부와 걸어 맞춤 구조에 문제가 발생해도, 보조의 걸어 맞춤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조작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 목부의 걸어 맞춤용 리브를 상하로 분리한 구성을 채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 부재를 1개소 남기고 분리하여, 개봉 후의 실 부재를 내캡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개봉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실 부재의 일부를 남기고 원형으로 절제하는 수단으로서, 2장의 커팅칼날을 선단부(先端部)에 형성한 원통체를 사용하고, 이 원통체를 실에 바싹대고 회동시킨 경우에, 2장의 절삭 시점에 대해 한쪽의 커팅칼날의 절삭 궤적은 다른 쪽의 절삭 시점의 바로 앞에서 정지하고, 다른 쪽의 커팅칼날의 절삭 궤적이 한쪽의 절삭 시점을 통과할 수 있도록 2장의 커팅칼날의 설정을 고안한 것이다. 이 고안은 원주(圓周) 상 배치관계, 칼날의 크기, 형상 등이다.
원주 상의 배치의 경우는 비 점대칭 배치, 대칭 배치의 경우는 칼날 선단의 높이 변경, 산모양 칼날의 경우는 테이퍼각의 변경 등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조합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절삭동작은 임의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절삭 종점을 규제함으로써 자르지 않음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캡과 캡 본체를 나사결합 관계로 하고, 나사결합의 종점과 절삭동작을 동기(同期)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재질은 용기 본체, 캡은 합성 수지제, 금속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기술한다.
1. 전체구성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목부에 장착된 캡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 목부와 내캡의 계합력과, 내캡과 캡 본체의 계합 록의 힘의 관계가, 전자가 후자보다도 약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용기 본체의 목부와 내캡 사이의 걸어 맞춤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로따로 구성함으로써 구축하고, 수직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는 양자의 각각에 설치한 세로 리브를 얽은 상태로 구축하며, 수평방향의 계합기구는 용기 본체의 목부에 설치한 고리상 돌기부의 아래쪽에 내캡에 설치한 고리상 돌기부가 위치하도록 조립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세로 리브끼리의 걸어 맞춤을 느슨하게 하여 회동을 허용해도, 캡은 수평 고리상 돌기부가 걸어 맞춤을 유지하기 때문에 발출 방지 기능이 발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캡은 실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미사용 상태에서는 주출구로부터 내용물이 새지 않고, 또한 실 부재의 부정개봉을 방지하기 위해 개봉방지 링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 개시시에 캡 본체와 내캡에 틀어박았을 때, 그 틀어박음 동작에 수반하여 실이 절개 개봉되어 나착 종단에 있어서 역회전하지 않도록 록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은 실 개봉구조를 구비한 캡이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부정개봉을 방지하는 개봉방지 링이 필요에 따라서 적용된다.
2. 용기 본체
용기 본체는 상부에 원통형상의 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목부의 기단부에는 세로 리브가 1~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블로우 성형이나 사출성형에 의해서 용기 본체를 제조하는 경우는 1~4개로 하는 것이 탈형(脫型)을 고려했을 때 적당하다.
목부를 형성하는 원통부의 위쪽에는 고리상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 고리상 돌기부에는 링상으로 일체로 설치하거나 점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형의 용이성으로 보아 일체의 링상이 바람직하고, 점상의 경우는 1~4개가 적당하다. 이 고리상 돌기부는 캡을 장착했을 때 걸어 맞춤이 완성되도록 내캡에 설치한 고리상 돌기부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고리상 돌기부는 세로 리브의 상단의 위쪽에 사이를 두고 설치한다. 세로 리브의 선단면에는 테이퍼를 부착한 테이퍼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테이터의 방향에 따라서 회동방향의 저항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세로 리브는 상하로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어, 위쪽은 항상 걸어 맞춤하는 주 세로 리브로 하고, 아래쪽은 통상 상태에서는 걸어 맞춤하지 않거나 계합력이 약한 상태의 보조 세로 리브로 할 수 있는, 어떠한 이유로 주 세로 리브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보조 세로 리브를 활용하여 걸어 맞춤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 본체는 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이 있는 보틀이 적합하다. 투명성의 측면에서는 합성 수지제, 유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료 용기 등이다.
3. 캡
캡은 내캡과 캡 본체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미사용 상태에서는 개봉방지 링을 개재시킨다.
3-1 내캡
내캡은 실링된 유출공(流出孔)을 가지고, 보틀 용기의 목부에 장착된다. 2중 원통형상을 이루고, 보틀의 목부를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형식이다. 내측의 원통이 유출공을 형성하고, 바닥부를 봉지하여 실 부재를 형성한다.
바깥쪽의 원통의 내주면에는 고리상 돌기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고리상 돌기부보다 아래쪽에 세로 리브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고리상 돌기부는 용기 본체 목부측의 고리상 돌기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개소에 형성한다. 또한, 원통 내주면에는 이 고리상 돌기부의 아래쪽에 복수의 세로 리브가 형성된다. 이 세로 리브 사이에 용기 본체 목부측의 세로 리브가 들어간 형태가 되어, 수평방향의 회동이 저지되어 걸어 맞춤 관계가 구축된다. 이 세로 리브의 선단면에도 테이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면의 방향, 크기 등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회동방향의 저항성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이 회동방향의 저항조정은 용기 본체의 세로 리브와의 상호관계로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고리상 돌기부의 상부에 작은 볼록상의 고리상 돌기부를 설치하여, 2중의 돌기부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오목부에 용기 목부의 고리상 돌기부를 유지함으로써, 내캡의 통상 수직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위치 결정 의해 용기 목부의 정부 위쪽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바깥쪽의 원통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는 2조(條) 나사로 하면 결합거리를 짧게 하여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주의 기단부에는 계합조가 설치되고, 용기 본체측에 설치된 대항하는 계합조와 나사결합 종단에 있어서 걸어 맞춤하는 관계로 되어, 나사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록 기능을 한다. 이 계합조는 소간격을 두고 2개 설치할 수 있고, 이 경우는 이 소간격에 캡 본체의 계합조가 꼭 끼어 정·역회전 방향의 록 기능을 한다. 또한, 용기 본체와의 위치 맞춤을 위해, 계합 마크를 최하단의 플랜지에 설치할 수 있다.
실 부재인 봉지막은 접시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만곡의 정도를 개봉상태에 있어서, 이면(裏面)이 보틀의 목부에 안정하게 접촉하도록 보틀 목부의 안쪽둘레 직경의 곡률과 동일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 캡 본체
캡 본체는 대략 원통체로, 선단에 주출구, 이 주출구를 개폐하는 힌지 부착 캡, 내캡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암나사가 내주면에 설치되고, 주출구로부터 안쪽으로 이어지는 실 절개용 원통칼날, 내주면의 하단부에 내캡의 계합조에 대항하는 계합조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의 외주 하단에는 계합 마크를 설치할 수 있다.
캡 본체는 내캡을 틀어박음 나사결합에 의해서, 원통칼날이 봉지막을 절개하여, 나사결합의 종료와 동시에 개봉이 완료된다. 또한, 캡 본체는 나사결합 종단에 있어서 록되어 역회전 방지기구로 되어 있다. 봉지 실을 절개하는 원통칼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의 커팅칼날은, 실링되어 있는 봉지막을 안쪽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절삭하고,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분리하여 일부를 연결편으로서 남길 수 있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면, 비 점대칭 배치, 크기가 상이한 산모양 형상의 칼날, 경사를 달리한 산모양 형상 칼날, 선단의 높이를 달리한 칼날 등이다. 개봉동작은 회동하여 행한다. 2장의 커팅칼날에 의한 회동 절삭은, 각각의 커팅칼날의 절삭 궤적이 일부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회동 범위를 규제함으로써, 정확한 절삭 궤적을 실현할 수 있어, 확실하게 연결편을 남길 수 있다. 연결편이 2개소 생기는 경우는 실 부재가 충분히 열리지 않아 원활한 주출(注出)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완전히 분리해버리면, 실 편이 보틀 용기 본체 내를 부유하거나, 주출공에 결려서 유출을 저해해버릴 우려가 있다. 보틀 용기가 투명한 경우는,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는 인상을 주게 된다. 특히, 화장품이나 음료품에서는 사용감이 불량하다.
잔존 연결편과 접촉하여 정지하는 커팅칼날의 접촉부위를, 개봉편을 아래쪽 부세(付勢) 형상으로 하면, 개봉편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삭 종료 부위를 하향(下向) 경사면으로 하면, 접촉에 의해서 하향의 부세가 가능하다. 또한, 절삭 종료점에 있어서 칼날부가 종료되도록 칼날부를 형성하고, 절삭 종료점부터 칼날 부착 원통을 더욱 진입시키면, 칼날 부착 원통의 외주면에 의해서 연결이 협압(挾壓)되어 개봉편을 하향으로 부세할 수 있다. 단, 진입이 깊어지면 연결편이 찢어져 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에, 찢어지지 않을 정도의 진입에 그치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2장의 커팅칼날을 설치한 원통체의 회동을 규제하는 수단으로서는, 내캡과 캡 본체를 나사결합시켜, 나사결합의 종점에 있어서 1개소의 연결편이 남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원주 상에 위치하는 2장의 커팅칼날을 사용한 절개에 의해서, 하나의 연결편을 형성하는 것은 2개가 생기는 절개 시점과 절개 종점 중, 절삭 종점이 한쪽의 절삭 시점을 넘게 되어, 이때 연결편이 분리되는 소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개봉동작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2장의 칼날의 형성 및 개봉동작의 회동 규제에는 다음과 같은 태양이 있다.
(1)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체를 구비한 캡에 있어서, 커팅칼날은 2장 설치되고, 2장의 커팅칼날에 의한 개봉거리가 상이한 구성으로 하여, 개봉동작 후 실의 언컷부가 1개소 잔존하는 실 개봉기구 부착 캡.
(2) 2장의 커팅칼날에 의한 개봉거리가 상이한 구성을 원통 말단에 비 점대칭 및/또는 커팅칼날 선단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비 점대칭 즉, 원주 상에 커팅칼날의 간격을 상이하게 하여 배치한 경우는, 2장의 커팅칼날이 동시에 절삭을 개시했을 때, 짧은 간격에 상당하는 길이를 절삭한 시점에서, 긴 간격과 짧은 간격의 차 만큼이 연결편으로서 남게 된다.
또한, 2장의 커팅칼날 선단의 높이에 차를 둔 경우, 회전 진입시키면서 절삭동작을 행할 때, 2장의 커팅칼날은 절삭 개시시기에 시간차가 발생하여, 그 시간차 만큼의 길이를 연결편으로서 남길 수 있다.
(3) 주출공을 막는 봉지막에 대해서, 통 선단에 2장의 돌출칼날을 비 점대칭으로 배치한 주출공 내를 진퇴 가능한 원통체를 천장면에 설치한 캡 본체를 갖는 캡.
(4) 비 점대칭 배치의 구체적인 태양의 일례로서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 있다. 봉지막을 설치한 내캡과 내캡에 나사결합하는 캡 본체로 구성되고, 캡 본체를 정회전함으로써 봉지막을 파단하는 커팅칼날을 2개 구비한 캡으로서, 이 2개의 커팅칼날은 원통체의 선단에 비 점대칭으로 대항하여 배치되고, 이 원통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의 커팅칼날의 선단을 0°로 하는 원주방향의 위치관계 및 파단 회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파단조작 후에 연결부가 1개소 형성된 봉지막의 개봉상태가 형성되는 캡.
한쪽의 커팅칼날 A의 위치=0°
다른 쪽의 커팅칼날 B의 위치 θb>180°
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
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360°
(5) 또한, 나사결합 관계를 규정함으로써, 자르지 않는 잔존 연결편을 규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지막을 설치한 내캡과 내캡에 나사결합하는 캡 본체로 구성되고, 캡 본체를 정회전함으로써 봉지막을 파단하는 커팅칼날을 2개 구비한 캡으로서, 내캡은 외주에 수나사가 설치된 원통형상으로, 내측에 봉지막이 되는 바닥부를 형성한 짧은 지름의 바닥이 있는 원통체로 되는 주출공이 설치되어 있고, 캡 본체는 상기 내캡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안지름을 갖는 통형상 뚜껑체로, 이 뚜껑의 천장면에 상기 주출공 내에 내접하여 진퇴 가능하게 하는 커팅칼날 부착 원통체를 형성하고, 이 커팅칼날은 2장 형성되며, 이 돌출칼날의 간격은 대이간 각도인 큰 간격과, 소이간 각도인 짧은 간격으로 하는 비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캡 본체에 설치된 돌출칼날의 선단이 내캡의 주출공의 봉지막을 파단하는 단서의 위치로부터, 회전 진입하는 한도를 상기 소이간 각도보다 크고 상기 대이간 각도보다도 작아지는 범위로 내캡과 캡 본체의 나사결합 관계로 설정한 캡.
또한, 이 경우, 절삭 종점에서 칼날부가 종료되도록 형성한 2장의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칼날로 함으로써, 절삭 종료점에 있어서 개봉편의 하향 부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팅칼날부 종료점으로부터 연결부의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나사결합을 진행시키면 연결편이 원통칼날의 외주면에 의해서 억눌려지기 때문에, 개방편의 하향 자세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3-3 힌지 캡
캡 본체의 선단측에는 힌지 부착 캡을 설치할 수 있다. 개봉 후에는 힌지 캡을 개폐함으로써 내용물을 주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개봉 후에는 조금씩 내놓게 하여 사용하는 용도에는, 편리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장용 용기에 적합하다.
내용물의 주출을 힌지 캡의 개폐에 의해서 행하는 캡 본체는 나착에 의하기 때문에, 실수로 캡 본체를 역회전시키는 경우 캡이 벗겨질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내캡과 용기 본체 목부 사이에서 회동을 허용하게 되기 때문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3-4 개봉방지 링
개봉방지 링은 미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캡 본체나 내캡과는 별체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개봉 수단으로서는, 내캡과 캡 본체를 띠형상으로 연결하는 수단(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새로운 수단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193202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체 구성한 링상의 개봉방지 부재를 제안하였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 1의 캡을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a)는 미사용 상태, (b)는 실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용기 본체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힌지 부착 캡 본체를 나타내고, (a)는 힌지 부착 캡 본체의 단면도, (b)는 아랫면에서 본 도면, 도 4의 (a)는 힌지 부착 캡 본체의 외관도, (b)는 힌지 부착 캡을 오픈으로 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내캡을 나타내고, (a)는 윗면에서 본 도면, (b)는 단면도, (c)는 아랫면에서 본 도면, (d)는 내캡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개봉방지 링의 일부 파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걸어 맞춤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걸어 맞춤 세팅이 종료된 도면, (b)는 캡 본체의 세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캡 본체와 내캡 세팅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커팅칼날의 상태를 아랫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커팅칼날의 개봉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미사용 상태의 커팅칼날의 위치, (b)는 절삭 개시위치, (c)는 절삭 종료위치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캡을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a)는 미사용 상태, 도 1(b)는 실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미사용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2)의 목부(21)에 내캡(3), 개봉방지 링(5), 캡 본체(4)의 순으로 씌워져 장착되어 있다. 내캡(3)은 보틀 용기의 목부의 선단부가 공극(35)에 진입하여, 보틀 용기 본체(2)의 목부에 설치된 고리상 돌기부(22)가 내캡의 고리상 오목부(34a)에 수납되어 그 아래쪽에 목부에 설치된 고리상 돌기부(34b)가 위치하여 걸어 맞춤하여 발출 방지되어 있다. 보틀 용기의 목부 기부(基部)에 형성된 세로 리브(23a, 23b)와 내캡의 기부 내면에 설치한 세로 리브(36)가 걸어 맞춤되어 둘레방향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내캡의 수나사(33)와 캡 본체의 암나사(4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나사는 2조 나사를 채용하여 적은 회전수로도 강고하고 안정된 나사결합을 실현한다. 미사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캡 본체의 하부에 개봉방지 링(5)을 개재시켜 나사결합의 진입을 막아, 원통 커팅칼날(70)이 하강하여 봉지막(7)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내캡(3)을 용기 본체(2)의 목부(21)에 씌워서 강하게 밀어 넣음으로써, 양자의 걸어 맞춤은 완성되고, 수평으로 설치된 2개의 고리상 돌기부의 걸어 맞춤에 의해서 발출 방지가 되어, 내캡에 설치된 다수의 세로 리브 사이에 용기의 목부측 세로 리브가 들어감으로써, 회동이 규제된다. 실용공정에서의 조립은 보틀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내캡과 개봉방지 링과 캡 본체를 세팅한 상태의 캡을 보틀 용기의 목부에 밀어 넣어 미사용 상태의 캡 부착 용기를 완성시킨다.
사용상태는 먼저 캡 본체와 개봉방지 링을 함께 일단 박리하고, 캡 본체만을 재장착하여, 종점까지 나사결합을 진행함으로써, 원통 커팅칼날(70)에 의해서 봉지막(7)의 주위를, 연결편(79)을 남기고 절삭하여 개봉상태로 한다. 그 후 힌지 캡(6)을 열어서 내용물을 꺼내, 내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봉지막(7)은 △d만큼 아래쪽으로 만곡시킨 접시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b)에 있어서, 이 △d는 용기 본체의 목부(21)를 따르도록 접촉하는 곡률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의해서 절개된 봉지막은 안정된 자세가 되어, 개전(開栓) 후의 사용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는 도 2에 예시되어 있으며, 내캡을 씌울 수 있도록 목부를 형성하고, 수용부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합성 수지제로 할 수 있고, PET 등을 사용하여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용기 본체(2)의 측면도로서, 어깨부를 좁혀서 형성한 목부(21)가 설치되고, 이 목부에는 고리상 돌기부(22)와 세로 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리브(23)는 주 세로 리브(23a)와 보조 세로 리브(23b)의 2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는 2개로 분리된 타입을 나타내고 있으나, 연속된 일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하의 2 부재로 나눈 경우에는, 미사용 상태에서의 지나친 돌리기 등의 원인에 의해 주 세로 리브(23a)가 파손된 경우에는, 보조 세로 리브(23b)와 내캡에 세로 리브(36)의 걸어 맞춤에 의해, 사용개시의 초기상태로 세팅이 가능하다. 특히, 용기 목부 정부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캡 본체를 강하게 밀어 넣음으로써, 보조 리브(23b)와의 계합력을 높일 수 있어, 세팅이 확실해진다.
고리상 돌기부(22)는 연속된 링상으로 형성하지만, 점상 돌기를 복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로 리브(23)는 1~여러개 설치할 수 있다. 블로우 성형에서는 형 빼기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세로 리브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는 90°간격으로 설치하 는 4개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상 돌기부를 점상 돌기로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캡 본체의 구성을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힌지 부착 캡 본체를 나타내고, (a)는 힌지 부착 캡 본체의 단면도, (b)는 아랫면에서 본 도면, 도 4(a)는 힌지 부착 캡 본체의 외관도, (b)는 힌지 부착 캡을 오픈으로 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캡 본체(4)는 내캡에 씌우는 암나사(42)를 형성한 원통부(41), 이 원통부(41)의 정부에는 힌지 캡(6)이 설치되어 있다. 중앙부에는 선단측에 커팅칼날을 설치한 원통 커팅칼날(70)을 설치한다. 이 원통 커팅칼날의 기부측은 주출구(65)가 된다. 원통부(41)의 기단 내측에 외계합조(47)가 2개 180°대항하여 설치되고, 내캡의 기단부에 설치된 내계합조(38)와 걸어 맞춤하여, 나사결합 종점에서 양자가 역회전 방지의 걸어 맞춤 관계를 구성한다. 또한, 계합조(47) 외에 걸어 맞춤 볼록부(44)가 2개 180°대항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볼록부(44)는 내캡에 설치된 고단부(高段部)(39a)에 접촉하여, 정방향(正方向)의 회전 멈춤 기능을 한다. 외계합조(47)에 대응하는 원통부(41)의 외주 기단부에는 계합 마크(45)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계합 마크와 내캡에 설치된 계합 마크가 일치한 경우에 장착이 완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는 캡 본체(4)를 측면에서 본 외관이 나타내어져 있다. 측면에는 계합 마크(45)를 다소 팽창시켜 설치하고 있다. 힌지 캡(6)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캡 본체의 단면이 도 4(b)에 나타내어져 있다. 정개(64)의 일단은 힌지(61)에 의해서 연결되고, 타단에는 손잡이(63)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주출구(65)를 봉쇄할 수 있는 마개(62)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 커팅칼날의 구성예를 도 9에 나타낸다. 원통 커팅칼날(70)은 커팅칼날 A(71)와 커팅칼날 B(72)의 2개가 설치되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산모양의 형상으로, 정부를 평탄(78), 커팅칼날의 전방은 연직으로 형성된 커팅칼날끝부(73), 거기에 이어지는 커팅칼날끝 빗면(74), 또한 평탄부(75)를 구비하고 있다. 커팅칼날의 뒤는 후부 빗면(77)을 거쳐 평탄부에 연결되어 있다. 2장의 커팅칼날은 대간격 각 210°, 소간격 각 150°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개봉동작은 후술하지만, 절삭각도 150°, 40°의 연결편이 분리되지 않고 잔존한다. 이 커팅칼날은 정부에 평탄부가 20°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절삭하면서 봉지막에 꽂히는 커팅칼날끝 빗면(74)의 일부를 산입하면, 170°의 절삭이 실행되기 때문에, 미절삭의 잔존각도가 40도가 된다.
내캡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내캡을 나타내고 (a)는 윗면에서 본 도면, (b)는 단면도, (c)는 아랫면에서 본 도면, (d)는 내캡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내캡은 대략 원통형상의 외관을 하고 있고, 내측에 작은 지름의 원통을 구비한 2중 구조이다. 작은 지름의 원통의 바닥부는 봉지막으로 실링되어 있다. 이 2중 원통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극부에 용기 본체의 목부 선단을 삽입하여 씌우는 구조이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자면, 내캡(3)은 수나사(33)가 형성된 외통부(31), 봉지막(7)에 의해서 실링된 내통부(32)에 의해서 2중으로 형성되고, 2개의 통에 의해 서 형성되는 공극(35)을 갖는다. 외통부(31)의 외측 기부에는 캡 본체 또는 개봉방지 링의 돌기와 걸어 맞춤하는 내계합조(38) 및 계합 마크(38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계합조(38)와 소간격을 두고 대항하는 소계합조(38b)가 설치되고, 2개의 조(爪) 사이의 소간격이 걸어 맞춤 오목부(37)를 형성하고 있다. 캡 본체에 설치된 외계합조(47)는 내계합조(38)의 배부(背部)의 상기 팽출부를 넘어서 걸어 맞춤 오목부(37)에 수납된 상태가 사용의 세팅 상태로 된다. 이 외계합조(47)는 내계합조(38)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서 역회전 방지로 되어, 사용상태에서는 캡 본체가 내캡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고단부(39a)가 설치되어 있어, 캡 본체의 걸어 맞춤 볼록부(44)에 맞닿아 정방향의 과회전 방지 기능을 한다. 외통부(31)의 내면에는 다수의 세로 리브(36, 36‥), 고리상 오목부(34a), 고리상 돌기부(34b)가 형성되고, 각각 용기 본체의 목부에 설치된 세로 리브(23)(주 세로 리브(23a), 보조 세로 리브(23b)), 고리상 돌기부(22)와 걸어 맞춤하여, 발출 방지와 회전이 방지된 씌움 관계가 되도록 되어 있다. 세로 리브(36)의 선단면은 테이퍼가 부착된 경사면(36a)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개봉방지 링(5)이 예시되어 있다. 단부착(段付)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내캡에 장착되며, 위쪽의 작은 지름부에는 캡 본체의 기부가 장착된다. 장착상태에 있어서는 미사용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동시에, 봉지막이 커팅칼날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내캡 및 캡 본체와 걸어 맞춤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걸어 맞춤용으로 오목부(57), 개봉방지 링 볼록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캡과 용기 본체의 걸어 맞춤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기 본 체에 내캡이 직접 접촉하여, 내캡에 캡 본체가 씌워진다. 내캡과 캡 본체가 나사결합 관계에 있기 때문에, 내캡과 용기 본체 목부의 접합기구는 수평방향의 볼록상 고리상 부재끼리를 상하가 되도록 배치하여 발출 방지로 하고, 회동 규제는 양자에 설치한 세로 리브끼리를 얽어 구성하고 있다. 캡 본체를 나착하고, 나착 종점에서 록하고 있지만, 실수로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강하게 회동한 경우에는 록이 파괴되어,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새어 버리는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 리브의 선단면에 테이퍼를 부착한 경사면으로 하고 있다. 양자의 세로 리브의 경사면을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나사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강하게 캡을 돌린 경우, 나사결합의 록 유지력보다도 작은 계합력으로 설계함으로써, 캡 본체가 내캡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정회전 방향의 계합력은 역회전 방향의 계합력보다도 크지만, 매우 커다란 힘으로 캡을 정회전시킨 경우, 세로 리브가 구부러질 정도의 강도로 설계해 두면, 나사산이 파손되어 버리는 회전력을 가하여도 내캡과 용기 목부의 리브 구성이 흡수하여, 캡이 빠져 벗겨져 버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실의 일부를 분리하지 않고 남겨 두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특징으로, 개봉동작이 틀어박음 양에 따라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틀어박는 것은 실을 완전히 분리해버릴 위험도 있기 때문에, 과잉의 나사결합을 제한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미사용 상태에서는 개봉방지 링을 내캡과 캡 본체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어, 사용 개시시에 캡 본체를 벗겨서 개봉방지 링을 제거하고, 다시 캡 본체를 내캡의 외주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실 부재의 개봉과 캡의 장착을 완성하는 것이다. 가령, 일단 사용상태로 한 후 캡 본체를 벗기고, 다시 개봉방지 링을 삽감(揷嵌)하여 캡 본체를 그 위에 씌우는 부정개봉이 행해질 위험이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상태에 캡 본체를 장착한 경우 록되는 구성에 더하여, 강한 역회전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세로 리브끼리의 계합력이 록 유지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내캡과 용기 목부 사이에서 공회전해버려, 캡이 벗겨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부정개봉 방지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인 구성을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사용상태로 세팅된 상태의 걸어 맞춤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가장 안쪽에 보틀 용기의 원통형상의 목부(21)와 그 목부에 설치된 주 세로 리브(23a)가 2개 설치되어 있다. 주 세로 리브(23a)의 선단에는 테이퍼가 부착된 경사면(2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목부에 내캡이 삽입되어 있고, 내캡의 내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세로 리브(36) 사이에 주 세로 리브(23a)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세팅되어 있다. 이 세로 리브(36)의 선단에도 테이퍼가 부착된 경사면(36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경사방향은 대향관계에 있고, 세팅상태에 있는 캡을 역회전하여 벗기고자 한 경우에는, 이 경사면을 따라 걸어 맞춤이 벗겨지기 쉬운 구성으로 하고 있다. 세로 리브(36)가 다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세로 리브를 넘어도 다음의 세로 리브(36)가 저항이 되기 때문에, 자유 회전으로는 되지 않는다.
내캡과 캡 본체의 걸어 맞춤의 록 구성은, 내캡의 외주에 설치된 내계합조(38)와 캡 본체측의 외계합조(47)를 역회전 방지방향으로 걸어 맞춤한다. 내캡에 설치된 고단부(39a)에 캡 본체에 설치한 걸어 맞춤 볼록부(44)가 맞닿아서 회전 멈춤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계합조(38)에 대향하여 소계합조(38b)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걸어 맞춤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오목부에 외계합조(47)가 끼워 넣어지게 된다.
도 7(b)는 사용 개시시의 조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개봉방지 링을 제거하여, 캡 본체를 틀어박아 가는 종점의 상황이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해 가, 내계합조(38)의 배면에 외계합조(47)의 배면이 접촉하여, 양자의 배면을 넘어서 걸어 맞춤 오목부(37)에 외계합조(47)가 끼워 넣어져 나사결합이 완성된다. 한편, 내캡의 고단부(39a)에 캡 본체의 걸어 맞춤 볼록부(44)가 맞닿아 회전 멈춤이 된다. 이 예에서는 과회전 방지의 주요구성은 걸어 맞춤 볼록부(44)와 고단부(39a)의 맞닿음이 담당하고 있다. 강하게 돌려 넣은 경우는, 이 맞닿음에 의해서 내캡과 캡 본체의 나사결합이 파괴되지 않고, 세로 리브가 구부러질 정도로 세로 리브를 설계해 둠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는 세팅 종료 후에 캡을 역회전하는 방향의 세로 리브끼리의 걸어 맞춤의 파단 토크를 3 ㎏f/㎝로 설정하고, 정방향으로 나사를 과잉으로 단단히 조인 경우에 리브끼리의 걸어 맞춤의 파단 토크를 10 ㎏f/㎝로 설정한다. 또한, 초기 사용 세팅시에 캡 본체를 돌려 넣을 때 내캡의 조를 넘는 토크를 4 ㎏f/㎝로 설정하고, 세팅 후의 조의 걸어 맞춤 토크를 10 ㎏f/㎝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통상 성인이 초기 설정할 수 있었던 것을, 캡 본체를 틀어박을 때 받는 넘김 저항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실수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의 목부와 내캡의 리브끼리의 계합력이 내캡과 캡 본체의 조 계합력보다도 작기 때문에 공회전해버려, 그 결과 캡 본체가 벗겨져 버릴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계합 마크(45, 38c)가 일치한 상태로 세팅이 완료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도 7(a)에 있어서의 캡 본체와 내캡의 세팅상태도를 개략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하게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개봉방지 링을 개재시킴으로서, 버진 상태가 명료해지는 동시에, 개봉방지 링에는 분리되는 접합편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봉방지 링을 제거한 흔적이 남지 않고 깨끗하다. 또한, 개봉방지용 오버 커버도 아니기 때문에 사용상태의 디자인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캡 본체의 틀어박음 동작에 수반하여, 실의 개봉이 이루어지고, 절단된 봉지막의 일부를 잔존시키기 때문에, 실편이 특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실편이 막혀버리거나 보틀 용기 내를 부유하게는 되지 않는다.
그리고 또한, 캡을 강하게 역회전시켜도, 내캡과 용기 목부의 세로방향의 계합 저항을 약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캡 본체가 벗겨지지 않고 공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강하게 정회전한 경우에는 세로 리브가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나착구조가 파괴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캡과 용기 본체 목부는 수평 걸어 맞춤과 수직 걸어 맞춤의 기구를 분리하고, 상하로도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세로 리브끼리의 걸어 맞춤을 느슨하게 해도, 발출 방지의 걸어 맞춤에는 영향이 없다.
본 실시예는 각 구성이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외관 및 안전성을 높인 캡 부착 용기이다.
실의 개봉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내캡을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의 원통칼날(70)의 위치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내캡의 내통(32)에 설치된 봉지막(7)이 중심에 나타내어져 있다. 내통(32) 내에 있어서의 2장의 커팅칼날 A, B(71, 72)의 상태를 세로 단면에서 보아 표기하고 있다. 도 10(a)는 개봉방지 링이 장전된 미사용 상태이고, 도 10(b)는 개봉방지 링을 제거하고, 커팅칼날 A, B(71, 72)가 봉지막(7)을 절삭 개시한 시점의 상태이며, 도 10(c)는 절삭이 연결편(79)을 남기고 종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원통칼날(70)의 선단에 형성된 커팅칼날 A(71)와 커팅칼날 B(72)의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고, 동일 형상의 대략 산모양 형상이다.
도 10(a)는 커팅칼날 A(71)의 평부(78)의 후단을 0°로 한 원형 좌표축에서 각 부재의 위치관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커팅칼날 B의 평부(78)의 후단은 210°에 배치되고, 각각 평부는 20°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커팅칼날의 바닥부인 커팅칼날끝 빗면(74)의 기부와 후부 빗면(77)의 기부 사이는 90°만큼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세로 단면에서 보면 커팅칼날의 평부(78)는 봉지막(7)과 비접촉 상태에 있다.
도 10(b)는 개봉방지 링을 제거하고, 다시 나사결합하여 도 1(a)의 위치로부터 45° 진행시킨 위치에 있어서, 2장의 커팅칼날의 평부가 봉지막을 찢어 절삭한 시점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팅칼날 B의 평부(78)의 후단은 255°에 있다.
도 10(c)는 추가적으로 135°회전하여, 개삭(開削)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팅칼날 A(71)의 평부(78)의 후단은 180°에 위치하고 있다. 커팅칼날 B의 평부(78)의 후단은 30°이다. 세로 단면에서 보면 커팅칼날 A(71)는 83a의 상태로 되어 있고, 커팅칼날 선단 빗면(74)이 봉지막(7)을 찢은 상태로 되며, 그 선단 빗면이 15° 및 평부 20°가 가산된 170°가 커팅칼날 A(71)에 의해서 절삭된 각도가 되고, 좌표축에서는 215°이다. 따라서, 도 10(b)의 커팅칼날(B)의 평부(78)의 후단 255°와의 차 40°만큼이 잘리지 않아, 연결편(79)을 형성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일련의 나사결합 회전은 360°이내에서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봉방지 링이 180°이고, 개삭 회전이 여유있게 180°로 되어 있는, 이와 같은 작은 회전각도에 의한 정확한 제어는 2조 나사에 의한 나사결합 구조로 함으로써 실현되어 있다.
한편, 절삭 종점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B(72)는 세로 단면에서 보면 83b의 상태에 있고, 평면적으로는 커팅칼날 B(72)의 커팅칼날끝부(73)는 50°에 있다. 따라서, 커팅칼날 A(71)의 절삭위치 45°를 통과하고 있어, 이 부분은 분리되어 있게 된다. 합성 수지의 늘어남을 고려해도 커팅칼날 B(72)의 커팅칼날끝 빗면(74)도 커팅칼날 A와 마찬가지로 나사결합의 진입에 수반하여, 봉지막 레벨 15°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는 확실하다.
이 실시예를 청구항 4에 더하여 생각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는 커팅칼날의 정부가 평부나 산모양의 경사면이 실질적인 절삭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분량을 고려하여, 적용 관계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바늘과 같은 봉형상의 커팅칼날의 경우는 이와 같은 관계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1) 한쪽의 커팅칼날 A의 위치=0°: 도 10(b)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A(71)의 평부(78)의 후단 위치 45°(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개념은 커팅칼날이 실을 개삭하기 직전의 배치관계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45°에 상당한다)
(2) 다른 쪽의 커팅칼날 B의 위치 θb>180°: 도 10(a)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B(72)의 평부(78)의 후단 위치 210°(여기서는 대간격 각도인 210°에 상당한다)
(3) 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 커팅칼날 A(71)에 의해서 절삭된 각도 170°
(4) 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360°: 커팅칼날 A(71)에 의해서 절삭된 각도 170°+도 10(a)에 있어서의 커팅칼날 B(72)의 평부(78)의 후단 위치 210°
이 커팅칼날 B(72)의 분리 종점에 있어서 파단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의 개봉이 확실하게 행해진 것이 이용자는 귀로도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회동동작은 필요로 하지 않아 안심할 수 있다. 나사결합에 의한 커팅칼날의 진입이기 때문에, 스트레이트로 밀어 넣는 힘에 비해 작은 힘으로 개봉동작을 할 수 있다.
잔존한 연결편(79)은 커팅칼날 A(71)의 평탄부(75)에 의해서 내측으로 부세되어 자세가 안정하여, 힌지 캡을 열어서 흔들어 나오게 하는 등의 주출동작을 행해도 봉지막이 되돌아 오는 경우가 없어, 원활한 주출조작을 행할 수 있다.
봉지막을 만곡시켜 용기 본체의 목부에 밀착시킬 수 있고, 개전 후의 봉지막의 자세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시의 장애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캡은 먼저 내캡과 개봉방지 링과 캡 본체를 일체로 조합하여 준비하고,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의 보틀 용기 본체의 목부에 압착함으로써 씌울 수 있다. 보틀링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각 구성이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외관 및 안전성을 높인 캡 부착 용기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언급하지 않는 부분은 원칙적으로 실시예 1과 공통된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캡을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a)는 미사용 상태, (b)는 실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어져 있는 각 구성부재의 단면도이다. (a)는 용기 목부 단면도, (b)는 내캡 단면도, (c)는 캡 본체 단면도로, 오른쪽 절반(c1)에는 개봉 링이 감삽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크게 상이한 부분은 내캡의 고리상 오목부(34a)의 위쪽에도 고리상 돌기부로서 상(上) 고리상 돌기부(34c)를 설치하여 고리상 오목부(34a)와 용기 본체 목부에 설치된 고리상 돌기부(22)와 걸어 맞춤하도록 한 구조, 및 용기 목부에 설치한 보조 세로 리브(23b)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통상 상태에서는 내캡의 세로 리브(36)와 이 보조 세로 리브(23b)는 걸어 맞춤하지 않는 관 계로 하고, 캡 본체(4)를 강하게 밀어 넣은 경우에 걸어 맞춤하는 구조로 한 것이다.
도 11(a)나 도 12(c)의 (c1)에 있는 바와 같이, 개봉방지 링(5)이 감삽된 상태로 강하게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용기 목부에 설치된 주 세로 리브(23a)가 파괴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 개시시에 개봉방지 링(5)을 제거하고, 캡 본체(4)를 다시 나사결합해도, 그 상태로는 정회전 방향으로 공회전할 위험이 발생한다. 이때, 캡 본체(4)를 용기측으로 강하게 내리누르면 보조 세로 리브(23b)와 세로 리브(36)가 걸어 맞춤하여, 사용개시의 세팅 상태로 조립할 수 있다.
이 강제 조립을 보조하는 기구가, 내캡에 설치한 상 고리상 돌기부(34c)와 용기 목부의 정부(21b)의 위쪽에 형성되는 상부 공극(35b)이다. 상 고리상 돌기부(34c)가 존재하기 때문에 내캡(3)은 용기 목부의 고리상 돌기부(22)에 지승(支承)되어 내려가는 경우가 없다. 또한, 이 지승에 의해서, 용기 목부의 정부(21b)의 상부에는 상부 공극(35b)이 존재하여 내캡의 세로 리브(36)와 보조 세로 리브(23b)는 걸어 맞춤하지 않는 관계가 통상은 유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세로 리브(23a)가 파괴되어, 세로 리브(36)와의 걸어 맞춤이 곤란해진 경우에는 캡 본체(4)를 강하게 용기측으로 내리누름으로써, 내캡(3)은 상부 공극(35b)의 여유분 아래쪽으로 내려가, 세로 리브(36)의 아랫면측과 용기 목부에 설치된 보조 세로 리브(23b)가 걸어 맞춤하게 된다. 또한, 상 고리상 돌기부(34c)는 고리상 돌기부(34b)보다도 작은 볼록상으로 하여, 눌러내림 저항을 가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 1과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할애한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사용 개시시의 최초의 세팅 불량을 발생하는 경우의 뜻밖의 사태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킨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 용기 목부에 힌지 부착 캡을 장착한 캡 부착 용기에 있어서, 힌지 부착 캡은 용기 목부에 직접 감합(嵌合)하는 봉지막(封止膜)이 설치된 내캡과,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체와 주출구(注出口)와 주출구를 개폐하는 힌지 부착 정개(頂蓋)가 설치된 캡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내캡과 캡 본체는 나사결합(螺合)에 의한 접합관계를 가지며, 사용상태가 되는 나사결합 종단에 역회전을 방지하는 록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내캡의 봉지막이 사용 개시시에 행하는 상기 나사결합에 의해 개봉되는 것이며,용기 본체와 내캡의 장착기구가 수평방향의 걸어 맞춤(係合) 기구와 수직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로 구성되고,수평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가,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와 캡 내면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를 걸어 맞춤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고 또한 발출(拔出) 방지의 구성으로 하며,수직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가,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한 세로 리브와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를 걸어 맞춤한 것으로, 이 걸어 맞춤 관계는 어느 정도 커다란 힘을 가하여 캡을 역회전 및/또는 정회전하였을 때 회동을 허용하는 정도의 걸어 맞춤 저항으로 구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수직방향의 걸어 맞춤 기구가, 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한 세로 리브를, 목부의 중간부에 설치한 주 세로 리브와 이 목부의 기단부(基端部)에 설치한 보조 세로 리브로 구성하며, 통상 상태에서는 주 세로 리브와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가 걸어 맞춤하고, 보조 리브와는 걸어 맞춤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캡 본체를 아래쪽으로 강하게 눌렀을 때 보조 리브와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가 걸어 맞춤하는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 또는 캡 내면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는 한쪽이 링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이 점상으로 복수 배치된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용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한 세로 리브 및 캡 내면에 설치한 복수의 세로 리브는 선단이 테이퍼면으로, 쌍방 테이퍼의 경사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미사용 상태에 있어서 봉지막이 개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봉방지 링을 내캡과 캡 본체 사이에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캡 본체에 설치된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체는 커팅칼날이 2장 설치되고, 당해 2장의 커팅칼날은 원통단(圓筒端)에 비 점대칭 및/또는 커팅칼날 선단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2장의 커팅칼날에 의한 개봉거리가 상이하며, 이 개봉동작에 의해서 봉지막의 언컷부(uncut portion,切殘部)가 1개소 잔존하는 개봉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캡 본체에 설치된 커팅칼날 부착 실 개봉용 원통체에 설치된 커팅칼날은 2장으로서,이 2장의 커팅칼날은 원통체의 선단에 비 점대칭으로 대항하여 배치되고, 이 원통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의 커팅칼날의 선단을 0°로 하는 원주방향의 위치관계 및 파단회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파단조작 후에 연결부가 1개소 형성된 봉지막의 개봉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한쪽의 커팅칼날 A의 위치=0°다른 쪽의 커팅칼날 B의 위치 θb>180°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한쪽의 커팅칼날 A의 파단 회전각도 θcut+θb>360°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내캡은 2중의 원통형상으로서,캡 내면에 형성된 고리상 돌기부가 바깥쪽의 원통체 내주면에 형성되고, 이 고리상 돌기부는 걸어 맞춤시에 용기 본체 목부에 설치된 고리상 돌기부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바깥쪽 원통체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설치되고,또한, 안쪽의 원통체는 개봉 후는 주출공(注出孔)으로 되며, 미사용시에는 봉지막인 바닥부가 형성된 짧은 지름의 바닥이 있는 원통체이고,캡 본체는 상기 내캡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안지름을 갖는 통형상 뚜껑체로, 이 뚜껑의 천장면에 상기 주출공 내에 내접하여 진퇴 가능하게 하는 커팅칼날 부착 원통체를 형성하고, 이 커팅칼날은 2장 형성되며, 이 2장의 커팅칼날의 간격은 대이간(大離間) 각도인 큰 간격과, 소이간(小離間) 각도인 짧은 간격으로 하는 비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캡 본체에 설치된 돌출칼날의 선단이 내캡의 주출공의 봉지막을 파단하는 단서(端緖)의 위치로부터, 회전 진입하는 한도를 상기 소이간 각도보다 크고 상기 대이간 각도보다도 작아지는 범위로 내캡과 캡 본체의 나사결합 관계로 설정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캡 및 용기 본체는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276835A JP3978224B1 (ja) | 2006-10-10 | 2006-10-10 | ボトル容器 |
JPJP-P-2006-276835 | 2006-10-10 | ||
PCT/JP2007/068251 WO2008044442A1 (fr) | 2006-10-10 | 2007-09-20 | Récipient de type bouteil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5053A true KR20090085053A (ko) | 2009-08-06 |
KR101397766B1 KR101397766B1 (ko) | 2014-06-27 |
Family
ID=3859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9389A KR101397766B1 (ko) | 2006-10-10 | 2007-09-20 | 보틀 용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3978224B1 (ko) |
KR (1) | KR101397766B1 (ko) |
CN (1) | CN101511692B (ko) |
HK (1) | HK1130750A1 (ko) |
TW (1) | TWI415771B (ko) |
WO (1) | WO20080444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85986B2 (ja) * | 2007-06-19 | 2012-11-28 | 株式会社ファンケル | ボトル容器 |
AU2008237613B2 (en) * | 2008-10-30 | 2010-11-25 | Aptargroup, Inc. | Liner piercing twist closure |
ATE546380T1 (de) * | 2008-11-04 | 2012-03-15 | Aptargroup Inc | Verschluss mit drehbarem ausgiesser zum durchstossen einer membran |
RU2483010C2 (ru) * | 2008-11-12 | 2013-05-27 | СИКВИСТ КЛОУЖЕРЗ Эл.Эл.Си. | Управляемое посредством вращения и пробивающее прокладку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
JP5203276B2 (ja) * | 2009-03-31 | 2013-06-05 |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 容器蓋のブリッジ切れ角度測定装置及びその角度測定方法 |
US8695822B2 (en) * | 2010-01-25 | 2014-04-15 | Si-Joong Kwon | Container for preventing loss of stopper and idle rotation thereof |
KR100997319B1 (ko) * | 2010-01-25 | 2010-11-29 | 권시중 |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
JP4928625B2 (ja) * | 2010-09-14 | 2012-05-09 | 株式会社ファンケル | 開封手段付き容器 |
JP5961968B2 (ja) * | 2011-09-29 | 2016-08-03 | 凸版印刷株式会社 | 二重キャップ付き口栓およびパウチ |
CN104309913B (zh) * | 2014-10-17 | 2017-02-15 | 德清才府玻璃股份有限公司 | 一种瓶盖与瓶子的固定结构 |
CN104326156A (zh) * | 2014-10-17 | 2015-02-04 | 德清才府玻璃股份有限公司 | 一种瓶子 |
JP6575122B2 (ja) * | 2015-04-20 | 2019-09-18 | 凸版印刷株式会社 | 逆流防止弁付キャップ、及び、そのキャップを取り付けた容器 |
JP5965039B1 (ja) * | 2015-07-30 | 2016-08-03 | 株式会社ファンケル |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
DE102015016817B3 (de) | 2015-12-23 | 2017-04-20 | Remy & Geiser Gmbh | Verschluss für ein mit Fluid befülltes Behältnis |
JP6739877B2 (ja) * | 2017-01-31 | 2020-08-1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キャップ付き容器 |
JP6938281B2 (ja) * | 2017-03-23 | 2021-09-2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注出口装置、および注出口装置とキャップとの組合体 |
US11505376B2 (en) * | 2019-01-24 | 2022-11-22 | Gary L. Sharpe | Tamper-evident device |
JP7290538B2 (ja) | 2019-10-15 | 2023-06-13 | 株式会社 資生堂 | 注出キャップ |
JP7335565B1 (ja) * | 2023-04-24 | 2023-08-30 | アスカカンパニー株式会社 | キャップ付き容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36913Y2 (ko) * | 1974-01-17 | 1979-11-07 | ||
JPS6119084Y2 (ko) * | 1980-05-02 | 1986-06-09 | ||
JPH063816Y2 (ja) * | 1987-09-16 | 1994-02-02 | 凸版印刷株式会社 | 液体容器用注出栓 |
JP4467689B2 (ja) * | 1999-12-16 | 2010-05-26 |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 ヒンジキャップ |
CN2437628Y (zh) * | 2000-09-05 | 2001-07-04 | 徐莉莉 | 具有分离贮放结构的容器装置 |
JP2003292009A (ja) * | 2002-03-29 | 2003-10-15 | Hanshin Kasei Kogyo Kk | 容器の蓋構造 |
MXPA04012340A (es) * | 2002-06-20 | 2005-02-25 | Sig Technology Ltd | Cierre de auto-abertura para envases compuestos o para canillas de recipientes o bocas de botella cerradas con un pelicula de material. |
CN2803971Y (zh) * | 2005-04-15 | 2006-08-09 | 陶明轩 | 可预置配料的瓶盖装置 |
-
2006
- 2006-10-10 JP JP2006276835A patent/JP3978224B1/ja active Active
-
2007
- 2007-09-20 WO PCT/JP2007/068251 patent/WO200804444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9-20 CN CN2007800325088A patent/CN101511692B/zh active Active
- 2007-09-20 KR KR1020097009389A patent/KR1013977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09-21 TW TW096135242A patent/TWI415771B/zh active
-
2009
- 2009-09-24 HK HK09108770.0A patent/HK1130750A1/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978224B1 (ja) | 2007-09-19 |
CN101511692B (zh) | 2011-07-20 |
KR101397766B1 (ko) | 2014-06-27 |
CN101511692A (zh) | 2009-08-19 |
TW200821225A (en) | 2008-05-16 |
WO2008044442A1 (fr) | 2008-04-17 |
HK1130750A1 (en) | 2010-01-08 |
JP2008094416A (ja) | 2008-04-24 |
TWI415771B (zh) | 2013-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85053A (ko) | 보틀 용기 | |
KR20090061637A (ko) | 보틀 용기 | |
US4401227A (en) | Tamper indicating closure cap | |
KR100445578B1 (ko) | 힌지식캡 | |
JP5038787B2 (ja) | キャップ | |
US6016931A (en) | Cap separable from bottle at the time of disposal | |
JP5804847B2 (ja) | キャップ | |
US20060207960A1 (en) | Screw-on closure for a recipient | |
JP6094078B2 (ja) | 口栓 | |
JP5085986B2 (ja) | ボトル容器 | |
JP4846526B2 (ja) | 合成樹脂製容器 | |
JP5965039B1 (ja) |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 |
JP4349698B2 (ja) |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 |
WO2007121430A2 (en) | Tamper-evident closure valve | |
TWI566998B (zh) | 附設開啟手段之容器 | |
US7677413B2 (en) | Pierceable dispenser container and closure | |
CN215923091U (zh) | 一种液体密封盖 | |
JP4342839B2 (ja) | 易開栓容器蓋 | |
JP5643136B2 (ja) | 容器蓋 | |
KR100985326B1 (ko) | 개봉 흔적이 남는 밀봉장치를 구비한 액체용기용 클로저 | |
JP4214435B2 (ja) | 分別回収可能なキャップ | |
JP2003291996A (ja) |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密封蓋体 | |
JPH0858818A (ja) | 開封明示機構を有するキャップ | |
JP3541483B2 (ja) | 液体注出用容器 | |
CN113650942A (zh) | 一种液体密封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