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631A - 절약형 유체 용기 - Google Patents

절약형 유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631A
KR20120094631A KR1020110014008A KR20110014008A KR20120094631A KR 20120094631 A KR20120094631 A KR 20120094631A KR 1020110014008 A KR1020110014008 A KR 1020110014008A KR 20110014008 A KR20110014008 A KR 20110014008A KR 20120094631 A KR20120094631 A KR 20120094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uid container
hole
filling liqu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062B1 (ko
Inventor
김준석
Original Assignee
김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석 filed Critical 김준석
Priority to KR102011001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0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 B65D2231/007Funnels or the like
    • B65D2231/008Funnels or the like integral with the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5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draining 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s, e.g. soup, m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약형 유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제, 샴푸 또는 화장품 등과 같이 충진액을 보관하는 하우징의 하단에 개폐 가능한 압출마개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충진액을 전량 소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하우징(10)에 저장된 충진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몸체 하단부가 바닥면(12)보다 하부로 더 연장된 받침대(11)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면(12)은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고, 그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 토출부(13)에 유입홈(14a)을 구비한 관통홀(14)을 형성시켜, 압출마개(30)가 상기 토출부(13)의 관통홀(14)에 끼워져 상하 이동되게 구성한다.
상기 압출마개(30)는, 바닥면(12) 상단에 걸려지는 머리부(31)와;
상기 머리부(31)의 하부에 성형되어, 바닥면(12)의 관통홀(14)에 끼워지며, 상기 유입홈(14a)과 대응하는 배출홈(32a)이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몸체(32)와;
상기 끼움몸체(32)의 저부로 걸림홈(33)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13)의 걸림턱(15)이 끼워지며, 이 하부로 바닥면(12)의 하단에서 외부에 위치하는 가압판(34)이 일체로 구성되게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2)의 토출부(13)로 하부로 벌어지는 굴곡면(16)을 갖는 관통홀(14)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몸체(32)에 굴곡면(16)을 따라 밀착되게 결합되는 끼움면(32b)과, 이 끼움면(32b)의 상단으로 바닥면(12) 상부에 걸려지는 머리부(31)를 성형시켜 압출마개(30)가 조립 구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절약형 유체 용기 {a economic case}
본 발명은 절약형 유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제, 샴푸 또는 화장품 등과 같이 충진액을 보관하는 하우징의 하단에 개폐 가능한 압출마개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충진액을 전량 소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 샴푸 또는 화장품 등과 같이 몸체 내부로 충진액을 보관하는 유체 용기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펌핑 배출부재(20)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의 충진액을 배출 사용하고 있었다.
즉, 하우징(10)의 상부에서 펌핑 배출부재(20)를 수동조작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충진액이 유입관(21)과 펌핑 배출부재(20)를 통과해 외부로 적정량 토출되게 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배출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 펌핑 배출부재(2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종래 상기 펌핑 배출부재에 연결된 유입관은 하우징 내부에서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어, 이 유입관의 끝단에서 하우징 바닥면 사이에 있는 잔존하는 충진액의 사용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 종래 하우징 바닥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중앙부가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여서, 하우징 내부의 잔존하는 충진액의 양이 증가된 상태에서도, 유입관을 통해 완전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의 충진액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상태로 유체 용기가 폐기됨으로써, 이 잔존 충진액으로 인한 각종 환경오염과 함께 자원의 낭비가 발생되었다.
즉, 상기 유체 용기는, 폴리에스테르(PET), 알루미늄 등의 재질을 이용해 재활용이 가능하였으나,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 용기를 재활용하고자 할 때 하우징내부에 잔존하는 충진액으로 인해 세척에 어려움이 있고, 그에 따른 세척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우징 상부의 펌핑 배출부재를 이용해 충진액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잔존하는 충진액은 하우징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 바닥면에 압출마개가 구비되도록 한 절약형 유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바닥면은 토출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성형하여, 유체 용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충진액의 이동흐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충진액 전량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소모할 수 있도록 한 절약형 유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하부에서 압출마개를 잡아당겨 토출부의 배출홀을 억지 개폐시키는 방식을 갖도록 함으로써, 유체 용기에 가해지는 외력에 압출마개가 임의적으로 개방되지 않아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절약형 유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10)에 저장된 충진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몸체 하단부가 바닥면(12)보다 하부로 더 연장된 받침대(11)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면(12)은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고, 그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 토출부(13)에 유입홈(14a)을 구비한 관통홀(14)을 형성시켜, 압출마개(30)가 상기 토출부(13)의 관통홀(14)에 끼워져 상하 이동되게 구성한다.
상기 압출마개(30)는, 바닥면(12) 상단에 걸려지는 머리부(31)와;
상기 머리부(31)의 하부에 성형되어, 바닥면(12)의 관통홀(14)에 끼워지며, 상기 유입홈(14a)과 대응하는 배출홈(32a)이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몸체(32)와;
상기 끼움몸체(32)의 저부로 걸림홈(33)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13)의 걸림턱(15)이 끼워지며, 이 하부로 바닥면(12)의 하단에서 외부에 위치하는 가압판(34)이 일체로 구성되게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2)의 토출부(13)로 하부로 벌어지는 굴곡면(16)을 갖는 관통홀(14)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몸체(32)에 굴곡면(16)을 따라 밀착되게 결합되는 끼움면(32b)과, 이 끼움면(32b)의 상단으로 바닥면(12) 상부에 걸려지는 머리부(31)를 성형시켜 압출마개(30)가 조립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 용기 내부의 충진액을 펌핑 배출부재를 이용해 토출하는 과정에서, 유입관 끝단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잔존 충진액은 하우징 바닥면에 구비된 압출마개를 이용해 배출되도록 하여, 하우징내의 모든 충진액을 완전히 소비할 수 있어, 소비자의 이익 및 자원의 절약과 함께 환경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하우징 바닥면을 경사지게 성형하여, 유체 용기를 세워놓으면 자연스럽게 잔존 충진액을 토출부로 이동시켜 포집함으로써, 내부 충진액의 배출이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이 증대 된다.
또한, 상기 유체 용기는, 내부 잔존 충진액을 배출하는 압출마개가 충격에 도 임의로 개방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개폐시키도록 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유체 용기를 일부 절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유체 용기를 일부 절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하우징의 바닥면을 확대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압출마개를 하향 이동시켜 내부 충진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절약형 유체 용기는, 세제, 샴푸 또는 화장품 등과 같이 충진액을 보관하는 하우징의 하단에 개폐 가능한 압출마개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충진액을 전량 소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세제, 샴푸 또는 화장품 등과 같이 몸체 내부로 충진액을 보관하는 유체 용기(100)에, 펌핑 배출부재(20)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의 충진액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된 펌핑 배출부재(20)를 수동 조작하면, 하우징(10) 내부의 충진액이 유입관(21)과 펌핑 배출부재(20)를 통과해 외부로 적정량 토출시켜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 충진액을 점차적으로 사용하여 소모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체 용기(100)를 사용자가 장기간 사용하면, 하우징(10)내부의 충진액이 점차 소진되면서, 유입관(21) 끝단과 바닥면(12) 사이의 충진액은, 펌핑 배출부재(20)의 조작에도 배출되지 않고 하우징(10)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 상기 하우징(10)의 외형몸체 하단을 바닥면(12)보다 하부로 더 연장되게 형성하여 받침대(11)로 형성하며, 이 받침대(11) 상부에서 성형되는 바닥면(12)은 하향 경사지게 하여, 하우징(10)내부의 잔존 충진액이 경사면을 따라 최저점의 바닥면(12)으로 모여지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하향 경사져 내부 충진액이 모여진 바닥면(12)의 중앙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토출부(13)가 성형되며, 이 토출부(13)로 충진액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는 압출마개(30)를 결합시켜 구성한다.
상기 토출부(13)의 형상은, 하우징(10) 내부에서 바닥면(12) 중앙의 관통홀(14) 주위로 방사형태의 유입홈(14a)이 형성되어, 이 유입홈(14a)을 통해 하우징(10)내부의 잔존 충진액이 관통홀(14)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13)의 관통홀(14)에는 압출마개(30)가 끼워져, 압출마개(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관통홀(14)을 차폐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압출마개(30)의 개방시에만 잔존 충진액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압출마개(3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바닥면(12) 상단에 걸려지는 머리부(31)와, 이 머리부(31)의 하부에 성형되어 바닥면(12)의 관통홀(14)에 끼워지는 끼움몸체(32)와, 바닥면(12) 하단에 위치되는 가압판(34)의 형상을 갖고 일체로 성형된다.
또, 상기 압출마개(30)의 머리부(31) 하단에는, 끼움몸체(32)의 주위을 따라 간격유지돌기(31a)가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여 압출마개(30)의 하부 이동시 머리부(31)가 바닥면(12) 상단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유지돌기(31a)의 틈새로 잔존 충진액이 유입홈(14a)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몸체(32)의 외주면에는, 상기 토출부(13)의 유입홈(14a)과 대응하는 배출홈(32a)이 형성되게 하여, 유입홈(14a)으로 이동된 충진액이 끼움몸체(32)의 배출홈(32a)을 따라 이동되는 경로를 갖게 된다.
또, 끼움몸체(32)와 가압판(34)의 사이에는 걸림홈(33)이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3)의 하단에 성형한 걸림턱(15)이, 상기 걸림홈(33)에 끼워져 압출마개(30)가 임의의 충격에도 이동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가압판(34)을 잡고 개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약형 유체 용기(100)의 압출마개(30)를 개방시켜, 하우징(10) 내부에 잔존하는 충진액을 완전 소비하는 과정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체 용기(100)를 들어 바닥면(12)의 하단에 결합된 가압판(34)을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압출마개(30)의 끼움몸체(32)가 관통홀(14)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머리부(31)의 간격유지돌기(31a)가 바닥면(12) 상단에 걸려 지면서 압출마개(30)의 이동은 단속 된다.
이때, 상기 끼움몸체(32)에 형성된 배출홈(32a)은, 관통홀(14)을 따라 하향이동되어 하우징(10)의 내,외부와 서로 연통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바닥면(12)을 따라 이동된 충진액이 유입홈(14a)과 배출홈(32a)을 거쳐 하우징(10)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 상기 압출마개(30)를 개방시켜 충진액을 일정량 토출한 후에는 다시 압출마개(30)를 상부로 가압하면, 걸림홈(33)에 걸림턱(15)이 다시 끼워져 압출마개(3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고, 배출홈(32a)은 관통홀(14)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갖게 되어 충진액의 임의 토출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압출마개(30)가 하우징(10)의 바닥면(12)과 분리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충진액을 완전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압출마개(30)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바닥면(12)의 토출부(13)가 몸체 하부로 벌어지는 굴곡면(16)을 갖도록 관통홀(14)을 형성한다.
또, 압출마개(30)의 끼움몸체(32)에는, 상기 굴곡면(16)을 따라 몸체가 밀착되게 결합되는 끼움면(32b)을 성형시켜, 압출마개(30)가 토출부(13)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게 하였다.
또한, 압출마개(30)는 끼움몸체(32)의 상단 머리부(31)가 끼움면(32b)을 따라 연장된 라운드 형상을 갖고 바닥면(12) 상단에 걸려지도록 확장 성형되어, 제품 생산시 압출마개(30)를 하우징(10)에 신속히 조립되도록 하여 생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바닥면(12) 상단에 걸려진 머리부(31)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끼움몸체(32)의 하단에 일체로 성형된 가압판(34)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압출마개(3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굴곡면(16)을 따라 끼움면(32b) 및 머리부(31)가 가이드 이동되면서 억지 분리되어, 하우징(10)내부에 잔존하는 충진액이 완전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받침대
12 - 바닥면 13 - 토출부
14 - 관통홀 14a - 유입홈
15 - 걸림턱 20 - 펌핑 배출부재
21 - 유입관 30 - 압출마개
31 - 머리부 31a - 간격유지돌기
32 - 끼움몸체 32a - 배출홈
33 - 걸림홈 34 - 가압판
100 - 유체 용기

Claims (4)

  1. 하우징(10)에 저장된 충진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유체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몸체 하단부가 바닥면(12)보다 하부로 더 연장된 받침대(11)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면(12)은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고, 그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된 토출부(13)에 유입홈(14a)을 구비한 관통홀(14)을 형성시켜, 압출마개(30)가 상기 토출부(13)의 관통홀(14)에 끼워져 상하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절약형 유체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마개(30)는, 바닥면(12) 상단에 걸려지는 머리부(31)와;
    상기 머리부(31)의 하부에 성형되어, 바닥면(12)의 관통홀(14)에 끼워지며, 상기 유입홈(14a)과 대응하는 배출홈(32a)이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몸체(32)와;
    상기 끼움몸체(32)의 저부로 걸림홈(33)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토출부(13)의 걸림턱(15)이 끼워지며, 이 하부로 바닥면(12)의 하단에서 외부에 위치하는 가압판(34)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약형 유체 용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의 토출부(13)로 하부로 벌어지는 굴곡면(16)을 갖는 관통홀(14)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몸체(32)에 굴곡면(16)을 따라 밀착되게 결합되는 끼움면(32b)과, 이 끼움면(32b)의 상단으로 바닥면(12) 상부에 걸려지는 머리부(31)를 성형시켜 압출마개(30)가 조립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약형 유체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유입관(21)을 갖는 펌핑 배출부재(20)가 결합되어, 이 펌핑 배출부재(20)의 동작으로 충진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절약형 유체 용기.
KR1020110014008A 2011-02-17 2011-02-17 절약형 유체 용기 KR10121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08A KR101219062B1 (ko) 2011-02-17 2011-02-17 절약형 유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08A KR101219062B1 (ko) 2011-02-17 2011-02-17 절약형 유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31A true KR20120094631A (ko) 2012-08-27
KR101219062B1 KR101219062B1 (ko) 2013-01-21

Family

ID=4688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08A KR101219062B1 (ko) 2011-02-17 2011-02-17 절약형 유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382B1 (ko) *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US10843914B1 (en) 2019-05-10 2020-11-24 Dan Weatherly Pump bottle access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50A (ko) 2018-11-27 2020-06-04 김명범 세제 용기
KR20220168898A (ko) 2021-06-17 2022-12-26 이순정 알뜰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8109B1 (fr) * 1994-03-30 1996-05-31 Reboul Smt Conditionnement rechargeable et sa cartouche.
JP4847725B2 (ja) 2005-08-02 2011-12-28 プレスコ株式会社 混合吐出容器
JP2008290745A (ja) * 2007-05-24 2008-12-04 Chihiro Hirata ポンプ式液体吐出容器
KR100856728B1 (ko) 2007-05-29 2008-09-04 유정민 펌프식 액체 절약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382B1 (ko) *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US10843914B1 (en) 2019-05-10 2020-11-24 Dan Weatherly Pump bottle acc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062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62B1 (ko) 절약형 유체 용기
KR20080092243A (ko) 내용물 역류 방지기능을 갖는 거품 토출 펌프 디스펜서
KR101366696B1 (ko)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JP5996355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JP4761358B2 (ja) 計量カップと該計量カップ装着容器
KR20100006674U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JP2008296987A (ja) ポンプ容器
JP5614775B2 (ja) 計量振出キャップ
TWI500566B (zh) Squeeze the cover of the container
JP6629641B2 (ja) 液体取出装置
JP2008114862A (ja) 液体吐出器
KR100998348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CN205931881U (zh) 按压式液体真空容器
KR101140380B1 (ko)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JP6629642B2 (ja) 液体取出装置
KR101539632B1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JP4018017B2 (ja) 液体噴出器
CN209814697U (zh) 一种新型的陶瓷挤液瓶
JPH11240553A (ja) 液体注出容器
KR200450863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JP4953241B2 (ja) 液体吐出容器
JP3655414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20200001908A (ko) 잔량 토출용 액체 용기 제작방법
CN103786991B (zh) 螺旋挤出式洁厕剂包装容器
KR200468647Y1 (ko) 브로우 다중 성형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