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903B1 -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903B1
KR101877903B1 KR1020170121007A KR20170121007A KR101877903B1 KR 101877903 B1 KR101877903 B1 KR 101877903B1 KR 1020170121007 A KR1020170121007 A KR 1020170121007A KR 20170121007 A KR20170121007 A KR 20170121007A KR 101877903 B1 KR101877903 B1 KR 10187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ntainer
straw
side wall
inn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훈
Original Assignee
허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훈 filed Critical 허남훈
Priority to KR102017012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본원발명은 용기의 벽체가 용기의 내부에 있는 유체(流體)를 빨아들이는 통로 역할을 하는, 즉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용기 바닥과 용기 측벽으로 이루어져 액상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상기 측벽에 확장 빨대가 매립되어 있되, 상기 측벽은 이중벽이고, 상기 이중벽에 의하여 상기 확장 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하며, 본원발명에 따르면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를 쉽게 제조하거나 용이하고 조립할 수 있고,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의 빨대 부분을 쉽게 세척할 수 있으며, 보관 시에도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용기의 내부에 얼음이나 티백이 있더라도 그 기능 구현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CONTAINER WITH WALL STRAW}
본원발명은 용기(container, 容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벽체가 용기의 내부에 있는 유체(流體)를 빨아들이는 통로 역할을 하는, 즉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유체는 일반적으로 기체(氣體)와 액체(液體)를 일컫는다. 본원발명은 일반적으로 액체를 담는 용기에 관한 것이나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그 기술적 사상은 기체를 담은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액체를 담는 텀블러나 컵과 같은 용기를 예시로서 설명한다.
후술하는 본원발명은 특징을 요약하면 내컵과 외컵에 의하여 이중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확장된 빨대가 형성된 것이다. 빨대(drinking straw)는 물 따위를 빨아올리는 데 쓰이는 기구인데, 이것을 용기의 벽면에 넣되, 제작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그 기능을 보강한 것이다. 제작과 유지관리를 고려한 것이 컵의 벽을 이중으로 형성한 것이고, 그 기능을 보강한 것은 빨대를 확장(擴張)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빨대는 종래 통상의 빨대와는 그 구조에 차이가 있다. 종래 통상의 빨대는 통상 길게 형성된 관의 형상을 가지나 후술하는 본원발명에 따른 빨대는 전혀 다른 형태를 가진다. 다만, 본 명세서는 종래 '빨대'라는 용어가 물을 빨아들이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본원발명에 따른 구성도 '빨대' 또는 '확장 빨대'라 칭하였다.
본원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제1 선행기술로 중국 특허출원 제201610261625.2호로서 공개일 2016. 7. 3.인 "흡입 파이프를 내장하는 물컵"가 있다. 이 선행발명은 흡입 파이프를 내장하는 물컵을 공개하는데, 컵 몸체를 포함하고, 컵 내는 상부에서 개방되는 컵 챔버를 가지고 있고, 컵 챔버의 상부가 컵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컵 몸체의 내면은 컵 챔버 저부로부터 컵 입구 테두리로 연장되는 흡입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는 컵 챔버 저부에서 저부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흡입 파이프는 컵 입구 테두리에서 상부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흡입 파이프 안에 흐름 이동로가 형성되는 등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다소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도 1a는 제1 선행기술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제2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09714호로서, 등록일 2008. 11. 28.인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이 있다. 제2 선행기술은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컵의 내벽에 빨대관이 형성되어 있어 컵을 기울이지 않고서도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을 얻기 위한 것인데,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컵의 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한개 또는 2개의 빨대관이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빨대컵은 빨대와 같은 흡입관이 컵의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컵을 기울이지 않고서도 편안하게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컵에 별도의 빨대를 구성하지 않고 언제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빨대를 보관, 소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다소 공통점이 있다. 도 1b는 제2 선행기술을 보인 도면이다.
위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본원발명과 같이 별도의 빨대를 휴대할 필요 없이 용기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선행기술들과 본원발명의 공통점이 인정된다.
하지만, 선행기술들은 매우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는 그 제조방법이 쉽지 않다는 것이며, 제조 시에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제조를 한 이후에 유지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컵이 일회용인 경우는 논외로 하고, 컵을 재활용하는 경우 벽체 내부에 형성된 빨대를 청소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셋째로 용기 내부에 얼음이나 티백(tea bag) 등과 같은 것들이 있는 경우 유입구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 별도로 형성된 빨대는 그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얼음이나 티백 등에 의하여 그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지만, 선행기술들과 같이 용기 벽체에 빨대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순수한 액체만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 기능 구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중국 특허출원 제201610261625.2호, 공개일 2016. 7. 3.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09714호, 등록일 2008. 11. 28.
본원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이 쉬운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 내의 빨대를 세척하거나 보관 시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내에 얼음이나 티백 등이 있더라고 그 기능 구현에 문제가 없는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용기 바닥과 용기 측벽으로 이루어져 액상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상기 측벽에 확장 빨대가 매립되어 있되, 상기 측벽은 이중벽이고, 상기 이중벽에 의하여 상기 확장 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용기는 외컵의 내측으로 내컵이 위치하고, 상기 외컵과 내컵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중벽은 상기 내컵의 내컵 측벽과 상기 외컵의 외컵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확장 빨대는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내컵의 상부가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내컵 확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컵 확장부는 상기 외컵의 상부를 덮고, 상기 외컵의 상부가 상기 내컵 확장부에 밀실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내컵 확장부와 상기 외컵의 상부는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내컵 확장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구멍인 흡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는 확장 빨대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용기 바닥은 외컵 바닥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컵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내컵의 하단은 상기 외컵 바닥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유체가 상기 외컵 바닥과 상기 내컵의 하단을 경유하여 상기 확장 빨대를 통해 상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용기 측벽 전부에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확장 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내컵의 하단 전부가 상기 외컵 바닥과 이격되어, 상기 용기 내의 유체가 용기 바닥 360도 전 구간에서 상기 흡입부의 흡입에 의하여 확장 빨대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용기의 아래부터 상기 용기의 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의 맞닿는 면적이 점차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이 형성하는 상기 확장 빨대의 공간이 상기 용기의 아래부터 상기 용기의 위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를 차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되, 상기 뚜껑에는 상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내컵의 상부가 막힌 구조이어서, 상기 내컵이 뚜껑 기능을 하고, 상기 내컵의 상부에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를 쉽게 제조하거나 용이하고 조립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의 빨대 부분을 쉽게 세척할 수 있으며, 보관 시에도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의 내부에 얼음이나 티백이 있더라도 그 기능 구현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외컵과 내컵의 간단한 결합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제1 선행기술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임.
도 1b는 제2 선행기술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임.
도 2a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사시도임.
도 2b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정면도임.
도 2c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측면도임.
도 2d는 도 2b 및 도 2c의 A-A 단면을 보인 단면도임.
도 3a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평면도임.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을 보인 단면도임.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분해조립도임.
도 5a 및 도 5b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사용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임.
도 5a는 본원발명에 따른 텀블러에 음료를 넣은 상태의 종단면을 보인 것임.
도 5b는 본원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내부 음료를 흡입하는 상태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임.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 2가지를 보인 것으로, 하나는 뚜껑이 없이 오픈된 형태의 텀블러이고, 다른 하나는 외컵이 뚜껑 기능을 하는 형태의 텀블러를 예시적으로 보인 것임.
도 6a는 내컵이 뚜껑 기능을 하는 실시 예를 보인 도면임.
도 6b는 뚜껑이 없는 형태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임.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임.
도 7a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용 시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임.
도 7b는 도 7a의 C-C 단면을 보인 것임.
도 7c는 도 7a의 D-D 단면을 보인 단면도임.
이하,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기본적으로 용기 바닥과 용기 측벽으로 이루어져 액상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2a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인데, 외관상 용기 바닥(11)과 용기 측벽(12)으로 이루어진 용기(10)로서 통상의 용기와 큰 차이가 있어 보이지 않는다. 본원발명의 특징은 용기(10)의 내부 구조에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도 2a의 투시된 내부는 개략 도시한 것임). 용기의 상부에는 통상의 텀블러 등과 마찬가지로 뚜껑(40)이 있다. 상기 뚜껑(40)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뚜껑(40)에는 공기 구멍(41)이 형성된다. 용기(10)의 상부에는 용기(10) 내부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용기 내부를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도 2b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정면도, 도 2c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측면도이고, 도 2d는 도 2b 및 도 2c의 A-A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용기 측벽(12)에 확장 빨대(50)가 매립되어 있되, 상기 용기 측벽(12)은 이중벽이고, 상기 이중벽에 의하여 상기 확장 빨대(50)가 형성된다. 본원발명의 확장 빨대(50)는 빨대를 확장(擴張)한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의 빨대는 종래 통상의 빨대와는 그 구조에 차이가 있으며, 본 명세서는 종래 '빨대'라는 용어가 물을 빨아들이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본원발명에 따른 구성도 '확장 빨대'라 칭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벽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은 2개의 컵이 겹쳐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용기(10)는 외컵(30)의 내측으로 내컵(20)이 위치하고, 상기 외컵(30)과 내컵(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중벽은 상기 내컵(20)의 내컵 측벽(21)과 상기 외컵(30)의 외컵 측벽(31)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확장 빨대(50)는 상기 내컵 측벽(21)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31)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컵(30)과 상기 내컵(20)은 위가 넓고 점차 아래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외컵(30)의 내측으로 상기 내컵(20)을 삽입하는 것이, 상기 내컵(20)의 좁은 아래쪽이 상기 외컵(30)의 넓은 위쪽으로 삽입되는 것이어서 그 삽입이 쉽기 때문이다.
도 4로서 내컵과 외컵의 결합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분해조립도이다. 상기 내컵(20)과 상기 외컵(30)의 결합은 상기 내컵(20)의 상부가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내컵 확장부(23)를 형성하고, 상기 내컵 확장부(23)는 상기 외컵(30)의 상부를 덮고, 상기 외컵(30)의 상부가 상기 내컵 확장부(23)에 밀실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은 강제 끼움이나 나사산 구조로 회전에 이한 결합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내컵 확장부(23)와 상기 외컵(30)의 상부는 대응하는 나사산(32)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확장 빨대(50)가 분리 가능한 내컵(20)과 외컵(30)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술한 상기 흡입부(22)는 상기 내컵 확장부(23)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부(22)는 상기 내컵 측벽(21)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31)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는 확장 빨대(50)와 통한다.
한편, 상기 용기 바닥(11)은 외컵 바닥(33)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컵의 하부(24)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내컵의 하단(25)은 상기 외컵 바닥(33)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유체가 상기 외컵 바닥(33)과 상기 내컵의 하단(25)을 경유하여 상기 확장 빨대(50)를 통해 상기 흡입부(22)로 흡입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사용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5a는 본원발명에 따른 텀블러에 음료를 넣은 상태의 종단면을 보인 것이고, 도 5b는 본원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내부 음료를 흡입하는 상태의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용기 내부에 음료 등을 넣어두면, '내컵(20)의 내부'와 '내컵 측벽(21)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31)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는 확장 빨대(50)' 내부의 음료 레벨(level)은 동일하다. 하지만 도 6b에 개념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2)를 통하여 흡입을 하면, 상기 흡입부(22)와 연통되는 상기 확장 빨대(50)에 부압(負壓)이 형성되면서 상기 확장 빨대(50) 내의 레벨이 상승하게 되고, 내컵(20) 내부의 레벨은 내려가게 된다. 이때 용기 상부에 형성된 공기구멍(41)으로 외부 공기가 상기 내컵(20) 내부로 유입된다.
종래 선행기술과 본원발명의 확연한 차이점은 상기 용기 측벽(12) 전부에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확장 빨대(50)가 형성되고, 상기 내컵의 하단(25) 전부가 상기 외컵 바닥(33)과 이격되어, 상기 용기 내의 유체가 용기 바닥 360도 전 구간에서 상기 흡입부(22)의 흡입에 의하여 확장 빨대(50)로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바닥에 얼음이나 티백 등이 있어도 상기 확장 빨대의 하부가 막혀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 2가지를 보인 것으로, 하나는 뚜껑이 없이 오픈된 형태의 텀블러이고, 다른 하나는 외컵이 뚜껑 기능을 하는 형태의 텀블러를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를 차단하는 뚜껑(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적인 것이다. 상술한 작동이 가능하기 위해서 상기 뚜껑(40)에는 상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내컵(20)의 상부가 막힌 구조이어서, 상기 내컵(20)이 뚜껑 기능을 하고, 상기 내컵의 상부에 공기 구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가 개방된 내컵(20)과 외컵(30)을 분리한 후 외컵에 음료를 넣고 다시 내컵(20)을 결합하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구현한다. 도 6a는 내컵이 뚜껑 기능을 하는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b는 뚜껑이 없는 형태의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7a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용 시 종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C-C 단면을, 도 7c는 도 7a의 D-D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원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특징은 상기 용기의 아래부터 상기 용기의 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의 맞닿는 면적이 점차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컵 측벽(21)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31) 내주면이 형성하는 확장 빨대(50)의 공간이 상기 용기의 아래부터 상기 용기의 위 방향으로 점차 좁아진다는 것이다. 도 7의 일점쇄선은 용기의 아래부터 점차 확장 빨대(50)의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선이며, 확장 빨대(50)가 형성되는 부분을 도면부호 WF(water flow)로 내컵 측벽(21)과 외컵 측벽(31)이 밀착되어 흐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부분을 도면부호 CO(cut off)로 표시하였다.
이 실시 예는 앞의 실시 예와 대비하여 동일하게 용기 내에 얼음이나 티백 등이 있더라도 그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상기 확장 빨대(50) 내의 부피를 줄여줌으로써 빨아올리는 유체의 양을 줄여 상기 흡입부에서 적은 양의 흡입으로도 상기 용기 내의 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용기
11 용기 바닥
12 용기 측벽
20 내컵
21 내컵 측벽
22 흡입부
23 내컵 확장부
24 내컵의 하부
25 내컵의 하단
30 외컵
31 외컵 측벽
32 나사산
33 외컵 바닥
40 뚜껑
41 공기 구멍
50 확장 빨대

Claims (10)

  1. 용기 바닥과 용기 측벽으로 이루어져 액상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상기 측벽은 이중벽이고, 상기 이중벽에 의하여 확장 빨대가 형성되되,
    상기 용기는 외컵의 내측으로 내컵이 위치하고, 상기 외컵과 내컵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중벽은 상기 내컵의 내컵 측벽과 상기 외컵의 외컵 측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확장 빨대는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 바닥은 외컵 바닥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컵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되, 상기 내컵의 하단은 상기 외컵 바닥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유체가 상기 외컵 바닥과 상기 내컵의 하단을 경유하여 상기 확장 빨대를 통해 흡입되며,
    상기 용기의 아래부터 상기 용기의 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의 맞닿는 면적이 점차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이 형성하는 상기 확장 빨대의 공간이 상기 용기의 아래부터 상기 용기의 위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상부가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내컵 확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컵 확장부는 상기 외컵의 상부를 덮고, 상기 외컵의 상부가 상기 내컵 확장부에 밀실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 확장부와 상기 외컵의 상부는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 확장부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구멍인 흡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내컵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외컵 측벽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되는 확장 빨대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부를 차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되,
    상기 뚜껑에는 상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상부가 막힌 구조이어서, 상기 내컵이 뚜껑 기능을 하고,
    상기 내컵의 상부에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70121007A 2017-09-20 2017-09-20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KR10187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07A KR101877903B1 (ko) 2017-09-20 2017-09-20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07A KR101877903B1 (ko) 2017-09-20 2017-09-20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903B1 true KR101877903B1 (ko) 2018-07-12

Family

ID=6291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007A KR101877903B1 (ko) 2017-09-20 2017-09-20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05A1 (ko) * 2018-10-15 2020-04-23 오종석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40190U (zh) * 2010-09-15 2011-05-25 张丽 一种新型杯
KR20160044075A (ko) * 2014-10-14 2016-04-25 오세일 빨대컵
CN106954996A (zh) * 2017-04-26 2017-07-18 钟志文 杯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40190U (zh) * 2010-09-15 2011-05-25 张丽 一种新型杯
KR20160044075A (ko) * 2014-10-14 2016-04-25 오세일 빨대컵
CN106954996A (zh) * 2017-04-26 2017-07-18 钟志文 杯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01840190(2011.05.25.) 1부. *
중국특허공개공보 106954996(2017.07.18.)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05A1 (ko) * 2018-10-15 2020-04-23 오종석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2871B2 (en) Drip-les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flow control element" with suction spout
US8657148B2 (en) Drinking container lid with soft spout
JP2006520722A (ja) 飲食用容器
US3774804A (en) Straw-forming structure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0706426B1 (ko) 병의 스파우트
KR101485082B1 (ko) 빨대컵용 밸브
KR101877903B1 (ko)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KR20160044075A (ko) 빨대컵
US20210361109A1 (en) Strainer with changeable volume and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strainer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TWI708719B (zh) 吸嘴
EP3257406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or serving and entertaining children
KR200489447Y1 (ko) 일회용 용기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101925636B1 (ko) 유아용 컵
CN216494704U (zh) 内喷陶瓷咖啡杯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JP7350032B2 (ja) 茶こし付き飲用ボトル
JP3757927B2 (ja) ハイブリッドボトル
CN210748564U (zh) 一种多功能饮液食品容器
KR200317780Y1 (ko) 공기 유입구를 갖는 다각형 빨대
JP4458337B2 (ja) 飲料容器
CN105747769A (zh) 一种储存式水杯
CN106923599B (zh) 一种持续释放甜味的冰糖菊花茶的茶杯
JP4625391B2 (ja) 食事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