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225B1 -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225B1
KR101651225B1 KR1020160073452A KR20160073452A KR101651225B1 KR 101651225 B1 KR101651225 B1 KR 101651225B1 KR 1020160073452 A KR1020160073452 A KR 1020160073452A KR 20160073452 A KR20160073452 A KR 20160073452A KR 101651225 B1 KR101651225 B1 KR 10165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ster
piston
container
container body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덕근
Original Assignee
(주)서울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울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서울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16007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110)와, 용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120)과,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 구비되는 부스터 피스톤(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부스터 피스톤(130)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되는 피스톤 바디(131)와, 피스톤 바디(1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바디(131) 쪽의 캐비티(Ca) 내부로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초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방으로 펼쳐지는 부스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스터부(132)가 상방으로 펼쳐짐으로써 용기 본체(110)에 있는 내용물을 상방으로 강제로 토출시키고, 부스터 피스톤(130)이 내주면(110a)에 밀착하여 상승함으로써 내용물을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내용물을 쉽고 빠르게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A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흡입력으로도 내용물을 쉽고 편리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차 또는 음료 등의 액체를 담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가정, 야외 및 사무실에서까지 차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편리함과 신속함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회용 음료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음료용기는 커피믹스, 쥬스, 코코아 등과 같은 분말 음료 또는 매실차, 오미자차, 석류차와 같이 물에 희석시켜 넣거나, 홍삼과 같이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넣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농축액 형태의 액상음료를 넣는 일회용 음료용기는 일정량의 액상음료를 넣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특허공개번호 10-2012-0096537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음료용기는 그 공개공보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을 개방한 상태로 용기본체의 입구를 통해 농축액을 외부로 인출시켜 음용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음료용기는 용기본체 내부의 농축액이 완벽하게 인출되지 못하며, 이에 정량의 농축액을 음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농축액의 점성으로 인해 쉽게 인출되지 않으며, 이에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386382호(공고일: 2014년 04월 16일)에 의한 음료용기가 알려져 있다.
위 등록특허공보 제10-1386382호에 의한 기술은 음료의 흡입을 쉽게하기 위해서 안출된 기술이었으나, 실제로 흡입 동작이 원활하지 않았고, 내용물을 상방으로 배출하는 추동력이 약하여 흡입이 쉽고 편리하게 구현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부재가 외부에 구비되어서 제작하는 과정과 사용 과정에서 이물질이 끼는 문제가 있었고, 밀폐부재가 꼬이는 문제가 있었다.
1. 특허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12-0096537(공개일: 2012년 08월 30일)
2. 특허문헌2: 등록특허공보 10-1386382(공고일: 2014년 04월 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의 목적은,
첫째, 작은 흡입력만으로도 내용물을 쉽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흡입에 의한 내용물의 음용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부스터부를 쉽게 접히고 펼쳐지게 함으로써 부스터부의 부스팅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부스터 피스톤이 흡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래퍼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점성 있는 액상물에 대하여 잔류물 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탄성 링을 부스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스터 피스톤과 용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이물질도 끼지 않도록 하며,
다섯째, 탄성 링 특유의 구조에 의해서 탄성 링을 쉽고 편리하게 부스터 피스톤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탄성 링 특유의 구조에 의해서 부스터 피스톤이 완벽하게 부스터 피스톤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절취 관체를 돌리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밀봉 시트를 쉽고 편리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음용 대상인 내용물을 보관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관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을 개폐하는 용기 뚜껑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는 부스터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의 윗부분의 용기 본체의 보관공간에 내용물이 보관되며, 상기 부스터 피스톤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피스톤 바디와, 상기 피스톤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바디 쪽의 캐비티 내부로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초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방으로 펼쳐지는 부스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초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부스터부가 상방으로 펼쳐짐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있는 내용물을 상방으로 강제로 토출시키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이 내주면에 밀착하여 상승함으로써 내용물을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부스터부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부스터부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요입되도록 폴딩 홈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피스톤 바디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끼움 홈테에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 홈테에 끼움 결합되어서 반경 방향의 외향으로 상기 피스톤 바디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 바디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링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탄성 링이, 갭이 형성되어 있는 링 바디와, 상기 갭이 형성된 링 바디의 양단에서 중심부 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편에 내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탄성 링이 오므라들어서 외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에 부착되어서 용기 본체의 하단 입구를 막는 밀봉 시트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의 윗부분의 용기 본체의 보관공간에 있는 내용물의 상방 토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밀봉 시트에 공기흡입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밀봉 시트를 절취하는 절취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절취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관부와, 상기 관부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의 내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취 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절취 관체가 상기 용기 본체가 있는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블레이드가 밀봉 시트를 절개하여서 공기흡입구를 절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관부는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부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림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림부의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 관체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를 따라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부스터 피스톤은 밀봉 시트로부터 근접하여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취 관체가 상승하면서 상기 블레이드가 밀봉 시트를 절개한 후에 상기 부스터 피스톤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절취 관체의 내주면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도록 제2 나사부가 용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절취 관체는 나사식으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블레이드는 180 도 간격으로 대향하여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상기 절취 관체의 내주면에는 나선홈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돌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홈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돌기의 가이드에 따라서 상기 절취 관체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은 흡입력만으로도 내용물을 쉽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서, 흡입에 의한 내용물의 음용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부스터부를 쉽게 접히고 펼쳐지게 함으로써 부스터부의 부스팅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스터 피스톤이 흡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래퍼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점성 있는 액상물에 대하여 잔류물 없이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탄성 링을 부스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사용 과정에서 부스터 피스톤과 용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이물질도 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탄성 링 특유의 구조에 의해서 탄성 링을 쉽고 편리하게 부스터 피스톤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탄성 링 특유의 구조에 의해서 부스터 피스톤이 완벽하게 부스터 피스톤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절취 관체를 돌리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밀봉 시트를 쉽고 편리하게 절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의 절취 관체(160)가 상승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부스터부(132)가 펼쳐진 상태의 부스터 피스톤(13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부스터 피스톤(130)의 단면도로서, 도 4의 (a)는 부스터부(132)가 접혀진 상태의 부스터 피스톤(130)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부스터부(132)가 펼쳐진 상태의 부스터 피스톤(130)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탄성편(142)에 외력(F)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의 탄성 링(140)의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탄성편(142)에 외력(F)이 작용하여 탄성 링(140)의 외경이 작아진 상태의 탄성 링(140)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절취 관체(160)의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절취 관체(160)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절취 관체(160)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절취 관체(160)의 측면도이고, 도 8의 (b)는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절취 관체(16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초기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절취 관체(160)가 회전에 의해서 상승하여서 밀봉 시트(150)를 절취하는 동작도이다.
도 11은 외부로부터 초기 흡입력이 작용하여서 부스터부(132)가 펼쳐지고 부스터 피스톤(130)이 상승하는 동작도이다.
도 12는 밀봉 시트(150)가 절취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12의 (a)는 절취되는 과정의 사시도이고, 도 12의 (a)는 절취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용기 본체(110)에 나사홈(114')이 형성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음용 대상인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고, 보관 대상인 내용물은 액상물이고, 바람직하게는 점성이 있는 액상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시는 것이 아닌 빨아서(흡입해서) 음용하는 점성 액상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는, 관 형상의 용기 본체(110)와, 용기 본체(110)의 상단을 개폐하는 용기 뚜껑(120)과,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을 따라서 승강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 구비되는 부스터 피스톤(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의 윗부분의 용기 본체(110)의 보관공간(S1)에 내용물이 보관된다.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캐비티(C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되고 형태의 변화가 없는 피스톤 바디(131)와, 상기 피스톤 바디(1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바디(131) 쪽의 캐비티(Ca) 내부로 접혀져 있는 상태[부스터부(132)의 초기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초기 흡입력[예컨대, 용기 뚜껑(120)이 열려서 용기 본체(110)의 상단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방으로 펼쳐지는 부스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초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부스터부(132)가 상방으로 펼쳐짐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110)에 있는 내용물을 상방으로 밀어서 강제로 토출시키고, 또한 부스터 피스톤(130)이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하여서 상승하여서 내용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킨다.
이에 의하면, 작은 흡입력이 작용하더라도 내용물을 쉽고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어서, 흡입에 의한 내용물의 음용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부스터부(132)가 위로 펼쳐지면서 내용물(액상물)이 1차로 위로 밀어 올려져서 외부로 토출될 때 순간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서 부스터 피스톤(130)이 자연스럽게 빠르게 상승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스터부(132)의 펼쳐지는 작용에 의해서 부스터 피스톤(130)의 상승 동작이 더욱더 원활하고도 빠르고 쉽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은 흡입력이 작용하더라도 부스터부(132)의 펼침 동작에 연동하여 부스터 피스톤(130)이 빠르게 올라갈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흡입이 더욱더 쉽고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스터 피스톤(130)은 내주면(110a)에 밀착되어서 상승하므로(특히, 후술의 탄성 링(140)의 작용에 의해서 더욱더 밀착될 수 있음), 부스터 피스톤(130)이 흡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래퍼 역할을 하므로 점성 있는 액상물에 대하여 잔류물 없이 섭취할 수 있고, 또한 부스터 피스톤(130)과 내주면(110a) 사이에는 이물질도 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부스터 피스톤(130)의 재질은 예컨대 실리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스터부(132)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부스터부(132)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요입되도록 폴딩 홈테(1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폴딩 홈테(135)에서 부스터부(132)가 쉽게 접히고 펼쳐지게 되어서 부스터부(132)의 부스팅 동작(펼침에 의해서 내용물을 상방으로 배출 내지 토출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바디(131)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끼움 홈테(133)에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 홈테(133)에 끼움 결합되어서 반경 방향의 외향으로 상기 피스톤 바디(131)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 바디(131)가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링(14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링(140)에 의하면, 부스터 피스톤(130)과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과의 밀착력을 유지하여 내용물의 누수를 막고, 부스터 피스톤(130)의 상승시에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스터 피스톤(130)의 특히 피스톤 바디(131)의 형태를 유지해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탄성 링(140)은 재질이 합성수지재(예컨대 폴리플로필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링(140)은, 갭(141a)이 형성되어 있는 링 바디(141)와, 상기 갭(141a)이 형성된 링 바디(141)의 양단에서 탄성 링(140)의 중심부 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간격(142a)을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14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142)은 링 바디(141)에 대하여 탄성이 있어서, 탄성편(142)에 내측으로 외력(F)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 링(140)이 오므라들어서 외경이 작아지게 되고, 외력(F)을 제거하면 다시 복원되어서 외경이 커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편(142)에 내측으로 외력(F)이 작용하는 경우 외경을 작게 하여 부스터 피스톤(130)으로 넣기가 용이하고, 넣은 후에 탄성편(142)에 작용했던 외력(F)을 제거하면 탄성 링(140)이 복원되어서 반경이 커지고 따라서 끼움 홈테(133)에 밀착되어서 외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부스터 피스톤(130)이 완벽하게 내주면(110a)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의 하단에 부착되어서 용기 본체(110)의 하단 입구를 막는 밀봉 시트(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예컨대 밀봉 시트(150)는 알루미늄 박막 시트로 형성될 수 있고,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이 밀봉 시트(150)는 뜨거운 내용물을 투입하거나 내용물의 살균시 용기 본체(110)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부스터 피스톤(130)이 하단 입구를 통해서 밖으로 밀려나와 내용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의 윗부분의 용기 본체(110)의 보관공간(S1)에 있는 내용물의 상방 토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밀봉 시트(150)에 공기흡입구(150a)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밀봉 시트(150)를 절취하는 절취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홀(H1)이 형성된 관부(161)와, 상기 관부(161)의 내주면(161a)에서 반경방향의 내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취 관체(160)로 구성되며, 상기 절취 관체(160)가 상기 용기 본체(110)가 있는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블레이드(165)가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여서 공기흡입구(150a)를 절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절취 관체(160)가 상승하여서 공기흡입구(150a)를 절취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부스터 피스톤(130)의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내용물을 흡입할 수 없는 경우에 공기흡입구(150a)를 통해서 손가락이나 스틱을 이용해서 부스터 피스톤(130)을 강제적으로 상승시켜서 내용물을 컵에 부어서 물에 희석해서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관부(161)는 원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부(161)의 내주면(161a)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림부(16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165)는 상기 림부(162)의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 관체(160)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110)를 따라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내용물의 흡입시에 별도의 절취 도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절취 관체(160)를 돌리기만 하면 간단히 외부공기가 유입되어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65)와 관부(161)의 내주면(161a) 사이에는 수용공간(Sc)이 형성되어 있어서 절취 관체(160)가 회전에 의해서 상승할 때 용기 본체(110)가 수용공간(Sc)에 수용되어서 절취 관체(160)의 상승이 원활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은 밀봉 시트(150)에서 근접하여[이격 간격(d1)은 10 mm 이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절취 관체(160)가 상승하면서 상기 블레이드(165)가 밀봉 시트(150)를 절개한 후에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용물이 끈적끈적한 점성이 있는 액상물인 경우 부스터 피스톤(130)이 이 액상물의 끈적끈적한 점성에 의해서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약하게 달라붙는 경우가 있는데(점착 효과), 이와 같이 부스터 피스톤(130)이 내주면(110a)에 달라붙어 있는 경우, 절취 관체(160)가 위로 상승하면서 살짝 달라붙어 있는 부스터 피스톤(130)을 위로 밀어 올려서 내주면(110a)에 약하게 붙어 있는 부스터 피스톤(130)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165)는 180 도 간격으로 대향하여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절취 관체(160)를 180 도(반 바퀴)만 돌리면 원형의 공기흡입구(150a)를 절취할 수 있으므로, 절취 동작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절취 관체(160)의 내주면(161a)에는 제1 나사부(163)가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163)와 나사 결합하도록 제2 나사부(114,114')가 용기 본체(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나사부(163)와 제2 나사부(114,114')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절취 관체(160)는 나사식으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나사부(163)가 제2 나사부(114,114')를 타고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서 블레이드(165)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여 원형의 공기흡입구(150a) 형태로 절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150a)는 예컨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1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구멍이면 그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65)가 180 도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대향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응하여서, 상기 제1 나사부(163) 역시 180 도 간격으로 이격되어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제1 나사부(163)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나사부(163)가 나사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나사부(114)는 나사산(114)으로 형성되고[도 1, 도 2, 도 6 내지 도 11], 제1 나사부(163)가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나사부(114')는 나사홈(114')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3].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취 관체(160)의 내주면(160a)에는 나선홈(164)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홈(164)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돌기(116)가 상기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110b)에서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홈(164)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돌기(116)의 가이드에 따라서 상기 절취 관체(160)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탄성 링(140)을 부스터 피스톤(130)에 삽입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링(140)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의 부스터 피스톤(130)이 용기 본체(110)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42)에 대하여 외력(F)을 작용하여 탄성 링(140)의 직경을 작게 만든 후에 이 직경이 작아진 탄성 링(140)을 부스터 피스톤(130)의 끼움 홈테(133)에 인서트하고, 외력(F)을 제거하면 탄성 링(140)이 벌어지면서 직경이 커져서 부스터 피스톤(130)이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기밀이 유지되면서 밀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절취 관체(160)를 돌려서 밀봉 시트(150)를 절취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용하기 전 상태인 초기에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터 피스톤(130)은 용기 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밀봉 시트(150)에 근접하게 예컨대 10 mm 이내의 간격(d1)으로 구비되고, 블레이드(165)가 밀봉 시트(150)에 닿거나 또는 바로 아래 위치하도록 절취 관체(160)가 용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다.
이제 절취 관체(160)를 반시계방향(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돌리면 절취 관체(160)가 나선상으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면서 블레이드(165)가 밀봉 시트(150)를 원형으로 절개하면서 공기흡입구(150a)가 형성된다.
공기흡입구(150a)가 형성되었으므로 음용할 준비가 된 상태가 된 것이다.
이제 용기 뚜껑(120)을 열고 초기 흡입력을 작용하면 부스터부(132)가 위로 펼쳐지고 동시에 부스터 피스톤(130)이 상승하여서 내용물을 위로 배출하게 되어서 음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용기 본체 110a : 용기 본체의 내주면
110b : 용기 본체의 외주면 114, 114' : 제2 나사부
116 : 가이드돌기 S1 : 용기 본체의 보관공간
120 : 용기 뚜껑 130 : 부스터 피스톤
Ca : 부스터 피스톤의 캐비티
131 : 피스톤 바디
132 : 부스터부 133 : 끼움 홈테
135 : 폴딩 홈테 140 : 탄성 링
141 : 링 바디 141a : 링 바디의 갭
142 : 탄성편 142a : 탄성편의 간격
150 : 밀봉 시트 150a : 공기흡입구
160 : 절취 관체 161 : 관부
H1 : 관부의 관통홀 161a : 관부의 내주면
162 : 림부 163 : 제1 나사부
164 : 나선홈 165 : 블레이드
Sc : 수용공간

Claims (4)

  1. 음용 대상인 내용물을 보관하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관 형상의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단을 개폐하는 용기 뚜껑(120)과,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을 따라서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 구비되는 부스터 피스톤(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의 윗부분의 용기 본체(110)의 보관공간(S1)에 내용물이 보관되며,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캐비티(C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되는 피스톤 바디(131)와,
    상기 피스톤 바디(1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바디(131) 쪽의 캐비티(Ca) 내부로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초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방으로 펼쳐지는 부스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초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부스터부(132)가 상방으로 펼쳐짐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110)에 있는 내용물을 상방으로 강제로 토출시키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이 내주면(110a)에 밀착하여 상승함으로써 내용물을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부(132)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부스터부(132)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요입되도록 폴딩 홈테(1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바디(131)의 내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끼움 홈테(133)에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 홈테(133)에 끼움 결합되어서 반경 방향의 외향으로 상기 피스톤 바디(131)에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 바디(131)가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110a)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 링(14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의 하단에 부착되어서 용기 본체(110)의 하단 입구를 막는 밀봉 시트(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부스터 피스톤(130)의 윗부분의 용기 본체(110)의 보관공간(S1)에 있는 내용물의 상방 토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밀봉 시트(150)에 공기흡입구(150a)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밀봉 시트(150)를 절취하는 절취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KR1020160073452A 2016-06-13 2016-06-13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KR10165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52A KR101651225B1 (ko) 2016-06-13 2016-06-13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52A KR101651225B1 (ko) 2016-06-13 2016-06-13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225B1 true KR101651225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52A KR101651225B1 (ko) 2016-06-13 2016-06-13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2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537A (ko) 2009-12-24 2012-08-30 비엠 골 피티와이 리미티드 일회용 용기 및 이의 용도
KR101386382B1 (ko)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KR101447558B1 (ko) * 2013-08-06 2014-10-15 김길수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537A (ko) 2009-12-24 2012-08-30 비엠 골 피티와이 리미티드 일회용 용기 및 이의 용도
KR101386382B1 (ko)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KR101447558B1 (ko) * 2013-08-06 2014-10-15 김길수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10239647B2 (en) Squeezable leak proof feeding bottle
RU2573973C2 (ru) Бутылка с доз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EP2839852A1 (en) Washing water spraying vessel for nasal cavity cleaner
WO1991014630A1 (en) Pump-type dispenser package with flexible disposable recharge
US7562838B2 (en) Food processor bowl and food processor
US20140135683A1 (e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for expressing breast milk
ITBO20110068A1 (it) Capsula per il contenimento di un preparato per bevanda calda
KR101583489B1 (ko) 뚜껑에 물티슈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KR101651225B1 (ko) 부스터 흡입 방식의 음료 용기
US9409760B1 (en) Fluid dispenser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DK172173B1 (da) Dråbefanger, navnlig til en flaske eller lignende væskebeholder
US9481560B2 (en) Tubular bag with metering device
CN210259479U (zh) 流体吐出容器
US10399101B1 (en) Container with detachable bottom and dispenser
JP2019107435A (ja) 化粧液保管用アンプル
WO2001049583A1 (en)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osure receptacle for fluid
KR101718248B1 (ko)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FR2904610A1 (fr) Bouchon avec systeme de valve automatique a sens unique
KR101395301B1 (ko) 첨가제의 개별투입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용 캡슐캡
KR101718245B1 (ko) 케이스 탈부착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
US11027895B1 (en) Device for extracting residual amounts of fluid from a container
JP6599405B2 (ja) 液体容器用蓋体及び液体容器
US20130306647A1 (en) Attachable utensil for a flexible pouch containing edibl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