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82Y1 - 생수병용 티백 홀더 - Google Patents

생수병용 티백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82Y1
KR200480782Y1 KR2020150000624U KR20150000624U KR200480782Y1 KR 200480782 Y1 KR200480782 Y1 KR 200480782Y1 KR 2020150000624 U KR2020150000624 U KR 2020150000624U KR 20150000624 U KR20150000624 U KR 20150000624U KR 200480782 Y1 KR200480782 Y1 KR 200480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bag
water
bottle
beverage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코
Priority to KR2020150000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병용 티백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생수병(1)의 입구부(1a) 내경에 하부는 통과되고, 상부는 걸려지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형으로 내부에 티백(T)이 수용되는 통부(10)와, 상기 통부(10)의 외측둘레 하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유입공(11)과, 상기 통부(10)의 외측둘레 상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배출공(12)과, 상기 통부(10)의 물배출공(12)이 형성된 내부측에 형성되는 단턱부(13) 및 단턱부(13)에 부착되어 티백(T)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재(P)와, 상기 통부(10)의 상부 외측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a) 내경에 밀착 지지되는 텐션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생수병의 입구에 자신이 선호하는 티백이 수용된 티백 홀더를 구입하여 꽂아 장착하여 주고, 뚜껑을 체결하여 주면, 생수병에 담긴 물이 통부측 물유입공으로 유입되어 티백을 적시면서 티백에 담긴 내용물을 우려내어 줄 수 있고, 음용시에는 뚜껑을 분리한 상태에서 생수병을 기울이면, 통부의 물배출공을 따라 입구부로 우려진 음료를 유출시킬 수 있어 기존과 같이 티백이 입구부를 막는다든지 급작스럽게 음료가 입구부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향후 음료를 모두 마신 상태에서는 차단재를 파열시켜 주면 간단하게 티백을 통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에 유용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수병용 티백 홀더{Tea bag holder for natural water bottle tea bag holder}
본 고안은 티백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생수병에 자신이 원하는 기호에 맞는 티백을 간단하게 장착하고, 위생적으로 티백에서 우러난 차(茶)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병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과도하게 음용차의 인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 후 분리수거를 위해 티백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한 생수병용 티백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살아가면서 식용 수는 없어서는 안될 식음료이기도 하다. 이는 가정에서 정수기를 통해 물을 정수하여 먹을 수도 있지만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체로 유통판매되고 있는 생수는 보통 300ml~2리터 등의 페트병에 담겨져 출시되고 있으며, 소비자는 용도에 맞는 생수병을 구입한다.
상기 300ml~2리터의 생수병은 병의 입구 내외경 사이즈가 동일하게 제작되고, 이에 맞게 뚜껑(마개)이 나사체결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며, 생수병과 달리 탄산음료 등이 포장되는 포장 병은 상기와 같이 입구 측이 규격화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생수 이외에 차 종류를 가공하여 시판되고 있는 제품도 별도로 판매되고 있지만, 자신이 선호하는 녹차, 홍차, 커피 등의 티백을 생수병, 전용 물병 내에 직접 집어넣고 내용물을 우려내어 마시기도 한다.
대부분 가정이나 사무실이 아닌 야외에서는 쉽게 구할 수 있는 생수병에 상술한 바와 같이 티백을 넣어 우려내어 마시는 편이 통상적이다.
상기와 같이 생수 및 티백 관련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2009호(명칭: 음료용 병에 장착 가능한 여과용 티백, 등록일자: 2005년 11월 17일, 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 및 등록특허 제10-0432812호(명칭: 병용 기호음료 백, 등록일자: 2004년 05월 13일, 이하 '선행기술 2'이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입구부가 협소한 음료용 병에 쉽게 투입되고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입구부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으로 밑면이 구성된 원뿔이나 원기둥 형태의 여과용 티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음료용 병에 티백 투입이 용이하고, 티백 여과지부분의 하중에 의해 음료용 병 내부로 연결부 손잡이가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상관없이 병에 넣고 이를 우려내어 기호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개선된 병용 기호음료 백에 관한 것이며, 입을 통하여 식수를 직접 마실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비해 넓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식수가 채워지는 몸체부를 갖는 병에 넣어 마시도록 구비된 병용 기호음료 백에 있어서,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용 분말과,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장되어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식수에 담겨 지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식수를 통하여 우려나와 식수가 상기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가 되도록 이루어진 여과지가 구비된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와; 일단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병의 외부로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끈이 상기 병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되도록 그 한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는 모두 통상적으로 티백 제품의 특성상 연결끈이 매달린 형태로서 물에 담가진 상태에서는 쉽게 티백으로부터 연결끈의 결속부위가 취약하기 때문에 연결끈이 풀리거나 병 입구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뽑아 내는 경우 쉽게 끊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 때문에, 향후 우려낸 차(茶)를 모두 취하고 난 상태에서 병으로부터 티백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연결끈과 티백이 분리되어 티백을 꺼낼 수 없게 된다. 이는 향후 플라스틱 제품인 병을 분리수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가령, 병의 입구부로부터 연결끈이 분리되거나 끊기지 않고 티백을 입구부로부터 분리하는 상태에서 티백에 잔존하는 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사례로 바닥을 닦아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티백을 병에 넣어 음용하는데 있어, 병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물에 잠긴 티백이 병의 입구부를 막아 원활하게 음료가 배출되지 못하는 사례가 있거나, 입구부로부터 음료가 급격히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우려낸 음료를 마시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생수병에 자신이 원하는 기호에 맞는 티백을 간단하게 장착하고, 위생적으로 티백에서 우러난 차(茶)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병의 기울임 각도에 따라 과도하게 음용차의 인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 후 분리수거를 위해 티백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한 생수병용 티백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생수병용 티백 홀더는, 생수병의 입구부 내경에 하부는 통과되고, 상부는 걸려지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형으로 내부에 티백이 수용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외측둘레 하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유입공과, 상기 통부의 외측둘레 상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배출공과, 상기 통부의 물배출공이 형성된 내부측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단턱부에 부착되어 티백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재와, 상기 통부의 상부 외측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 내경에 밀착 지지되는 텐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차단재는 파열이 용이한 종이 또는 연질의 필름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물배출공은 유입구의 내부 직경과 이격되는 각도로 구배져 음료의 배출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생수병용 티백 홀더는, 생수병의 입구에 자신이 선호하는 티백이 수용된 티백 홀더를 구입하여 꽂아 장착하여 주고, 뚜껑을 체결하여 주면, 생수병에 담긴 물이 통부측 물유입공으로 유입되어 티백을 적시면서 티백에 담긴 내용물을 우려내어 줄 수 있고, 음용시에는 뚜껑을 분리한 상태에서 생수병을 기울이면, 통부의 물배출공을 따라 입구부로 우려진 음료를 유출시킬 수 있어 기존과 같이 티백이 입구부를 막는다든지 급작스럽게 음료가 입구부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향후 음료를 모두 마신 상태에서는 차단재를 파열시켜 주면 간단하게 티백을 통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플라스틱 재활용 분리수거에 유용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티백 홀더를 생수병에 적용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 홀더에 티백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 홀더를 포장지에 포장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 홀더를 병에 삽입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티백 홀더가 병의 입구에 삽입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 홀더가 장착된 병을 통해 음료를 유출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 홀더로부터 티백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티백 홀더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티백 홀더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생수병(1)의 입구부(1a) 내경에 하부는 통과되고, 상부는 걸려지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형으로 내부에 티백(T)이 수용되는 통부(10)와, 상기 통부(10)의 외측둘레 하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유입공(11)과, 상기 통부(10)의 외측둘레 상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배출공(12)과, 상기 통부(10)의 물배출공(12)이 형성된 내부측에 형성되는 단턱부(13) 및 단턱부(13)에 부착되어 티백(T)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재(P)와, 상기 통부(10)의 상부 외측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a) 내경에 밀착 지지되는 텐션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물유입공(11)은 티백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백 홀더는 차단재(P), 티백(T)을 제외한 통부(10)는 무독성 합성수지계열dls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사출 성형제작된다.
상기 텐션부(14)는 통부(10)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하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어 통부(10)의 상부측 외측둘레와 텐션부의 내측면이 이격된 상태로 탄력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텐션부(14)의 단면두께는 1.0~1.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재(P)는 파열이 용이한 종이 또는 연질의 필름시트이며, 이외에 인체에 무해한 소재의 시트지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물배출공(12)은 유입구(1a)의 내부 직경과 이격되는 각도로 구배져 음료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생수병의 입구부에 체결되는 뚜껑을 나타내고, 부호 3은 포장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생수병용 티백 홀더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티백 홀더는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10)의 내측에 티백(T)이 수용되고, 통부(10)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13)에는 자동화포장 공정라인 상에서 원형으로 재단된 차단재(P)를 삽입시켜 상기 단턱부(13)에 차단재(P) 저부 가장자리 측을 부착하고, 별도의 포장지(3)를 통해 낱개 혹은 덕용으로 포장하여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소비자는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유통 판매가 이루어지는 생수를 그대로 마시거나 혹은 구입한 생수병(1)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유입구(1a)에 상기 티백 홀더를 도 4와 같이 통부(10)의 하부 측을 삽입시키면, 티백 홀더의 하부측은 그대로 입구부(1a)를 통과하면서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입구부(1a)의 내경에 통부 상단 외측둘레에 형성된 텐션부(14)가 걸려지고, 강압적으로 밀어 넣으면, 텐션부(14)의 외측은 상기 입구부(1a)의 내경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생수가 담긴 량에 따라 티백(T)이 수용된 통부(10)의 하부측이 물에 잠기고, 이때 물은 물유입공(11)을 통해 티백(T)을 적시게 되며, 물을 흡수한 티백(T) 내부 내용물의 성분이 물과 혼합되어 마시기 좋은 음용 차(음료)로 만들 수 있게 된다.
가령 마시던 중간에도 상기 티백 홀더를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하고, 뚜껑(2)을 입구부(1a)에 체결하여 막음 처리한 다음 생수병(1)을 거꾸로 위치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티백(T)에 담긴 내용물에서 성분이 우러나와 물과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우러난 음료를 마시는 상태는 생수병(1)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면, 생수병(1)의 유입구(1a) 내경과 여유간격을 통해 통부(10)의 물배출공(12), 유입구(1a)의 선단측으로 음료를 유출시켜 마실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료가 유출되는 상태에서 티백(T)은 단턱부(13)에 부착된 차단재(P)로 하여금 음료의 유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가 되고, 물배출공(12)은 유입구(1a)의 내경으로부터 일정각도 구배진 형태로서 급작스럽게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구(1a) 선단에 입을 대고 직접 마시기에 부담감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음료를 모두 취한 상태에서 빈 병으로 남게 되는 생수병(1)은 상기 차단재(P)를 손가락 또는 가늘고 긴 도구를 이용하여 파열시켜 주면, 통부(10) 내에 위치한 티백(T)을 외부로 분리해 낼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재활용 분리수거가 가능하다. 상기 티백 홀더는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생수병과 함께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생수병 1a: 유입구
10: 통부 11: 물유입공
12: 물배출공 13: 단턱부
14: 텐션부 P: 차단재
T: 티백

Claims (3)

  1. 생수병(1)의 입구부(1a) 내경에 하부는 통과되고, 상부는 걸려지도록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직경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테이퍼형으로 내부에 티백(T)이 수용되는 통부(10)와, 상기 통부(10)의 외측둘레 하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유입공(11)과, 상기 통부(10)의 외측둘레 상부 측에 내부로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물배출공(12)으로 이루어지는 생수병용 티백 홀더에 있어서,
    생수병(1)의 입구부(1a)측으로 음료가 유출되는 상태에서 티백(T)이 음료의 유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통부(10)의 물배출공(12)이 형성된 내부측에 형성되는 단턱부(13) 및 이 단턱부(13)에 부착되어 티백(T)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재(P)와,
    상기 통부(10)의 상부 외측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부(1a) 내경에 밀착 지지되는 텐션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물배출공(12)은 유입구(1a)의 내부 직경과 이격되는 각도로 구배져 음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티백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재(P)는 파열이 용이한 종이 또는 연질의 필름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티백 홀더.
  3. 삭제
KR2020150000624U 2015-01-27 2015-01-27 생수병용 티백 홀더 KR200480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624U KR200480782Y1 (ko) 2015-01-27 2015-01-27 생수병용 티백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624U KR200480782Y1 (ko) 2015-01-27 2015-01-27 생수병용 티백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82Y1 true KR200480782Y1 (ko) 2016-07-06

Family

ID=5649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624U KR200480782Y1 (ko) 2015-01-27 2015-01-27 생수병용 티백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46B1 (ko) 2020-09-10 2021-05-18 김범수 생수병 티백 수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632A (ja) * 1989-10-26 1991-06-1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139632B2 (ja) * 1991-08-19 2001-03-05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ワイパ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632A (ja) * 1989-10-26 1991-06-1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139632B2 (ja) * 1991-08-19 2001-03-05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ワイ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46B1 (ko) 2020-09-10 2021-05-18 김범수 생수병 티백 수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3777B2 (en) Portable, side-by-side compart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separately storing and dispensing two consumable products, especially cereal and milk
RU2573973C2 (ru) Бутылка с доз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090107582A1 (en) Detachable Funnel For Water Bottles
US7051648B2 (en) Device for making beverage
KR20070018118A (ko) 액체 컨테이너용 투입 캡슐
US6945394B2 (en) Beverage device
JP2010532675A (ja) 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に適用できる補充可能な複数回使用式容器
JP2020506124A (ja) ディスペンサを備えた飲料容器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US10098818B2 (en) Cuspidor funnels attachable to empty drink containers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200480782Y1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
KR100947673B1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CN109715522B (zh) 包括定量包装及固定帽的便携式饮料容器
US20110108516A1 (en) Ergonomic sports bottle having disposable liner
KR20140050907A (ko) 클립이 부착된 차 거름 용기
KR20080000223U (ko) 티 캡
KR200487663Y1 (ko)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KR100432812B1 (ko) 병용 기호음료 백
JP3083368U (ja) ペットボトル用飲料材料浸出具
KR101523520B1 (ko)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KR200278921Y1 (ko) 병용 기호음료 백
JP2003246365A (ja) ペットボトル用スティック状ティー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