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131B1 - 음용 용기용 컵 - Google Patents

음용 용기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131B1
KR101004131B1 KR1020080075646A KR20080075646A KR101004131B1 KR 101004131 B1 KR101004131 B1 KR 101004131B1 KR 1020080075646 A KR1020080075646 A KR 1020080075646A KR 20080075646 A KR20080075646 A KR 20080075646A KR 101004131 B1 KR101004131 B1 KR 10100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drinking
container
drin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904A (ko
Inventor
전찬복
Original Assignee
전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찬복 filed Critical 전찬복
Priority to KR102008007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1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외주에 요홈 및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한 음용 용기에 장착되는 음용 용기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용물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음용물을 수령하는 컵 본체와; 상기 뚜껑의 요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컵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컵 본체를 상기 뚜껑에 착탈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음용 용기의 뚜껑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음용물을 먹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용 용기용 컵{CUP FOR DRINKING VESSEL}
본 발명은, 음용 용기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 용기의 뚜껑에 장착되는 음용 용기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 용기는 청량음료나 생수 등의 각종 음용물을 저장 보관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음용 용기는 내부에 일정 체적의 수용 공간을 가지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음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를 가진다.
용기 본체의 토출구의 외주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구에는 내주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뚜껑이 결합되며, 이에 토출구는 뚜껑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된다.
또한, 뚜껑의 외주에는 뚜껑의 개방 및 폐쇄시 음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음용물을 저장 보관하고, 필요에 의해 음용자가 토출구에 결합된 뚜껑을 열어 음용 용기의 토출구에 입을 대고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용물을 자유롭게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음용자가 음용 용기의 음용물을 먹을 때, 음용물을 한 번에 먹지 못하고 장시간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먹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음용 용기의 음용물을 장시간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먹는 경우, 음용시 음용자의 침이 남은 음용물과 함께 음용 용기 내로 유입되어, 침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음용 용기에 수용된 음용물에서 번식하여 음용물의 산화 및 오염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원래의 맛이 변질되어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용 용기의 음용물의 섭취시 컵의 사용이 요구되며, 이에 컵을 이용하여 음용물을 먹기 위해서는 컵을 항상 휴대하여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음용 용기의 뚜껑에 장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음용물을 먹을 수 있는 음용 용기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음용 용기의 뚜껑의 크기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는 음용 용기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음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외주에 요홈 및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한 음용 용기에 장착되는 음용 용기용 컵에 있어서, 상기 음용물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음용물을 수령하는 컵 본체와; 상기 뚜껑의 요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컵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컵 본체를 상기 뚜껑에 착탈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용 컵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컵 본체의 내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요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컵 본체의 내주에 함몰되어, 상기 뚜껑의 돌기에 결합되는 걸림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컵 본체의 내주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착탈부는 상기 출입구를 향할수록 상호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컵 본체의 내주는 상기 출입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컵 본체를 음용 용기의 뚜껑의 크기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컵 본체의 내주에는 단을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대하며 상기 뚜껑을 수용하는 복수의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단차부에는 상기 착탈부를 형성함으로써, 컵 본체를 음용 용기의 뚜껑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음용 용기의 뚜껑에 장착하여 간 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음용물을 먹을 수 있다. 또한, 음용 용기의 뚜껑의 크기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적인 음용 용기의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뚜껑(21)을 가진다.
용기 본체(11)는 내부에 음용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진다.
용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음용물이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구의 외주에는 뚜껑(21)이 나사 결합된다.
뚜껑(21)은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원형단면의 통형상을 가지며, 뚜껑(21)은 용기 본체(11)의 토출구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뚜껑(21)은 토출구에 나사 결합 및 나사 결합해제하며 토출구에 착탈되어, 토출구를 폐쇄 및 개방한다.
뚜껑(21)의 외주에는 뚜껑(21)의 외주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요홈(25, 도 3참조)과 복수의 돌기(27, 도 3참조)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홈(25)과 돌기(27)는 뚜껑(21)의 개방 및 폐쇄시 음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음용 용기(10)의 뚜껑(2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컵(30)이 착탈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은, 음용물을 수령하는 컵 본체(31)와, 컵 본체(31)를 뚜껑(21)에 착탈하는 착탈부를 가진다.
컵 본체(31)는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진다. 컵 본체(31)는 음용물을 수령하는 일정 체적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수용 공간으로 음용물이 출입하는 출입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컵 본체(31)는 원형단면의 통형상을 가지며, 컵 본체(31)의 내주는 출입구(33)를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형상, 즉 출입구(33)를 향할수록 컵 본체(31)의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컵 본체(31)의 내주에는 뚜껑(21)의 요홈(25) 및 돌기(27)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컵 본체(31)를 뚜껑(21)에 착탈하는 착탈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부로서 컵 본체(31)의 내주에 방사상으로 4개의 걸림턱(41)이 마련되어 있다. 각 걸림턱(41)은 뚜껑(21)의 요홈(25)에 결합되도록 컵 본체(31)의 내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턱(41)은 등각도를 이루며, 컵 본체(31)의 내주 바닥 영역으로부터 출입구(33)를 향해 일직선을 이루며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각 걸림턱(41)은 출입구(33)를 향할수록 상호 이격 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걸림턱(41)의 수량은 4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걸림턱(41)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착탈부로서 뚜껑(21)의 요홈(25)에 결합되는 걸림턱(41) 대신에 뚜껑(21)의 돌기(27)에 결합되는 걸림홈을 컵 본체(31)의 내주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의 내주에 형성된 걸림턱(41)이 뚜껑(21)의 외주에 형성된 요홈(25)에 경사를 이루며 부분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음용 용기용 컵(30)은 용기 본체(11)의 상부 일 영역을 둘러싸며 뚜껑(21)에 장착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이 도 2의 뚜껑(21)보다 상대적으로 큰 뚜껑(21')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은 컵 본체(31)의 내주가 출입구(33)를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뚜껑(21,21')의 크기(외경)가 증대함에 따라 컵(30)의 내주에 장착되는 뚜껑(21,21')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즉, 뚜껑(21,21')의 크기가 클수록 뚜껑(21,21')의 상단부와 컵(30)의 내주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은 뚜껑(21,21')의 크기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으며, 음용물의 섭취시 토출구에 입을 대지 않고 컵(30)을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음용물을 따라 먹을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컵 본체(31')의 내주에 단을 형성하며, 출입구(33)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대하며 뚜껑(21,21')을 수용하는 복수의 단차부(37a,37b,37c)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다른 크기를 외경을 갖는 뚜껑에 대응하여 3개의 다른 내경을 갖는 단차부(37a,37b,37c)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컵 본체의 바닥면에 인접한 단차부를 제1단차부(37a)라 하고, 컵 본체(31')의 출입구(33)에 인접한 단차부를 제3단차부(37c)라 하며, 제1단차부(37a)와 제3단차부(37c) 사이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제2단차부(37b)라고 한다.
각 단차부(37a,37b,37c)는 동심을 이루며, 출입구(33)를 향할수록 내경이 증대하는, 즉 각 단차부(37a,37b,37c)의 단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각 단차부(37a,37b,37c)의 내주에는 뚜껑(21,21')의 외주에 형성된 요홈(25)에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걸림턱(41)이 등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턱(41)은 출입구(33)를 향해 일직선을 이루며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턱(41)의 수량은 4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걸림턱(41)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착탈부로서 뚜껑(21,21')의 요홈(25)에 결합되는 걸림턱(41) 대신에 뚜껑(21,21')의 돌기(27)에 결합되는 걸림홈을 각 단차부(37a,37b,37c)의 내주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의 제1단차부(37a)에 형성된 걸림턱(41)이 뚜껑(21)의 외주 에 형성된 요홈(25)을 따라 끼움 결합되어, 음용 용기용 컵(30')은 용기 본체(11)의 상부 일 영역을 둘러싸며 뚜껑(21)에 장착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이 도 6의 뚜껑(21)보다 상대적으로 큰 뚜껑(21')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은 뚜껑(21')의 크기(외경)에 대응하여, 제3단차부(37c)에 형성된 걸림턱(41)이 뚜껑(21')의 외주에 형성된 요홈(25)을 따라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30')은 음용 용기(10,10')의 다양한 뚜껑(21,21')의 크기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컵 본체 및 뚜껑이 원형 단면의 기둥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컵 본체 및 뚜껑은 다각형 단면의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용 용기용 컵이 일 실시예의 음용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음용 용기용 컵이 다른 실시예의 음용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용 용기용 컵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음용 용기용 컵이 일 실시예의 음용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음용 용기용 컵이 다른 실시예의 음용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음용 용기 11 : 용기 본체
21,21' : 뚜껑 25 : 요홈
27 : 돌기 30,30' : 음용 용기용 컵
31,31' : 컵 본체 33 : 출입구
37a,37b,37c : 단차부 41 : 걸림턱

Claims (6)

  1. 음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외주에 요홈 및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한 음용 용기에 장착되는 음용 용기용 컵에 있어서,
    상기 음용물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음용물을 수령하는 컵 본체와;
    상기 뚜껑의 요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컵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컵 본체를 상기 뚜껑에 착탈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컵 본체의 내주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착탈부는 상기 출입구를 향할수록 상호 이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컵 본체의 내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뚜껑의 요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용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컵 본체의 내주에 함몰되어, 상기 뚜껑의 돌기에 결합되는 걸림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용 컵.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의 내주는 상기 출입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용 컵.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의 내주에는 단을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증대하며 상기 뚜껑을 수용하는 복수의 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단차부에는 상기 착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용 컵.
KR1020080075646A 2008-08-01 2008-08-01 음용 용기용 컵 KR10100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646A KR101004131B1 (ko) 2008-08-01 2008-08-01 음용 용기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646A KR101004131B1 (ko) 2008-08-01 2008-08-01 음용 용기용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904A KR20100013904A (ko) 2010-02-10
KR101004131B1 true KR101004131B1 (ko) 2010-12-27

Family

ID=4208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646A KR101004131B1 (ko) 2008-08-01 2008-08-01 음용 용기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35Y1 (ko) * 2014-06-20 2014-10-27 김규원 다용도 컵 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638A (ja) 1999-12-27 2001-07-03 Idea Collection:Kk コップ付きペットボト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638A (ja) 1999-12-27 2001-07-03 Idea Collection:Kk コップ付きペットボト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35Y1 (ko) * 2014-06-20 2014-10-27 김규원 다용도 컵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904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7142B1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US9248423B2 (en) Hand-holdable mixing container
ES2926910T3 (es) Accesorio para un recipiente flexible
US8393490B2 (en) Product container strainer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US10556724B2 (en) Container
US11278137B2 (en) Glass decanter and protective shell
JP2009505920A (ja) 液漏れ防止閉蓋具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US20130092693A1 (en) Multi-piece container
KR101004131B1 (ko) 음용 용기용 컵
US9624006B2 (en) Universal non-spill bottle cap
KR20190091840A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JP2009530190A (ja) 飲料パッケージ容器
JP4866249B2 (ja) 飲料パッキング・ユニット
KR20100017099A (ko) 파지가 용이한 병
KR200480321Y1 (ko) 혼합용 용기
KR101894158B1 (ko) 병의 속마개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JP2001171640A (ja) 飲料用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A2718380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GB2444106A (en) Ice bucket with inner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