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421B1 - 식품용기용 덮개 - Google Patents

식품용기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421B1
KR101386421B1 KR1020120082463A KR20120082463A KR101386421B1 KR 101386421 B1 KR101386421 B1 KR 101386421B1 KR 1020120082463 A KR1020120082463 A KR 1020120082463A KR 20120082463 A KR20120082463 A KR 20120082463A KR 101386421 B1 KR101386421 B1 KR 10138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groove
container bottom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823A (ko
Inventor
유승석
Original Assignee
유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석 filed Critical 유승석
Priority to KR102012008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4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both cup and skirt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의 융기면 일단에 개봉마개를 형성하여 내용물 배출구멍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 일면에 입술밀착부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입술이 입술밀착부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용기에 담기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며,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바닥을 감싸는 주연을 형성함으로써 주연의 형성으로 인한 주연 안쪽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량에 따른 용기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기용 덮개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식품용기용 덮개{LID FOR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의 융기면 일단에 개봉마개를 형성하여 내용물 배출구멍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 일면에 입술밀착부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입술이 입술밀착부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용기에 담기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며,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바닥을 감싸는 주연을 형성함으로써 주연의 형성으로 인한 주연 안쪽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량에 따른 용기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기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 음식점은 물론 특히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를 가지고 다니며 먹을 수 있도록 포장해서 테이크아웃(take out)으로 판매되는 커피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일회용 용기에 포장 상태로 판매가 이루어진다. 내부에 내용물이 담긴 일회용 용기에는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흔들림에 의해 용기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상부에 덮개(컵 뚜껑)가 결합된다. 용기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는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덮개를 제거하지 않고 용기 내부에 담긴 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내용물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 내용물 배출구멍에 빨대를 꽂거나 내용물 배출구멍에 입을 대고 커피를 마신다.
이러한 식품용기용 덮개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 제0455016호에는 『상면 중 가장자리 부분이 중심 부분보다 돌출 형성되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가장자리 부분이 점진적으로 그 높이가 증가하다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평면이 형성된 후 다시 감소하며, 상기 수평면의 중심에 배출홀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수평면의 일측에 상기 수평면보다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단차를 이루는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분에 상기 배출홀과 중첩되어 결합되되, "ㄷ"자 형태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배출홀과 분리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방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일측 상면에 돌출된 고정 돌기를 가진 개폐 도어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면 중 상기 지지면의 일측에 이격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지지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면 및 상기 지지면보다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게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단차 부분이 각각 주름지면서 상기 도어의 회전축이 되어, 상기 고정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를 상기 배출홀로부터 개방한 후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지지면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 끼워넣어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바디부 중심 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기 도어가 상기 배출홀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497호에는 『컵의 상부 둘레에 결합하는 컵뚜껑에 있어서, 상기 컵뚜껑 외연의 소정 부분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리브연장부; 상기 리브연장부가 형성된 상기 컵뚜껑의 리브에서 연장되면서 중심방향으로 두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는 결합홈이 마련된 제1결합부재; 상기 중심 방향으로 요설된 고정홈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개폐부재의 두 개의 돌출부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 상기 제2개폐부재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기 두 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요홈을 형성하는 고정홈; 및 상기 제1결합부재가 상기 제2결합부재와 결합 고정될 때 상기 리브연장부가 상기 리브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상기 컵뚜껑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절곡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 아웃용 컵뚜껑.』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 제0433822호에는 『컵의 상면부를 밀폐하도록 상부로부터 씌어져 결합되게 되며, 전반적으로 수평지게 형성되고 일측 가장자리 부분상에는 음료유출구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상면판부와, 상기 상면판부의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수직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측면판부로 일체화되게 이루어지는 핫음료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에 있어서, 상기 음료유출구측을 사용자의 입에 대고 상기 컵을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 사용자의 코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인 상기 음료유출구에서 적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는 상기 상면판부상에 천공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음료로부터의 향이 유출되도록 하게 되는 향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음료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2636호에는 『평면을 가로지른 임의의 절곡선을 따라 자유롭게 절곡되고 외주에는 컵의 상단에 감입 되어지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결합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이 형성된 한 쌍의 덮개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뚜껑.』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실시예 중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 제0455016호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은, 도어의 일측이 계단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배출홀의 개방을 위해 도어의 회전 시 회전이 용이하고, 다단으로 꺾일 수 있으며, 원상 회복 시 상기 계단 형태를 이룬 부분이 탄성 복원 기능을 하게 되어 원상 회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였으나, 실제 컵용뚜껑 금형에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계단을 성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 실제 도어 일측을 계단 형태로 제작한다는 현실성이 없었다.
또한,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은 지지면과 고정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도어를 고정하고, 적은 힘으로 고정부를 밀면 고정된 상태의 도어가 고정 해제되어 배출홀의 개폐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고 하였으나, 사용자가 배출홀을 도어로 닫기 위해 고정부를 민다는 것은 사실상 매우 번거로운 것으로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은 합성수지 재질로 두께가 매우 얇게 제작되는 특성상 고정부의 탄성이 저조하여 고정부를 민다고 하여 도어가 원상으로 회복되어 배출홈을 폐쇄한다는 것은 실현 불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은 아랫입술이 닿는 부분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여 입술과 측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뜨거운 액체의 열이 입술로 직접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에 의한 입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사용자가 컵 내의 내용물을 마실 경우 사용자의 입술이 복수의 홈에 의해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에 밀착되지 않아 컵 내의 내용물이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지 않고 복수의 홈 사이로 흘러내릴 가능성이 크고 실제 복수의 홈과 일반적인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을 비교하였을 때 열전도 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테이크 아웃 컵용뚜껑에 형성된 고정 돌기는 앞은 볼록하고 뒤는 오목한 형태로서 고정 돌기가 공간 내에 끼워지면 고정 돌기 뒤쪽의 오목한 부위로 컵 내의 내용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등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의 융기면 일단에 내용물 배출구멍을 밀폐하는 개봉마개를 형성하여 내용물 배출구멍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고,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 일면에 입술밀착부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입술이 입술밀착부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용기에 담기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며,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바닥을 감싸는 주연을 형성함으로써 주연의 형성으로 인한 주연 안쪽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량에 따른 용기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용기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기용 덮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바닥 안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용기바닥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기바닥을 안치시 용기바닥 끼움돌기가 용기바닥 안쪽 내주에 끼워져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기용 덮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바닥 끼움돌기 중앙을 지나 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양쪽 주연 부위까지 빨대 고정홈을 형성하여 빨대를 분리 포장하지 않고 빨대 고정홈에 꽂아 식품용기용 덮개와 함께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기용 덮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식품용기용 덮개 상부 면의 융기면 일단에 형성되면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배출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용물 배출구멍 자리에 겹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융기면 앞쪽에는 상향 돌출된 개방돌기가 형성되고 개방돌기 뒤쪽으로 융기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함몰된 결합홈이 구비되는 개봉마개; 개방돌기를 개봉마개의 후방 쪽으로 밀면 식품용기용 덮개에 연결되어 있던 개봉마개의 가장자리가 절개되면서 개봉마개에 의해 폐쇄되었던 내용물 배출구멍이 개봉될 수 있도록 개봉마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선; 개봉마개의 후방 끝단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봉된 개봉마개가 결합돌기 쪽으로 쉽게 접히도록 융기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접힘홈; 개봉한 개봉마개를 접힘홈을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접었을 때 결합홈과 일치하는 융기면 부위에 형성되어 결합홈이 대응하여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결합홈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융기면으로부터 상향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덮개를 제공한다.
또한, 개봉마개 쪽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 일면에는 용기의 내용물을 마실 때 사용자의 입술이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사용자의 입술에 부합하면서 안쪽으로 함몰된 타원 형태의 입술밀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품용기용 덮개 가장자리에는 안쪽에 용기바닥 안치부가 형성되도록 융기면 양쪽으로부터 식품용기용 덮개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용기바닥을 감싸도록 양쪽 끝단이 연결되지않는 초승달 형태이면서 양쪽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안쪽에 형성되는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량에 따른 용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안치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도록 용기바닥 안치부가 진원이 아닌 둥근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주연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바닥 안치부에는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기바닥을 안치시 용기바닥 내주에 끼워지도록 용기바닥 안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용기바닥 끼움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봉마개와 평행을 이루는 용기바닥 안치부의 중심을 지나는 지름과 이 지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양쪽 주연 부위에는 빨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몰형태의 빨대 고정홈이 형성되며, 이 빨대 고정홈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주연 내부에 근접하도록 용기바닥 끼움돌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덮개는,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의 융기면 일단에 내용물 배출구멍을 밀폐하는 개봉마개를 형성하여 내용물 배출구멍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하고,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 일면에 입술밀착부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입술이 입술밀착부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용기에 담기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며,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바닥을 감싸는 주연을 형성함으로써 주연의 형성으로 인한 주연 안쪽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량에 따른 용기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용기를 안치할 수 있다.
또한, 용기바닥 안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끼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바닥 안치부에 용기바닥을 안치시 끼움돌기가 용기바닥 내주에 끼워져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바닥 끼움돌기 중앙과 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양쪽 주연 부위에 빨대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빨대를 분리 포장하지 않고 고정홈에 꽂아 식품용기용 덮개와 함께 포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봉마개의 작동상태 확대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봉마개의 작동상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덮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의 융기면(1)에 형성되는 개봉마개(10)와,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 일면에 형성되는 입술밀착부(60)와,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주연(7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개봉마개(10)는 용기(100)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배출구멍(20)을 개폐하기 위해 내용물 배출구멍(20)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겹쳐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봉마개(10)를 개봉하기 전 내용물 배출구멍(20)은 개봉마개(1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고 개봉마개(10)를 회전하여 개방하면 내용물 배출구멍(20)은 개봉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개봉마개(10)는 융기면(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앞쪽에는 융기면(1)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개방돌기(11)가 형성되고, 개방돌기(11)의 후방으로는 뒤에 설명되는 결합돌기(50)에 대응하여 도 4와 같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홈(12)이 형성된다. 결합홈(12)은 결합돌기(50)에 부합하도록 융기면(1)으로부터 하향 함몰된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융기면(1)의 경우 일반적인 식품용기용 덮개의 구성에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을 제외한 가장자리 따라 “∪”와 같은 형태의 절개선(30)이 형성된다. 절개선(30)은 개방돌기(11)를 후방을 가압하였을 때 융기면(1)과 연결되어 있던 개봉마개(10)가 쉽게 개봉되도록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을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절개선(30) 부위는 다른 연결부위에 비하여 개방돌기(11)와 융기면(1)의 연결 두께를 얇게 약화시켜 개방돌기(11)를 조금만 밀더라도 내용물 배출구멍(20)을 폐쇄하고 있던 개봉마개(10)를 쉽게 개봉할 수 있다.
이때, 개봉마개(10) 후방 끝단은 융기면(1)과 연결되어 자연스럽게 접히기 때문에 개봉마개(10)를 개봉하였을 경우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을 제외한 가장자리 부위만 절개되고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 부위는 융기면(1)과 계속 연결된 상태가 된다.
또한,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 부위에는 접힘홈(40)이 형성된다. 이 접힘홈(40)은 개봉마개(10)의 개봉 후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이 잘 접히도록 하여 결합홈(12)이 결합돌기(50)에 쉽게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힘홈(40)은 융기면(1)으로부터 하향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이 한번에 접힐 수 있도록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보다 양쪽으로 더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개봉마개(10)를 개봉한 상태에서 접힘홈(40)을 중심으로 개봉마개(10)를 반대편으로 회전하여 접었을 때 결합홈(12)에 대응하는 융기면(1) 부위에는 결합돌기(50)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50)는 결합홈(12)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2)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융기면(1)으로부터 향상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종래의 식품용기용 덮개의 경우 개봉마개의 결합돌기가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구조이어서 개봉마개의 결합돌기를 결합홈에 끼울 경우 결합돌기가 뒤집히면서 결합돌기 뒤쪽의 홈 부위가 위를 향하게 되어 여기에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덮개는 종래의 식품용기용 덮개와는 달리 도 4와 같이 개봉마개(10)에 구비된 결합홈(12)이 융기면(1)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50)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돌기(50)에 결합홈(12)을 끼울 경우 결합홈(12)의 볼록한 뒷면이 위를 향하게 되어 구조상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갈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입술밀착부(60)는 사용자가 내용물 배출구멍(20)을 통해 용기(100)에 담기 내용물을 마실 때 개봉마개(10)가 형성된 쪽의 아래 입술이 닿는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술에 부합하는 타원형 형태로 입술이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종래의 입술밀착부(60)가 없는 식품용기용 덮개일 경우 외주와 입술이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을 뿐 아니라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있어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입술밀착부(60)에 입술을 댈 경우 입술이 입술밀착부(6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실 수 있음은 물론 입술이 입술밀착부(60)에 긴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사용자의 입 외의 다른 곳으로 흐를 염려가 전혀 없다.
주연(70)은 용기바닥을 감싸도록 양쪽 끝단이 연결되지 않는 초승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융기면(1) 양쪽으로부터 시작하여 식품용기용 덮개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주연(70)은 안쪽에 융기면(1)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평평한 용기바닥 안치부(80)가 형성되도록 융기면(1)으로부터 시작되는 부위는 융기면(1)과 높이가 일치하고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경사도도 낮아져 최종 주연(70)의 양쪽 끝단은 융기면(1)보다 낮은 용기바닥 안치부(80)의 가장자리에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주연(70) 안쪽에 형성되는 용기바닥 안치부(80)는 용량에 따른 용기(100)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100)를 안치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가진 진원이 아닌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주연(70) 양쪽 끝단 사이 간격이 너무 크면 용기바닥이 이 간격 사이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연(70) 양쪽 끝단 사이 간격은 현재제작되고 있는 제일 작은 용기(100) 규격의 용기바닥 지름보다 크지 않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덮개의 용기바닥 안치부(80)는 도 2와 같이 주연(70)에 의해 완전히 연결된 진원이 아닌 둥근 형태이고, 주연(70) 양쪽 끝단 사이의 간격이 있어 용량에 따른 용기(100)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거나 큰 모든 용기(100)를 수용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용기바닥 안치부(80)에는 도 2, 5와 같이 용기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용기바닥 끼움돌기(90)가 형성된다. 이 용기바닥 끼움돌기(90)는 용기바닥 안치부(80)에 용기바닥을 안치시 용기바닥 내주에 끼워지도록 용기바닥 안치부(8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즉, 용기바닥 끼움돌기(90)는 개봉마개(10)와 평행을 이루는 용기바닥 안치부(80)의 중심을 지나는 지름 선상의 전후 양쪽으로 형성되며, 용기바닥 끼움돌기(90) 사이의 용기바닥 안치부(80)에는 빨대(200)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빨대 고정홈(71)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빨대(200)의 길이가 식품용기용 덮개의 지름보다 길기 때문에 용기바닥 끼움돌기(90) 중앙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양쪽 주연(70) 부위까지 빨대(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빨대 고정홈(71)이 연장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용기바닥 끼움돌기(90)가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기바닥 끼움돌기(90)의 형성으로 포장시 내용물을 담은 용기(100)와 빨대(200)를 따로 포장 캐리어(carrier)에 담지 않고 빨대(200)를 용기바닥 끼움돌기(90) 중앙을 지나 양쪽 주연(70)까지 형성된 빨대 고정홈(71)에 끼워 식품용기용 덮개와 함께 포장하면 되므로 부주의로 빨대(200)를 잃어버리고 포장하지 않는 등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덮개는 융기면(1)에 개봉마개(10)를 형성하여 내용물 배출구멍(20)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에 입술밀착부(60)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입술이 입술밀착부(60)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용기(100)에 담기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며, 식품용기용 덮개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바닥 안치부(80)가 형성되도록 주연(70)을 형성함으로써 용량에 따른 용기(100)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100)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덮개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용기(100)에 커피 등과 같은 내용물을 담은 다음 용기(100) 상부가 밀폐되도록 용기(100) 상부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용 덮개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용기(100) 상부에 식품용기용 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개봉마개(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내용물 배출구멍(20)을 개봉한다.
즉, 내용물 배출구멍(20)의 개봉은 개봉마개(10)에 형성된 개방돌기(11)를 밀면 개봉마개(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절개선(30)에 의해 융기면(1)과 연결되어 있던 개봉마개(10)의 가장자리가 융기면(1)으로부터 찢어지면서 분리되어 내용물 배출구멍(20)의 개봉이 이루어진다.
개봉한 개봉마개(10)는 접힘홈(40)을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완전히 접은 다음 개봉마개(10)의 결합홈(12)을 결합돌기(50)에 끼움 결합하여 개봉된 개봉마개(10)가 내용물 배출구멍(20)을 다시 막지 않도록 내용물 배출구멍(20)을 완전해 개봉한다.
이때, 결합홈(12)을 결합돌기(50)에 끼움결합할 경우 결합홈(12)의 볼록한 뒤쪽이 위를 향하기 때문에 결합홈(12) 뒤쪽으로 용기(100)의 내용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갈 염려는 전혀 없다.
이와 같이 결합홈(12)이 결합돌기(50)에 끼움결합되어 내용물 배출구멍(20)이 완전히 개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술을 내용물 배출구멍(20)에 댈 경우 윗입술은 내용물 배출구멍(20)을 감싸고 아랫입술은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에 형성된 입술밀착부(60)에 자연스럽게 밀착된다.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용기(100)의 아래쪽이 위쪽을 향하도록 용기(100)를 서서히 기울이면 내용물 배출구멍(20)을 통해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사용자의 입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입술밀착부(60)는 입술에 부합하는 오목한 타원 형태로 입술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용기(100)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그리고 입술이 입술밀착부(60)에 긴밀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용기(100)의 내용물이 사용자의 입안 외에 용기(100) 면을 따라 다른 곳으로 흐를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용기바닥 안치부(80)에는 다른 용기(100)를 도 2, 3, 5와 같이 적층하여 쌓을 수 있다. 즉, 용기바닥 안치부(80)는 양쪽 주연(70)이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진원이 아닌 둥근 형태로 충분한 여유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용량에 따른 용기바닥 크기에 관계없이 크거나 작은 다양한 크기의 용기(10)를 안전하게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바닥 안치부(80)에 용기바닥을 안치시 도 5와 같이 용기바닥 안치부(8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용기바닥 끼움돌기(90)가 용기바닥의 안쪽에 견고하게 끼워져 용기(100)를 잡아주기 때문에 식품용기용 덮개 위에 용기(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용기바닥 끼움돌기(90) 중앙과 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양쪽 주연(70) 부위까지 형성된 빨대 고정홈(71)에는 도 2와 같이 빨대(200)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의 포장주문시 빨대 고정홈(71)에 빨대(200)가 끼워져 있지 않을 경우 곧바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빨대(200)를 빼고 포장하는 등의 실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빨대(200)가 내용물이 담긴 용기(100)와 분리 포장되지 않고 식품용기용 덮개의 빨대 고정홈(7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용기(100)의 운반시 용기(100)가 담긴 포장 캐리어의 과도한 흔들림에도 빨대(200)가 바닥으로 떨어질 염려가 전혀 없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융기면 10:개봉마개 11:개방돌기
12:결합홈 20:내용물 배출구멍 30:절개선
40:접힘홈 50:결합돌기 60:입술밀착부
70:주연 71:빨대 고정홈 80:용기바닥 안치부
90:용기바닥 끼움돌기 100:용기 200:빨대

Claims (5)

  1. 식품용기용 덮개 상부 면의 융기면(1) 일단에 형성되면서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 배출구멍(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용물 배출구멍(20) 자리에 겹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융기면(1) 앞쪽에는 상향 돌출된 개방돌기(11)가 형성되고 개방돌기(11) 뒤쪽으로 융기면(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함몰된 결합홈(12)이 구비되는 개봉마개(10); 개방돌기(11)를 개봉마개(10)의 후방 쪽으로 밀면 식품용기용 덮개에 연결되어 있던 개봉마개(10)의 가장자리가 절개되면서 개봉마개(10)에 의해 폐쇄되었던 내용물 배출구멍(20)이 개봉될 수 있도록 개봉마개(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선(30); 개봉마개(10)의 후방 끝단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봉된 개봉마개(10)가 결합돌기(50) 쪽으로 쉽게 접히도록 융기면(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접힘홈(40); 개봉한 개봉마개(10)를 접힘홈(40)을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접었을 때 결합홈(12)과 일치하는 융기면(1) 부위에 형성되어 결합홈(12)이 대응하여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결합홈(12)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융기면(1)으로부터 상향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봉마개(10) 쪽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 일면에는,
    용기(100)의 내용물을 마실 때 사용자의 입술이 식품용기용 덮개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사용자의 입술에 부합하면서 안쪽으로 함몰된 타원 형태의 입술밀착부(60)가 형성되고,
    식품용기용 덮개 가장자리에는,
    안쪽에 용기바닥 안치부(80)가 형성되도록 융기면(1) 양쪽으로부터 식품용기용 덮개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용기바닥을 감싸도록 양쪽 끝단이 연결되지않는 초승달 형태이면서 양쪽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안쪽에 형성되는 용기바닥 안치부(80)에 용량에 따른 용기(100)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용기(100)를 안치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도록 용기바닥 안치부(80)가 진원이 아닌 둥근 형태로 형성되게 하는 주연(70)이 구비되며,
    용기바닥 안치부(80)에는,
    용기바닥 안치부(80)에 용기바닥을 안치시 용기바닥 내주에 끼워지도록 용기바닥 안치부(8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용기바닥 끼움돌기(90)가 형성되고,
    개봉마개(10)와 평행을 이루는 용기바닥 안치부(80)의 중심을 지나는 지름과 이 지름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양쪽 주연(70) 부위에는 빨대(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몰형태의 빨대 고정홈(71)이 형성되며, 이 빨대 고정홈(71)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주연(70) 내부에 근접하도록 용기바닥 끼움돌기(90)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덮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82463A 2012-07-27 2012-07-27 식품용기용 덮개 KR10138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63A KR101386421B1 (ko) 2012-07-27 2012-07-27 식품용기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63A KR101386421B1 (ko) 2012-07-27 2012-07-27 식품용기용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23A KR20140013823A (ko) 2014-02-05
KR101386421B1 true KR101386421B1 (ko) 2014-04-16

Family

ID=5026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63A KR101386421B1 (ko) 2012-07-27 2012-07-27 식품용기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018B1 (ko) * 2018-05-11 2019-09-05 김명룡 테이크아웃 음료컵용 뚜껑
KR102129223B1 (ko) * 2020-02-28 2020-07-01 박노섭 일회용 컵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17Y1 (ko) * 2014-01-28 2014-10-15 송희준 테이크아웃 컵
KR102050781B1 (ko) * 2018-06-19 2019-12-02 주식회사 두레 음식물 포장용 용기
US11840384B2 (en) * 2022-05-14 2023-12-12 Alexander J. Simakovsky Container closur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56A (ja) * 1994-12-26 1996-07-09 Kureha Chem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0025806A (ja) * 1998-05-07 2000-01-25 Toshin:Kk 容器の蓋体
US20030089726A1 (en) * 2001-09-14 2003-05-15 Mazzarolo Ivonis M.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KR200455016Y1 (ko) * 2011-02-09 2011-08-10 이병선 테이크 아웃 컵용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56A (ja) * 1994-12-26 1996-07-09 Kureha Chem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0025806A (ja) * 1998-05-07 2000-01-25 Toshin:Kk 容器の蓋体
US20030089726A1 (en) * 2001-09-14 2003-05-15 Mazzarolo Ivonis M.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KR200455016Y1 (ko) * 2011-02-09 2011-08-10 이병선 테이크 아웃 컵용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018B1 (ko) * 2018-05-11 2019-09-05 김명룡 테이크아웃 음료컵용 뚜껑
KR102129223B1 (ko) * 2020-02-28 2020-07-01 박노섭 일회용 컵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23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262B2 (en) Integrated food packaging system having a cup, a container, and a cover
US9845173B2 (en)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484638B2 (en)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KR101560987B1 (ko) 제2 용기가 부착된 푸시 버튼 플립 마개
US8678189B2 (en) Box type container holder for medication cards
KR101386421B1 (ko) 식품용기용 덮개
US7992741B2 (en) Cup lid having a perimeter portion adapted to cause liquid to drai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CN107949527B (zh) 包含内袋的食品包装
US4164303A (en) Vendable reclosable container
MX2014004764A (es) Metodo para elaborar una bebida de dos componentes y un recipiente de dos compartimientos asociado.
AU2003200504B2 (en) Infusion package
WO2006132117A1 (ja) 開封用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
US20190077536A1 (en) Spill resistant disposable cup
US20160045045A1 (en) Dual-Action Lid
US20060169759A1 (en) Product container with fold-down lid
CN109476398B (zh) 具有限制溢出的闭合装置的容器
KR101627480B1 (ko) 리필형 용기
US20050269376A1 (en) Cap for cup
JPS603107Y2 (ja) 開封装置付容器
TWI732520B (zh) 容器蓋以及其製造方法
KR102128240B1 (ko) 음료용 컵 용기
JP2021155108A (ja) ポーション容器
JP4594669B2 (ja) カップ型容器
JP5207173B2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JP5224351B2 (ja) 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