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075A - 빨대컵 - Google Patents
빨대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4075A KR20160044075A KR1020140138059A KR20140138059A KR20160044075A KR 20160044075 A KR20160044075 A KR 20160044075A KR 1020140138059 A KR1020140138059 A KR 1020140138059A KR 20140138059 A KR20140138059 A KR 20140138059A KR 20160044075 A KR20160044075 A KR 201600440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outer cup
- liquid
- straw
- liquid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 내부에 별도의 통이 삽입되어, 컵과 삽입통 사이에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빨대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컵은, 내측에 액체 수용 공간을 가지는 외부컵;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삽입가능하고, 하부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 삽입통; 및 상기 삽입통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컵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외부컵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통의 상기 외부컵 내로의 삽입에 의해 액체 흡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 흡입 공간은 상기 외부컵의 바닥 근방 및 상기 외부컵 상단의 개구부 근방을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컵은, 내측에 액체 수용 공간을 가지는 외부컵;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삽입가능하고, 하부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 삽입통; 및 상기 삽입통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컵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외부컵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통의 상기 외부컵 내로의 삽입에 의해 액체 흡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 흡입 공간은 상기 외부컵의 바닥 근방 및 상기 외부컵 상단의 개구부 근방을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정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빨대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 내부에 별도의 통이 삽입되어, 컵과 삽입통 사이에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빨대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아들을 위한 빨대컵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이 컵을 이용하여 음료를 마시는 경우, 컵을 과도하게 기울여 음료를 흘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빨대컵을 사용할 경우, 컵이 뚜껑으로 덮여 있는 상태에서 빨대로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흡입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빨대컵의 경우, 일반적인 빨대가 사용되며, 이러한 빨대는 세척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동일한 크기의 일회용 빨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매번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자원 낭비가 심각하다. 반면, 동일한 크기의 일회용 빨대가 존재하지 않거나 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빨대를 세척하여 사용하지만, 빨대의 폐쇄적 구조 상 빨대의 세척이 쉽지 않아 내부에 잔여물이 남은 상태로 재사용 시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빨대컵 자체를 다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수반될 수도 있다.
한편, 자원 낭비를 줄이고자 컵 자체에 구조적으로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선행특허문헌 1), 빨대가 내장된 컵 (선행특허문헌 2) 등이 개시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세척하는 것이 곤란하여 위생상의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빨대컵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삽입통을 컵에 삽입함으로써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빨대가 없어도 액체를 흡입할 수 있으며, 컵과 삽입통이 분리되어 세척이 용이하므로, 빨대를 교체 사용하는 자원 낭비, 또는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빨대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컵은, 내측에 액체 수용 공간을 가지는 외부컵; 액체 수용 공간에 삽입가능하고, 하부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 삽입통; 및 삽입통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컵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외부컵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삽입통의 외부컵 내로의 삽입에 의해 액체 흡입 공간이 형성되며, 액체 흡입 공간은 외부컵의 바닥 근방 및 외부컵 상단의 개구부 근방을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뚜껑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액체 흡입 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컵의 내측 바닥면은 액체 흡입 공간 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삽입통 및 뚜껑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컵으로부터 내측으로 한 쌍의 돌출부가 연장형성되어 그 단부가 삽입통의 내벽과 접함으로써 액체 흡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돌출부는, 그 단부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컵에 삽입통을 삽입함으로써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빨대 없이 액체 흡입이 가능하며, 컵과 삽입통이 분리되어 간편하게 세척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빨대컵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빨대컵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컵 또는 삽입통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컵 또는 삽입통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빨대컵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빨대컵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컵 또는 삽입통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컵 또는 삽입통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빨대컵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컵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빨대컵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빨대컵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컵 (100) 은, 외부컵 (110) 과, 삽입통 (130) 과, 뚜껑 (150) 을 포함한다.
외부컵 (110) 은, 내측에 액체 수용 공간을 가진다. 즉, 외부컵 (110) 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과 측벽으로 둘러싸이고 상측으로 개방되어 내측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외부컵 (110) 은, 플라스틱 등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된 액체가 직접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부컵 (110) 측벽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수용된 액체의 부피를 계량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컵 (110) 은,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포함하거나, 컵을 잡을 때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오목하거나 볼록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통 (130) 은, 외부컵 (110) 의 액체 수용 공간에 삽입가능하며, 삽입통 (130) 에는 하부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다. 삽입통 (130) 은 외부컵 (110) 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컵 (110) 의 내측에 삽입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컵 (110) 에 액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삽입통 (130) 을 삽입할 경우, 삽입통 (130) 의 하부로 개방된 중공을 통해 액체가 중공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액체가 외부컵 (110) 외부로는 넘쳐 나오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삽입통 (130) 이 외부컵 (110) 에 삽입됨으로써 외부컵 (110) 내측 공간이 액체 흡입 공간 (10) 과 삽입통 내측 공간 (40) 으로 구분된다. 외부컵 (110) 내측에 구분되는 공간들 (10 및 40) 은 외부컵 (110) 및 삽입통 (130) 의 크기, 형태 등에 의해 결정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뚜껑 (150) 은, 외부컵 (110) 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외부컵 (110) 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뚜껑 (150) 은 삽입통 (130) 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뚜껑 (150) 은, 공지의 다양한 개폐방식을 통하여 외부컵 (110) 과 연결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탈착가능한 점에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150) 은, 외부컵 (110) 상단에 형성된 절곡부 (113) 가 뚜껑 (150) 가장자리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됨으로써 외부컵 (110) 에 고정될 수 있다. 조립 시, 뚜껑 (150) 을 외부컵 (110) 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약간의 힘을 가하면, 뚜껑 (150) 의 가장자리 부분이 일시적으로 늘어나면서 뚜껑 (150) 의 홈에 외부컵 (110) 의 절곡부 (113) 가 삽입된다.
한편, 뚜껑 (150) 은 나선결합 방식을 통하여 외부컵 (110) 과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컵 (110) 의 상단 측부로 형성된 나사산과 뚜껑 (150) 의 측부 내측으로 형성된 나사산이 체결됨으로써 외부컵 (110) 과 뚜껑 (150) 이 연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뚜껑 (150) 은 설계 조건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외부컵 (110) 에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뚜껑 (150) 이 외부컵 (110) 에 고정되면, 컵 (100) 내부와 외부가 공간 (40) 및 공기 출입구 (155) 를 통해서만 유체 연통이 가능하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 (150) 의 고정력에 의해 삽입통 (130) 이 외부컵 (110) 에 대해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체 흡입 공간 (10) 및 삽입통 내측 공간 (40) 간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뚜껑 (150) 은 공기 출입구 (155) 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컵 (110) 에 액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삽입통 (130) 을 삽입하거나 분리할 경우, 또는 액체를 흡입할 경우, 공기 출입구 (155) 에 의해 컵 (100) 내외부의 압력이 동일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뚜껑 (150) 의 상면에는 액체 흡입구 (157) 가 형성될 수 있다. 액체를 흡입할 때, 개구부 (30) 에 직접 입을 대고 흡입할 수도 있으나, 개구부 (30) 상측으로 돌출된 액체 흡입구 (157) 가 형성되는 것이 용이하게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술한 외부컵 (110), 삽입통 (130) 및 뚜껑 (150) 을 조립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에 의해 구분되는 빨대컵 (100) 의 내부 공간 (10 및 40) 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삽입통 (130) 의 외부컵 (110) 내로의 삽입에 의해 액체 흡입 공간 (10) 이 형성되며, 액체 흡입 공간 (10) 은 외부컵 (110) 의 바닥 근방 (20) 및 외부컵 (110) 상단의 개구부 근방 (30) 을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정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삽입통 (130) 이 외부컵 (110)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컵 (100) 의 내부 공간은 액체 흡입 공간 (10) 과 삽입통 내측 공간 (40) 으로 구분된다.
액체 흡입 공간 (10) 은, 외부컵 (110) 과 삽입통 (130) 사이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도관과 같은 형태의 공간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액체 흡입 공간 (10) 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통 (130) 의 일부분 (131) 만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짐으로써, 외부컵 (110) 의 일부분 (111) 과 오목부 (1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해당한다. 이때, 액체 흡입 공간 (10) 을 이루지 않는 외부컵 (110) 및 삽입통 (130) 각각의 나머지 부분이 서로 접하고 있으므로, 외부컵 (110) 과 삽입통 (130) 이 접하는 부분 사이로 액체가 이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액체는 외부컵 (110) 의 바닥 근방 (20) 으로부터 액체 흡입 공간 (10) 을 따라 외부컵 (110) 상단의 개구부 근방 (30) 으로 상승하여 흡입된다.
흡입에 의해 액체가 원활히 상승하도록, 외부컵 (110), 삽입통 (130) 또는 뚜껑 (150) 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액체 및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며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삽입통 (130) 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컵 (110) 내벽과 접하는 것이 좋다. 또한, 외부컵 (110) 과 뚜껑 (150) 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일반적인 움직임에도 액체 흡입 공간 (10) 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 패킹으로 마감 처리되는 것이 좋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이 견실하게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기밀성이 지속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액체 흡입 공간 (10) 은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부컵 또는 삽입통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와 같이 액체 흡입 공간 (10A) 은, 외부컵 (110A) 의 일부 (111A) 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부컵 (110A) 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통 (130A) 에 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액체 흡입 공간 (10B) 은, 외부컵 (110B) 의 일부 (111B) 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삽입통 (130B) 의 일부 (131B) 가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외부컵 (110) 및 삽입통 (130) 각각의 일부 (111 및 131) 는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실시에서, 액체 흡입 공간 (10) 은 외부컵 (110) 과 삽입통 (130) 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서, 그 형태 및 크기는 컵 (100) 에 수용될 액체, 사용자, 사용 환경 등이 반영되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액체 흡입 공간 (10) 을 형성하는 외부컵 (110) 의 일부 (111) 또는 삽입통 (130) 의 일부 (131) 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흡입 공간 (10) 을 이루는 각 부분 (111 및 131) 은 도 4의 (a) 및 도 4의 (b)와 같이 둥근 형상을 갖거나, 도 4의 (c)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액체 흡입 공간 (10) 은 외부컵 (110) 또는 삽입통 (130) 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컵 또는 삽입통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액체 흡입 공간 (10) 은, 외부컵 (110C) 으로부터 내측으로 한 쌍의 돌출부 (112C) 가 연장형성되어 그 단부가 삽입통 (130C) 과 접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체 흡입 공간 (10) 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컵 (110C) 내벽의 일부, 삽입통 (130C) 외벽의 일부 및, 상술한 한 쌍의 돌출부 (112C) 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통 (130C) 및 뚜껑 (미도시) 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삽입통 (130C) 의 외벽과 돌출부 (112C) 의 단부가 접한 상태로 삽입통 (130C) 의 위치가 고정되어 액체 흡입 공간 (10) 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112D) 의 단부가 절곡되어 삽입통 (130D) 의 내벽과 돌출부 (112D) 가 넓게 접하게 됨으로써 액체 흡입 공간 (10) 의 밀폐 상태가 더 견실하게 지속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 (112C 및 112D) 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액체 흡입 공간 (10) 의 설계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돌출부가 삽입통의 외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외부컵의 내벽과 접함으로써 액체 흡입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삽입통 내측 공간 (40) 은, 도 3과 같이 액체 흡입 공간 (10) 과 외부컵 (110) 의 바닥 근방 (20) 에서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즉, 외부컵 (110) 의 바닥면 (115) 과 삽입통 (130) 의 하단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액체 흡입 공간 (10) 과 삽입통 내측 공간 (40) 은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외부컵 (110) 의 바닥면 (115) 과 삽입통 (130) 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은, 액체 흡입 공간 (10) 으로 흡입될 액체의 양, 액체 속에 포함 가능한 알갱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간격으로 인해, 수용된 액체의 상부 표면이 삽입통 (130) 의 하단 밑으로 하강하게 될 경우, 액체는 액체 흡입 공간 (10) 을 통해 흡입될 수 없게 된다. 이때, 외부컵 (110) 의 내측 바닥면 (115) 은, 잔존하는 액체의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점에서 액체 흡입 공간 (10) 측으로 갈수록 바닥면 (115) 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빨대컵 (100) 은, 컵 (100) 을 이루는 구성요소, 즉 외부컵 (110), 삽입통 (130) 및 뚜껑 (150) 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액체를 흡입할 수 있는 관 형상의 공간 (10) 을 가진다. 이러한 액체 흡입 공간 (10) 은 기존의 빨대와 동일하게 액체를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가 가능하여 내부를 세척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하여, 매번 일회용 빨대를 교체 사용하는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교체 사용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빨대를 불가피하게 매번 세척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110A, 110B, 110C, 110D…외부컵
111, 111A, 111B…부분
112C, 112D…돌출부
113…절곡부
115…외부컵의 바닥면
130, 130A, 130B, 130C, 130D…삽입통
131, 131B…삽입통의 부분
150…뚜껑
155…공기 출입구
157…액체 흡입구
10, 10A, 10B…액체 흡입 공간
20…외부컵의 바닥 근방
30…외부컵 상단의 개구부 근방
40…삽입통 내측 공간
111, 111A, 111B…부분
112C, 112D…돌출부
113…절곡부
115…외부컵의 바닥면
130, 130A, 130B, 130C, 130D…삽입통
131, 131B…삽입통의 부분
150…뚜껑
155…공기 출입구
157…액체 흡입구
10, 10A, 10B…액체 흡입 공간
20…외부컵의 바닥 근방
30…외부컵 상단의 개구부 근방
40…삽입통 내측 공간
Claims (6)
- 내측에 액체 수용 공간을 가지는 외부컵;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삽입가능하고,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이 형성된 삽입통; 및
상기 삽입통의 상부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외부컵의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외부컵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통의 상기 외부컵 내로의 삽입에 의해 상기 삽입통과 상기 외부컵 간에 액체 흡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액체 흡입 공간은 상기 외부컵의 바닥 근방 및 상기 외부컵 상단의 개구부 근방을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정의되는, 빨대컵.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액체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컵.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컵의 내측 바닥면은 상기 액체 흡입 공간 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컵.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 및 상기 뚜껑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컵.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컵으로부터 내측으로 한 쌍의 돌출부가 연장형성되어 그 단부가 상기 삽입통의 외벽과 접함으로써 상기 액체 흡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컵.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단부가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8059A KR20160044075A (ko) | 2014-10-14 | 2014-10-14 | 빨대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8059A KR20160044075A (ko) | 2014-10-14 | 2014-10-14 | 빨대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4075A true KR20160044075A (ko) | 2016-04-25 |
Family
ID=5591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8059A KR20160044075A (ko) | 2014-10-14 | 2014-10-14 | 빨대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4075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903B1 (ko) * | 2017-09-20 | 2018-07-12 | 허남훈 |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
KR101992679B1 (ko) * | 2018-10-15 | 2019-06-25 | 공석준 |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
JP2020192308A (ja) * | 2019-05-24 | 2020-12-03 | 堤商会有限会社 | 飲料用吸引補助具 |
KR20210143596A (ko) * | 2020-05-20 | 2021-11-29 | 김정섭 |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
KR20220084523A (ko) * | 2020-12-14 | 2022-06-21 | 배수원 |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
-
2014
- 2014-10-14 KR KR1020140138059A patent/KR201600440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903B1 (ko) * | 2017-09-20 | 2018-07-12 | 허남훈 |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
KR101992679B1 (ko) * | 2018-10-15 | 2019-06-25 | 공석준 |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
WO2020080705A1 (ko) * | 2018-10-15 | 2020-04-23 | 오종석 |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
JP2020192308A (ja) * | 2019-05-24 | 2020-12-03 | 堤商会有限会社 | 飲料用吸引補助具 |
KR20210143596A (ko) * | 2020-05-20 | 2021-11-29 | 김정섭 |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
KR20220084523A (ko) * | 2020-12-14 | 2022-06-21 | 배수원 | 음료 흡입 수단을 가진 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44075A (ko) | 빨대컵 | |
KR102085749B1 (ko) | 모유 착유기 | |
JP5204533B2 (ja) | 搾乳器 | |
US20160083154A1 (en) | Beverage container for child | |
US9151398B2 (en) | Valve for a sippy cup | |
TWM348091U (en) | Wash-free cup and lid thereof | |
US8657148B2 (en) | Drinking container lid with soft spout | |
WO2018071410A1 (en) | Integrated anti-spill container | |
JP5800440B1 (ja) | 吸引ボトル | |
US20230028280A1 (en) | Magnetic bottle brush | |
US10743689B2 (en) |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novel two-chambered drinking receptacles | |
KR101992679B1 (ko) |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 |
JP2008290745A (ja) | ポンプ式液体吐出容器 | |
KR20110116294A (ko) | 빨대가 구비된 액체용기 구조 | |
WO2007136748A2 (en) | Drinking cup and cover with flow directing assembly | |
KR200489129Y1 (ko) |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 |
KR101877903B1 (ko) |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 |
KR100781568B1 (ko) | 믹싱밀폐용기 | |
CN216932652U (zh) | 杯盖及杯具 | |
JP6108777B2 (ja) | 乳幼児用飲料容器 | |
JP2011131052A (ja) | 二開口式哺乳瓶 | |
JP2020054724A (ja) | ランチボックス | |
KR200429418Y1 (ko) | 컵 뚜껑 | |
CN216364643U (zh) | 杯盖组件及杯具 | |
EP3431161B1 (en) | Lid construction for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