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213A -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213A
KR20200057213A KR1020180141283A KR20180141283A KR20200057213A KR 20200057213 A KR20200057213 A KR 20200057213A KR 1020180141283 A KR1020180141283 A KR 1020180141283A KR 20180141283 A KR20180141283 A KR 20180141283A KR 20200057213 A KR20200057213 A KR 2020005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dy
bottle
lid
bevera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대환
Original Assignee
국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대환 filed Critical 국대환
Priority to KR102018014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7213A/ko
Publication of KR2020005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상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으로 최상단부에 위생성과 사용여부 식별기능을 가지면서, 사용 시에 제거되는 위생켑으로 뚜껑 몸체 상단부를 복개하고 위생켑이 복개된 뚜껑몸체켑의 내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환형홈과 상측 내부공간에 연질고무패킹을 밀착되게 결합시킨 뚜껑몸체 상부 외측벽에 형성된 수평환형돌출띠를 결합시켜서 된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The bottle or recetacle cover for drink that cosists to form inhalation passage in pipe of needle shape.}
본 발명은 침상 흡입 파이프로 음료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최상단부에 위생성과 사용여부 식별기능을 가지면서 사용시에 제거되는 위생켑으로 뚜껑 몸체 상단부를 복개하고, 위생켑이 복개된 뚜껑 몸체켑의 내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환형홈과, 상측 내부 공간에 연질고무패킹을 밀착되게 결합시킨 뚜껑 몸체 상부 외측벽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환형돌출띠(4a)를 결합시켜서 된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초기 단계의 소주, 탄산음료, 콜라 등의 음용 용기로 널리 사용하여 온 병은 유리병으로서, 유리병의 입구 부분에 원형의 박판 철판을 가압성형하여 병의 출구를 밀폐시킨 병뚜겅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병뚜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프너가 있어야 하고, 오프너가 없으면 숟가락으로 따기도 하고, 심지어는 치아로 따기도 하므로서 불편하고 다칠 염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병뚜껑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병뚜껑으로서, 병 입구 주변으로 숫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숫나선에 일치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성형된 암나선이 형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병뚜껑은 쉽게 병뚜껑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음료수 용기들은 우선 무겁고 뚜껑을 딴 다음 마시는 과정에서 점점 병의 하단을 수평 이상으로 쳐들고 마시게 되므로서 흘리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도로 흘러 들어가 사리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서, 보다 편리하게 마실 수 있는 스트로우 파이프형 튜브 등 음용 수단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래 병뚜껑에 비해 보다 편리하고 안전성이 요구되는 음용수 병 또는 용기의 뚜껑을 얻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보완·개선하므로서 최근에는 가벼운 재질인 플라스틱, 알루미늄 재질의 음료 용기들이 출시되고 용기의 형태 또한 병, 튜브, 팩 등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편리하고 안전한 기능을 갖는 음료수 용기의 뚜껑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상에서는 병과 병뚜껑 분야의 전반적인 배경기술에 대해 언급한 것이지만 보다 구체적인 종래 기술을 알아보면, 종래기술의 하나인 예로서, 국내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34081호(2006.12.15) 에는 스트로우(빨대)를 꽂아 마실 수 있는 취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취수구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한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병뚜껑은 취수구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형의 스트로우를 꽂아 마시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취수구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취수구를 덮는 취수구 커버가 나타나 있기는 하나, 취수구 커버가 취수구에 부착되는 구성이여서 커버를 병뚜껑으로부터 떼어내서 제거한 후, 음료를 마신 다음, 음료가 남을 경우 취수구를 다시 덮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서, 국내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423236호(2006.08.03) 에는 "취수구가 형성된 병뚜껑"이 소개되고 있으며, 기술구성으로는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외부 둘레에 숫나사부를 형성한 병목부를 가지며, 내부에 액상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병몸체의 상부에 착탈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몸체의 병목부에 상응하는 크기의 측벽 내부 둘레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수 나사부의 결합으로 착탈하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병뚜껑 본체부와 상기 병뚜껑 본체부의 종단면상 상부 중앙에 해당하는 측벽 소정의 위치에 일정 크기로 관통성형되는 취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가 형성된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병뚜껑은 병뚜껑의 원주면 상측부에 스트로우를 꽂을 수 있는 취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취수구에 스트로우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회전하여 상승시켜야하고, 내부 공간이 좁은 뚜껑 수직면에 수평으로 뚫어져있어 스트로우를 삽입하기 힘들고 꺾어질 수 있으며, 취수구가 뚫어져있어 먼지나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어 비위생적이라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로서, 국내등록 특허공보 제10-1287850호(2013.07.18)에 "빨대 삽입용 커버"에 관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의 기술구성인 즉 빨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121)를 구비하고, 탄성 재질로 된 삽입부(120)를 포함하며, 병 또는 용기의 입구를 덮는 빨대 삽입용 커버로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병 또는 용기의 입구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덮개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늘려서 상기 병 또는 상기 용기의 입구를 삽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를 분리하여 가능하게 구비된 빨대 삽입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버와 덮개부가 연결된 병뚜껑으로 밀폐시킨 음료수가 채워진 병 상태로는 커버(10)의 재질이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되었다고는 하나, 커버에 형성된 빨대 삽입구(121)가 +자로 절개 되어있어 수송, 보관 중에 음료수가 새어 나올 수 있고, 또한 빨대 삽입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오염될 수 있으므로, 비위생적이여서 상품화가 어려운 구성이라 할 수 있고, 빨대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커버라 할 수 있으나 커버와 덮개부를 연결하여 일체가 된 탄성의 병마개를 늘려서 병 입구와 병목에 정확하게 일치시켜서 커버에 형성된 빨대 삽입구(121)에 빨대를 꽂는 작업 또한 번거러운 일이다.
그 밖에 종래 기술로 국내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53317호(2013.05.23) 에는 "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PET병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음용 PET병"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기술구성인 즉 뚜껑 상면에서 뚜껑 내면으로 관통하고 빨대가 삽입되는 관통공과, PET병 몸체의 입구부와 결착되는 뚜껑 내부의 원형돌기를 둘러싸면서 PET병 몸체의 내용물의 유출을 막는 포장 박막을 포함하는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병뚜껑은 이 발명 도면 3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뚜껑하면(120), 원통돌기(220) 및 포장 박막으로 형성되는 공간 중심부에 관통공(100)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이 공간에 먼지나 이물질이 집적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관통공을 통해 스트로우가 포장 박막을 뚫고 병 속으로 들어가면 포장 박막에 집적된 먼지나 이물질들이 함께 병 속으로 들어갈 수 있어 비위생적이라 할 수 있다.
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434081호(2006.12.15) 2.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423236호(2006.08.03) 3.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287850호(2013.07.18) 4.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488438호(2005.05.11)
본 발명은 종래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의 문제점을 개선·보완한 발명으로 환경친화적이면서 위생적인 기능을 가지며, 병 또는 용기 뚜껑을 열고 입구를 통하여 직접 입으로 마실 수 있고, 침상 흡입 파이프로 천천히 즐기면서 흡입할 수도 있으며, 아주 편리하고 우수한 수밀성과 기밀성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침상 흡입 파이프로 쉽게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도1 ~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각원형태(1a) 및 중심부원형태(1b)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원형태 하단에는 다수개의 사각박막편(1c)이 형성되어 있는 위생켑(1)으로 뚜껑몸체켑(2)의 상단을 복개하여 결합시키므로서, 위생켑(1)의 중심부원형태(1b)가 뚜껑몸체켑(2)의 삽입공(2a)에 일치되게 삽입되면서 관통되며, 중심부원형태하단에 연장된 다수개의 사각형박막편(1c)들을 뚜껑몸체켑하면에 사방으로 수평으로 재켜 하면(2d)에 접합시킨 상태에 연질고무패킹(3)의 환형홈(3b)에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대(4b)가 삽입되도록 뚜껑몸체(4)의 상부 공간에 연질탄성패킹(3)을 밀착 충전시킨 다음, 뚜껑몸체(4)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밀어넣고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띠(4a)를 뚜껑몸체켑(2)의 수평환형홈(2b)에 밀착되게 삽입시켜서 결합된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므로서 본 발명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은 수밀성, 기밀성이 탁월하여 사용중에도 음료변질을 줄일 수 있으며, 음료병 또는 용기가 넘어져도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흘러나오지 않으므로 항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병뚜껑에 위생켑이 복개되어 제거되므로서 위생적이면서 신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음료병 또는 용기를 배낭, 핸드백, 쇼핑백에 넣어두고 침상 흡입 파이프로 연결시키면 어디에서나 음료의 양을 조절해가면서 천천히 음미할 수 있고,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등산이나 장거리 보행 중 취수가 잦아질 경우, 일일이 음료병이나 용기를 꺼내지 않고 호스의 흡입구로 흡입하면 아주 편리하고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병뚜껑의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 2.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을 수직 2등분한 분해 단면도
도 3.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을 수직 2등분한 분해 단면도
도 4.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5.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에 흡입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음료 흡입수단 사시도
본 발명은 종래 병뚜껑의 문제점을 개선·보완하여 위생성, 수밀성 및 안정성의 향상과 함께 음료수의 병 또는 용기의 입구에 입을 대고 직접 마실 수 있고, 음료 흡입 수단을 사용하므로서 즐기면서 천천히 흡입할 수 있는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1 ~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각원형태(1a) 및 중심부원형태(1b)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원형태(1b)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사각박막편(1c)이 형성되어 있는 위생켑(1)으로 뚜껑몸체켑(2)의 상단부를 복개하므로서, 위생켑(1)의 중심부원형태(1b)가 뚜껑몸체켑(2)의 삽입공(2a)에 일치되게 삽입되면서 관통되며, 관통된 중심부원형태 상단에 연장된 다수개의 사각박막편(1c)들을 뚜껑몸체켑(2)의 하면(2d)에 사방으로 재켜 눕힌 상태에 연질탄성패킹(3)의 환형홈(3b)에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대(4b)가 삽입되도록 뚜껑몸체(4)의 상부 공간에 연질탄성패킹(3)을 밀착 충전시킨 다음,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띠(4a)를 뚜껑몸체켑(2)의 수평환형홈(2b)에 삽입시켜 결합해서 된 침상 흡입 파이프(5a)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위생켑(1)을 결합 복개한 뚜껑상부켑과 연질고무패킹(3)을 밀착 충전시킨 뚜껑 몸체의 결합수단으로 뚜껑몸체켑(2')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선(2'b)과 뚜껑몸체(4')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숫나선(4'a)을 결합시킨 병 또는 용기의 뚜껑이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뚜껑(c)의 연질고무패킹(3)의 중심홈(3a)에 수직으로 꽂아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음료흡입수단(5)으로 침상 흡입 파이프(5a)를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c)의 위생켑을 제거하면, 뚜껑몸체켑(2)의 삽입공을 통하여 나타나는 연질고무패킹(3)의 중심홈(3a)에 수직으로 꽂아 음료 흡입 통로를 형성하고 흡입구(5f)를 통해 흡입하면 병 또는 용기의 음료가 통공(5b)으로 유입되어 호스(5e)를 통해 음료 흡입구에 유입되며, 필요하면 호스(5e)를 음료조절구(5c)에 결합시켜 유량조절롤러(5d)로 조정하면 음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 병 또는 용기 뚜껑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의 최상에 위치한 위생켑(1)은 위생켑의 외각 둘레에 외각원형태(1a)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위생켑의 저면중심부로부터 중심부원형태(1b)가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원형태(1b)의 하단부에는 사각박막편(1c)이 형성되어 있어 이 위생켑으로 뚜껑몸체켑(2)을 복개하면, 위생켑(1)의 외각원형태(1a)의 내면이 뚜껑몸체켑의 상부 외면을 복개하게 되고, 위생켑(1)의 중심부원형태(1b)의 외면이 뚜껑몸체켑(2)의 삽입공(2a)에 밀착되어 삽입되면서, 중심부원형태(1b)에 연장된 사각박막편(1c)이 뚜껑몸체켑(2)의 저면수준에서 돌출하게 되는데, 이 돌출된 사각박막편(1c)을 삽입공(2a)의 외측 방향으로 재켜 뚜껑몸체켑(2)의 저면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상측 내부 공간에 연질고무패킹(3)이 밀착되게 삽입되어 있는 뚜껑몸체(4)의 상단을 뚜껑몸체켑(2)의 하측 내부로 밀어 넣으면, 뚜껑 몸체 상측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고무패킹(3)의 상면이 밀착되어 박막의 사각박막편(1c)을 눌러주게 되면서,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띠(4a)가 뚜껑몸체켑(2)의 수평환형홈에 밀착되어 빠지지 않게되는 구조로서, 사용 시는 손가락으로 위생켑의 외각원형태를 재켜올리면 쉽게 제거되면서, 뚜껑몸체켑(2)의 삽입공(2a)을 통해 연질고무패킹(3)의 상단 중심홈에 침상 흡입 파이프를 꽂은 홈(3)이 나타나게 되며, 한 번 제거되면 다시 뚜껑몸체켑(2)을 복개할 수 없다. 위생켑(1)은 침상 흡입 파이프를 꽂는 장소를 깨끗하게 보존하므로서 위생적인 기능을 갖게되고, 음료병 또는 용기의 음료제품이 사용한 것인지, 신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된다.
이상의 위생켑(1)은 플라스틱 재질이고, 사각박막편(1c) 또한 같은 재질의 플라스틱 재질로서 0.5mm이하의 박막이고 꺾임성이 있어 쉽게 재켜 눕힐 수 있다.
그리고 뚜껑몸체켑(2)은 위생켑을 삽입 결착할 수 있도록 삽입공(2a)을 제공하고, 내면 측벽에 형성된 수평환형홈(2b)에 뚜껑몸체(4) 상부 외측벽에 형성된 환형돌출띠(4a)를 밀착 결합되게 하는 기능 및 연질탄성패킹(3)을 밀착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서, 수밀성과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뚜껑몸체켑(2)의 재질 또한 위생켑(1)과 같은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연질고무패킹(3)은 연질의 실리콘 고무로서, 패킹성이 우수하며 유동 탄성이 큰 고무재질이라 할 수 있으며, 뚜껑몸체켑(2)과 뚜껑몸체(4)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밀착되게 충전되어 상단 중심부는 뚜껑몸체켑(2)의 삽입공에 밀착되고, 연질고무패킹(3)의 저면홈(3c)은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띠(4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밀착하여 관통공(4c)를 밀폐시켜 완전한 수밀성과 기밀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 밖에 뚜껑몸체(4)는 하측 내부에 암나선(4d)이 형성되어, 음료병 또는 음료용기의 입구를 밀폐시키며,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몸체켑(2) 수평환형홈과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띠(4a)가 강력하게 결합되면서, 연질고무패킹(3)을 밀착되게 충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뚜껑몸체(4)의 재질 또한 위생켑(1), 뚜껑몸체켑(2)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결합된 음료병 또는 용기의 뚜껑의 특징은,
첫 째. 뚜껑을 통째로 열고 음료병 또는 용기의 입구를 입에 대고 직접 마실 수 있고,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의 위생켑(1)을 제거하고 뚜껑몸체켑(2) 삽입공(2a)에 나타나는 연질고무패킹(3)의 중심홈(3a)에 음료 흡입수단인 유연성의 합성수지 호스(5e)에 연결된 침상 흡입 파이프(5a)를 꽂아 음료 흡입 통로를 형성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이라 할 수 있으며, 침상 흡입 파이프(5a)와 흡입구(5c) 사이에 음료 흡입량 조절구가 부착된 침상흡입수단(6)도 사용할 수 있다;
둘 째. 연질고무패킹(3)의 중심홈(3a)에서 침상 흡입 파이프(5a)를 뽑아버리면 연질고무패킹(3)에 뚫어졌던 통로는 없어지고 흔적만 남게되나, 수밀성과 기밀성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셋 째. 위생켑의 사용으로 위생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의 특징으로 얻어지는 효과는 기밀성과 수밀성이 우수하여 사용중에도 음료의 변질을 줄일 수 있으며, 누수현상, 침출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병이 넘어져도 음료가 흘러나오지 않으므로 항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료병이나 용기를 배낭, 핸드백, 쇼핑백에 넣어두고 침상 흡입 파이프로 연결시키면 음료의 량을 조절하면서 천천히 음미하면서 즐길 수 있으며,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등산이나 장거리 보행 중 음용횟수가 잦아지는 경우 일일이 음료병을 배낭에서 꺼내어 마시고, 다시 넣고하는 번거러움 대신에 호스(튜브)의 흡입구로 흡입하면 아주 편리하고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병뚜껑의 구성이라 할 수 있다.
1 : 위생켑 2'b : 암나선
1a : 외각원형태 3 : 연질고무패킹
1b : 중심부원형태 3a : 중심홈
1c : 사각박막편 3b : 환형홈
2 : 뚜껑몸체켑 3c : 저면홈
2a : 삽입공 4 : 뚜껑몸체
2b : 수평환형홈 4a : 환형돌출띠
2c : 뚜껑몸체켑상면 4b : 환형돌출대
2d : 뚜껑몸체켑하면 4c : 관통공
2' : 뚜껑몸체켑 4d : 암나선
4' : 뚜껑몸체 5c : 음료량 조절구
4'a : 숫나선 5d : 유량조절로울러
5 : 음료 흡입수단 5e : 호스
5a : 침상 흡입 파이프 5f : 흡입구
5b : 통공 6 : 침상 흡입수단

Claims (2)

  1. 외각원형태(1a) 및 중심부원형태(1b)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원형태(1b) 하단에는 다수개의 사각형 박막편(1c)이 형성되어 있는 위생켑(1)으로 뚜껑몸체켑(2)의 삽입공(2a)에 일치되게 삽입되면서 관통되고, 관통된 중심부원형태(1b) 하단에 연장된 다수개의 사각형 박막편(1c)을 뚜껑몸체켑(2)의 하면(2d)에 사방으로 재켜 눕힌 상태의 몸체켑(2)에 연질탄성패킹(3)의 환형홈(3b)에 뚜껑몸체(4) 상측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연질고무패킹(3)을 밀착시켜 충전하되, 연질고무패킹(3)의 환형홈(3b)을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대에 삽입되도록 결합시킨 뚜껑몸체(4)의 상측부로 밀어넣어 연질고무패킹(3)의 상단부가 뚜껑몸체켑(2) 삽입공(2a)을 밀폐함과 동시에 수평환형홈(2b)에 환형돌출띠(4a)가 삽입되어 결합된 침상 흡입 파이프(5a)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뚜껑몸체켑(2)과 뚜껑몸체(4)의 결합 수단에 있어서, 뚜껑몸체켑(2)의 수평환형홈(2b)과 뚜껑몸체(4)의 환형돌출띠(4a) 대신에, 뚜껑몸체켑(2')의 암나선(2'b)과 뚜껑몸체(4')의 숫나선(4'a)을 결합해서 된 침상 흡입 파이프(5a)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KR1020180141283A 2018-11-16 2018-11-16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KR20200057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83A KR20200057213A (ko) 2018-11-16 2018-11-16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283A KR20200057213A (ko) 2018-11-16 2018-11-16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213A true KR20200057213A (ko) 2020-05-26

Family

ID=7091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283A KR20200057213A (ko) 2018-11-16 2018-11-16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721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81B1 (ko) 2001-10-23 2004-06-04 김철호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88438B1 (ko) 2002-07-15 2005-05-11 이승섭 자체 분해성이 우수한 일회용 프라스틱용기 조성물
KR200423236Y1 (ko) 2006-05-26 2006-08-03 유금열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
KR101287850B1 (ko) 2011-10-25 2013-07-18 서진순 빨대 삽입용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81B1 (ko) 2001-10-23 2004-06-04 김철호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88438B1 (ko) 2002-07-15 2005-05-11 이승섭 자체 분해성이 우수한 일회용 프라스틱용기 조성물
KR200423236Y1 (ko) 2006-05-26 2006-08-03 유금열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
KR101287850B1 (ko) 2011-10-25 2013-07-18 서진순 빨대 삽입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46421A1 (en) Sectionalized fluids container
US20110168292A1 (en) Container with Sealed Cap and Venting System
CN101203440A (zh) 带有一体的附件和内部吸管的柔性直立袋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EP2727993A1 (en) Device for preserving wine in a bottle
CN102689733A (zh) 一种具有自动开闭功能的饮料瓶盖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KR101530907B1 (ko) 액상 용기
CN107920957A (zh) 用于防漏饮用杯的阀组件
KR200487682Y1 (ko) 밀봉된 상태에서 빨대로 음용이 가능한 뚜껑
KR20100008831U (ko) 흘림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CN206494259U (zh) 一种多腔室饮品瓶
KR20200057213A (ko)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KR200478541Y1 (ko) 역류차단 빨대
KR101386382B1 (ko) 음료용기
WO2009030111A1 (en) Conjugating structure between bottle neck and bottle cap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KR200385309Y1 (ko) 유아용 음료 용기의 뚜껑
JP2010064781A (ja) ストロー兼用容器及びそれが付けられた容器入り飲料
CN212729441U (zh) 一种防止饮品洒漏的家用塑料杯盖
CN218401909U (zh) 一种冲泡装置
CN214855857U (zh) 一种杯子
US20060054629A1 (en) Closable drinking container
CN204916558U (zh) 一种吸水不漏瓶嘴组件
CN214397997U (zh) 热饮防溢漏双用的杯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