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382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382B1
KR101386382B1 KR1020130117898A KR20130117898A KR101386382B1 KR 101386382 B1 KR101386382 B1 KR 101386382B1 KR 1020130117898 A KR1020130117898 A KR 1020130117898A KR 20130117898 A KR20130117898 A KR 20130117898A KR 101386382 B1 KR101386382 B1 KR 10138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incision
beverage container
inle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문
Original Assignee
손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문 filed Critical 손병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3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being a follower-piston and the dispensing means comprising a hand-operated pressure-device at the opposite part of the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인출하는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하측 개방홀이 형성된 마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으로 직접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완벽하게 음용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차 또는 음료 등의 액체를 담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가정, 야외 및 사무실에서까지 차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편리함과 신속함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회용 음료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음료용기는 커피믹스, 쥬스, 코코아 등과 같은 분말 음료 또는 매실차, 오미자차, 석류차와 같이 물에 희석시켜 넣거나, 홍삼과 같이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넣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넣는 일회용 음료용기는 일정량의 액상음료를 넣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특허공개번호 10-2012-0096537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음료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축액을 넣기 위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입구를 막는 뚜껑(20)을 포함하며, 이러한 일회용 포장용기는 뚜껑(20)을 개방한 상태로 용기본체(10)의 입구를 통해 농축액을 외부로 인출시켜 음용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음료용기는 용기본체(10) 내부의 농축액이 완벽하게 인출되지 못하며, 이에 정량의 농축액을 음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농축액의 점성으로 인해 쉽게 인출되지 않으며, 이에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6537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상음료 또는 농축액과 같이 점성을 가지는 음료를 완벽하게 음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식음자의 흡입력을 통해 액상음료가 손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음료용기의 구조를 개선하며, 이에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완벽하게 음용하고, 더불어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인출하는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하측 개방홀이 형성된 마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부는 상기 저장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가압부재와 마감부재의 밀착시 상기 하측 개방홀을 밀폐하는 밀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저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 밀폐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면에 하측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가압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저장부의 내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밀착링이 구비된 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링은 상기 밀착부의 저면 끝단에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에는 뚜껑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부재의 상면에는 뚜껑부재의 상면을 개방하는 상측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절개부의 주면을 따라 연결되게 형성되는 상측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절개홈의 절개시 상기 상측 절개부가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뚜껑부재의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재의 내부 상면에는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는 상기 상측 절개홈 절개시 상기 상측 절개부와 함께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하측 개방홀을 마감하는 하측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하측 절개부의 주면을 따라 연결되게 형성된 하측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개홈의 절개시 상기 하측 절개부가 마감부재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하측 개방홀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개방홀의 상단은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하측 개방홀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상음료를 완벽하고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음료용기의 휴대 및 보관시 음료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음료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고, 보관기간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 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가압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 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하는 한편, 음료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사용자의 입으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음료용기 내에 충진된 음료를 음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본체(100),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음료을 가압하여 용기본체(100)의 상단으로 인출시키는 가압부재(200), 용기본체(100)의 하단을 마감하는 마감부재(300), 및 용기본체(100)의 상단을 마감하는 뚜껑부재(40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0)는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를 저장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저장부(110)와, 저장부(1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저장부(110)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입구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방된 저장부(110)의 하단은 가압부재(200)와 마감부재(300)를 결합하여 마감하며, 이에 저장부(110)의 하부로 음료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입구부(120)는 저장부(11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음용의 편의성과 가압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용기본체(100)는 투명이나 반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외부에서 음료의 저장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용기본체(100)의 외측에는 숫자, 문자 및 문양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표시창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름 또는 음용 주기를 기록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료를 가압하여 입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저장부(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입구부(120)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에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료를 입구부(120) 방향으로 가압하고, 입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킨다.
즉, 사용자가 용기본체(100)의 입구부(120)에 입을 밀착시킨 상태로 흡입하면, 흡입력에 의해 저장부(1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고, 저장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가압부재(200)가 입구부(120)를 향해 슬라이딩하며, 이에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료를 가압하여 입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면서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한편, 가압부재(200)의 상부에는 가압부재(200)가 저장부(110)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입구부(120)에 삽입되는 가압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210)는 입구부(120)에 삽입되면서 입구부(120)에 남아 있는 음료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즉, 가압부(210)를 통해 용기본체(100)의 입구부(120)에 남아 있는 음료까지 음용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200)가 용기본체(100)의 상단까지 슬라이딩하면 용기본체(100)의 내부 상면(저장부와 입구부가 연결되는 내부 상면)에 음료가 남게 된다.
이 저장부와 입구부가 연결되는 내부 상면에 남아 있는 음료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가압부(210)의 주면에는 가압부(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200)가 용기본체(100)의 상단까지 슬라이딩하면, 병목현상에 의해 저장부(110)와 입구부(120)가 연결되는 내부 상면에 음료가 남게 되는데, 이 남아 있는 음료가 유입홈(211)으로 유입되고, 흡입력에 의해 유입홈(2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210)에 유입홈(211)이 형성됨으로써 병목현상에 의해 용기본체(100)에 남아 있는 음료까지 외부로 인출하며, 이에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한편, 유입홈(211)은 가압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적용함에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감부재(300)는 용기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압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부(11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면 중앙에는 하면까지 관통되면서 저장부(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하측 개방홀(310)이 형성된다.
즉, 마감부재(300)는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마감하여 가압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가압부재(200)의 슬라이딩시 하측 개방홀(310)을 통해 용기본체(100)의 저장부(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가압부재(200)를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마감부재(300)는 신축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결합성과 밀폐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개방홀(310)의 상단과 대응하는 가압부재(200)의 저면에는 가압부재(200)와 마감부재(300)의 밀착시 하측 개방홀(310)에 삽입되면서 하측 개방홀(310)을 밀폐하는 밀폐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밀폐부(220)는 가압부재(200)와 마감부재(300)의 밀착시 하측 개방홀(310)에 삽입되면서 하측 개방홀(310)을 밀폐하고, 가압부재(200)의 슬라이딩시 하측 개방홀(310)로부터 이탈되면서 하측 개방홀(310)을 개방한다.
여기서 밀폐부(220)의 직경은 하측 개방홀(310)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밀폐부(220)는 하측 개방홀(310)에 쉽게 삽입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하측 개방홀(310) 보다 작게 형성한다.
한편, 하측 개방홀(310)의 상단은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밀폐부(220)는 하측 개방홀(310)의 경사진 상단에 밀착되게 역 삼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밀폐부(220)를 하측 개방홀(31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밀폐부(220)는 가압부재(200)를 수직으로 절단하였을 때 역 삼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도 3 참조), 하측 개방홀(310)의 상단은 역삼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지는 밀폐부(220)가 밀착되도록 역 삼각형의 경사면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밀폐부(220)는 음료용기의 미 사용시 용기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이에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한다.
한편, 가압부재(200)와 마감부재(300)의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는 밀폐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밀폐구조를 가진다.
즉, 밀폐구조는 가압부재(200)의 저면에 형성되고 내부 상면에 밀폐부(220)가 돌출되는 삽입홈(230)과, 마감부재(3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삽입홈(230)에 삽입되며 하측 개방홀(310)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부(3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삽입홈(230)과 삽입부(320)가 결합되고, 밀폐부(220)가 하측 개방홀(310)에 삽입되면서 2단계의 밀폐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에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의 청결성, 보관성을 높일 수 있다.
뚜껑부재(400)는 용기본체(100)의 입구부(120)에 결합되어 입구부(120)를 밀폐한다.
한편, 뚜껑부재(400)는 스크류 방식으로 입구부(120)에 결합할 수도 있고, 압입방식, 또는 끼움방식으로 입구부(12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용 전의 음료용기는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음료(1)가 저장되고, 하부에는 가압부재(200)와 마감부재(300)가 밀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기본체(100)의 입구부(110)에 결합된 뚜껑부재(400)를 제거한 다음, 사용자의 입을 입구부(110)에 밀착시키고, 흡입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서 가압부재(200)가 입구부(120)를 향해 슬라이딩하며, 가압부재(2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음료(1)가 입구부(120)를 향해 이동하면서 외부로 인출되고, 사용자의 입으로 그대로 유입되면서 음용하게 된다. 이때 하측 개방홀(310)을 통해 용기본체(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가압부재(200)를 적은 흡입력으로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00)가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위치하면, 가압부(210)가 입구부(120)에 삽입되면서 유입홈(211)을 통해 입구부(120)에 남아 있는 음료(1)까지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저장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액상 음료를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가루 형태의 분말도 용기본체에 저장하여 식음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름 음료용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본체(100'),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음료를 용기본체(100')의 상부로 인출시키는 가압부재(200'),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300'), 및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마감하는 뚜껑부재(40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0')는 음료를 저장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저장부(110')와, 저장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저장부(110')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입구부(120')를 포함한다.
가압부재(200')는 저장부(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입구부(120')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료를 입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킨다.
그리고 가압부재(200')의 상부에는 가압부재(200')가 저장부(110')의 내부 상단에 위치하면 입구부(120)에 삽입되는 가압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00')의 외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의 내면에 선접촉되게 밀착되는 밀착링(241)이 구비된 밀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밀착부(240)는 가압부재(200')의 외주면을 따라 원반형태로 연결되며, 밀착링(241)은 밀착부(240)의 저면 끝단에 반원형태로 밀착부(240)의 주면을 따라 연결된다.
여기서 밀착부(240)는 도 8을 참조하면, 가압부재(200')와 저장부(11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가이드부재(2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가압부재(200')와 저장부(110')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료를 안정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마감부재(300')는 저장부(11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면에는 하면까지 관통되면서 저장부(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하측 개방홀(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마감부재(300')의 저면에는 하측 개방홀(310')을 마감하는 하측 절개부(3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 절개부(330)는 마감부재(300')의 성형시 하측 개방홀(310')을 마감한 상태로 마감부재(300')의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며, 이에 마감부재(300')로부터 절개시 하측 개방홀(310')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하측 절개부(330)는 음료용기의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음료의 변질 방지 및 보관기간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마감부재(300')의 저면에는 하측 절개부(330)의 주면을 따라 연결되는 하측 절개홈(3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 절개홈(340)을 통해 하측 절개부(330)를 마감부재(3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절개시킬 수 있다.
즉, 마감부재(300')를 중심으로 하측 절개부(330)를 옆으로 누르면, 하측 절개홈(340)이 점차 절개되면서 하측 절개부(330)를 마감부재(3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하측 개방홀(310')이 개방된다.
뚜껑부재(400')는 용기본체(100')의 입구부(120')에 결합되어 입구부(120')를 밀폐한다.
여기서 뚜껑부재(400')의 상면에는 뚜껑부재(400')의 상면을 개방하기 위한 상측 절개부(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상측 절개부(410)는 뚜껑부재(40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된다.
즉, 상측 절개부(410)는 절개시 뚜껑부재(400')의 상면이 함께 절개되면서 뚜껑부재(400')의 상면을 개방하고, 이에 뚜껑부재(40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지 않더라도 개방된 뚜껑부재(400')의 상면을 통해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절개부(410)는 뚜껑부재(400')로부터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상측 절개홈(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절개홈(420)은 뚜껑부재(400')의 상면에 상측 절개부(410)의 주면을 따라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뚜껑부재(400')를 중심으로 상측 절개부(410)를 옆으로 누르면, 상측 절개홈(420)이 점차 절개되면서 상측 절개부(410)를 뚜껑부재(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뚜껑부재(400')의 상면이 개방된다.
한편, 상측 절개홈(420) 사이의 뚜껑부재(400') 저면에는 입구부(120')에 삽입되는 융기부(4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융기부(430)는 상측 절개홈(420) 절개시 상측 절개부(410)와 함께 뚜껑부재(400')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측 절개부(410)와 융기부(430)는 입구부(120')를 통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음료의 변질 및 보관기간을 크게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및 보관시 상측 및 하측 절개부(410)(330)의 부착 여부에 의해 사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로부터 상측 및 하측 절개부(410)(330)를 제거하면,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사용 여부, 음료의 변질방지 및 보관기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본체
200: 가압부재
300: 마감부재
400: 뚜껑부재

Claims (15)

  1. 음료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인출하는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구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입구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와 연결되는 하측 개방홀이 형성된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저장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가압부재와 마감부재의 밀착시 상기 하측 개방홀을 밀폐하는 밀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저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밀폐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하측 개방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에는 가압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저장부의 내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밀착링이 구비된 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밀착링은 상기 밀착부의 저면 끝단에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에는 뚜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의 상면에는 뚜껑부재의 상면을 개방하는 상측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상측 절개부의 주면을 따라 연결되게 형성되는 상측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절개홈의 절개시 상기 상측 절개부가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뚜껑부재의 상면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의 내부 상면에는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는 상기 상측 절개홈 절개시 상기 상측 절개부와 함께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하측 개방홀을 마감하는 하측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하측 절개부의 주면을 따라 연결되게 형성된 하측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절개홈의 절개시 상기 하측 절개부가 마감부재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하측 개방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개방홀의 상단은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하측 개방홀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밀착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20130117898A 2013-03-07 2013-10-02 음료용기 KR101386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4327 2013-03-07
KR1020130024327 2013-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382B1 true KR101386382B1 (ko) 2014-04-16

Family

ID=5065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898A KR101386382B1 (ko) 2013-03-07 2013-10-02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53B1 (ko) * 2014-06-12 2014-11-13 손병문 음료용기
KR101651225B1 (ko) 2016-06-13 2016-08-25 (주)서울에프엔비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022Y2 (ja) * 1988-05-13 1995-10-0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半練物用容器
KR20060021279A (ko) * 2002-08-26 2006-03-07 가부시기가이샤 톱 토출 장치
KR101129482B1 (ko) 2010-08-03 2012-03-28 (주)연우 잠금구조가 구비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20120094631A (ko) * 2011-02-17 2012-08-27 김준석 절약형 유체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022Y2 (ja) * 1988-05-13 1995-10-0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半練物用容器
KR20060021279A (ko) * 2002-08-26 2006-03-07 가부시기가이샤 톱 토출 장치
KR101129482B1 (ko) 2010-08-03 2012-03-28 (주)연우 잠금구조가 구비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20120094631A (ko) * 2011-02-17 2012-08-27 김준석 절약형 유체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53B1 (ko) * 2014-06-12 2014-11-13 손병문 음료용기
WO2015190761A1 (ko) * 2014-06-12 2015-12-17 손병문 음료용기
KR101651225B1 (ko) 2016-06-13 2016-08-25 (주)서울에프엔비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356B1 (ko) 음료용기용 캡슐캡
JP6360999B2 (ja) 底を通じて飲料の注入がなされる飲料容器
KR101498251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101386382B1 (ko) 음료용기
CN204236945U (zh) 一种固体饮料瓶盖
CN107548373A (zh) 两种内容物混合容器
CN206896228U (zh) 一种便携杯式真空果汁机
CN208160329U (zh) 化妆液保管用安瓿
US20110000913A1 (en) Beer can with top and bottom pull tabs
CN106966039B (zh) 一种多功能瓶盖
CN201670449U (zh) 瓶盖改良结构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KR101392957B1 (ko)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CN209009289U (zh) 一种饮料瓶
KR101523520B1 (ko)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CN212710733U (zh) 一种瓶盖
CN104150092A (zh) 可内部自动冲泡粉剂的一次性包装盖子
CN204056666U (zh) 一种可内部自动冲泡粉剂的一次性包装盖子
KR101656422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20200057213A (ko)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CN211811116U (zh) 一种戳开式即配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CN209988379U (zh) 一种具有防伪作用的瓶盖
KR101881260B1 (ko) 음료 용기용 첨가제 혼합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