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947B1 -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 Google Patents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947B1
KR102482947B1 KR1020200174070A KR20200174070A KR102482947B1 KR 102482947 B1 KR102482947 B1 KR 102482947B1 KR 1020200174070 A KR1020200174070 A KR 1020200174070A KR 20200174070 A KR20200174070 A KR 20200174070A KR 102482947 B1 KR102482947 B1 KR 10248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up
hole
tubular body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523A (ko
Inventor
배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원 filed Critical 배수원
Priority to KR102020017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상향 연장된 벽부(12)와, 상기 벽부(12)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바닥부(11)까지 관통된 관통홀(13)과, 상기 관통홀(13)의 하부에서 음료 수용공간과 연결된 연통홀(14)로 이루어진 컵부재(10); 상기 컵부재(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21)와, 상기 덮개부(2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날개부(22)와, 상기 덮개부(21)에서 상향 연장된 상부 빨대(23)와, 상기 덮개부(21)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상부 빨대(23)와 연결되는 하부 빨대(2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빨대(24)가 상기 관통홀(13)에 내입되도록 마련된 뚜껑부재(20);를 더 포함하는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CUP WITH BEVERAGE SUCTION MEANS}
본 발명은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를 수용하는 컵부재 및 컵부재를 덮을 수 있는 뚜껑부재에 빨대와 같은 음료 흡입 수단을 적용한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빨대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때 컵을 기울이지 않고 마실 수 있게 하여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회용 빨대는 음료가 담긴 컵에 꽂아서 사용하거나 또는 컵뚜껑을 닫은 후 컵뚜껑에 형성된 구멍에 빨대를 꽂아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빨대는 일회용 컵뚜껑과 별개로 제작되어야만 하고, 또한 음료 소비자에게 음료가 담긴 컵을 비롯하여 컵뚜껑과 빨대를 각각 제공해야 하므로 그 취급과 사용이 대단히 불편할 뿐 아니라, 빨대가 바닥에 떨어지기 쉬워서 빨대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른다.
더욱이, 최근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일회용 빨대가 환경 오염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회용 빨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각종 캠패인이나 홍보가 시행되고 있고 나아가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량 역시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485171호(특허문헌 1)에서는 음료가 수용되는 컵본체; 상기 컵본체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뚜껑; 및 빨대가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컵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가도록 상기 뚜껑에 체결 설치되는 빨대삽입밸브;를 포함하는 빨대컵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과 같은 빨대컵이 구조는 대부분 별도로 제공된 빨대를 꽂아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앞서 서술한 사용상의 불편함 및 환경오염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485171호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빨대 및 컵을 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일회용이 아닌, 다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뚜껑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다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빨대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벽부와, 상기 벽부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바닥부까지 관통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서 음료 수용공간과 연결된 연통홀로 이루어진 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상기 컵부재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컵부재 상부 테두리에 결속되는 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에서 상향 연장된 상부 빨대와, 상기 덮개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상부 빨대와 연결되는 하부 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빨대는 상기 관통홀에 내입되도록 마련된 뚜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빨대는 상기 연통홀의 상단까지 하향 연장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하부 빨대는 아래로 갈수록 평단면이 점차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벽부 상단에서 상향 연장된 연장관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관의 내부 공간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상기 컵부재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컵부재 상부 테두리에 결속되는 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상기 연장관이 관통하는 삽입구멍이 마련된 뚜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관형체와, 상기 관형체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 연장관, 상부 빨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결속관으로 이루어진 빨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형체의 단면적보다 상기 결속관의 단면적이 더 작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관형체와 결속관 경계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가진 띠 상의 연결부의 일단부가 상기 관형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관형체의 타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결속홈이 형성된 마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는 상기 연통홀이 위치한 곳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빨대 및 컵을 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일회용이 아닌, 다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환경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뚜껑부재 및 빨대부재를 제공하되 뚜껑부재에 빨대를 일체화시키거나 혹은 뚜껑부재와 빨대부재를 다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환경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빨대부재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 중 변형된 뚜껑 부재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적용 가능한 빨대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및 빨대 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 중 변형된 뚜껑 부재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상향 연장된 벽부(12)와, 상기 벽부(12)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바닥부(11)까지 구멍이 관통된 관통홀(13)과, 상기 관통홀(13)의 하부에서 음료 수용공간과 연결된 연통홀(14)로 이루어진 컵부재(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13)이 종래의 빨대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로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그것과 동일한 형태로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11)는 상기 연통홀(14)이 위치한 곳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조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음료가 소량 남아 있더라도 쉽게 마실 수 있다.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뚜껑부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부재(20)는, 상기 컵부재(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21)와, 상기 덮개부(2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컵부재(10) 상부 테두리에 결속되는 날개부(22)와, 상기 덮개부(21)에서 상향 연장된 상부 빨대(23)와, 상기 덮개부(21)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상부 빨대(23)와 연결되는 하부 빨대(24)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하부 빨대(24)는 상기 컵부재(10)의 관통홀(13)에 내입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빨대(24)는 도 2와 같이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 빨대(24)의 하단부가 상기 연통홀(14)의 상단까지 아래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도 3과 같이 길이가 긴 하부 빨대(24)를 관통홀(13)에 쉽게 끼우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빨대(24)는 아래로 갈수록 평단면의 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제조될 수 있고, 또한 그것과 대응하여 상기 관통홀(13)의 단면적 역시 아래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뚜껑부재(20)의 날개부(22)가 컵부재(10)의 상단에 결속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방식을 적용하면 되기 때문에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뚜껑부재(20)로 컵부재(10) 상단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빨대(23)를 통해 컵부재(10)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도면에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의 컵부재(10)는, 상기 관통홀(13)이 형성된 벽부(12) 상단에서 상향 연장된 관 형태의 연장관(15)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관(15)의 내부 공간이 상기 관통홀(13)과 연결된 구조로서, 이 경우 상기 연장관(15)이 빨대를 대체하게 된다.
상기의 제2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컵을 여러겹 적층시, 컵부재(10)의 벽부(12)가 하향 경사지므로 방해없이 여러겹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뚜껑부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뚜껑부재(20)는 상기 컵부재(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21)와, 상기 덮개부(2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컵부재(10) 상부 테두리에 결속되는 날개부(22)와, 상기 덮개부(21)의 일측에 상기 컵부재(10)의 연장관(15)이 관통하는 삽입구멍(25)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컵부재(10)에 뚜껑부재(20)를 덮을 때 먼저 삽입구멍(25)에 연장관(15)을 끼운 다음, 뚜껑부재(20)를 컵부재(10) 상단에 고정하면, 음료를 쏟거나 흘릴 염려 없이 연장관(15)을 통해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에 적용 가능한 빨대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및 빨대 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은 빨대 부재(30) 특히 일회용이 아닌, 다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형태의 빨대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빨대 부재(3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관형체(31)와, 상기 관형체(31)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13)에 끼음 결합되는 결속관(3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속관(32)의 단면적이 상기 관형체(31)의 단면적보다 더 작게 하여 관형체(31)와 결속관(32)의 경계면에 단턱(33)을 형성하면, 결속관(32)이 관통홀(13)에 끼워질 때 스토퍼 기능을 함과 동시에 관형체(3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결속관(32)이 제1실시예에서 제시된 컵부재(10)의 관통홀(13)에 끼움 고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결속관(32)은 제1실시예에서 제시된 뚜껑부재(20)의 상부 빨대(23)에 끼워질 수도 있고, 또는 제2실시예에서 제시된 컵부재(10)의 연장관(15)에 결속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결속관(32)의 단면적이 관형체(31)의 단면적보다 더 작게 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대로 결속관(32)이 단면적을 관형체(31)의 단면적보다 크게 하여 결속관(32)이 제2실시예에서 제시된 컵부재(10)의 연장관(15)에 씌워지는 형태로 결속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빨대 부재(30)는, 상기 관형체(31)의 타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결속홈(35)이 형성된 마개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개부(34)는 띠 형태의 연결부(36)를 통해 관형체(31)에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36)는 유연성을 가진 띠 형태로서 일측 단부는 관형체(31)의 외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마개부(34)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마개부(34)를 이용하여 관형체(31) 끝 부분을 개폐할 수 있게 되어 필요시 개방하고 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폐쇄할 수 있게 되어 빨대 부재(30)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34)는 도면에서 하트 형상으로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마개부(34)의 외형을 다양한 형상으로, 또한 다양한 모양을 가미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컵부재 11 : 바닥부
12 : 벽부 13 : 관통홀
14 : 연통홀 15 : 연장관
20 : 뚜껑부재 21 : 덮개부
22 : 날개부 23 : 상부 빨대
24 : 하부 빨대 25 : 삽입구멍
30 : 빨대부재 31 : 관형체
32 : 결속관 33 : 단턱
34 : 마개부 35 : 결속홈
36 : 연결부

Claims (10)

  1.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벽부와, 상기 벽부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바닥부까지 관통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서 음료 수용공간과 연결된 연통홀로 이루어진 컵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컵부재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컵부재 상부 테두리에 결속되는 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에서 상향 연장된 상부 빨대와, 상기 덮개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상부 빨대와 연결되는 하부 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빨대는 상기 관통홀에 내입되도록 마련된 뚜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빨대는 상기 연통홀의 상단까지 하향 연장된 것이며,
    상기 하부 빨대는 아래로 갈수록 평단면의 면적이 점차 감소하게 된 것이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벽부 상단에서 상향 연장된 연장관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관의 내부 공간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며,
    상기 컵부재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컵부재 상부 테두리에 결속되는 날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상기 연장관이 관통하는 삽입구멍이 마련된 뚜껑부재;를 더 포함하고,
    소정 길이를 가지는 관형체와, 상기 관형체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 연장관, 상부 빨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결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형체의 단면적보다 상기 결속관의 단면적이 더 작거나 크게 형성되어 상기 관형체와 결속관 경계면에 단턱이 형성된 것이며,
    유연성을 가진 띠 상의 연결부의 일단부가 상기 관형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관형체의 타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결속홈이 형성된 마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연통홀이 위치한 곳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74070A 2020-12-14 2020-12-14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KR10248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070A KR102482947B1 (ko) 2020-12-14 2020-12-14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070A KR102482947B1 (ko) 2020-12-14 2020-12-14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523A KR20220084523A (ko) 2022-06-21
KR102482947B1 true KR102482947B1 (ko) 2022-12-28

Family

ID=8222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070A KR102482947B1 (ko) 2020-12-14 2020-12-14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9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579Y1 (ko) * 1993-07-12 1995-09-15 정철 음료 또는 우유통 콘식 빨대
KR20120030671A (ko) * 2010-09-20 2012-03-29 전명성 빨대 조립체
KR101485171B1 (ko) 2013-05-29 2015-01-23 주식회사 아이엔피 빨대삽입밸브를 구비하는 빨대컵
KR20160044075A (ko) * 2014-10-14 2016-04-25 오세일 빨대컵
KR102134514B1 (ko) * 2018-08-14 2020-07-15 김영만 빨대가 구비되는 종이컵
KR102121144B1 (ko) * 2019-03-06 2020-06-09 최완석 음료용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523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029B2 (en) Drinking cup lid with a reclosable drink opening using a sliding member
US8276783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KR100564859B1 (ko) 유동 제어요소를 갖는 컵 조립체
US10549898B2 (en) Tumbler having additive storage space
US4016998A (en) Drinking vessel
TWM348091U (en) Wash-free cup and lid thereof
US8333145B2 (en) Sip and dip cookie apparatus
US20030102312A1 (en) Disposable lid with cream and sugar port
KR102482947B1 (ko)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KR20080096738A (ko) 스트로우를 내장한 음료용 팩
KR102121144B1 (ko) 음료용 컵
KR20140132067A (ko) 음료 용기 및 그 뚜껑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20210000532U (ko) 조절 가능한 컵입구를 구비한 음료컵
US20070000933A1 (en) Cup with a cap provided with a grip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CN210556615U (zh) 一种防漏热饮杯盖
JP3757927B2 (ja) ハイブリッドボトル
KR200249899Y1 (ko) 식품겸용 음료용 컵
US20200024038A1 (en) Beverage cup lid
JP2004161315A (ja) ハイブリッドボトル
KR200373508Y1 (ko) 음료 캔 결합용 용기
US20200024024A1 (en) Disposable cup with straw
TWM645313U (zh) 無吸管飲料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