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268Y1 -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 Google Patents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268Y1
KR200348268Y1 KR20-2004-0001694U KR20040001694U KR200348268Y1 KR 200348268 Y1 KR200348268 Y1 KR 200348268Y1 KR 20040001694 U KR20040001694 U KR 20040001694U KR 200348268 Y1 KR200348268 Y1 KR 200348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trobe
beverage
tub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김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석 filed Critical 김재석
Priority to KR20-2004-000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와 쥬스 등의 음료를 담는 용기인 음료용 캔에 있어서, 캔의 개방시 내장된 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맥주용 캔이나 음료용 캔들은 캔의 상부면 위에 위치하고, 리벳에 의해 지지되는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들어올리면, 가압부에 의해 배출구커버부가 눌러지면서 절개부를 따라 배출구가 개방되며, 그런 다음 배출구 부위에 입을 대고 캔속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캔의 구조는 캔음료의 음용시 배출구주위의 먼지나 세균 등 유해한 물질들도 동시에 마시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음용자가 여성인 경우 입술에 바른 루즈가 얼룩지게 되며, 이를 피하기 위해 입술에 닿지 않게 음용하거나, 다시 루즈를 발라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들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음료용 캔의 내부에 2단으로 스트로우를 구성하고, 튜브를 부착하여 캔의 개방시 튜브의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부스트로우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캔속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음료용 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omitted}
생활수준의 향상과 사회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맥주와 쥬스 등 알루미늄 및 철제 캔을 이용한 각종 음료의 소비가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맥주용 캔이나 음료용 캔들은 캔의 상부면 위에 위치하고, 리벳에 의해 지지되는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들어올리면, 가압부에 의해 배출구커버부가 눌러지면서 절개부를 따라 배출구가 개방되며, 그런 다음 배출구 부위에 입을 대고 캔속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캔의 구조는 캔음료의 음용시 배출구주위의 먼지나 세균 등 유해한물질들도 동시에 마시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음용자가 여성인 경우 입술에 바른 루즈가 얼룩지게 되며, 이를 피하기 위해 입술에 닿지 않게 음용하거나, 다시 루즈를 발라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들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음료용 캔의 내부에 스트로우를 내장하고, 캔의 개방시 자동으로 스트로우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캔속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음료용 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맥주용 캔이나 음료용 캔의 구조로 인하여 캔 음료의 음용시 배출구 주위의 불결한 먼지나 세균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도 동시에 마시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위생상 인체에 해롭고, 또한 음용자가 여성인 경우 입술에 바른 루즈가 얼룩지게 되어 다시 루즈를 발라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들이 많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빨대가 구비된 음료용 캔(등록번호 20-0285248호), 드링크 빨대가 자체 내장된 음료용기(공개번호 특2001-0012608호) 등의 여러 고안이 있었으나, 전자인 빨대가 구비된 음료용 캔(등록번호 20-0285248호)은 그 구조에 있어서 빨대를 인출하기가 어렵게 구성되어 있고, 후자인 드링크 빨대가 자체 내장된 음료용기(공개번호 특2001-0012608호)는 두터운 부표부재에 의해 빨대가 돌출되도록 고안되었으나, 이 또한 현실성이 없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등 아직까지도 간편하고 원만한 해결방법을 창안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생산비가 매우 저렴하며, 또한 음료용 캔을 오픈시킬 때 스트로우의 상단이 음료용 캔의 상방으로 확실하게 인출될 뿐만 아니라, 인출되는 스트로우의 길이도 충분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된 음료용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용 캔의 내부에, 상부스트로우와 하부스트로우가 결속될 수 있도록 2단으로 구성하고, 하부스트로우를 고정편에 의해 고정시키며, 상부스트로우에 기체가 충진된 튜브를 장착하고, 캔을 오픈하면 튜브내의 기체의 부력에 의해 상부스트로우가 가이드에 의해 배출구절개선 안을 통하여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음료용 캔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음료용 캔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스트로우 지지대와 가이드부의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방시 튜브의 위치변화를 확대시킨 부분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방전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방중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방후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캔의 개방후 스트로우의 접철부가 굴곡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
(10) - 캔의 측부
(11) - 캔 상단의 시이밍 부
(12) - 캔의 상부면
(13) - 배출구커버부
(14) - 배출구의 절개선
(15) - 배출구커버부와 캔의 상부면과의 연결부
(16) - 캔따개
(17) - 캔따개의 손잡이부
(19) - 캔따개의 가압부
(20) - 캔따개 지지리벳
(30) - 상부 스트로우
(31) - 상부 스트로우의 하단부
(32) - 상부 스트로우의 접철부
(33)- 상부 스트로우 상단부
(36) - 하부 스트로우
(37) - 하부 스트로우의 상단부
(38) - 하부 스트로우의 하단부
(40) - 튜브
(41) - 튜브와 상부 스트로우의 접합부
(42) - 기체
(43) - 하부스트로우 수납부
(50) - 상부스트로우 가이드본체
(51) - 상부스트로우 가이드부
(52) - 상부스트로우 가이드본체 접합부
(56) - 하부 스트로우 고정편
(57) - 하부 스트로우 접합부
(58) - 하부 스트로우 고정편 접합부
(a) - 상부 스트로우의 수직방향 부상길이
(b) - 하부스트로우 상단부와 상부스트로우 하단부간 길이
(c) - 상부스트로우의 하방 이동가능길이
(d) - 상부스트로우 하단부의 하방 이동가능길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기둥형태의 음료용 캔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10)은 캔의 측면부위인 측부를, (11)은 캔의 상단의 시이밍 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의 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원기둥형태의 음료용 캔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11)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2)는 캔의 상부면을, (13)은 배출구커버부를, (14)는 배출구의 절개선을, (15)는 캔의 상부면과 배출구의 연결부를, (16)은 캔따개를, (17)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2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캔따개가 장착된 음료용 캔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10)은 캔의 측부를, (11)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2)는 캔의 상부면을, (13)은 배출구커버부를, (14)는 배출구의 절개선을, (16)은 캔따개를, (17)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19)는 캔따개의 가압부를, (2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부력에 의해 스트로우가 자동으로 돌출되는 음료용 캔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10)은 캔의 측면부위인 측부를, (11)은 캔 상단의 시이밍 부를, (12)는 캔의 상부면을, (13)은 배출구커버부를, (14)는 배출구의 절개선을, (16)은 캔따개를, (17)은 캔따개의 손잡이부를, (19)는 캔따개의 가압부를, (20)은 캔따개를 지지하는 리벳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30)은 그 일부가 캔의 상부면(12) 밖으로 돌출되는 상부 스트로우로서, 배출구커버부(13) 중앙에서 수직하방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31)은 원뿔을 자른 형태로 그 끝단의 직경이 큰 형상에 의하여 튜브(40)내의 기체(42)의 부력을 받아 상승하게 되는 하부스트로우의 상단부(37)와 결속하게 되는 상부스트로우의 하단부를, (32)는 접철부(자바라)를, (33)은 튜브내의 기체의 부력에 의해 배출구절개선(14)의 안을 통과하여 밖으로 돌출되는 상부 스트로우의 상단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접철부(32)는 캔이 오픈된 후 음용자가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굴신작용을 통하여 상단부(33)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편 음료(1)를 음용함에 따라 내려가는 음료의 표면을 따라 상부스트로우(30) 및 튜브(40)가 내려가지 못하도록지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36)은 하부스트로우 고정편(56)과 접합되어 고정되는 하부스트로우로서 상부스트로우의 하단부(31)가 상하로 왕래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37)은 상부스트로우의 하단부(31)와 결속되는 하부스트로우의 상단부로서 그 형태가 원뿔을 자른, 직경이 좁은 형상을 가져 상부스트로우(30)는 상하로 왕래할 수 있으나 그 하단부(31)는 걸리게 되어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기능하게 된다.
(38)은 음료(1)가 음용자의 흡인력에 의해 스트로우로 들어가게 되는 하부스트로우의 하단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하부스트로우의 상단부(37)는 상부스트로우의 하단부(31)와 틈이 생기지 않도록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또한 상부스트로우(30)와 하부스트로우(36)의 중심은 배출구커버부(13)의 중심에서 수직하방하는 선과 일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40)은 그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어 음료(1)속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기밀성의 튜브를, (41)은 상부스트로우와의 접합부를, (42)는 튜브내의 충진된 기체를, (43)은 원기둥형태로 하부스트로우(36)의 외부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수납기능을 하는 공간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튜브(42)내부의 체적은 충진되는 기체의 종류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그 형태도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돌출되는 상부스트로우(30)의 부분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부스트로우(30)와의 접합되는 위치도 또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50)은 상부스트로우(30)가 배출구절개선(14)안을 통하여 상승하도록기능하는 상부스트로우 가이드 본체를, (51)은 가이드부를, (52)는 가이드 본체와 캔의 측부(10)와의 접합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56)은 하부스트로우를 도시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하부스트로우 고정편 본체를, (57)은 고정편과 하부스트로우와의 접합부를, (58)는 고정편 본체와 캔의 측부(10)와의 접합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가이드부(51)의 중심과, 하부스트로우와의 접합부(58)의 중심과 배출구절개선(14)의 중앙은 수직방향으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a)는 상부스트로우 가이드 본체(50)의 아랫면과 튜브(40)의 상부면과의 거리로, 튜브(40)내의 기체의 부력을 받아 부상하게 되는 상부스트로우(30)의 길이를 의미하며, 엄밀하게는 (a)의 길이에서 캔 상부면(12)의 두께를 뺀 만큼의 길이가 캔의 상부면(12)밖으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b)는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와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a)보다 약간 짧게 약 3mm가량 줄여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만약 (a)보다 (b)가 길 경우에는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와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가 틈이 생기게 되어 본 고안에 의한 음료의 음용이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c)는 배출구(13)의 아랫면과 상부스트로우 가이드 본체(50)의 상부면과의 거리로서, 캔의 개방시 배출구(13)에 의해 상부스트로우(30)가 내려오게 되는 길이를 나타내고, (d)는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와 하부스트로우(36)의 굴곡부까지의 거리로, 캔의 개방시 배출구(13)에 의해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가 내려오게 되는 길이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c)와 (d)는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4의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상부스트로우(30)의 가이드본체(50)를 확대한 평면도로서 (50)은 본체를, (51)은 상부스트로우(30)가 접할 수 있는 가이드부분을 의미하며, 상부스트로우(30)의 부상시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가 배출구절개선 밖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한편, 음료의 음용에 따라 내려가게 되는 음료(1)표면의 위치변화에 의해 튜브(40) 및 이와 결합된 상부스트로우(30)가 내려가지 않고 걸리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스트로우(30)가 캔의 내부로 빠지지 않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도 4의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하부스트로우(36)의 고정편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56)은 고정편의 본체를, (57)은 하부스트로우(36)와의 접합부를, (58)은 캔의 측부(10)와 결합되는 접합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이 고정편(56)에 의해 하부스트로우(36)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스트로우(30)의 가이드 본체(50)와 하부스트로우(36)의 고정편(56)은 그 소재를 알루미늄 등 단단하고 가벼운 소재로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부스트로우(30)와 하부스트로우(36)의 중심이 배출구커버부(13)의 중심에서 수직하방하는 선과 일치하도록 캔의 측부(10)와 접합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음료(1)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의, 튜브(40)와 튜브에 접합된 상부스트로우(30)의 위치가 캔의 오픈 작용에 따른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단면도로서, (A)는 캔의 개방전 위치를, (B)는 캔의 개방시 배출구 커버부(13)에 의해 그 위치가 아래로 내려와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에 튜브(40)와 상부스트로우 접합부의 하단에 닿아 있는 상태를, 그리고 (C)는 캔의개방후 튜브(40)내 기체(42)의 부력에 의해 그 위치가 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C)의 경우 그 아래에서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스트로우의 하단부(31)가 하부스트로우의 상단부(37)에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음료(1)가 캔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캔의 개방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튜브(40)와 튜브에 접합된 상부스트로우(30)의 위치가 캔따개의 손잡이부(17)를 들어 올리면 캔따개의 가압부(19)에 의해 배출구절개부(14)가 절개되고, 아래로 밀려 내려온 배출구커버부(13)에 의해 튜브(40)와 튜브에 접합된 상부스트로우(30)가 아래로 내려와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에 튜브(40)와 상부스트로우 접합부(41) 하단이 닿아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음료(1)가 캔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캔의 개방후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캔따개의 가압부(19)에 의해 아래로 밀려 내려온 배출구커버부(13)가 상부스트로우의 상단부(33)의 윗면을 지나간 후, 튜브(40)내 기체(42)의 부력에 의해 튜브(40)와 상부스트로우(30)가 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음용시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스트로우의 접철부(32)부분을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튜브(40)의 부상에 따라 접합부(41)에 의해 결합된 상부스트로우(30)의 상단부(33)가 캔의 밖으로 돌출된 후 상부스트로우(30)의 굴신이 용이한 접철부(32)부위를 구부림으로써, 상부스트로우의 상단부(33)부분이 시이밍부(11)의 밖 윗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상부스트로우(30)의 접철부(32)는 음용자의 음용시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부스트로우의 상단부(33)부분이, 배출구와 인접한 캔 상단의 시이밍부(11) 밖 윗부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음료(1)를 음용함에 따라 내려가게 되는 음료(1)표면의 위치변화에 의해 튜브(40) 및 이와 결합된 상부스트로우(30)가 내려가게 되나, 상부스트로우(30)가 배출구절개선(14)와 상부스트로우 가이드부(51) 및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에 의해 걸려 내려가지 못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스트로우(30) 및 튜브(40)가 캔의 내부로 빠지지 않는 효과도 수반하게 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본 고안에 의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장착과정과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로우와 튜브, 고정편, 가이드지지대를 도면의 형상과 같이 각각 만든 다음, 상부스트로우(30)의 상단부를 하부스트로우의 저단부를 통하여 끼우고, 하부스트로우(36)를 하부스트로우 고정편(56)에 접합시키되, 이때 하부스트로우 하단부(38)와 하부스트로우 고정편(56)의 방향을 배출구와 가까운 측부(10)를 향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를 통하여 기체(42)가 충진된 튜브(40)를 끼워 도면에 도시된 위치(41)에 접합시키고, 상부스트로우 가이드 본체(50)을 끼운 후, 상부스트로우 가이드 본체(50)와 하부스트로우 고정편(56)을, 도면에 나타난 위치인 배출구와 가까운 측부(10)에 그 방향들을 일치시켜 접합 및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스트로우(30)와 하부스트로우(36)의 중심은 배출구커버부(13)의 중심에서 수직하방하는 선과 일치하도록 구성하여야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후 캔 내부의 세척과정을 거쳐 음료(1)를 담은 후 시이밍처리를 통하여 캔을 봉합하면 본 고안에 의한 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과정을 보면 먼저 캔따개손잡이부(17)를 위로 들어올리면, 가압부(19)에 의해 배출구커버부와 상부면(12)과의 연결부(15)를 제외한 절개된 배출구커버부(13)가 캔의 내부로 향하게 되고, 상부스트로우의 상단부(33)를 누르며 지나가게 된다.
이때, 상부스트로우의 상단부(33)가 눌러지면 상부스트로우의 접철부(32)아래에 접합된 튜브(40)의 일부도 공간부(43)에 의해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를 통과하여 상부스트로우(30)와 함께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배출구커버부(13)가 상부스트로우의 상단부(33)를 누르며 지나간 후에는, 튜브(40)내의 기체(42)에 의해 튜브(40)가 부상하게 되고 튜브에 접합되어 있는 상부스트로우(30)도 부상하여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는 캔의 상부면(12)위로 돌출되게 되고, 접철부(32)의 중간부분도 캔의 상부면(12)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도 8 참조).
이때 음용자가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를 당기면 접철부(32)부분이 구부려지면서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 당기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음용시의 편리를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도 9 참조).
그리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스트로우(30)는 접합되어 있는튜브(40)내 기체(42)의 부력에 의해 상부스트로우(30)의 높이에 대한 위치가 결정되게 되므로, 음료(1)가 조금만 남아있을 경우에는 상부스트로우(30)가 캔 상부면(12)의 아래로 빠지게 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스트로우의 상단부(33)부분이, 배출구와 인접한 캔 상단의 시이밍부(11) 밖 윗부분에 위치하게 됨으로 인하여, 음료(1)를 음용함에 따라 내려가게 되는 음료(1)표면의 위치변화에도 불구하고, 상부스트로우(30)가 배출구절개선(14)와 상부스트로우 가이드부(51) 및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에 의해 내려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음료용 캔의 내부에 2개의 스트로우와 튜브(40), 하부스트로우 고정편(56), 상부스트로우 지지대 본체(50)를 설치하여 캔의 개방시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가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고, 스트로우를 통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위생적으로 캔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고,
둘째, 스트로우를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편하며,
셋째, 스트로우를 준비하고 꽂아야 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넷째, 캔과 스트로우가 일체로 체결되어 있어, 분리된 스트로우의 방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캔의 상부면(12)에 위치하고, 리벳(20)에 의해 지지되는 캔따개(16)에 의해 배출구가 개방되는 통상의 음료용 캔에 있어서,
    하단부(31)의 직경이 크고 상단부(33)의 아래에 접철부(32)가 형성된 구조의 상부스트로우(30)와,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가 상하로 왕래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나 상단부(37)의 직경이 작아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가 상승시 체결되도록 형성된 하부 스트로우(36)와;
    상부의 내측에서 상부스트로우(30)와 접합되고, 하부 내측에서 하부스트로우(36)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원기둥형태의 공간부(43)가 있고 내부에 기체(42)가 충진된 기밀성의 튜브(40)와;
    캔의 측부(10)에 접합되고 하부스트로우(36)의 중심이 수직방향으로 배출구절개선(14)의 중앙을 향하도록 하부스트로우(36)과 접합되는 하부스트로우 고정편(56)과;
    상부스트로우(30)의 부상시 상단부(33)가 가이드부(51)에 의해 배출구절개선(14)안으로 안내되도록, 캔의 측부(10)에 접합되는 상부스트로우 가이드본체(50)로 구성되고,
    캔의 개방시,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가 튜브(40)의 부력에 의해 배출구절개선(14)안을 통하여 상승하고,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와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의 체결에 의해 그 상승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의 외부면의 형상과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의 내부면의 형상이 동일하고, 그 크기에 있어서 상부스트로우 하단부(31)의 외부면을 작게 하여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3. 제1항에 있어서,
    돌출된 상부스트로우 상단부(33)는 접철부(32)의 굴신작용에 의해 시이밍부(11) 밖 윗부분에 위치하고, 튜브(40)의 부력이 소멸되어도 시이밍부(11)와 상부스트로우 가이드부(51), 하부스트로우 상단부(37)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스트로우(30)가 하강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KR20-2004-0001694U 2004-01-20 2004-01-20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KR200348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94U KR200348268Y1 (ko) 2004-01-20 2004-01-20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94U KR200348268Y1 (ko) 2004-01-20 2004-01-20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268Y1 true KR200348268Y1 (ko) 2004-04-28

Family

ID=4942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94U KR200348268Y1 (ko) 2004-01-20 2004-01-20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2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20B1 (ko) * 2013-11-11 2015-05-28 김민수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20B1 (ko) * 2013-11-11 2015-05-28 김민수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173C2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KR20010043691A (ko) 개별 음료수 용기용 마개
US6783024B2 (en) Spout assembly for thin-film liquid container
KR200348268Y1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음료용 캔
KR200171248Y1 (ko) 용기 상부 외면일측에 개봉부를 형성한 캔음료용기
CN210479534U (zh) 一种茶饮杯盖
KR200203506Y1 (ko) 알루미늄캔용 보조뚜껑
KR200356271Y1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간편한 음료용기
CN206841952U (zh) 一种可进行二次封盖的易撕盖结构
CN209667744U (zh) 用于饮料杯的杯盖
CN211443434U (zh) 一种带吸管的饮料包装物
CN202481543U (zh) 一种自带吸管的环保饮料包装盒
RU57250U1 (ru) Пакет для розничной пивной тары (варианты)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JPS5856196Y2 (ja) 栓抜付キャップ
KR20050083038A (ko) 상부스트로우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간편한 음료용기
KR100540699B1 (ko) 음료용기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KR200381445Y1 (ko) 음료유도부재가 내장된 음료용 캔
KR200172048Y1 (ko) 빨대를 구비한 음료용기
KR0132631Y1 (ko) 캔용기
RU32088U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питья
KR200165978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30022187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