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319B1 -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 Google Patents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319B1
KR100997319B1 KR1020100006715A KR20100006715A KR100997319B1 KR 100997319 B1 KR100997319 B1 KR 100997319B1 KR 1020100006715 A KR1020100006715 A KR 1020100006715A KR 20100006715 A KR20100006715 A KR 20100006715A KR 100997319 B1 KR100997319 B1 KR 10099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ixing ring
container
container bod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시중
Original Assignee
권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시중 filed Critical 권시중
Priority to KR102010000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319B1/ko
Priority to JP2012549922A priority patent/JP2013517995A/ja
Priority to US13/574,094 priority patent/US8695822B2/en
Priority to CN201180004693.6A priority patent/CN102652098B/zh
Priority to PCT/KR2011/000001 priority patent/WO201109027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08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0Tamper-ring remaining connected to closure after initial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 개방상태에서 메인연결자 양측에 형성되는 서브연결자에 의하여 마개본체부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여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힌지부를 이루는 메인연결자 및 서브연결자의 내면이 마개의 내면과 동일면상에 형성되고 변곡부가 코어이탈이 용이하도록 만곡형태 또는 '<' 형으로 함몰형성됨으로써 마개 내측으로 힌지부로 인한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정링과 마개본체부의 수직연결 사출이 용이하여 불량발생을 줄이고, 종래기술에 비하여 하나의 마개 생산에 필요한 금형면적이 절반 이하로 줄어 금형의 생산성을 배가토록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둥이에 나사부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링, 용기 본체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마개본체부, 상기 고정링과 마개본체부를 연결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힌지부가 마개본체부와 고정링을 연결하는 메인연결자와 상기 메인연결자의 양측으로 메인연결자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는 서브연결자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연결자는 마개본체부 및 고정링과 연결되는 부분이 마개본체부 및 고정링과 동일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A CONTAINER WITH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본 발명은 마개 개방상태에서 메인연결자 양측에 형성되는 서브연결자에 의하여 마개본체부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여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힌지부를 이루는 메인연결자 및 서브연결자의 내면이 마개의 내면과 동일면상에 형성되고 변곡부가 코어이탈이 용이하도록 만곡형태 또는 '<' 형으로 함몰형성됨으로써 마개 내측으로 힌지부로 인한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정링과 마개본체부의 수직연결 사출이 용이하여 불량발생을 줄이고, 종래기술에 비하여 하나의 마개 생산에 필요한 금형면적이 절반 이하로 줄어 금형의 생산성을 배가토록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나 우유와 같은 식음료를 비롯하여 오일, 도료, 화학제품 등의 액상물질을 보관하는 용기는 주둥이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주둥이를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마개의 개폐착탈은 나사결합식 또는 원터치식으로 대별된다.
나사결합식 마개(130)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110)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마개가 용기로부터 완전 분리될 경우 오염 및 분실염려가 있으므로 용기(100) 개방시에도 마개가 용기 본체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개본체부(131) 하방에 용기 본체(1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가락지 형태의 고정링(133)이 구비되고 있다.
또한, 상기 마개본체부(131)와 고정링(133)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브릿지(135)로 연결되고 마개를 개봉하면 이 브릿지(135)가 절단되어 개봉 흔적을 남기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상기 고정링(133)이 용기 본체(110)에 대하여 공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마개본체부(131)는 고정링과 함께 공회전되고 내용물 토출시 자중에 의하여 마개본체부가 하향 위치되어 사용자의 입이나 턱에 걸려 불쾌감을 줄뿐만 아니라 거추장스럽고, 내용물이 마개에 묻는 등으로 불결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나사결합식 마개의 분실방지를 위한 구성으로 미국특허공보 05215205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300)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링(333)과 개폐자인 마개본체부(331)가 일 지점(335)에서 연결되고 고정링(333)에 절개선(334)이 형성되어 마개 개방시 절개선(334) 부분이 벌어지면서 마개본체부(331)를 용기 본체로부터 이탈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고정링(333)과 마개본체부(331)의 연결이 극히 짧은 일 지점(335)에서 불안정하게 연결되어 있어 사용 중 절단될 염려가 있는 한편, 개방후 마개본체부(331)가 고정링(333)에 불안정하게 매달려 자중을 따라 하방으로 쳐지거나 흔들거림으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나사결합식이 아닌 원터치식 마개(130A)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에 고착되는 고정링(133a)과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마개본체부(131a)가 힌지부(135a)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는 개폐시 유연한 탄성을 갖기 위하여 마개본체부(131a)와 고정링(133a)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힌지부(135a)가 마개 외주면에 맞추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마개본체부(131a)와 고정링(133a) 대비 두께차가 나는 힌지부(135a)가 마개의 최외측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마개의 내주면에는 힌지부에 해당되는 구간에 깊은 단턱부가 요입형성된다.
종래기술은 이와 같이, 상기 힌지부(135a)로 인하여 마개 내주면에 깊숙한 단턱부, 즉 언더컷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사출시 부득이 고정링(133a)과 마개본체부(131a)가 힌지부(135a)를 사이에 두고 펼쳐진 상태로 사출성형된다.
따라서, 하나의 마개를 생산하기 위한 금형의 면적이 2배 이상으로 넓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금형을 통하여 생산할 수 있는 마개의 갯수가 절반 이하로 떨어져 금형의 생산성을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링(133a)과 마개본체부(131a)가 펼친 상태로 사출되므로 용기 본체에 장착시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링(133a)과 마개본체부(131a)가 펼친 상태로 사출되므로 용기 개봉시 절단되어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 개방상태에서 메인연결자 양측에 형성되는 서브연결자에 의하여 마개본체부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여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힌지부를 이루는 메인연결자 및 서브연결자의 내면이 마개의 내면과 동일면상에 형성되고 변곡부가 코어이탈이 용이하도록 만곡형태 또는 '<' 형으로 함몰형성됨으로써 마개 내측으로 힌지부로 인한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정링과 마개본체부의 수직연결 사출이 용이하여 불량발생을 줄이고, 종래기술에 비하여 하나의 마개 생산에 필요한 금형면적이 절반 이하로 줄어 금형의 생산성을 배가토록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링이 용기 본체에 나사결합되어 마개본체부와 함께 나사산을 따라 회전승강되는 구성에서도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링의 이탈이 저지됨으로써 마개분실을 방지하며 홀더에 의하여 마개 개방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는
주둥이에 나사부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링, 용기 본체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마개본체부, 상기 고정링과 마개본체부를 연결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힌지부가 마개본체부와 고정링을 연결하는 메인연결자와 상기 메인연결자의 양측으로 메인연결자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는 서브연결자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연결자는 마개본체부 및 고정링과 연결되는 부분이 마개본체부 및 고정링과 동일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연결자는 높낮이상 중간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만곡형 또는 '<' 형태로 함몰되어 두께가 최소로 되는 변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연결자는 마개본체부 및 고정링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연결자와 서브연결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유연성 강화를 위한 변곡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연결자와 서브연결자는 마개본체부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링에는 힌지부 직하방을 중심으로 설정구간에 마개본체부에 대한 연결길이 연장을 위한 절개선이 수평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링과 마개본체부 사이에 마개 개방시 절단되는 브릿지가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링의 공회전 방지 및 용기 본체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 확장을 위한 날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링 내주면에 용기 본체의 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마개본체부와 고정링 사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록킹부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로부터 고정링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고정링의 내주면과 용기 본체의 나사부 상부에 상호 대응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마개의 잠금방향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래칫의 발톱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고정링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가 용기 본체의 스토퍼에 걸린 상태에서 마개의 자유후진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 또는 고정링 중 어느 일측의 스토퍼에 인접하여 타측 스토퍼를 임시로 잡아주는 홀더가 스토퍼에 비하여 낮게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주둥이에 나사부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링, 용기 본체를 개폐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마개본체부, 상기 고정링과 마개본체부를 연결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 내주면에 용기 본체에 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마개본체부와 고정링 사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록킹부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고정링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고정링의 내주면과 용기 본체의 나사부 상부에 상호 대응하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마개의 잠금방향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래칫의 발톱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링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가 용기 본체의 스토퍼에 걸린 상태에서 마개의 자유후진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 또는 고정링 중 어느 일측의 스토퍼에 인접하여 타측 스토퍼를 임시로 잡아주는 홀더가 스토퍼에 비하여 낮게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는 힌지부인 메인연결자 및 서브연결자의 내면이 마개의 내면과 동일면상에 형성되고 힌지부 주위 마개본체부와 고정링의 일부가 각각 빗면으로 함몰형성됨으로써 마개 개방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마개 내측으로 힌지부로 인한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정링과 마개본체부의 수직연결 사출이 용이하여 불량발생을 줄이고, 종래기술에 비하여 하나의 마개 생산에 필요한 금형면적이 절반 이하로 줄어 금형의 생산성을 배가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링이 용기 본체에 나사결합되어 마개본체부와 함께 나사산을 따라 회전승강되고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링의 이탈이 저지됨으로써 마개분실을 방지하며 홀더에 의하여 마개 개방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마개 개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개방상태 1단계도
도 7은 도 5의 개방상태 2단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개방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C-C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15는 종래기술의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가변상태도
도 17은 선행기술의 구성도
도 18은 종래의 원터치식 마개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1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둥이에 나사부(11)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링(33), 용기 본체(10)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부(311)가 형성된 마개본체부(31), 상기 고정링(33)과 마개본체부(31)를 연결하는 힌지부(35)가 구비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30)는 힌지부(35)가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을 연결하는 메인연결자(35a)와 상기 메인연결자(35a)의 양측으로 메인연결자(35a)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는 서브연결자(35b)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연결자(35a)는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과 연결되는 부분이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과 동일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연결자(35a)는 높낮이상 중간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만곡형 또는 '<' 형태로 함몰되어 최소두께로 되는 변곡부(351)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연결자(35b)는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연결자(35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함몰형성되고 외측이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의 외주면과 단차없이 평탄연장형성되거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이 함몰형성되며 함몰형태가 단차가 아닌 '<' 형 또는 만곡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요입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외측이 함몰형성될 경우에는 최소두께로 형성되는 변곡부(351)를 기준으로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의 외주면 일부가 각각 빗면(315)(335)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면(315)(335)은 마개 개방동작시 마개본체부와 고정링 간 간섭을 방지하며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에 각각 대략 반달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연결자(35b)는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의 외측에서 단차형성되어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개의 내측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메인연결자(35a)와 서브연결자(3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변곡부에 유연성 강화를 위한 변곡홈(35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곡홈(351a)은 내측에서는 요입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연결자(35a) 및 서브연결자(35b)는 마개본체부(31) 영역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링(33)에는 힌지부(35) 직하방을 중심으로 설정구간에 마개본체부(31)에 대한 연결길이 연장을 위한 절개선(37)이 수평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선(37)은 고정링(33)이 용기 본체의 걸림턱(13)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마개본체부(31)가 고정링(33)에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33)과 마개본체부(31) 사이에 마개 개방시 절단되는 브릿지(39)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개봉여부를 표시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링(33)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링의 공회전 방지 및 용기 본체(10)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 확장을 위한 날개(33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337)는 수평형, 경사형 등 다양하게 형성되며,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고정링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개방된 마개본체부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한편, 용기 본체와 고정링 간 끼워맞춤 공차범위를 넓게 하여 규격 차이가 나는 용기 본체에 대한 마개의 범용성을 넓혀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A)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일 실시예(1A)의 힌지부(35)는 메인연결자(35a)가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을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고, 메인연결자(35a)의 양쪽에 상기 서브연결자(35b)가 구비됨으로써 마개 개방시 메인연결자의 양측에서 마개본체부를 탄력적으로 당김지지하여 개방상태 마개본체부(31)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개방자세를 유지토록 한다.
즉, 마개본체부(3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 사이 거리가 메인연결자(35a)에 비하여 그 양측에 위치하는 서브연결자(35b)가 멀게 형성되며, 메인연결자와 동일 길이로 형성되고 폭은 좁게 형성되어 유연성이 강한 서브연결자(35b)에 당김력이 발생되어 마개본체부(31)의 개방상태를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연결자(35a)가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과 연결되는 부분이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과 단차가 지지 않는 동일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고 변곡부(351)가 높낮이 상 중간부에 만곡형 또는 '<' 형태로 함몰형성됨으로써 코어의 이탈이 용이하여 사출 냉각경화 후 코어 이탈시 수지재의 탄성으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함몰형성이 마개 외측에 형성될 경우(도 7 내지 도 9 참조)에는 사출성형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서브연결자(35b)는 마개의 외측에서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과 단차형성되어 얇게 되므로 내부 언더컷 발생을 방지하며, 설령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될 경우에도 메인연결자와는 달리 폭 대비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유연성이 커서 사출시 냉각경화 후에는 코어 이탈에 따른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A)는 이와 같이, 힌지부(35)로 인하여 마개 내부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코어 이탈이 용이하여 고정링(33)과 마개본체부(31)를 용기본체에 체결되는 수직상 연결상태로 사출성형이 용이하고 불량발생을 줄이며, 언더컷부로 인하여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을 수평으로 펼친 상태로 사출성형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하나의 마개 생산에 필요한 금형면적이 절반 이하로 줄어 금형의 생산성을 배가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도록 힌지부의 메인연결자(35a) 및 서브연결자(35b)의 내면이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의 내면과 동일면상에 형성할 경우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의 힌지부 외측이 빗면(315)(335)으로 되어 외측이 단면상 '<' 형태로 함몰형성됨에 따라 마개 개방시 상호 간섭을 방지하여 마개 개방이 원활하고 개방자세가 안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B)로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33) 내주면에 용기 본체(10)의 나사부(11)에 대응하는 나사부(33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35)에 대향하는 위치의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 사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록킹부(313)(333)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10)로부터 고정링(33)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고정링(33)의 내주면과 용기 본체의 나사부(11) 상부에 상호 대응하는 스토퍼(12)(33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2)(332)는 마개의 잠금방향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래칫의 발톱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33)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332)가 용기 본체의 스토퍼(12)에 걸린 상태에서 마개의 자유후진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10) 또는 고정링(33) 중 어느 일측의 스토퍼에 인접하여 타측 스토퍼를 임시로 잡아주는 홀더(15)가 스토퍼(12)에 비하여 낮게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15)는 스토퍼(12)와 함께 타측 스토퍼가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마개의 개폐 회전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스토퍼에 비하여 돌출이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마개 개폐시 고정링(33)이 마개본체부(31)가 요철록킹부(313(333)에 상호 결합된 상태로 함께 나사산을 따라 회전승강되고, 상기 스토퍼(12)(332)에 의하여 이탈이 저지되며 마개 개방시 이탈회전방향으로는 이동이 막힌 마개가 자중에 의하여 후방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을 상기 홀더가 방지한다.
그리고, 마개를 잠그는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스토퍼(332)가 홀더(15)를 가볍게 넘어가게 되어 마개의 개폐회전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고정링으로부터 마개본체부를 분리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마개본체부에 손잡이부(31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주둥이에 나사부(11)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링(33), 용기 본체(10)를 개폐하며 내주면에 나사부(311)가 형성된 마개본체부(31), 상기 고정링(33)과 마개본체부(31)를 연결하는 힌지부(35)가 구비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3) 내주면에 용기 본체에 나합되는 나사부(33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35)에 대향하는 위치의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 사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록킹부(313)(333)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10)로부터 상기 고정링(33)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고정링(33)의 내주면과 용기 본체의 나사부(11) 상부에 상호 대응하는 스토퍼(12)(33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2)(332)는 마개의 잠금방향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래칫의 발톱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링(33)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332)가 용기 본체의 스토퍼(12)에 걸린 상태에서 마개의 자유후진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10) 또는 고정링(33) 중 어느 일측의 스토퍼에 인접하여 타측 스토퍼를 임시로 잡아주는 홀더(15)가 스토퍼(12)에 비하여 낮게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힌지부(35)의 구성을 제외하고, 마개본체부(31)의 개폐에 따른 상기 고정링(33)의 승강 및 스토퍼(12)(332)와 홀더(15)의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1B)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1C)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33)의 하방에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13)에 걸려 상향 이동이 저지되는 서브고정링(3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33)과 서브고정링(36) 사이에 마개 개방시 절단되는 브릿지(39)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고정링(33)이 승강되는 구성에서도 마개의 개봉여부 표시기능을 갖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는 힌지부가 메인연결자의 양쪽에 서브연결자가 구비됨으로써 마개 개방시 메인연결자의 양측에서 마개본체부를 탄력적으로 당김 지지하여 개방상태 마개본체부)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개방자세를 안정적 유지하고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힌지부를 이루는 메인연결자 및 서브연결자의 내면이 마개의 내면과 동일면상에 형성되고 변곡부가 코어이탈이 용이하도록 만곡형태 또는 '<' 형으로 함몰형성됨으로써 마개 내측으로 힌지부로 인하여 요입단차 및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고정링과 마개본체부를 수직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사출이 용이하여 불량발생을 줄이고, 종래기술에 비하여 하나의 마개 생산에 필요한 금형면적이 절반 이하로 줄어 사출 생산성을 배가시킨다.
또한, 고정링이 용기 본체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링이 마개본체부와 함께 나사산을 따라 회전승강되는 구성에서도, 스토퍼에 의하여 고정링의 이탈이 저지됨으로써 마개분실을 방지하며 홀더의 추가구성에 의하여 마개 개방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본 발명의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10: 용기 본체 11: 나사부 12: 스토퍼
13: 걸림턱 15: 홀더 30: 마개
31: 마개본체부 311: 나사부 313, 333: 요철록킹부
315, 335: 빗면 33: 고정링 331: 나사부
332: 스토퍼 35: 힌지부 35a: 메인연결자
35b: 서브연결자 351: 변곡부 351a: 변곡홈
36: 서브고정링 37: 절개선 39: 브릿지

Claims (10)

  1. 삭제
  2. 주둥이에 나사부(11)가 구비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링(33), 용기 본체(10)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부(311)가 형성된 마개본체부(31), 상기 고정링(33)과 마개본체부(31)를 연결하는 힌지부(35)가 구비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30)는 힌지부(35)가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을 연결하는 메인연결자(35a)와 상기 메인연결자(35a)의 양측으로 메인연결자(35a)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는 서브연결자(35b)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연결자(35a)는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과 연결되는 부분이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과 동일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연결자(35a)는 높낮이상 중간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만곡형 또는 '<' 형태로 함몰되어 두께가 최소로 되는 변곡부(351)가 형성되고,
    상기 서브연결자(35b)는 마개본체부(31) 및 고정링(33)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연결자(35a)와 서브연결자(35b)는 마개본체부(31)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3)에는 힌지부(35) 직하방을 중심으로 고정링(33)이 용기 본체의 걸림턱(13)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마개본체부(31)가 고정링(33)에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간에 마개본체부(31)에 대한 연결길이 연장을 위한 절개선(37)이 수평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3)과 마개본체부(31) 사이에 마개 개방시 절단되는 브릿지(39)가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3)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링의 공회전 방지 및 용기 본체(10)에 대한 끼워맞춤 공차 확장을 위한 날개(33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3) 내주면에 용기 본체(10)의 나사부(11)에 대응하는 나사부(33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35)에 대향하는 위치의 마개본체부(31)와 고정링(33) 사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록킹부(313)(333)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10)로부터 고정링(33)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고정링(33)의 내주면과 용기 본체의 나사부(11) 상부에 상호 대응하는 스토퍼(12)(33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2)(332)는 마개의 잠금방향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래칫의 발톱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고정링(33)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332)가 용기 본체의 스토퍼(12)에 걸린 상태에서 마개의 자유후진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10) 또는 고정링(33) 중 어느 일측의 스토퍼에 인접하여 타측 스토퍼를 임시로 잡아주는 홀더(15)가 스토퍼(12)에 비하여 낮게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33)의 하방에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13)에 걸려 상향 이동이 저지되는 서브고정링(3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33)과 서브고정링(36) 사이에 마개 개방시 절단되는 브릿지(39)가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KR1020100006715A 2010-01-25 2010-01-25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KR10099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715A KR100997319B1 (ko) 2010-01-25 2010-01-25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JP2012549922A JP2013517995A (ja) 2010-01-25 2011-01-01 栓紛失および空回転防止容器
US13/574,094 US8695822B2 (en) 2010-01-25 2011-01-01 Container for preventing loss of stopper and idle rotation thereof
CN201180004693.6A CN102652098B (zh) 2010-01-25 2011-01-01 防止瓶盖丢失或空转的容器
PCT/KR2011/000001 WO2011090278A2 (ko) 2010-01-25 2011-01-01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715A KR100997319B1 (ko) 2010-01-25 2010-01-25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319B1 true KR100997319B1 (ko) 2010-11-29

Family

ID=4341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715A KR100997319B1 (ko) 2010-01-25 2010-01-25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3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305A1 (ko) * 2015-05-11 2016-11-17 성보연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101744846B1 (ko) * 2016-11-14 2017-06-08 양복주 다목적 친환경캡
WO2019177616A1 (en) * 2018-03-15 2019-09-19 Bericap Inc. Tethered container closure
KR20210017415A (ko) * 2019-08-08 2021-02-17 양복주 사용성이 향상된 친환경 병뚜껑
CH716939A1 (de) * 2019-12-13 2021-06-1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Behälterverschluss und Behälter.
CN114641436A (zh) * 2019-10-14 2022-06-17 萨克米伊莫拉机械合作社合作公司 用于容器的盖子
EP4026785A1 (fr) * 2021-01-12 2022-07-13 Betapack, S.A.U. Dispositif de bouchage comprenant un bouchon articulé sur une b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416A (ja) * 2006-10-10 2008-04-24 Fancl Corp ボトル容器
KR100882255B1 (ko) * 2007-11-02 2009-02-09 (주)베스트이지캡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4416A (ja) * 2006-10-10 2008-04-24 Fancl Corp ボトル容器
KR100882255B1 (ko) * 2007-11-02 2009-02-09 (주)베스트이지캡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305A1 (ko) * 2015-05-11 2016-11-17 성보연 분실 및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101744846B1 (ko) * 2016-11-14 2017-06-08 양복주 다목적 친환경캡
WO2018088723A1 (ko) * 2016-11-14 2018-05-17 양복주 다목적 친환경캡
WO2019177616A1 (en) * 2018-03-15 2019-09-19 Bericap Inc. Tethered container closure
KR20210017415A (ko) * 2019-08-08 2021-02-17 양복주 사용성이 향상된 친환경 병뚜껑
KR102258555B1 (ko) 2019-08-08 2021-05-28 양복주 사용성이 향상된 친환경 병뚜껑
CN114641436A (zh) * 2019-10-14 2022-06-17 萨克米伊莫拉机械合作社合作公司 用于容器的盖子
CH716939A1 (de) * 2019-12-13 2021-06-1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Behälterverschluss und Behälter.
EP4026785A1 (fr) * 2021-01-12 2022-07-13 Betapack, S.A.U. Dispositif de bouchage comprenant un bouchon articulé sur une base
WO2022152645A1 (fr) * 2021-01-12 2022-07-21 Betapack, S.A.U. Dispositif de bouchage comprenant un bouchon articulé sur une 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319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US8695822B2 (en) Container for preventing loss of stopper and idle rotation thereof
KR100981240B1 (ko) 공회전 방지 버팀대가 구비된 포장용기 마개
US4666068A (en) Two piece dispensing closure
EP2137078B1 (en) Dispensing closure with latch back
US6405885B1 (en) Locking tamper-evident dispensing closure
AU2002246339B2 (en) Screw cap of synthetic resin
JPH10338253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5341729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4906041B2 (ja) ヒンジ開閉式樹脂製キャップ
GB2166123A (en) A two-piece dispensing closure
JP2003160162A (ja) キャップ
CA2630695A1 (en) Dispensing package having non-removable and non-rotatable dispensing closure
US7556162B2 (en) Method for providing a hinged guarantee closure, a hinged guarantee closure and container with a hinged guarantee closure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JP5965039B1 (ja)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US20190337683A1 (en) Storage jar
JP5590913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5144068B2 (ja) ヒンジキャプ付容器
KR101804672B1 (ko)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804673B1 (ko)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4949004B2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バンド付きキャップ
JPH1135061A (ja) ヒンジキャップ
JP7062538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9172289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