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144B1 - 음료용 컵 - Google Patents
음료용 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1144B1 KR102121144B1 KR1020190025556A KR20190025556A KR102121144B1 KR 102121144 B1 KR102121144 B1 KR 102121144B1 KR 1020190025556 A KR1020190025556 A KR 1020190025556A KR 20190025556 A KR20190025556 A KR 20190025556A KR 102121144 B1 KR102121144 B1 KR 102121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beverage
- cup body
- suction pipe
- l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스트롱(빨대)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흡입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도록;
음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내부에 바닥면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음료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가지는 흡입관로가 구비된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 개구가 밀폐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로의 상단에 끼움결속하여 음료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관이 일체로 구비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용 컵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와 상기 흡입관은, 상기 컵본체 및 상기 뚜껑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흡입관로의 흡입개구들이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음료용 컵을 제공한다.
음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내부에 바닥면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음료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가지는 흡입관로가 구비된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 개구가 밀폐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로의 상단에 끼움결속하여 음료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관이 일체로 구비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용 컵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와 상기 흡입관은, 상기 컵본체 및 상기 뚜껑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흡입관로의 흡입개구들이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음료용 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트롱이 일체로 형성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트롱(빨대)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흡입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이 가능한 패스트푸드점이나 커피숍이나 과일쥬스판매점에서 사용되는 음료컵은 휴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일회용 음료용 컵들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료용 컵은, 통상적으로, 음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 개구가 밀폐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컵본체의 수용공간에 음료가 수용된 상기 뚜껑을 상기 컵본체의 개구에 결속하여 상기 컵본체의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여 상기 컵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외부에 대하여 보호하면서 휴대 및 운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에는, 상기 컵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를 흡입하여 음용하도록 길이를 가지며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스트롱(빨대)이 착탈되는 절개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공에 착탈되는 상기 스트롱을 통해 상기 컵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컵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을 흡입하여 음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트롱을 통해 음료을 흡입하여 음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음료용 컵에서 상기 컵본체는, 주로 저렴하고 가공성이 우수함은 물론 광택이 좋고 무색 투명하여 내용물이 외부에서 보이는 얇은 폴리스틸렌 수지로 된 플라스틱 시트를 가열하여 압공성형이나 진공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종이를 재질로 하여 압착성형과 접착결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뚜껑은, 얇은 폴리스틸렌 수지로 된 플라스틱 시트를 가열하여 압공성형이나 진공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종이를 재질로 하여 압착성형과 접착결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2017-0005714호(명칭; 수용공간이 등분된 음료컵에 빨대구멍이 정위치로 결합되면서 찌그러지지 않도록 보강력을 갖는 일회용 음료컵 뚜껑/2017.11.0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투명재질로 제조되는 뚜껑의 상면 테두리에 하방으로 내입된 일정폭의 반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홈테를 두 개의 빨대구멍과 대응되게 좌우로 대칭시켜 보강홈테의 양 선단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의 상면이 보강홈테로 인해서 보강력을 갖도록 하면서 뚜껑과 컵의 결합시 컵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구획벽이나 연결부로 형성된 등분선이 투과되어 상기 보강홈테의 양측 선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와 일치되도록 결합하여 뚜껑의 빨대구멍이 컵의 수용공간에 정확하게 위치되게 결합되는 음료용 컵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69379호(명칭; 일회용 컵뚜껑 빨대/2017.06.0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회용 빨대에 있어서 음료 따위를 쉽게 빨아올릴 수 있게 원통 모양으로 형성한 빨때,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원모양으로 구성한 뚜껑, 내용물에 압력이 심하게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동그란 구멍이 형성한 숨구멍, 빨대에 주름을 통해 빨대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원통형 모양에 주름으로 구성한 자바라, 뚜껑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게 원반모양으로 뚜껑에 형성한 압력패킹으로 구성한 뚜겅 일체형 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 컵들은, 스트롱(빨대)이 별도로 구비되어 제조 및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스트롱(빨대)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흡입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된 음료용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친화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음료용 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시 음료에 대한 열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음료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컵은, 음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내부에 바닥면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음료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가지는 흡입관로가 구비된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상단 개구가 밀폐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로의 상단에 끼움결속하여 음료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관이 일체로 구비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용 컵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와 상기 흡입관은, 상기 컵본체 및 상기 뚜껑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흡입관로의 흡입개구들이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컵본체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돌출된 다수의 돌부들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컵은, 뚜껑에 일체로 형성된 흡입관이 컵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흡입관로에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뚜껑의 외부에서 흡입관과 흡입관로를 통해 음료을 간편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전체 재질이 환경친화적인 종이를 재질로 하여 제조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컵본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부를 통해 사용자의 손과 컵본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은 물론, 돌부들의 사이공간으로 냉각을 수행하여 뜨거운 음료에 대한 열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뚜껑을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4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컵본체을 보인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보인 개략 정단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뚜껑의 성형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흡입관로의 형성과정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뚜껑을 보인 개략 저면 사시 예시도
도 4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컵본체을 보인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보인 개략 정단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뚜껑의 성형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구성하는 흡입관로의 형성과정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은, 음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컵본체(2)와; 상기 컵본체(2)의 상단 개구가 밀폐되게 결합되는 뚜껑(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용공간에 음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3)을 상기 컵본체(2)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함으로서, 음료를 외부에 대하여 보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료의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에서, 상기 컵본체(2)의 내주면에는, 내부에 바닥면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음료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가지는 흡입관로(21)가 구비된다.
즉, 상기 흡입관로(21)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음료가 상기 컵본체(2)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에서, 상기 뚜껑(3)에는, 상기 흡입관로(21)의 상단에 끼움결속하여 음료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관(31)이 일체로 구비된다.
즉, 상기 뚜껑(3)이 상기 컵본체(2)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뚜껑(3)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흡입관(31)이 상기 컵본체(2)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흡입관로(21)에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끼움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3)의 외부에서 상기 흡입관(31)과 상기 흡입관로(21)를 통해 음료을 간편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컵본체(2) 및 상기 뚜껑(3)은, 종이를 재질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에 대한 전체를 환경친화적으로 제조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극소화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뚜껑(3)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에서, 상기 컵본체(2)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돌출된 다수의 돌부(22)들이 수직상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며 사이간격으로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된 돌부(22)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컵본체(2)의 외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기 돌부(22)들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컵본체(2)를 손으로 잡고 휴대 및 음용할 때, 사용자의 손과 상기 컵본체(2)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뜨거운 음료에 대한 열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안전하게 음료를 음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부(22)들의 사이공간으로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열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돌부(22)는, 평면상 상기 컵본체(2)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방향으로 균일한 사이각도를 가지면서 방사상으로 연장돌출되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돌부(22)는, 외측단에 꼭지점을 가지면서 '삼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면적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면서 절곡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사각' 마름모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에서, 상기 흡입관(31)은, 상기 뚜껑(3)에서, 상부로 연장된 상부수직부(32)와, 상기 상부수직부(32)의 소정위치에서 하부로 절곡하여 하단이 상기 뚜껑(3)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흡입관로(21)의 상단내측에 끼움결합하는 하부수직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관(31)이 상기 상부수직부(32)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부수직부(33)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흡입관로(21)에 끼움결속되는 상기 흡입관(31)의 하부수직부(33)가 탄성적으로 결속됨에 따라, 안정적인 끼움결합작업이 이루어짐은 물론,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흡입관(31)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의 일부위에서 상부로 상기 상부수직부(32)와 상기 하부수직부(33)가 일체로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성형제조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수직부(33)가 상기 상부수직부(32)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종단이 상기 뚜껑의 하부로 연장되게 절곡함으로써, 성형제조가 완료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에서, 상기 흡입관로(21)는, 상기 컵본체(2)의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외측으로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흡입홈(23)과; 상기 컵본체(2)의 내주면에서 상기 흡입홈(23)에 대해여 내측방향으로 폐쇄하면서 결속되는 흡입시트(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시트(24)는, 상기 흡입홈(23)에서 상기 컵본체(2)의 바닥면에 대하여 선택된 높이를 가지는 흡입개구(25)를 형성하면서 상기 컵본체(2)의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개구(25)를 통해 상기 컵본체(2)의 바닥부위에서 음료를 흡입하여 음용하도록 됨에 따라, 음료의 안정적인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흡입시트(24)는, 상기 컵본체(2)의 내측면에 접착 및 융착되어 결합할 수 있으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시트(24)의 일부위와 상기 컵본체(2)의 일부위가 밀착된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압착되어, 상기 흡입시트(24)의 일부위가 상기 컵본체(2)의 내측면에 매립되면서 결속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음료용 컵(1)에서, 상기 흡입관로(21)와 상기 흡입관(31)은, 상기 컵본체(2) 및 상기 뚜껑(3)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컵본체(2)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흡입관로(21)의 흡입개구(25)들이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되어, 흡입되는 음료수위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컵 2 : 컵본체
21 : 흡입관로 22 : 돌부
23 : 흡입홈 24 : 흡입시트
25 : 흡입개구 3 : 뚜껑
31 : 흡입관 32 : 상부수직부
33 : 하부수직부
21 : 흡입관로 22 : 돌부
23 : 흡입홈 24 : 흡입시트
25 : 흡입개구 3 : 뚜껑
31 : 흡입관 32 : 상부수직부
33 : 하부수직부
Claims (3)
- 음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내부에 바닥면에서 개구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음료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을 가지는 흡입관로(21)가 구비된 컵본체(2)와; 상기 컵본체(2)의 상단 개구가 밀폐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로(21)의 상단에 끼움결속하여 음료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관(31)이 일체로 구비되는 뚜껑(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용 컵(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로(21)와 상기 흡입관(31)은,
상기 컵본체(2) 및 상기 뚜껑(3)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컵본체(2)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흡입관로(21)의 흡입개구(25)들이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본체(2)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돌출된 다수의 돌부(22)들이 수직상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556A KR102121144B1 (ko) | 2019-03-06 | 2019-03-06 | 음료용 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556A KR102121144B1 (ko) | 2019-03-06 | 2019-03-06 | 음료용 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1978A KR20190041978A (ko) | 2019-04-23 |
KR102121144B1 true KR102121144B1 (ko) | 2020-06-09 |
Family
ID=6628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5556A KR102121144B1 (ko) | 2019-03-06 | 2019-03-06 | 음료용 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1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2947B1 (ko) * | 2020-12-14 | 2022-12-28 | 배수원 |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9956Y1 (ko) * | 1999-12-02 | 2000-04-15 | 양봉철 | 빨대를 갖는 종이컵 |
KR200489447Y1 (ko) * | 2018-11-01 | 2019-06-19 | 강대욱 | 일회용 용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02020A (en) * | 1992-07-10 | 1997-12-30 | Larsen; Randi Bollerup | Drinking mug |
KR20090002756U (ko) * | 2007-09-14 | 2009-03-18 | 박근성 | 일회용 단열 용기 |
KR20170069379A (ko) | 2015-12-10 | 2017-06-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복합재 연결유닛 및 조립패널 |
-
2019
- 2019-03-06 KR KR1020190025556A patent/KR1021211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9956Y1 (ko) * | 1999-12-02 | 2000-04-15 | 양봉철 | 빨대를 갖는 종이컵 |
KR200489447Y1 (ko) * | 2018-11-01 | 2019-06-19 | 강대욱 | 일회용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1978A (ko) | 2019-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4659B2 (en) | Drinking cup lid having a plug | |
US6883677B2 (en) | Disposable drinking device | |
US6311863B1 (en) | Vapor directing beverage container | |
US4756440A (en) | Anti-spill lid for beverage container | |
JP2019503717A (ja) | コップ | |
RU2602054C1 (ru) | Конический контейнер | |
US20090283535A1 (en) | Sipper lid with straw capability | |
JP2015535779A (ja) | 飲み物容器用の蓋および蒸気案内バッフル | |
JP2020011057A (ja) | 飲料カップ蓋 | |
JP2011518083A (ja) | 折り畳み式密封容器 | |
KR20190137067A (ko) | 몰디드 펄프 컵 뚜껑 | |
US8939349B2 (en) | Disposable cup | |
KR102121144B1 (ko) | 음료용 컵 | |
KR102289413B1 (ko) | 이중 구조의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 |
US20120241462A1 (en) | Heat isolation device for cup | |
JP5495999B2 (ja) | 飲料容器 | |
KR101543513B1 (ko) |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 |
US20190127124A1 (en) | Beverage Container Cover | |
KR200489447Y1 (ko) | 일회용 용기 | |
CN210961355U (zh) | 杯体结构 | |
WO2009012521A1 (en) | Disposable container | |
CN215126934U (zh) | 一种杯盖及应用该杯盖的吸管杯 | |
TWM593785U (zh) | 杯體結構 | |
CN106395113B (zh) | 饮料容器 | |
KR200474750Y1 (ko) |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