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631Y1 - 캔용기 - Google Patents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631Y1
KR0132631Y1 KR2019960000785U KR19960000785U KR0132631Y1 KR 0132631 Y1 KR0132631 Y1 KR 0132631Y1 KR 2019960000785 U KR2019960000785 U KR 2019960000785U KR 19960000785 U KR19960000785 U KR 19960000785U KR 0132631 Y1 KR0132631 Y1 KR 0132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straw
container
opening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502U (ko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이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성 filed Critical 이기성
Priority to KR2019960000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631Y1/ko
Publication of KR970049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규한 구성의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용기본체의 상부덮개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캔따개의 내측에 안내편을 구비하여 캔따개의 개방시 외부로 인출시켜 안내편을 통해 내용물을 따를수 있도록 하였으나, 따르거나 마시는 과정에서 내용물을 쉽게 흘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안내편을 캔따개와 상부덮개에 접합시키기는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웠으며, 안내편 인출작동 불량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하로 절첩되는 스트로의 하단부를 상부덮개의 개구부 내주연에 접합고정시키고 스트로의 상단부에는 결합구멍과 절단안내선을 형성시켜 구성하고 스트로의 상측으로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밑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스트로의 결합구멍과 일체로 접합되며 외향단부는 하향절곡되어 스트로의 상측에서 기밀구조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캔따개를 구비하여 구성시킴으로써 캔따개를 개방시 스트로가 상측으로 펴지게 되고, 절단안내선 부위는 캔따개에 의해 파열되어 분리됨으로써 스트로의 상부가 개방되어 캔용기의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캔용기
제1도는 종래 캔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캔용기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캔용기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이는 종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캔용기의)본체 12 : 상부덮개
13 : 캔따개 15 : 개구부
16 : 스트로(straw) 17 : (스트로의)절첩안내선
18 : (스트로의)결합구멍 19 : (스트로의)절단안내선
21 : 플랜지 22 : 결합턱
23 : 결합홈 24 : 결합돌기
25 : 손잡이
본 고안은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캔따개 개방시 캔용기내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르거나 마실수 있도록 한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캔용기는 얇은 강판이나 알루미늄 합금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고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종래의 캔용기는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시킨후 상부 덮개를 시이밍(Seaming) 등의 성형방법으로 밀폐시켜 포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덮개에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인출시키기 위한 캔따개가 구비되는데 캔따개는 상부덮개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절취선에 의해 형성되어 일측에 리벳미음으로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를 통해 절취선을 따라 캔따개가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음용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캔용기는 운반과정이나 판매를 위한 진열 및 보관과정에서 상부덮개 부위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의 이물질등이 캔따개 부위에 잔류하여 오염시키게되어 사용자가 입을 대고 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면 이물질등이 인체내로 유입되는 비위생적인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판매자와 사용자는 캔용기의 부덮개나 캔따개 부위를 음용하기 전에 반드시 닦아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랐다.
이에 따라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국내실용신안공고 제94-8323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것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따개(3)의 내측에서 일단이 캔용기(1)의 상부덮개(2)에 접합되어 있고, 타단은 캔따개(3)에 접합되어 있고, 타단은 캔따개(3)와 부분접합되어 있는 안내편(4)을 구비하여 캔따개(3)의 개방시 안내편(4)의 일단이 함께 인출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캔용기(1)의 안내편(4)의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을 대고 직접 마시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내편(4) 외측으로 내용물을 흘리게 되는 문제가 야기하게 되었다.
또한 안내편(4)을 캔따개(3)와 상부덮개(2)에 고정 접합 및 부분접합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캔따개(3)의 개방작동시 부분접합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안내편(4)이 파손되어 재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캔따개의 개방시 자동 인출되는 안내수단을 통해 내용물을 따르거나 마실 때 안내수단 외측으로 흘리지 않도록 하며, 안내수단을 캔용기의 상부덮개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캔따개 개방에 따른 안내수단의 인출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캔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캔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덮개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캔따개의 내측에서 일단이 상부덮개에 접합되어 있고, 타단은 캔따개에 부분접합되어 있는 안내편이 캔따개의 개방시 외부로 인출되어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안내편을 통해 따를 수 있도록 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 하로 절첩가능한 관체로 이루어져서 상측단부 및 외주연에 결합구멍과 절단안내선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상부덮개의 개구부 내주연과 접합고정되어 접힌상태로 수납되는 스트로와, 판형으로 이루어져 밑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스트로의 결합구멍과 일체로 접합되며 외주단부는 하향절곡되어 스트로의 상측에서 기밀구조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캔따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캔용기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캔용기에 구비되는 스트로와 캔따개의 결합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통상의 캔용기는 얇은 강판이나 알루미늄 합금재를 이용하여 원통형 본체(11)를 구성하고 본체(11) 내부에는 내용물을 충진시킨후 상측 개방부에 상부덮개(2)를 시이밍(seaming)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밀폐시켜 포장된 구성이다.
이러한 캔용기에 있어서, 상부덮개(12) 일측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개구부(15)에는 본 고안에 따라 스트로(straw:16)가 구비된다. 스트로(16)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절첩안내선(17)이 형성되어서 상하로 절첩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최대로 늘어났을 때 대략 원뿔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스트로(16)의 상측단부 중앙에는 결합구멍(18)이 형성되고, 단부 외주연에는 절단안내선(19)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결합편(20)이 연장 형성되어서 상부덮개(12)의 개구부(15) 내주연에 결합한 뒤 결합편(20)을 외향 절곡시켜 상부덮개(12)와 일체로 접합시켜 고정시킨다. 따라서 스트로(16)를 개구부(15) 내측으로 접어서 수납시킨다.
또한 스트로(16)의 외측으로는 플랜지(21)가 연장형성되어 상부덮개(12) 상면에 고정되고, 플랜지(21)의 외주단부는 상향절곡되어 끝단부에 결합턱(22)이 형성된다.
한편 스트로(16)의 상측으로는 캡형태의 캔따개(13)가 씌워지도록 구성되는바, 캔따개(13)는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외주연 단부가 하향절곡되고 그 끝단부에는 상기 결합턱(22)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3)이 형성된다. 또한 캔따개(13)의 밑면 중앙에는 스트로(16)의 결합구멍(18)에 결합되어 내측에서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돌기(24)가 형성되고, 캔따개(13)의 외면 일측으로는 손잡이(25)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캔용기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한손으로 캔용기 본체(11)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캔따개(13)의 손잡이(25)를 잡아당기면 캔따개(13)의 결합홈(23)과 스트로(16)의 결합턱(22)이 서로 분리된다. 계속해서 손잡이(25)를 잡아당기면 결합돌기(24)와 결합된 스트로(16)의 상단 부위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절첩된 상태로 수납되어있던 스트로(16)가 펴지면서 상측으로 늘어나게 된다. 다음 계속해서 캔따개(13)를 잡아당기면 스트로(16)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단안내선(19)이 파열되면서 스트로(16)의 상단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술한 작동은 실제 작동시 한 번의 동작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트로(16)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직접 마시거나, 내용물을 따라서 마시게 되어도 캔따개(13)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스트로(16)를 사용하여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캔용기를 갑자기 눕혀 따르더라도 내용물이 스트로(16)의 외측으로 흘리지 않고 정확히 따를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내용물을 흘리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캔용기에 의하면 절첩식 스트로를 캔용기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그 위에 보호캡 형태의 캔따개를 씌워 결합시킴으로써 캔따개의 개방작동에 따라 스트로를 작동불량없이 간편하게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캔용기의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용기본체의 상부덮개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캔따개의 내측에서 일단이 상기 상부덮개에 접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캔따개에 부분접합되어 있는 안내편이 상기 캔따개의 개방시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상기 안내편을 통해 따를 수 있도록 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하로 절첩가능한 관체로 이루어져 상측단부 및 외주연에 결합구멍(18)과 절단안내선(19)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주연에는 플랜지(21)가 연장 형성되어 상부덮개(12)의 개구부(15) 내주연과 접합 고정되어 접힌상태로 수납되며, 상기 플랜지(21)의 외주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끝단부에 결합턱(22)이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16)와; 판형으로 이루어져 밑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4)가 상기 스트로(16)의 결합구멍(18)과 일체로 접합되며 외주단부는 하향절곡되어 그 단부에 상기 결합턱(22)과 결합되는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로의 상측에서 기밀구조로 결합되고, 일측에 손잡이(25)가 구비되어 있는 캔따개(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KR2019960000785U 1996-01-20 1996-01-20 캔용기 KR0132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785U KR0132631Y1 (ko) 1996-01-20 1996-01-20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785U KR0132631Y1 (ko) 1996-01-20 1996-01-20 캔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502U KR970049502U (ko) 1997-08-12
KR0132631Y1 true KR0132631Y1 (ko) 1998-12-01

Family

ID=1944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785U KR0132631Y1 (ko) 1996-01-20 1996-01-20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6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502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4415097A (en) Drinking aid for containers of beverages and other liquids
KR20010043691A (ko) 개별 음료수 용기용 마개
US2724536A (en) Container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US4609123A (en) Beverage can with sanitary reclosable lid
US5522524A (en) Liquid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integral straw
US20100000997A1 (en) Double-ended openers beverage can
US7392916B1 (en) Retractable straw for drinking containers
US8622230B2 (en) Resealable container having frangible portion and hinged top
US6443324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straw
US5292022A (en) Closure for beverages metal containers
US20080073415A1 (en) Cap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JP2001511743A (ja) 開いたスパウトを備えた飲み物容器
US3049264A (en) Sanitary removable covers for containers
KR0132631Y1 (ko) 캔용기
US4140241A (en) Bottom end tape seal
US20030094459A1 (en) Beverage can with sucking means
US20010054618A1 (en) Straw device for beverage vessels and a beverage vessel provided therewith
US20080067181A1 (en) Opening and suction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US4200198A (en) Can top opener
KR200203506Y1 (ko) 알루미늄캔용 보조뚜껑
JPH03256861A (ja) 飲料用容器
JPH0999946A (ja) 容器の蓋
JPH0240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