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921Y1 - 병용 기호음료 백 - Google Patents

병용 기호음료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921Y1
KR200278921Y1 KR2020020007542U KR20020007542U KR200278921Y1 KR 200278921 Y1 KR200278921 Y1 KR 200278921Y1 KR 2020020007542 U KR2020020007542 U KR 2020020007542U KR 20020007542 U KR20020007542 U KR 20020007542U KR 200278921 Y1 KR200278921 Y1 KR 200278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drinking water
ba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이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filed Critical 이은숙
Priority to KR2020020007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921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병(bottle)용 기호음료 백(bag)이 개시된다. 개시된 병용 기호음료 백은, 입을 통하여 식수를 직접 마실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비해 넓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식수가 채워지는 몸체부를 갖는 병에 넣어 마시도록 구비된 병용 기호음료 백에 있어서,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용 분말과,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장되어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식수에 담겨지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식수를 통하여 우려나와 식수가 상기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가 되도록 이루어진 여과지가 구비된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와; 일단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병의 외부로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끈이 상기 병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되도록 그 한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하는 기호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병용 기호음료 백{FAVORITE BEVERAGE BAG FOR BOTTLES}
본 고안은 병용 기호음료 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에 상관없이 병에 넣고 이를 우려내어 기호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개선된 병용 기호음료 백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병(bottle)이라 함은 후술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액체를 담는 목이 좁은 그릇을 의미하고, 이 병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도자기 등 그 소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병은 예컨대 그 안에 음료가 있어 다른 도구 없이 직접 입으로 마실 수 있는 병을 의미한다.
한편, 현재 물의 오염이 심각해지고, 건강에 대한 인식이 제고됨에 따라 생수를 수돗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직접 물을 구매해서 마시고 있다. 이 물은 주로 생수로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생수는 상기한 일정한 크기의 병에 담아 휴대용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병째 마실 수 있다.
한편, 언제 어디서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기호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현재 여러 종류의 기호음료 백(bag)이 있다. 이 기호음료 백에는 녹차 분말 또는 커피 분말 등을 여과지(filter paper)에 넣어 많든 것이 있다. 이 기호음료 백에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티백이 있다.
예컨대, 컵에 식수를 받아 상기한 티백(tea bag)을 넣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차가 우려나오면 이를 마신다. 그러면 쉽게 차나 커피를 마실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호음료 백의 크기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가 형성된 컵을 사용하지 않으면 기호음료를 마실 수 없다. 그 이유는 기호음료 백은 일정한 크기를 갖고 컵을 사용하여 마실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호음료 백을 사용하여 차나 커피 등을 즐기려면 컵과 식수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컵과 식수를 휴대하거나, 이를 구매해야만 즐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컵을 휴대하지 않아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기호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병용 기호음료 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병용 기호음료 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을 생수병에 포장한 것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병용 기호음료 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병
11. 입구부
12. 몸체부
20.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
30. 연결끈
40. 표시부
50. 고리부
60. 포장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병용 기호음료 백은, 입을 통하여 식수를 직접 마실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비해 넓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식수가 채워지는 몸체부를 갖는 병에 넣어 마시도록 구비된 병용 기호음료 백에 있어서,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용 분말과,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장되어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식수에 담겨지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식수를 통하여 우려나와 식수가 상기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가 되도록 이루어진 여과지가구비된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와; 일단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병의 외부로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끈이 상기 병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되도록 그 한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은, 입을 통하여 식수를 직접 마실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구부(11)와, 이 입구부(11)에 비해 넓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식수가 채워지는 몸체부(12)를 갖는 일반적인 병(10)에 넣어 마시도록 구비된 것으로, 차(tea) 또는 커피(coffee) 등의 기호음료용 분말(P)과,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P)이 병(10)의 입구부(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장되어 입구부(11)를 통하여 병(10)의 몸체부(12)에 저장된 식수에 담겨지면 기호음료용 분말(P)이 식수를 통하여 우려나와 식수가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가 되도록 이루어진 여과지(21)가 구비된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20)와, 일단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2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병(10)의 입구부(1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결끈(30)과, 이 연결끈(30)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끈(30)이 병(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되도록 그 한계를 표시하는 표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P)은, 식수에 우려나오는 기호음료용 분말(P)이면 상기한 차나 커피 분말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연결끈(30)도 위생에 해가 되지 않으면 그 소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병(10)은 식수 등을 넣어 직접 입을 통하여 마실 수 있으면 이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0)도 연결끈(30)의 타단부에 병(10)에 넣을 수 있는 연결끈(30)의 한계선을 구분 지을 수 있으면 어떠한 표시나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끈(30)의 타단부가 병(10)의 입구부(11)의 상단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고리부(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 형태의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에 비해 높이가 큰 막대 형태의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2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의 형태는 병(10)의 입구부(11)에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으면 상기한 것(20,20')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입을 통하여 직접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된 병(10)의 입구부(11) 크기는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20,20')의 크기도 일정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쉽게 구매하여 마실 수 있는 생수병(10')의 외부에 포장지(60)를 이용하여 포장하여 생수를 판매할 수도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리부(50)를 생수병(10')의 입구부(11') 일측에 걸리도록 하고, 그 밖의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20)와 표시부(40)가 있는 연결끈(3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포장지(60)로 포장하여 생수와 같이 판매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병(10)용 기호음료 백을 별도로 판매하기 위한 포장방법은 예컨대 일반적인 티백의 포장법과 같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병(10)에 담긴 물이 과다하거나 한번에 많은 기호음료를 준비해야 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 (20)가 연결끈(30)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한편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13은 병(10)의 뚜껑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일반적인 병에 식수를 적당히 담고,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을 넣으면 차나 커피 등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우려나오면 마신다.
이때, 연결끈(30)의 고리부(50)를 병(10)의 입구부(11) 일측에 걸어 두면 편리하게 병(10)용 기호음료 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5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연결끈(30)의 타단부를 병(10)의 입구부(11)에 묶으면 된다.
한편, 병(10)에 담긴 식수의 양이 많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20)가 여러 개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을 가장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의 태양은 현재 흔하게 구할 수 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또는 일회용) 생수를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기호음료를 위생적으로 즐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병용 기호음료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종래에는 특정한 장소에 컵이나 식수가 구비되어 있어야만 휴대용 기호음료를 즐길 수 있었으나, 컵이나 식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예컨대 여행시 휴대용 생수를 구매하여 원하는 기호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입을 통하여 식수를 직접 마실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비해 넓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식수가 채워지는 몸체부를 갖는 병에 넣어 마시도록 구비된 병용 기호음료 백에 있어서,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용 분말과,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장되어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식수에 담겨지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이 식수를 통하여 우려나와 식수가 상기 차 또는 커피 등의 기호음료가 되도록 이루어진 여과지가 구비된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와;
    일단이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병의 외부로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끈이 상기 병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되도록 그 한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 기호음료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의 타단부가 상기 입구부의 상단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리부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 기호음료 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는 구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 기호음료 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는 폭에 비해 높이가 큰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 기호음료 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음료용 분말저장부가 상기 연결끈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용 기호음료 백.
KR2020020007542U 2002-03-14 2002-03-14 병용 기호음료 백 KR200278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42U KR200278921Y1 (ko) 2002-03-14 2002-03-14 병용 기호음료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542U KR200278921Y1 (ko) 2002-03-14 2002-03-14 병용 기호음료 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815A Division KR100432812B1 (ko) 2002-03-14 2002-03-14 병용 기호음료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921Y1 true KR200278921Y1 (ko) 2002-06-21

Family

ID=7305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542U KR200278921Y1 (ko) 2002-03-14 2002-03-14 병용 기호음료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9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1003B2 (en) Method of making a beverage using a beverage assembly
AU2018200805A1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US7051648B2 (en) Device for making beverage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JP2004083022A (ja) ペットボトル等ドリンク用ボトルのキャップ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KR100432812B1 (ko) 병용 기호음료 백
KR200278921Y1 (ko) 병용 기호음료 백
KR200432667Y1 (ko) 희석식 음료용기
JP3206476U (ja) ボトル用衛生スパウト
WO2001042101A1 (en) Bottle cap
KR200480782Y1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
JP3083368U (ja) ペットボトル用飲料材料浸出具
CN113665942B (zh) 便携式调酒装置
JP3183716U (ja) 飲物セット構造
CN213169487U (zh) 一种饮料瓶
KR200395287Y1 (ko) 페트병용 티백 손잡이 구조
CN208531273U (zh) 一种便携式饮料冲泡容器
CN201089598Y (zh) 一种带有吸管的新型饮液瓶
KR200144712Y1 (ko) 유체 저장용기
JPH0532461Y2 (ko)
KR200327606Y1 (ko) 레몬티백을 포함하는 생수병
JP3102583U (ja) ヌイグルミ形状を利用した清涼飲料用缶の保護部材
JP3001391U (ja) お茶素材を詰めた棒状包材
RU28100U1 (ru) Буты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