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110B1 -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110B1
KR102047110B1 KR1020190028573A KR20190028573A KR102047110B1 KR 102047110 B1 KR102047110 B1 KR 102047110B1 KR 1020190028573 A KR1020190028573 A KR 1020190028573A KR 20190028573 A KR20190028573 A KR 20190028573A KR 102047110 B1 KR102047110 B1 KR 10204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lid
container body
disposable cup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란
전수아
전수연
Original Assignee
최미란
전수아
전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란, 전수아, 전수연 filed Critical 최미란
Priority to KR102019002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컵 형상의 용기 본체; 내용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용기 본체의 내벽부에 일체로 마련된 내부 빨대;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 및 뚜껑의 외부에서 뚜껑을 관통하여 뚜껑에 연결되되 뚜껑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 빨대에 암수 연결되는 외부 빨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빨대를 일회용 컵 및 뚜껑과 일체로 제작하여 제작 단가를 낮추고 일회용 컵의 빨대 사용 편리성을 높이며, 빨대가 컵 및 뚜껑과 함께 배출되므로, 분리수거가 용이하며, 빨대의 유실에 따른 환경적인 오염과 동물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구현한다.

Description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ONE-PIECE DISPOSABLE CUP WITH STRAW}
본 발명은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빨대가 설치된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컵은 종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이러한 일회용 컵은 각종 음료를 저장하여 휴대 취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판매되는 음료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커피 및 과일음료 전문점이나 테이크아웃 음료가게가 많이 늘어나면서 1회용 컵의 매장 사용이 제한되고 있지만, 음료의 테이크아웃을 위한 것으로는 허용된다.
음료용 일회용 컵은 음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캡이 씌워지며, 빨대가 제공된다. 이러한 일회용 컵은 빨대를 꽂아 내용물을 섭취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처럼 일회용 컵과 빨대를 별도로 만들어 제공함에 따라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컵의 제작비가 상승되어 판매 단가가 상승된다.
더욱이, 기존의 일회용 컵은 음료를 컵에 담은 후에 빨대를 꽂아야 하므로 캡을 씌우고 빨대를 꽂는 불편함이 있으며, 빨대가 컵과 분리되어 쓰레기 처리되지 않아 빨대의 유실에 따른 생태 환경적인 오염과 해양 동물에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빨대를 일회용 컵 및 뚜껑과 일체로 제작하여 제작 단가를 낮추고 일회용 컵의 빨대 사용 편리성을 높이며, 빨대가 컵 및 뚜껑과 함께 배출 처리되므로, 빨대의 분리수거가 용이하며, 빨대의 유실에 따른 환경적인 오염과 동물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내용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부에 일체로 마련된 내부 빨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외부에서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에 연결되되 상기 뚜껑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 빨대에 암수 연결되는 외부 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빨대에는 외부에서 흡입 위치의 조절을 위한 접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빨대의 하부에 상기 내부 빨대의 상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빨대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 빨대를 수용하기 위한 확경부가 마련되며, 상기 외부 빨대의 하부는 상기 확경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형성되되, 하단에는 흡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와 내부 빨대, 및 상기 뚜껑과 외부 빨대는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부로 볼록한 환형의 둥근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환형의 둥근 플랜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환형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빨대를 일회용 컵 및 뚜껑과 일체로 제작하여 제작 단가를 낮추고 일회용 컵의 빨대 사용 편리성을 높이며, 빨대가 컵 및 뚜껑과 함께 배출되므로, 빨대의 분리수거가 용이하며, 빨대의 유실에 따른 환경적인 오염과 동물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뚜껑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뚜껑 분리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컵 형상의 용기 본체(100), 내용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용기 본체(100)의 내벽부에 일체로 마련된 내부 빨대(105),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110), 및 뚜껑(110)의 외부에서 뚜껑(110)을 관통하여 뚜껑(110)에 연결되되 뚜껑(110)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 빨대(105)에 암수 연결되는 외부 빨대(115)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용기 본체(100)와 내부 빨대(105), 및 뚜껑(110)과 외부 빨대(115)는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제작된다. 현재 사출성형 제조기술은, 정밀한 형상이나 구조의 사출이 가능한 수준으로서, 용기 본체(100)와 내부 빨대(105), 및 뚜껑(110)과 외부 빨대(115)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은, 빨대(105, 115)를 일회용 컵인 컵 형상의 용기 본체(100) 및 뚜껑(110)과 일체로 제작하여 제작 단가를 낮추고 일회용 컵의 빨대 사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료의 취식 후에는 빨대(105, 115)가 컵 형상의 용기 본체(100) 및 뚜껑(110)과 함께 배출되므로, 빨대의 분리수거가 용이하며, 빨대의 유실에 따른 환경적인 오염과 수생 동물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용기 본체(100)는 상부에 하부로 점차 너비가 좁아지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 휴대가 용이하면서, 적절한 미감을 더해준다. 이러한 용기 본체(100)는 아이스커피나 과일 및 다양한 찬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플라스틱 및 성형이 가능한 재질의 용기이다.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부로 볼록한 환형의 둥근 플랜지(101)가 형성되며, 뚜껑(110)에는 환형의 둥근 플랜지(101)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환형 홈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와 뚜껑(110)은 둥근 플랜지(101)가 환형 홈부(111) 측으로 삽입되어 접촉되면서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호 위치 고정된다. 이처럼 용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뚜껑(110)은 용기 본체(100)를 덮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모자 형상이다.
외부 빨대(115)에는 외부에서 흡입 위치의 조절을 위한 접힘 주름(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 주름(116)은 사방 어느 쪽으로도 빨대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여러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힘 주름(116)에 의해 외부 빨대(115)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꺾일 수 있으며, 유동적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용기 본체(100)에는 외부 빨대(115)가 접힌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 빨대(115)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고정 가능한 빨대 홀더(118)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빨대(115)의 하부에 내부 빨대(105)의 상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외부 빨대(115)에 내부 빨대(105)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 빨대(105)의 상부에는 외부 빨대(115)를 수용하기 위한 확경부(106)가 마련되며, 외부 빨대(115)의 하부는 확경부(106)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부 빨대(115)의 확경부(106)에 내부 빨대(105)의 하단 테이퍼진 부분이 용이하게 연결됨으로써 외부 빨대(115)과 내부 빨대(105)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은, 내부 빨대(105)가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형성되되, 하단에는 흡입구(107)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07)는 용기 본체(100)의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빨대(105)의 하단이 용기 본체(100)의 바닥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내용물을 완전히 흡입하기 용이하다. 흡입구(107)는 내부 빨대(105)의 하단 측면부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빨대(105)는 용기 본체(100)의 내벽 하부에서 바닥부까지 굴절되도록 용기 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용기 본체 101: 둥근 플랜지
105: 내부 빨대 106: 확경부
107: 흡입구 110: 뚜껑
111: 환형 홈부 115: 외부 빨대
116: 주름

Claims (8)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내용물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부에 일체로 마련된 내부 빨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외부에서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에 연결되되 상기 뚜껑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 빨대에 암수 연결되는 외부 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외부 빨대가 접힌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빨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고정 가능한 빨대 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빨대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 빨대를 수용하기 위한 확경부가 마련되며, 상기 외부 빨대의 하부는 상기 확경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면,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서 바닥까지 형성되되, 하단에는 흡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빨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 하부에서 바닥부까지 굴절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일체로 마련되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에는 외부에서 흡입 위치의 조절을 위한 접힘 주름이 형성된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빨대의 하부에 상기 내부 빨대의 상부가 삽입되어 연결된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내부 빨대, 및 상기 뚜껑과 외부 빨대는 사출 성형되어 제작된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부로 볼록한 환형의 둥근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환형의 둥근 플랜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환형 홈부가 마련된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을 갖는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KR1020190028573A 2019-03-13 2019-03-13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KR10204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573A KR102047110B1 (ko) 2019-03-13 2019-03-13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573A KR102047110B1 (ko) 2019-03-13 2019-03-13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110B1 true KR102047110B1 (ko) 2019-11-20

Family

ID=6872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573A KR102047110B1 (ko) 2019-03-13 2019-03-13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78A (ko) * 2020-05-04 2021-11-12 원형준 음료 용기
KR20220065200A (ko) 2020-11-13 2022-05-20 황창희 더 편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주스팩
KR20230001271U (ko) * 2021-12-14 2023-06-21 신중우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35U (ja) * 1992-10-12 1994-05-10 幸雄 荻原 ストロー付き缶
JP2004203469A (ja) * 2002-12-26 2004-07-22 Manabu Sato キャップを有する飲料容器
KR200419377Y1 (ko) * 2006-04-05 2006-06-19 장재훈 음료 캔
KR20100053406A (ko) * 2008-11-11 2010-05-20 김종현 음료용기
KR20170043414A (ko) * 2015-10-13 2017-04-21 김대성 빨대가 구비된 1회용 음료 컵 및 1회용 음료 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135U (ja) * 1992-10-12 1994-05-10 幸雄 荻原 ストロー付き缶
JP2004203469A (ja) * 2002-12-26 2004-07-22 Manabu Sato キャップを有する飲料容器
KR200419377Y1 (ko) * 2006-04-05 2006-06-19 장재훈 음료 캔
KR20100053406A (ko) * 2008-11-11 2010-05-20 김종현 음료용기
KR20170043414A (ko) * 2015-10-13 2017-04-21 김대성 빨대가 구비된 1회용 음료 컵 및 1회용 음료 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78A (ko) * 2020-05-04 2021-11-12 원형준 음료 용기
KR102435605B1 (ko) * 2020-05-04 2022-08-30 원형준 음료 용기
KR20220065200A (ko) 2020-11-13 2022-05-20 황창희 더 편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주스팩
KR20230001271U (ko) * 2021-12-14 2023-06-21 신중우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KR200497719Y1 (ko) * 2021-12-14 2024-02-05 신중우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110B1 (ko)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US11045025B2 (en) Cup having integrated straw
US8939312B1 (en) Container lid system with a lid portion and food container portion
US4756440A (en) Anti-spill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6736285B2 (en) Collapsible drinking and storage receptacle
CA2750549C (en)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JP2019503717A (ja) コップ
US20180332987A1 (en) Multifunctional Mug Cap with a Sipper and Straw
JP2020011057A (ja) 飲料カップ蓋
KR200466355Y1 (ko) 사출성형된 일체형 스파우트 및 뚜껑이 구비된 음료팩
KR100872185B1 (ko)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KR100952175B1 (ko) 접이식 슬라이딩 스트로
TW201803489A (zh) 保溫瓶的改良結構
KR101344745B1 (ko) 손잡이가 내장된 일회용 컵홀더
JP3223215U (ja) 飲料カップ蓋
CN210961355U (zh) 杯体结构
KR200489447Y1 (ko) 일회용 용기
EP1591369A1 (en) Collapsible drinking and storage receptacle
KR20210020557A (ko)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JPS6337902Y2 (ko)
KR20200019480A (ko) 빨대가 구비되는 종이컵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US20200024024A1 (en) Disposable cup with straw
CN215044490U (zh) 内置吸管的饮料纸杯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