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806A -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 Google Patents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806A
KR20240018806A KR1020220096569A KR20220096569A KR20240018806A KR 20240018806 A KR20240018806 A KR 20240018806A KR 1020220096569 A KR1020220096569 A KR 1020220096569A KR 20220096569 A KR20220096569 A KR 20220096569A KR 20240018806 A KR20240018806 A KR 20240018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ug
glass
concav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웅 filed Critical 최재웅
Priority to KR102022009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806A/ko
Publication of KR2024001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8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 생활에서 음료를 마시는 도구로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의 일회용 용기 또는 반복 사용 가능한 용기와 그에 대응되는 뚜껑에 있어서, 인체공학적 입술의 특성에 착안하여 음료의 흡입구를 볼록형인 입술에 대응되도록 오목형으로 구현하여 무의식적인 음료의 흡입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흘림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형상 및 그것들의 뚜껑 형상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Cup or glass or mug and their caps}
본 발명은 커피나 차 등과 같이 액상 내용물을 담는 종이류나 플라스틱 류 및 도자기류 등의 재질로 만든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에 대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볼록형인 입술과 접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에 인체공학적인 오목한 접촉부를 구성하여, 의식적 및 무의식적 음료 섭취 과정에서 내용물의 흘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에 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음료를 마시는 도구로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우는 대상물이 있으며, 최근에는 종이류나 플라스틱류의 일회용 용기 또는 머그 등의 반복 사용 가능한 용기와 이에 대응하는 뚜껑과의 결합을 통해 보온 기능, 이동 기능 및 음료 섭취 편의 기능 등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뚜껑에는 빨대를 추가로 활용하여 입의 흡입력을 이용하도록 단순한 구멍이 있을 수 있으며, 빨대를 없애기 위해 뚜껑에 빨대와 유사한 방식으로 입의 흡입력을 이용할 수 있는 흡입형 배출구를 구비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컵과 같이 열린 상부를 갖도록 개구형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흡입형 및 개구형 배출구를 함께 갖는 뚜껑이 일반적이기도 하다.
상기에 기술한 이들 방법은 전통적인 컵의 단면 형상이 볼록형 원형이고, 이에 따라 뚜껑의 구조도 이러한 볼록형 원형으로 설계되어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이러한 컵이나 뚜껑의 음료 흡입에 적응하여 별다른 불편함이 없는 것 같이 보이나, 대화나 생각 등등의 과정과 함께 하는 경우, 가끔씩 입술 주변으로 음료의 누출 현상을 경험한다. 이는 인체공학적인 관점에서 입술은 볼록한 형상을 갖고 있어, 음료 배출구의 입술 접촉면은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구현하거나, 빨대와 같은 볼록 원형 단면을 입안에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어야 정확한 매칭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일상 생활에서 음료를 마시는 도구로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의 일회용 용기 또는 반복 사용 가능한 용기와 그에 대응되는 뚜껑에 있어서, 인체공학적 입술의 특성에 착안하여 음료의 흡입구를 볼록형인 입술에 대응되도록 오목형으로 구현하여 음료의 섭취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흘림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에 대한 형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류나 플라스틱류 또는 도자기류 등의 재질로 구현되는 컵류나 잔류 또는 머그류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개구부 뚜껑은, 개구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음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뚜껑에 설치되는 흡입형 배출구 또는 개구형 배출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취할 수 있고, 음료의 섭취에 따라 컵이나 잔 또는 머그 안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뚜껑에 설치되는 공기 구멍을 설치하며, 배출되는 음료 등의 배출구 부위에서 입술과 맞닿는 배출구의 입술 접촉부의 형상을 볼록형인 입술 형상과 밀접 접촉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매칭되는 오목형 배출구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종이류나 플라스틱류 또는 도자기류 등의 재질로 구현되는, 뚜껑 없이 사용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에 있어서, 1곳 이상의 오목형 형상을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몸통 또는 이들의 몸통과 개구부 테두리를 포함하여 설치하여 볼록형인 입술 형상과 접촉을 인체공학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에 대응되는 뚜껑에 있어서, 인체공학적 입술의 특성에 착안하여 음료의 흡입구를 볼록형인 입술에 대응되도록 오목형으로 구현하여 음료의 섭취 과정에서 흘림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이 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기존의 컵이나 잔 또는 머그에 설치되는 뚜껑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이나 잔 또는 머그에 설치되는 흡입형 배출구를 갖는 뚜껑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이나 잔 또는 머그에 설치되는 흡입형 및 개구형 배출구를 갖는 뚜껑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3의 실시예에 따른 개구형 배출구 주변에 경사형 방벽을 갖도록 구현한 뚜껑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기존의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의 형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기둥형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입구 형상에 오목형 개구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6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원뿔형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입구 형상에 오목형 개구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 분야인 기존의 컵이나 잔 또는 머그에 설치되는 뚜껑 구조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 뚜껑 부에는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과 손쉽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부(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뚜껑 상부로 나온 음료를 몸체와는 분리하고 외부로 누출이 되지 않도록 액체 방벽(180)과 경사 방벽(190) 및 액체 방벽 바닥면(170)을 구비하며, 음료의 흡입에 따라 컵 등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구멍(400)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에는 흡입형 배출구(200)를 구비한 경우로써, 단면 형상으로는 볼록한 원형이고 음료 섭취는 입의 흡입력에 의존하는 흡입형 음료 배출구(300)를 갖는 전형적인 구성으로, 흡입형 배출구의 둘레(210, 211, 212)는 모두 입안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입의 흡입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1(b)는 뚜껑 상부의 일부를 개구형 배출구(800)로 하는 전형적인 구성이며, 이 개구형 배출구 열림부(550)는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 지지대(500) 및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510)을 밀어 쉽게 절개되도록 구성되며, 이후 개구형 배출구의 접이부(560)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고,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 지지대(500)에 포함된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510)이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 수용부(520)에 수용되어 개구형 배출구 열림부(550)가 전체적으로 열리고 고정되도록 구현된 것이다. 이때 개구형 배출구(800)을 통한 음료 섭취를 돕기 위해 볼록형 개구 배출 방벽(600)이 통상 설치되며, 개구형 배출구 경사 방벽(690)을 함께 두어 음료 섭취 중에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뚜껑에 수용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일반적인 뚜껑 구조는 음료 섭취를 위해 사람의 입술과 맞닿는 부분(200, 600)이 모두 볼록한 원호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입술의 인체공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목형으로 대체하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이나 잔 또는 머그에 설치되는 흡입형 배출구를 갖는 뚜껑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흡입형 배출구(200)를 기존의 볼록형 형상(210, 211, 212)에서 오목 A형(220, 221, 222)으로 구현한 것이며, 도 (b)는 오목 B형(230, 231, 232)으로 구현한 것이며, 이와 같은 표현은 실시예의 한 예이며, 해당 배출구가 입안에 모두 수용 가능한 다양한 오목형 형상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이나 잔 또는 머그에 설치되는 흡입형 및 개구형 배출구를 갖는 뚜껑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a) 및 도 2(b)의 오목형 흡입형 배출구에, 개구형 배출구(800)를 추가하되 이를 통하여 음료를 섭취하는 방벽 구조를 오목형 개구 배출 방벽(610)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4는 도3의 실시예의 변형으로 개구형 배출구(800)의 방벽을 오목형 개구 배출 방벽(610)을 오목 경사형 개구 배출 방벽(620)으로 구현한 뚜껑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입술부와 접하는 부분의 형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오목형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실 적용을 위한 전문가들에게는 자명한 사상이다.
도 5는 기존의 원기둥형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의 형상의 예와 원뿔기둥형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등의 형상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몸통(900, 901)과 테두리(920, 921) 및 손잡이(910, 911) 등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기둥(930) 또는 원뿔기둥(940) 형상을 이용하여 원기둥형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몸통(900)과 테두리(920)에 오목형 형상을 1곳 및 2곳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오목부는 실시예와 같이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몸통(900) 및 테두리(920)에 함께 설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림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통에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오목부의 개수 및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실 적용을 위한 전문가들에게는 자명한 사상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원뿔기둥형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몸통(901)과 테두리(921)에 오목형 형상을 1곳 및 2곳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설명과 같이 오목부의 설치 위치, 개수 및 다양한 형상은 이 분야의 실 적용을 위한 전문가들에게는 자명한 사상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상이나 개수 및 위치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컵 뚜껑 110: 컵 뚜껑 결합부
170: 액체 방벽 바닥면 180: 액체 방벽
190: 제1 경사 방벽 200: 흡입형 배출구역
210: 볼록형 배출구 제1 외면 211: 볼록형 배출구 측면
212: 볼록형 배출구 제2 외면 220: 오목 A 형 배출구 제1 외면
221: 오목 A 형 배출구 측면 222: 오목 A 형 배출구 제2 외면
230: 오목 B 형 배출구 제1 외면 231: 오목 B 형 배출구 제1 측면
232: 오목 B 형 배출구 제2 측면 233: 오목 B 형 배출구 제2 외면
300: 볼록형 음료 배출구 310: 흡입형 음료 배출구
400: 공기 구멍 500: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 지지대
510: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 520: 개구형 배출구 고정핀 수용부
550: 개구형 배출구 열림부 560: 개구형 배출구 접이부
600: 볼록형 개구 배출 방벽 610: 오목형 개구 배출 방벽
620: 오목 경사형 개구 배출 방벽
690: 개구형 배출구 경사 방벽 800: 개구형 배출구
900: 컵 또는 잔 또는 머그 몸통 910: 손잡이
920: 컵 또는 잔 또는 머그 개구부 테두리
930: 원기둥 940: 원뿔기둥
950: 원기둥 수용부 960: 원뿔기둥 수용부

Claims (6)

  1. 종이류나 플라스틱류 또는 도자기류 등의 재질로 구현되는 컵류나 잔류 또는 머그류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개구부 뚜껑에 있어서,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개구부와 쉽게 결합하도록 뚜껑에 구현한 결합부;와
    컵이나 잔 또는 머그에 있는 음료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뚜껑에 구현한 흡입형 배출구 또는 개구형 배출구; 및
    음료 등의 섭취에 따라 컵이나 잔 또는 머그 안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뚜껑에 구현한 공기 구멍; 그리고
    상기 배출구 부위에서 입술과 맞닿는 접촉부;를
    볼록형인 입술 형상을 인체공학적으로 수용하도록 오목형 배출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뚜껑.

  2. 상기 1항에 있어서,
    흡입형 배출구와 개구형 배출구를 함께 갖고 있으며, 이들의 흡입형 배출구의 입술 접촉부 및 개구형 배출구 방벽의 입술 접촉부는 볼록형인 입술 형상과 인체공학적인 접촉을 수용하도록 오목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뚜껑.
  3. 종이류나 플라스틱류 또는 도자기류 등의 재질로 구현되는 뚜껑 없이 사용하는 컵류나 잔류 또는 머그류 등에 있어서,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몸통; 또는
    상기 몸통과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개구부 테두리;에
    볼록형인 입술 형상과 인체공학적인 접촉을 수용하도록 오목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4. 상기 1항과 3항에 있어서,
    오목형 접촉부는 1곳 이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오목한 부분은 원기둥 방식이나 원뿔기둥 형상 등의 일부분을 오목부 형상 구현을 위해 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목부를 두는 경우, 각각의 오목한 정도를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각각의 오목한 정도를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어,
    입술의 인체공학적인 크기와 형상에 따라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5. 상기 1항과 2항에 있어서,
    오목한 접촉부를 갖는 흡입형 배출구는 입안에 모두 수용 가능하도록 전체 크기를 제한하여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6. 상기 1항과 2항에 있어서,
    오목형 개구 배출구가 뚜껑에 구현되는 경우,
    입술과 접촉하는 부분을 평탄하게 하는 오목형 개구 배출 방벽;이나
    입술과 접촉하는 부분까지 경사형으로 하는 오목 경사형 개구 배출 방벽;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이나 잔 또는 머그의 뚜껑.

KR1020220096569A 2022-08-03 2022-08-03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KR20240018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569A KR20240018806A (ko) 2022-08-03 2022-08-03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569A KR20240018806A (ko) 2022-08-03 2022-08-03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806A true KR20240018806A (ko) 2024-02-14

Family

ID=8989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569A KR20240018806A (ko) 2022-08-03 2022-08-03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8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390B1 (en)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US5871118A (en) Ergonomic reusable top for beverage containers
US7942260B1 (en) Cup insert with food holder
US20110036851A1 (en) Container closure
US6783024B2 (en) Spout assembly for thin-film liquid container
CN110733750A (zh) 附有一体成型吸管的饮料杯盖
KR102047110B1 (ko)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CN109476398A (zh) 具有限制溢出的闭合装置的容器
US6648169B1 (en) User friendly beverage can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KR20240018806A (ko)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CN210762062U (zh) 附有一体成型吸管的饮料杯盖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JP2001294252A (ja) ノズル付きのボトルキャップ
WO2022006944A1 (zh) 一种高实用性咖啡杯
JP3235667U (ja) 容器組立体及びその蓋体
CN214525110U (zh) 新型饮品容器
CN218635754U (zh) 一种倾倒防漏防滑塑料杯
US11383885B2 (en)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CN216932633U (zh) 一种盖体及使用其的组合式可调饮品杯
CN215555910U (zh) 一种无菌杯
US20220112012A1 (en) Lid with lower sanitary extensions
CN213769300U (zh) 一种环保纸杯盖
US20220388706A1 (en) Bottle easy to carry and clean
KR20240080433A (ko) 빨대 일체형 액체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