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520B1 -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20B1
KR101523520B1 KR1020130136007A KR20130136007A KR101523520B1 KR 101523520 B1 KR101523520 B1 KR 101523520B1 KR 1020130136007 A KR1020130136007 A KR 1020130136007A KR 20130136007 A KR20130136007 A KR 20130136007A KR 101523520 B1 KR101523520 B1 KR 10152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beverage
bellows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081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130136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음료를 음용케 하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개폐 구조로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하부에 부력부재를 갖으며 상부에 자바라부가 형성된 주름빨대가 배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측 내측면에 상기 주름빨대의 자바라부가 끼움되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 외측면에는 돌출되게 누름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돌기를 가압하여 주름빨대를 용기본체의 주입구로 인출시켜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함으로서, 빨대로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음료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 CONTAINER FOR DRINKING WATER }
본 발명은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수가 충진되는 용기본체에 누름돌기가 형성되게 삽입홈을 마련하고 용기본체에 내장되는 주름빨대의 자바라부를 삽입홈에 끼워 고정시키고, 주름빨대의 하부를 절곡되게 끼움돌부에 끼워 고정시켜, 사용자가 누름돌기를 가압하여 주름빨대를 용기본체의 주입구로 인출시켜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함으로서, 빨대로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음료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조깅과 같은 활동적인 야외 활동 또는 빈번하게 수분을 섭취하는 어린이를 동반하는 등 야외 나들이를 할 때, 갈증 해소를 위하여 생수나 이온 음료를 포함하는 각종 음료를 지니게 된다.
야외 활동을 위하여 출발하기 전에, 생수나 음료를 별도의 물통 또는 용기에 담아 휴대하는 경우도 있지만, 물통을 청소하거나 사전에 준비하는 등의 불편 때문에 시중에서 생수나 음료를 직접 구입하고 그 음료 용기 그 자체로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수 병이나 음료 용기에는 유리로 제작된 것이 있기는 하지만, PET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 PET의 음료 용기는, 부피가 적으면서 파손의 우려가 적고 가볍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등산이나 야외 활동 및 운전 중 음료를 음용할 경우 병구를 입에 대고 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빨대를 이용할 경우 별도로 빨대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물질의 혼입으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구의 나사산 부분이 밀폐가 되어있지 않으므로, 생산시나 보관중 이물질이 흡착할 가능성이 있어, 입에 대고 마실 경우 흡착된 이물질과 함께 음료를 음용하게 되므로 건강에 해를 끼치는 심각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수가 충진되는 용기본체에 누름돌기가 형성되게 삽입홈을 마련하고 용기본체에 내장되는 주름빨대의 자바라부를 삽입홈에 끼워 고정시키고, 주름빨대의 하부를 절곡되게 끼움돌부에 끼워 고정시켜, 사용자가 누름돌기를 가압하여 주름빨대를 용기본체의 주입구로 인출시켜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함으로서, 빨대로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음료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음료를 음용케 하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개폐 구조로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하부에 부력부재를 갖으며 상부에 자바라부가 형성된 주름빨대가 배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측 내측면에 상기 주름빨대의 자바라부가 끼움되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 외측면에는 돌출되게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자바라부의 절곡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걸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각선방향으로 바라보도록 하측 모서리 부분에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움된 상기 주름빨대의 하단부가 끼움,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주름빨대는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끼움돌기에 끼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빨대에는 내부에 혼합액이 충진된 충진주머니와 상기 충진주머니가 배치되는 공간을 갖으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면에는 타공돌기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주름빨대에 고정되도록 홀더가 형성된 분출케이스로 이루어진 혼합기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테이퍼지게 숄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는 상기 누름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누름돌기는 일측면인 가압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는 음료수가 충진되는 용기본체에 누름돌기가 형성되게 삽입홈을 마련하고 용기본체에 내장되는 주름빨대의 자바라부를 삽입홈에 끼워 고정시키고, 주름빨대의 하부를 절곡되게 끼움돌부에 끼워 고정시켜, 사용자가 누름돌기를 가압하여 주름빨대를 용기본체의 주입구로 인출시켜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함으로서, 빨대로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음료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용 후 음료수의 잔량을 보관시 빨대가 병 내부에 수납되고 캡으로 밀봉함으로서 위생적으로 빨대를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다시 음용시 캡을 분리함과 동시에 빨대가 부양하게 되므로, 간편하게 재사용하여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10)(이하 설명의 편의상 음료용기라 명명함)는 내부에 빨대가 내장되어 음료를 음용시 사용자가 빨대의 상부를 외부로 인출하여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음료용기는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수용공간(21)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음료를 음용케 하는 주입구(22)를 구비하는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주입구(22)에 개폐 구조로 결합되는 뚜껑과 용기본체(2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주름빨대(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30)의 내부에는 하부에 부력부재(40)를 갖으며 상부에 자바라부(31)가 형성된 상기 주름빨대(30)가 배치되며, 상기 용기본체(20)에는 상측 내측면에 상기 주름빨대(30)의 자바라부(31)가 끼움되도록 삽입홈(2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3)이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본체(20)의 상측 외측면에는 돌출되게 누름돌기(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20)는 페트병 (Polyethylene phthalate)이며, 박판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이면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홈(23)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홈(231)이 더 형성되어, 상기 자바라부(31)의 절곡돌기(311)가 상기 걸림홈(231)에 삽입,걸림되도록 한다.
즉, 삽입홈(23)에 자바라부(31)의 절곡돌기(311)가 걸림되어 주름빨대(30)가 용기본체(50)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23)에 걸림홈(231)이 형성되면서, 상기 누름돌기(24)에 돌출되게 다수의 마찰돌기(241)가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누름돌기(24)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테이퍼지게 숄더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25)에는 상기 누름돌기(24)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누름돌기(24)는 가압면이 직각의 수직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곡선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누름돌기(24)의 직각의 가압면을 사용자가 가압하게 되면, 삽입홈(23)에서 주름빨대(30)가 분리됨과 아울러 후술될 주름빨대(30)의 하부가 대각선방향으로 절곡되게 배치되어 그 탄성에 의해 분리 후 주입구(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부력부재(4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원형 또는 사각의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주름빨대(30)의 하부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주름빨대(3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력부재(40)는 부력을 갖으며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갖는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20)에는 상기 삽입홈(23)과 대각선방향으로 바라보도록 하측 모서리 부분에 끼움돌기(26)가 더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3)에 상부가 끼움,고정된 상기 주름빨대(30)의 하단부가 끼움,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주름빨대(30)는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끼움돌기(26)에 끼움된다.
즉, 주름빨대(30)의 자바라부(31)가 상기 삽입홈(23)에 걸림되게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주름빨대(30)의 하부가 절곡되게 상기 끼움돌기(26)에 끼움된 상태로 배치되어 절곡되면서 발생되는 주름빨대(30)의 탄성과 끼움체결된 자바라부(31)에 의해 도면상 주름빨대(30)의 상,하 양단부가 용기본체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고, 주름빨대(30)의 자바라부(31)가 분리시 절곡된 탄성에 의해 경사진 상기 숄더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주입구에서 인출된다.
이때, 상기 주름빨대(30)에는 내부에 혼합액이 충진된 충진주머니(51)와 상기 충진주머니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충진주머니보다 큰 공간을 갖으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게 통로(52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면에는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타공돌기(522)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주름빨대(30)에 고정되도록 홀더(523)가 형성된 분출케이스(52)로 이루어진 혼합기(50)가 더 체결된다. 상기 홀더(523)는 한쌍의 지지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상기 주름빨대가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혼합기를 상기 주름빨대에 접착 또는 융착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음료를 일정부분 음용 후 상기 주름빨대(30) 또는 상기 용기본체(20)를 상하로 흔들게 되면, 상기 충진주머니(51)가 이동되면서 상기 타공돌기(522)에 의해 타공되어 충진된 혼합액이 상기 통로(521)를 통해 용기본체(20)의 내부로 유출되고 유출된 혼합액은 물과 섞이게 되고, 사용자는 섞인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액은 과실 농축액이 주로 사용되며, 분말형태의 것도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손가락으로 누름돌기(24)를 가압하여 삽입홈(23)에서 자바라부(31)를 분리시킨 후 사용자가 용기본체(20)에서 뚜껑을 분리하면, 절곡된 형태로 배치된 주름빨대(30)가 그 탄성과 부력부재의 부력에 의해 용기본체(20)의 입구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아울러 입구를 통해 자바라부(31)가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가 노출된 자바라부(31)를 인출하여 음료를 음용하게 됨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10 : 음료용기 20 : 용기본체
30 : 주름빨대 40 : 부력부재
50 : 혼합기 21 : 수용공간
22 : 주입구 23 : 삽입홈
231 : 걸림홈 24 : 누름돌기
241 : 마찰돌기 25 : 숄더부
26 : 끼움돌부 31 : 자바라부
311 : 절곡돌기 51 : 충진주머니
52 : 분출케이스 521 : 통로
522 : 타공돌기 523 : 홀더

Claims (5)

  1.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음료를 음용케 하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에 개폐 구조로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하부에 부력부재를 갖으며 상부에 자바라부가 형성된 주름빨대가 배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측 내측면에 상기 주름빨대의 자바라부가 끼움되도록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 외측면에는 돌출되게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주름빨대에는 내부에 혼합액이 충진된 충진주머니와 상기 충진주머니가 배치되는 공간을 갖으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공간과 연통되게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면에는 타공돌기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주름빨대에 고정되도록 홀더가 형성된 분출케이스로 이루어진 혼합기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자바라부의 절곡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걸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각선방향으로 바라보도록 하측 모서리 부분에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움된 상기 주름빨대의 하단부가 끼움,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주름빨대는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끼움돌기에 끼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테이퍼지게 숄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는 상기 누름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누름돌기는 일측면인 가압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KR1020130136007A 2013-11-11 2013-11-11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KR10152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07A KR101523520B1 (ko) 2013-11-11 2013-11-11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007A KR101523520B1 (ko) 2013-11-11 2013-11-11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081A KR20150054081A (ko) 2015-05-20
KR101523520B1 true KR101523520B1 (ko) 2015-05-28

Family

ID=5339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007A KR101523520B1 (ko) 2013-11-11 2013-11-11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28B1 (ko) 2018-02-23 2020-01-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영상처리를 이용한 실시간 열차 상태정보 추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674A (ko) * 1997-05-15 2001-04-25 더 폽스트로 컴파니, 엘엘씨 드링크 빨대가 자체 내장된 음료 용기
KR200348268Y1 (ko) * 2004-01-20 2004-04-28 김재석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KR20040096875A (ko) * 2004-10-04 2004-11-17 정순용 음료캔 내장형 빨대 및 부력체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674A (ko) * 1997-05-15 2001-04-25 더 폽스트로 컴파니, 엘엘씨 드링크 빨대가 자체 내장된 음료 용기
KR200348268Y1 (ko) * 2004-01-20 2004-04-28 김재석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KR20040096875A (ko) * 2004-10-04 2004-11-17 정순용 음료캔 내장형 빨대 및 부력체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081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781B (zh) 用于瓶子的具有可折叠吸管的瓶盖
US20150173557A1 (en) Tea bag storage case for mineral water bottle having integrated cap
US20150321793A1 (en) Container
US20160362225A1 (en) Connectible container
KR101523520B1 (ko)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101323374B1 (ko) 식용기름병
US20150282653A1 (en) Beverage Container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KR101982316B1 (ko) 혼합용 마개장치
CN211495313U (zh) 一种二合一滴管装置
US20060093426A1 (en) Compressible spill-proof container
CN205150742U (zh) 饮料瓶
KR101386382B1 (ko) 음료용기
US20110108516A1 (en) Ergonomic sports bottle having disposable liner
CN207157880U (zh) 多通道容器瓶盖以及容器
KR200480782Y1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
SG155881A1 (en) Container, external container for mixing and transporation, and mixing device
KR200476250Y1 (ko)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RU113723U1 (ru) Насадка для бутылки
JP2009137647A (ja) ペットボトル・アルミ缶ボトル用飲み口器及び漏水防止キャップ
KR20180069311A (ko) 휴대용 분리형 향수 용기
KR200461046Y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KR20190001506U (ko) 인퓨저가 결합된 휴대용 음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