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078A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078A
KR20210135078A KR1020200053294A KR20200053294A KR20210135078A KR 20210135078 A KR20210135078 A KR 20210135078A KR 1020200053294 A KR1020200053294 A KR 1020200053294A KR 20200053294 A KR20200053294 A KR 20200053294A KR 20210135078 A KR20210135078 A KR 20210135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ver
suction pipe
conta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605B1 (ko
Inventor
원형준
원효준
Original Assignee
원형준
원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형준, 원효준 filed Critical 원형준
Priority to KR102020005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6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8Flexible adhesive strips adapted to seal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1흡입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필름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용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 중도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상부 개구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하부 개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덮개판과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A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시중에 판매되는 커피 음료, 유제품 음료 또는 과일 음료 등을 수용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료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형상 덮개의 결합 방식에 따라 음료의 밀봉 포장구조 또는 기존 스트로와 유사한 음료 흡입구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스트로(즉, 빨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음료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간단하게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시중의 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커피 음료, 유제품 음료 또는 과일 음료 등의 경우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밀봉된 음료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음료 용기는 크게 음료가 수용되는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을 밀봉하는 필름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형상의 보호용 덮개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 [문헌 1]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의 경우 음료가 수용된 용기 본체의 상단부를 필름부재로 밀봉시킨 후 그 상부에 보호용 덮개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외부면 전체가 포장용 필름(비닐)에 의해 포장되고, 상기 포장된 용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는 별도 포장된 음료 흡입용 스트로(일명, 빨대)가 추가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음료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별도 포장된 스트로를 용기 본체에서 분리하고 상기 음료 용기와 스트로 각각의 외부 포장재를 제거하게 되며, 그 후 상기 스트로를 필름부재를 통해 용기 본체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스트로를 통해 음료를 흡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료 용기의 경우 스트로를 별도로 제작하고 포장하는 공정과 상기 포장된 스트로를 고주파 가열 등의 방식으로 용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음료 용기의 생산 비용과 생산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재활용을 위한 분리 수거가 곤란한 스트로와 스트로의 포장재로 인하여 음료 용기의 폐기시 각종 환경오염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2788호(2005. 8. 19.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형상 덮개의 결합 방식에 따라 음료의 밀봉 포장구조 또는 기존 스트로와 유사한 음료 흡입구조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스트로(즉, 빨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음료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간단하게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음료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1흡입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필름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용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 중도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상부 개구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하부 개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덮개판과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이 필름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밀봉 포장구조를 이루고, 상기 덮개 본체가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필름부재를 뚫고 상기 제1흡입관에 삽입되는 음료 흡입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덮개 본체의 하부 개구와 덮개판의 사이에서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의 스토퍼 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 깊이를 제한하여 상기 덮개판과 필름부재 사이에 상기 제2흡입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흡입관의 타측 단부 중도에는 절곡이 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주름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덮개판과 필름부재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판은 제2흡입관이 관통하는 부분의 외측 테두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절개한 절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개편이 덮개 본체의 하부 개구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흡입관이 상기 덮개판과 필름부재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 본체가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개편이 덮개 본체의 상부 개구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흡입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흡입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나팔 형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흡입관은 용기 본체의 내측 벽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제1흡입관이 형성된 벽면이 바닥면과 수직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1흡입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필름부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의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내부를 가로질러 막음으로써 덮개 본체의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덮개부, 및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 공간 또는 하부 공간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필름부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 공간이 필름부재와 대면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름부재를 뚫고 상기 제1흡입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1흡입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필름부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의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부를 가로질러 막음으로써 덮개 본체의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개편을 포함하는 덮개부, 및 중도가 상기 절개편의 중앙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절개편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용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형상의 덮개부가 포장 상태에서는 덮개부의 하부 개구가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음료의 밀봉 포장구조를 이루고, 음료의 흡입시에는 상기 덮개부의 상부 개구가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기존 스트로와 유사한 음료 흡입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스트로(즉, 빨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음료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간단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스트로를 별도로 제작하고 포장하는 공정과 상기 포장된 스트로를 용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음료 용기의 생산 비용과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의 폐기시 스트로와 스트로의 포장재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포장 상태일 때의 A-A부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음료 흡입 상태일 때의 A-A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6은 도5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포장 상태일 때의 B-B부 단면도,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9는 도7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포장 상태일 때의 C-C부 단면도, 및
도10은 도7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음료 흡입 상태일 때의 C-C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1과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포장 상태일 때의 A-A부 단면도이며, 도4는 도1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음료 흡입 상태일 때의 A-A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내부에 커피 음료, 유제품 음료 또는 과일 음료 등의 음료가 담겨지는 용기부(10), 상기 용기부(10)를 밀봉시키는 필름부재(20), 및 상기 용기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부(10)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11)와,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제1흡입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11)는 통상의 컵과 마찬가지로 하부의 단면적 보다 상부의 단면적이 넓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흡입관(12)은 기존의 스트로와 같이 내부에 음료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2a)가 형성된 관(pipe)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흡입관(12)의 하단부에는 용기 본체(1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인 흡입공(1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흡입관(12)의 하단부는 관형의 외주면 일부에만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용기 본체(11)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흡입관(12)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나팔 형상의 가이드부(12c)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용기부(10)는 종이 재질이나 합성수지(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용기부(10)가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 경우, 상기 제1흡입관(12)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용기 본체(11)와 일체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용기 본체(11)의 내벽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누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사출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흡입관(12)은 용기 본체(11)의 바닥면과 수직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1흡입관(12)이 용기 본체(11)의 내측 벽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용기 본체(11)는 제1흡입관(12)이 형성된 벽면이 바닥면과 수직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10)는 상하 방향으로 금형이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용기 본체(11)와 제1흡입관(12)이 일체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흡입공(12b)은 사출 성형시 사이드 핀 등을 이용하여 성형이 가능한데, 이와 관련된 사출 금형 구조 및 사출 성형 기술은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부(10)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인서트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 공지된 합성수지(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성형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름부재(20)는 상기 용기 본체(11)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11)를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통상의 음료용 밀봉 포장재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부재(20)는 음료를 흡입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가 제1흡입관(12)의 가이드부(12c)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흡입관(12)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차단막(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막(21)은 다른 부분보다 얇은(또는 쉽게 천공될 수 있는) 박막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상기 차단막(21)은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가 삽입되는 제1흡입관(12)의 상단부 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가 용이하게 상기 제1흡입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30)는 용기부(10)의 상부(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캡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30)가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 모두 상기 용기부(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부(3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용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개구(32,33)가 형성된 통 형상의 덮개 본체(31), 상기 덮개 본체(31)의 내측 중도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덮개판(34), 및 상기 덮개판(34)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41)는 상기 덮개 본체(31)의 상부 개구(32)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42)는 상기 덮개 본체(31)의 하부 개구(33)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덮개판(34)과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판(34)은 덮개 본체(31)의 내부를 가로질러 막음으로써 덮개 본체(31)의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공간인 상부 공간(즉, 상부 개구 방향의 공간)과 하부 공간(즉, 하부 개구 방향의 공간)으로 구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2흡입관(40)은 일측 단부(41)가 상기 상부 공간으로 노출되고 타측 단부(42)가 상기 하부 공간으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30)는 상기 상부 공간 또는 하부 공간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필름부재(20)와 대면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11)에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 공간이 필름부재(20)와 대면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는 상기 필름부재(20)를 뚫고 상기 제1흡입관(12)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공간이 필름부재(20)와 대면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40)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예의 경우 제2흡입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하부 공간(즉, 덮개판과 필름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에 보관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덮개부(30)는 종이 재질이나 합성수지(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덮개부(30)가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 경우, 상기 제2흡입관(40)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덮개 본체(31) 및 덮개판(34)과 함께 일체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흡입관(40)은 사출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덮개판(34)을 대략 수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30)는 상하 방향으로 금형이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덮개 본체(31) 및 덮개판(34)과 제2흡입관(40)이 일체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30)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인서트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 공지된 합성수지(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성형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흡입관(40)의 타측 단부(42) 중도에는 절곡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의 주름부(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30)는 덮개 본체(31)의 하부 개구(33)와 덮개판(34)의 사이에서 상기 덮개 본체(31)의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의 스토퍼 돌기(3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돌기(3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본체(31)가 하부 개구(33)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11)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 깊이를 제한하여 상기 덮개판(34)과 필름부재(20) 사이에 상기 제2흡입관(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본체(31)가 하부 개구(33)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40)의 타측 단부(42)는 상기 주름부(43)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덮개판(34)과 필름부재(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기부(10), 필름부재(20) 및 덮개부(30)의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본체(31)가 하부 개구(33)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40)이 필름부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밀봉 포장구조(즉, 음료 제품의 유통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음료 용기는 외면 전체가 비닐류와 같은 외부 포장재(미도시)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본체(31)가 상부 개구(32)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가 상기 필름부재(20)를 뚫고(구체적으로는, 차단막(21)을 뚫고) 상기 제1흡입관(12)에 삽입되는 음료 흡입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음료 용기의 외부 포장재(미도시)를 제거한 후 하부 개구(33) 방향으로 용기 본체(11)에 결합된 덮개부(30)를 용기 본체(11)로부터 분리한 후 거꾸로 돌려서 상부 개부(32) 방향으로 용기 본체(11)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판(34)이 용기 본체(11)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개구(32) 방향으로 돌출된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가 돌출된 길이 만큼 필름부재(20)의 차단막(21)을 뚫고 상기 제1흡입관(12)의 가이드부(12c)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흡입관(40)의 외경은 가이드부(12c)의 상단측 내경 보다는 작고 제1흡입관(12)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부(12c)에 삽입된 제2흡입관(40)의 외주면은 가이드부(12c)의 중도에서 상기 제1흡입관(12)의 내벽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흡입관(12)과 제2흡입관(40)이 전체로서 하나의 스트로와 같은 음료 흡입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스트로를 별도로 제작하고 포장하는 공정과 상기 포장된 스트로를 용기 본체의 외면 일측에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음료 용기의 생산 비용과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의 폐기시 스트로와 스트로의 포장재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제2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포장 상태일 때의 B-B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111), 필름부재(120), 덮개 본체(131) 및 덮개판(134)의 형상에 있어서만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1흡입관(112)과 제2흡입관(140) 등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 제1흡입관(12)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11)의 일측 벽면을 바닥면에 수직한 평면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필름부재(20), 덮개 본체(31) 및 덮개판(34)의 형상이 상기 용기 본체(11)의 상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는 필요에 따라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상의 음료 용기와 마찬가지로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흡입관(112)은 용기 본체(111)의 내벽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누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제1흡입관(112)이 용기 본체(111)의 경사진 내벽면 일측에 부착되어 형성될 경우 흡입 유로(112a)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사출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흡입관(112)이 용기 본체(111)의 내벽면과 이격되어 용기 본체(111)의 바닥면에 수직한 관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제3실시예)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고, 도9는 도7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포장 상태일 때의 C-C부 단면도이며, 도10은 도7에 도시한 음료 용기가 음료 흡입 상태일 때의 C-C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덮개판(234)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211), 제1흡입관(212), 필름부재(220), 덮개 본체(231) 및 제2흡입관(240) 등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경우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가 덮개 본체(31)의 상부 개구(3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 용기의 필봉 포장구조에서 음료 용기를 적치하거나 유통하는 과정에서 외부 포장재(미도시)가 눌러지는 경우 외부 포장재(미도시)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흡입관(40)의 일측 단부(41)에 의하여 외부 포장재가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덮개부(230)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즉,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되, 음료 용기의 밀봉 포장구조에서 상기 제2흡입관(240)의 전체가 덮개판(234)과 필름부재(2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상기 덮개판(234)의 일부(구체적으로는, 제2흡입관(240)이 관통하는 부분의 외측 테두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개한 절개편(237)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절개된 절개편(237)은 절개 되지 않은 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절곡(또는 회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흡입관(240)은 중도가 상기 절개편(237)의 중앙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절개편(237)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231)가 하부 개구(233)를 통해 용기 본체(2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개편(237)이 덮개 본체(231)의 하부 개구(233)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흡입관(40)이 상기 덮개판(234)과 필름부재(2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덮개판(234)에는 절개편(237)의 형상에 대응되는 절개공(236)이 형성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봉 포장구조에서 음료 용기는 외부 포장재(미도시)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포장되기 때문에 상기 절개공(236)을 통해 오염물질이 음료 용기에 유입될 위험은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밀봉 포장구조로 유통되거나 적치되는 과정에서 외부 포장재(미도시)가 눌러지는 경우에도 제2흡입관(240)이 상대적으로 경질인 덮개판(234)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흡입관(240)에 의하여 외부 포장재(미도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포장재(미도시)를 제거한 후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상기 덮개 본체(231)를 상부 개구(232)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211)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절개편(237)이 덮개 본체(231)의 상부 개구(232)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흡입관(240)의 일측 단부(241)가 상기 필름부재(220)를 뚫고(구체적으로는, 차단막(221)을 뚫고) 상기 제1흡입관(212)에 삽입되는 음료 흡입구조를 이루게 된다.
10,110,210 : 용기부 11,111,211 : 용기 본체
12,112,212 : 제1흡입관 20,120,220 : 필름부재
30,130,230 : 덮개부 31,131,231 : 덮개 본체
34,134,234 : 덮개판 35,135,235 : 스토퍼 돌기
40,140,240 : 제2흡입관

Claims (11)

  1.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1흡입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필름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용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 중도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여 일측 단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상부 개구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하부 개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덮개판과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이 필름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밀봉 포장구조를 이루고, 상기 덮개 본체가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필름부재를 뚫고 상기 제1흡입관에 삽입되는 음료 흡입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덮개 본체의 하부 개구와 덮개판의 사이에서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의 스토퍼 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 깊이를 제한하여 상기 덮개판과 필름부재 사이에 상기 제2흡입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관의 타측 단부 중도에는 절곡이 가능한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주름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덮개판과 필름부재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제2흡입관이 관통하는 부분의 외측 테두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절개한 절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 본체가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개편이 덮개 본체의 하부 개구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흡입관이 상기 덮개판과 필름부재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본체가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절개편이 덮개 본체의 상부 개구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흡입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는 나팔 형상의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관은 용기 본체의 내측 벽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제1흡입관이 형성된 벽면이 바닥면과 수직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9.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1흡입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필름부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의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내부를 가로질러 막음으로써 덮개 본체의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덮개부; 및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덮개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 공간 또는 하부 공간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필름부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 공간이 필름부재와 대면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흡입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름부재를 뚫고 상기 제1흡입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11.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컵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관형의 제1흡입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필름부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 형상의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부를 가로질러 막음으로써 덮개 본체의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분하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개편을 포함하는 덮개부; 및
    중도가 상기 절개편의 중앙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절개편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형의 제2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1020200053294A 2020-05-04 2020-05-04 음료 용기 KR10243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94A KR102435605B1 (ko) 2020-05-04 2020-05-04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294A KR102435605B1 (ko) 2020-05-04 2020-05-04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78A true KR20210135078A (ko) 2021-11-12
KR102435605B1 KR102435605B1 (ko) 2022-08-30

Family

ID=7849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294A KR102435605B1 (ko) 2020-05-04 2020-05-04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6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603Y1 (ko) * 1999-10-23 2000-03-15 김종기 스트로 부착형 음료용기
KR101619805B1 (ko) * 2014-12-16 2016-05-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빨대 꽂이를 구비한 컵홀더
KR102047110B1 (ko) * 2019-03-13 2019-11-20 최미란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KR200490841Y1 (ko) * 2018-07-25 2020-01-13 홍영근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JP2020045114A (ja) * 2018-09-14 2020-03-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オ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00033447A (ko) * 2018-09-20 2020-03-30 정효경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603Y1 (ko) * 1999-10-23 2000-03-15 김종기 스트로 부착형 음료용기
KR101619805B1 (ko) * 2014-12-16 2016-05-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빨대 꽂이를 구비한 컵홀더
KR200490841Y1 (ko) * 2018-07-25 2020-01-13 홍영근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JP2020045114A (ja) * 2018-09-14 2020-03-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オ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00033447A (ko) * 2018-09-20 2020-03-30 정효경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KR102047110B1 (ko) * 2019-03-13 2019-11-20 최미란 빨대 일체형 일회용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605B1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5545B2 (ja) 分離収納容器
JPH0439140Y2 (ko)
US4793516A (en) Nestable packaging container
JP4300882B2 (ja)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KR102435605B1 (ko) 음료 용기
KR101386421B1 (ko) 식품용기용 덮개
JP2002104447A (ja) 袋状容器の蓋付き注出口
CN109562851A (zh) 用于包装容器的支撑件
JP4482723B2 (ja) 密封容器
JP7090550B2 (ja) 所定平面において動きを制限される飲用装置を備える包装容器
KR200489447Y1 (ko) 일회용 용기
JP3741389B2 (ja) 容器の蓋
US20220348394A1 (en) Pouch provided with reinforced tunnel for drink suction
KR102146805B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KR102121144B1 (ko) 음료용 컵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JPH0811904A (ja) 押出し容器
JPH0738188Y2 (ja) 熱可塑性樹脂製飲料用容器
KR960000862Y1 (ko) 빨대 꽂이 구멍을 가지는 병뚜껑
JP2836885B2 (ja) 熱可塑性樹脂製飲料容器
JP4300883B2 (ja) 飲み口開口小蓋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状容器
JP3204924U (ja) 飲料容器
JP7090989B2 (ja) 包装容器に取り付けられる中空体及び前記中空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JP2003137324A (ja) 飲料用包装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47435A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