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822B1 -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822B1
KR101125822B1 KR1020090030288A KR20090030288A KR101125822B1 KR 101125822 B1 KR101125822 B1 KR 101125822B1 KR 1020090030288 A KR1020090030288 A KR 1020090030288A KR 20090030288 A KR20090030288 A KR 20090030288A KR 101125822 B1 KR101125822 B1 KR 10112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synthetic resin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869A (ko
Inventor
민응식
Original Assignee
민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응식 filed Critical 민응식
Priority to KR102009003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8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용기, 중간부용기, 하부용기로 각각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음료를 담아 보관 저장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처음에는 상부와 중부 및 하부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용기들이 상하로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음료 용기에 관한 형태를 유지하여 내부에 음료수를 담아 보관 저장하는 음료수 용기로서 이용되나, 내부에 담긴 음료가 모두 소비된 후에는 상기 음료 용기를 각각 상부용기와 중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각각 분리하여 그 형태적 특징에 따라 각각 깔때기, 미니화분, 필기구꽂이로 독립적으로 재활용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용기를 사용하면 기존의 PET 용기의 재활용에 드는 에너지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합성수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PET 음료수용기, 재활용, 깔때기, 미니화분, 필기구꽂이

Description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MULTIPURPOSAL PLASTIC BOTTLE FOR BEVERAGE}
본 발명은 상부용기, 중간부용기, 하부용기로 각각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음료를 담아 보관 저장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처음에는 상부와 중부 및 하부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용기들이 상하로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음료 용기에 관한 형태를 유지하여 내부에 음료수를 담아 보관 저장하는 음료수 용기로서 이용되나, 내부에 담긴 음료가 모두 소비된 후에는 상기 음료 용기를 각각 상부용기와 중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각각 분리하여 그 형태적 특징에 따라 각각 깔때기, 미니화분, 필기구꽂이로 독립적으로 재활용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료수용 PET용기는 일체형으로 되어있어서 음료를 다 마신 후 용기를 버릴 때에는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발로 밟거나 큰 비닐봉지에 넣어서 버려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 아니라 쓰레기를 분리수거하는 경우라도 폐기물의 보관장소가 협소한 경우에는 그 부피로 인하여 장시간 보관 저장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PET 용기는 한 번 쓰고 난 후에 재활용하려면 폐기된 PET용기를 수거하여 이를 용해시킨 후 다시 펠릿화 하여야 하는 등 에너지 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이 잘 수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대로 합성수지 용기에 의한 환경오염의 발생이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다 쓴 PET용기를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일반적으로는 가정에서 물병으로 많이 사용하였는데, 물병으로 1~2회 정도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계속하여 폐 PET병을 물병으로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가 작아서 용기의 내부에 침전되거나 들러 붙어있는 찌꺼기들을 세척하기가 어려워 용기 내부에 담겨지는 음료를 생물학적으로 오염시키는 미생물의 번식원인이 되었다는 점에서 물병으로서 수회 재활용하여 사용하기가 위생상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7597호에서는 상부와 중부 및 하부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각각의 용기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삼단 패트병을 제안한 바 있으나, 이는 각각의 용기마다 독립적인 음료수 용기로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결국에는 다 쓰고 난 후엔 기존의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방식을 통해 재생을 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기존의 재활용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 쓴 PET용기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66502호에서는 상하분리된 PET병을 제안한 바 있으나, 각 부분별 특징에 따라 재활용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상부와 하부로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나사결합의 견고함을 위해 별도로 밴드를 결합부위의 둘레에 둘러야 하는 등 제작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재활용 도 측면에서도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그 한계점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수용 용기로 사용할 때에는 각 부분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일체형으로 기존의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로서의 역할을 하나 일단 내부에 담겨진 음료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각 부분용기별 형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각각 깔때기, 미니화분, 필기구꽂이 등으로 다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각 부분용기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기존의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밴드나 고정구가 필요 없이 각 부분별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되 음료를 모두 소비한 후에 각 부분별 용기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비트는 힘만으로도 쉽게 각 부분별로 용이하게 분리가 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는, 상부에는 상단에 음료토출구를 가진 음료토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 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결합돌출부를 가지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형태의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의 아래에 결합되며, 상단부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상부결합돌출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측벽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다수 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부를 향하여 중심부가 솟아 있는 돔형 구조로서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천공으로 형성된 바닥면분리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바닥면이 있고,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 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결합돌출부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의 중간부용기; 및 상기 중간부용기의 아래에 결합되며, 상단부 둘레를 따라서 상기 중간부결합돌출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되어 있는 상부가 개구된 통 구조의 하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료토출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원뿔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부용기를 나중에 깔때기로 재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음료토출부를 통해 액체가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깔때기로서의 성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음료용 용기로 활용할 때에는 음료토출부 및 음료토출구를 통해 음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함께 담당한다. 한편, 상기 음료토출부의 하부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차후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캡부가 나사결합되도록 할 때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 3부분으로 나눠진 부분용기를 결합시켜 일체로 음료용기로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최초에는 음료를 용기 내부에 담아 음료용 용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음료용 용기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음료를 모두 소비한 경우에는 각각의 용기바다 분리하여 각기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용기들은 모두 나사결합구조에 의해 쉽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는 상기 중간부용기바닥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천공으로 형성된 바닥면분리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면분리라인은 상기 바닥면이 필요가 없는 때에 바닥면을 쉽게 제거하여 분리해내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는 상기 상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된 중간부용기의 상단부 및 상기 중간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된 하부용기의 상단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결합돌출부 및 중간부결합돌출부의 두께의 1.5~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두께의 제한은 각 용기마다 나사결합을 하는 부분의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중간부용기와 하부용기의 각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의해 생성된 측벽이 상기 상부결합돌출부와 중간부결합돌출부의 두께보다 얇은 경우에는 측벽이 깨지거나 손상되어 나사결합이 쉽게 해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중단부용기 및 하부용기의 상단부의 두께가 상기 상부결합돌출부 및 중간부결합돌출부의 두께의 3배이상이 되면 특정부분의 두께만 두껍게 하는 용기의 제작이 어렵고 내부에 담겨진 음료수의 흐름에 걸림이 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한편, 각 용기끼리 나사결합을 했을 때 내부에 담겨진 음료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결합돌출부와 상부용기결합홈 사이 및 상기 중간부결합돌출부와 중간부용기결합홈 사이에 끼워져 각 용기가 밀폐되도록 결합시키는 환형의 밀폐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링은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상부용기와 중간부용기의 결합부 및 중간부용기와 하부용기의 결합부분에 각각 추가적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는,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핀을 끼워 고정시키는 핀고리가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고정판과 상기 손잡이 고정판의 핀고리에 끼워져 고정되어 일정한 각도마다 걸리면서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각도마다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손잡이 몸체로 구성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부용기를 깔때기로 사용하는 경우에 깔때기를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2로서, 상부용기가 음료용 용기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손잡이의 타측을 바닥을 향하도록 한 후에 최대한 용기에 붙여서 유통시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상부용기를 분리하여 뒤집어서 깔때기로 활용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의 타측을 상하로 회동시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회동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가 쉽게 상하로 회동되지 않고 손잡이를 일정한 각도로 상하로 회동시켜 각도를 조정한 후에는 그 조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각도마다 상부용기의 외측면에 걸려 걸림턱 역할을 하는 걸림돌기가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는, 상기 음료토출부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캡나사산이 하부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토출부를 덮을 수 있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캡 구조의 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부는 음료토출구를 통해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상부용기에 음료토출부를 덮으며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는, 음료수용 용기로 사용할 때에는 각 부분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일체형으로 기존의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로서의 역할을 하나, 일단 내부에 담겨진 음료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각 부분용기별 형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각각 깔때기, 미니화분, 필기구꽂이 등으로 다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폐합성수지의 경제적인 재활용을 통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수용 합성수지용기는 각 부분별로 용기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기존의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 부분용기로 쉽게 분리되지 않으나, 일단 음료를 다 소비한 후에는 각 부분용기를 결합하고 있는 부분을 비틀어 나사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각 부분별로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각각의 용도로 재활용이 간편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옹 합성수지용기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는 상부용기(100)와 중간부용기(200) 및 하부용기(300)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용기는 모두 순차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일체적으로 나사결합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음료수 용기용 합성수지용기와 마찬가지로 PET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음료수용기로 사용 후에 각 부분별로 깔때기, 미니화분 및 필기구꽂이 등으로 재활용시 각각의 용기 부분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강도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상기 합성수지재질의 두께는 통상적인 PET 음료용기의 두께보다 두꺼운 0.5~1㎜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용기(100)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한 음료토출구(115)가 상단부에 생성되어 있는 음료토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음료토출부(110)의 상단에는 음료토출구(115)가 생성되어 있는데 상기 음료토출부(11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원뿔대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깔때기로 사용할 때 충분히 용기안에 든 내용물이 상기 음료토출구(115)를 향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용기의 하부는 개구되어 있는데, 상부용기의 하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 이상에 각각 제1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결합돌출부(120)가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나사산(121)은 상기 상부용기결합돌출부의 내외측면의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 모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용기(200)는 상기 상부용기(100)의 아래에 결합되는데, 중간부용 기(200)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그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상부용기결합돌출부(120)가 대응되어 끼워진 후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용기결합돌출부(120)의 내외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제1나사산(121)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211)이 홈을 이루는 측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결합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용기결합돌출부(120)은 상기 상부용기결합홈(210)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용기결합홈(210)을 이루는 측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나사산(211)과 대응하여 제1나사산(121)이 나사결합되면서 단단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중간부용기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닥면통공(235)이 형성된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이 중심이 상부를 향하여 솟아오른 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하부용기(300)에 내장되었던 음료가 완전히 중간부용기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용기를 거꾸로 들었을 때 액체가 중심부로 몰려들도록 하여 완전히 바닥면통공(235)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 개의 천공라인으로 형성된 바닥면분리라인(231)이 형성되어 필요한 때에는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을 언제든지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중간부용기(200)의 하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하부용기(300)와의 결합을 위한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가 아래로 돌출되어 생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에도 역시 상기 상부용기결합돌출부와 마찬가지로 제3나사산(221)이 상기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의 내외측면 어느 일측면 이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3나사산(221)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는 하부용기(3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결합홈(310)을 구성하고 있는 측벽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4나사산(311)과 나사결합을 통해 중간부용기(200)와 하부용기(300)를 강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부용기(300)는 상기 중간부용기(200)의 아래에 일체적으로 나사결합되는데, 하부용기(300)은 상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통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중간부용기의 하단부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상기 중간부용기의 중간부용기바닥면(230)에는 하부용기(300)에 내장되는 음료수가 상부용기의 음료토출구(115)를 통해 원활하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음료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다수 개의 바닥면통공(235)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상기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은 중간부용기를 미니화분으로 재활용시에 용기에 담은 흙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도 화분에 공급된 물이 외부로 잘 유출되도록 하는 배수구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화분에 심는 식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상기와 같은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이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거나 다른 형태를 가지는 바닥면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부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며 일 체형으로 구성된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을 분리 제거하기 쉽도록 상기 중간부용기바닥면에는 바닥면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상기 중간부용기바닥면(220)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작은 천공라인으로 형성된 바닥면분리라인(231)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면분리라인(231)은 사용자가 조금만 위에서 밑으로 힘을 주어 밀거나 외부에서 상기 중간부 용기의 바닥면에 충격을 가하면 상기 바닥 면분리라인(231) 중에 부분적으로 접합된 부분이 떨어지면서 상기 중간부용기바닥면(230)과 분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면에는 손잡이(500)가 달려 있어서, 깔때기로 사용할 때 편의성이 증가되며, 상기 음료토출부(110)는 사람이 직접 입을 대서 마시는 부분이기 때문에 청결과 위생을 위해 캡부(600)가 상기 음료토출부(110)을 완전히 덮은 후에 상기 음료토출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캡부결합나사산(111)에 대응되어 나사결합을 시키기 위하여 캡부나사산(611)을 캡부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손잡이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부용기(100)를 깔때기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손잡이(500)를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 외주면에 부착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상부용기(10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핀을 끼워 고정시키는 핀고리(535)가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고정판(530)과 상기 손잡이 고정판의 핀고리(535)에 끼워져 고정되어 일정한 각도마다 걸리면서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각도마다 걸림돌기(511)가 돌출되어 형성된 회동축(510)과 상기 회동축(510)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손잡이몸체(52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결합단면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부용기(100)의 하단부에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용기결합돌출부(120)는 중간부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용기결합돌출부(120)에 대응되어 나 사결합되는 상부용기결합홈(210)에 삽입된 후 나사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원리는 중간부용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가 하부용기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중간부용기결합홈(31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때 각 용기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밀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 용기가 접하는 부분에는 밀폐링(400)을 더 추가하여 나사결합을 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밀폐링(400)은 고무 또는 탄력성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형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용기결합돌출부(120)나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220)의 두께보다 상기 상부용기결합홈(210)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200)의 상단부 및 상기 하부용기(300)의 상단부의 단면두께는 2배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외부 충격에도 상기 나사결합구조가 깨지지 않고 튼튼하게 그 구조가 유지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중간부용기(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은 중심이 상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솟아있는 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바닥면통공(2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닥면통공(235)를 통해 하부용기(300)의 음료가 중간부용기(200)로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돔 구조의 중간부용기바닥면(230)으로 인해 용기를 뒤집었을 때 음료가 중심부로 모아져 바닥면통공(235)을 통해 완전히 빠져 나올 수 있다. 한편 중간부용기바닥면을 용이하게 분리해서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천공으로 형성된 바닥면분리라인(231)이 중간부용기바닥면(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이 재활용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첫번째는 본 고안에 의한 구성요소인 상부용기(100)가 깔때기로 재사용되는 것을, 두번째는 본 고안에 의한 구성요소인 중간부용기(200)가 미니화분으로 사용되는 것을, 세번째는 본 고안에 의한 구성요소 중 하부용기(300)가 필기구꽂이로 사용되는 것을 각각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손잡이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결합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이 재활용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 상부용기 110 : 음료토출부
111 : 캡부결합나사산 115 : 음료토출구
120 : 상부용기결합돌출부 121 : 제1나사산
200 : 중간부용기 210 : 상부용기결합홈
211 : 제2나사산 220 : 중간부용기결합돌출부
221 : 제3나사산 230 : 중간부용기바닥면
231 : 바닥면분리라인 235 : 바닥면통공
300 : 하부용기 310 : 중간부용기결합홈
311 : 제4나사산 400 : 밀폐링
500 : 손잡이 510 : 고정회동부
520 : 손잡이몸체 600 : 캡부

Claims (8)

  1. 상부에는 상단에 음료토출구를 가진 음료토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 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결합돌출부를 가지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형태의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의 아래에 결합되며, 상단부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상부결합돌출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측벽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다수 개의 통공을 가지며 상부를 향하여 중심부가 솟아 있는 돔형 구조로서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천공으로 형성된 바닥면분리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바닥면이 있고,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내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 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결합돌출부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의 중간부용기; 및
    상기 중간부용기의 아래에 결합되며, 상단부 둘레를 따라서 상기 중간부결합돌출부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되어 있는 상부가 개구된 통 구조의 하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2. 제1항에서,
    상기 음료토출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원뿔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3. 제2항에서,
    상기 음료토출부의 하부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상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된 중간부용기의 상단부 및 상기 중간부용기결합홈이 생성된 하부용기의 상단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결합돌출부 및 중간부결합돌출부의 두께의 1.5~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6. 제1항에서,
    상기 상부결합돌출부와 상부용기결합홈 사이 및 상기 중간부결합돌출부와 중간부용기결합홈 사이에 끼워져 각 용기가 밀폐되도록 결합시키는 환형의 밀폐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상부용기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핀을 끼워 고정시키는 핀고리가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고정판과 상기 손잡이 고정판의 핀고리에 끼워져 고정되어 일정한 각도마다 걸리면서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각도마다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손잡이 몸체로 구성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8. 제7항에서,
    상기 음료토출부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캡나사산이 하부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토출부를 덮을 수 있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캡 구조의 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KR1020090030288A 2009-04-08 2009-04-08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KR10112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88A KR101125822B1 (ko) 2009-04-08 2009-04-08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288A KR101125822B1 (ko) 2009-04-08 2009-04-08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869A KR20100111869A (ko) 2010-10-18
KR101125822B1 true KR101125822B1 (ko) 2012-03-27

Family

ID=4313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288A KR101125822B1 (ko) 2009-04-08 2009-04-08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69U (ko) * 2018-10-22 2020-05-06 미젠 이노베이션 대만 콤파니 리미티드 밑받침 및 이를 응용한 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49B1 (ko) * 2012-10-18 2014-07-22 김창호 분리형 물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6893A (en) * 1984-10-22 1985-10-15 Gene Stull Tamper-evident closure cap construction
JPS63141150U (ko) 1987-03-06 1988-09-16
KR200397726Y1 (ko) * 2005-07-25 2005-10-06 임영섭 내부 세척이 용이한 병
KR200410741Y1 (ko) *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도원 맥반석이 든 생수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6893A (en) * 1984-10-22 1985-10-15 Gene Stull Tamper-evident closure cap construction
JPS63141150U (ko) 1987-03-06 1988-09-16
KR200397726Y1 (ko) * 2005-07-25 2005-10-06 임영섭 내부 세척이 용이한 병
KR200410741Y1 (ko) *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도원 맥반석이 든 생수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69U (ko) * 2018-10-22 2020-05-06 미젠 이노베이션 대만 콤파니 리미티드 밑받침 및 이를 응용한 병
KR200493707Y1 (ko) * 2018-10-22 2021-05-24 미젠 이노베이션 대만 콤파니 리미티드 밑받침 및 이를 응용한 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869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64B2 (en) Drink bottle
WO2011037605A2 (en) Water bottle with filter
US20120018343A1 (en) Drinking apparatus
KR101125822B1 (ko)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AU2009290148A1 (en) Drink bottle
AU2003200168A1 (en) Dispensing closure and package incorporating same
KR20080000223U (ko) 티 캡
CN218490182U (zh) 一种快速冲饮杯
CN2936969Y (zh) 一次性饮用水塑料桶
JP3140101U (ja) ボトル容器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CN201573843U (zh) 一种瓶套
CA2676854A1 (en) Screw top (eco-friendly)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RU23505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упоривания сосуд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варианты)
CN204802287U (zh) 一种储藏容器及其组成部件
KR100845226B1 (ko) 빈농약병과 빈농약봉지 수집통
EP4059896A1 (en) Personal collapsible 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JP3083368U (ja) ペットボトル用飲料材料浸出具
JP7394616B2 (ja) 計量キャップ
KR20120001098U (ko) 스포우트형 음료용기 캡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JP451410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970003812Y1 (ko) 1회용 팩이 내장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