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36B1 - 유아용 컵 - Google Patents

유아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36B1
KR101925636B1 KR1020170128504A KR20170128504A KR101925636B1 KR 101925636 B1 KR101925636 B1 KR 101925636B1 KR 1020170128504 A KR1020170128504 A KR 1020170128504A KR 20170128504 A KR20170128504 A KR 20170128504A KR 101925636 B1 KR101925636 B1 KR 101925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low path
space
tub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욱
Original Assignee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와, 상기 저장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바디와 함께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바디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부와,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유로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부 및 상기 저장바디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시키는 제2유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컵 {Infant Cup}
본 발명은 물을 비롯한 기타의 음료를 저장 가능할 뿐 아니라 용기를 뒤집어 빨아 마시도록 구비된 컵(일명, 스파우트 컵, spout cup) 및 빨대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흡입 가능한 컵(일명, 빨대 컵, straw cup)의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유아용 컵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에 의해 사용되는 유아용 컵은 용기가 뒤집히거나, 넘어지거나, 요동칠 때 용기 내부의 액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영유아가 용기 내부의 액체를 쉽게 흡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영유아의 발육 정도에 따른 유아용 컵의 사용과정은 대체로 젖병, 스파우트 컵, 및 빨대 컵을 거쳐 상부면이 개방되고 원주면에 손잡이가 달린 일반적인 컵을 사용하는 것이다.
스파우트 컵은 유아용 컵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하는 방식이 젖병과 유사해 영유가가 쉽게 사용법에 적응하는 장점이 있지만,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영유아기의 구강발달을 저해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빨대 컵은 영유아의 구강발달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유아용 컵에 저장된 액체를 쉽게 흡입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사용을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훈련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빨대 컵에 익숙하지 않은 영유아가 스파우트 컵 처럼 빨대 컵을 뒤집은 뒤 빨대로 음료를 흡입하면 빨대를 통해 음료가 배출되지 않아 영유아에게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파우트 컵의 특징과 빨대 컵의 특징이 모두 구비된 유아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독립된 서로 다른 유로가 구비된 유아용 컵을 제공할 뿐 아니라 세척이 용이한 유아용 컵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와 함께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부,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유로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부, 및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시키는 제2유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컵을 제공한다.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유로부의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유로부의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에 고정되며,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튜브 및 상기 제1챔버에서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며, 자유단이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챔버와 독립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를 상기 저장공간 내부와 연통시키는 제2챔버 유입구, 상기 제2챔버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2챔버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챔버 배출구 및 상기 제2챔버 배출구와 상기 제1튜브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 제어부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챔버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개방하는 제2유로 볼(ball) 및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상기 제2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2챔버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2챔버 제1바디 및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 제1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유입구,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배출구, 중력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유입구와 상기 제1챔버 배출구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유입구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 안착하는 제1유로 볼, 상기 제1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유입구가 상기 제1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구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배출구가 상기 제1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구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챔버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1챔버 제1바디 및 상기 제1챔버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 제1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챔버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2챔버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2챔버 제1바디 및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 제1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 제2바디와 상기 제2챔버 제2바디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유입구,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배출구,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챔버 유입구가 위치된 제1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1챔버 배출구가 위치된 제1챔버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챔버 격벽, 상기 제1챔버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1챔버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1챔버 격벽 관통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제2공간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배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제1유로 볼,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내부 공간을 상기 제2챔버 유입구가 위치된 제2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위치된 제2챔버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챔버 격벽 및 상기 제2챔버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2챔버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챔버 격벽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 제어부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챔버 제1공간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개방하는 제2유로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서 상기 제1챔버 제2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챔버에 고정된 튜브 바디, 상기 튜브 바디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 바디를 폐쇄하는 폐쇄면 및 상기 폐쇄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폐쇄면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튜브 바디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튜브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면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슬릿을 개방하는 슬릿 개폐부와 상기 튜브 바디 내부 공간을 상기 슬릿이 위치된 제1공간과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 연결된 제2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튜브 바디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튜브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파우트 컵의 특징과 빨대 컵의 특징이 모두 구비된 유아용 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독립된 서로 다른 유로가 구비된 유아용 컵을 제공할 뿐 아니라 세척이 용이한 유아용 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유아용 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컵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유아용 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아용 컵의 사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유아용 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아용 컵(100)은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1) 및 커버(2), 상기 저장부(1)의 바닥면이 지면을 향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제1유로부(6), 상기 커버(2)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된 경우(도 3 참고) 사용자가 저장부(1) 내부의 액체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제2유로부(8)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는 상기 저장부(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1)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는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면에 개방면(13, 저장바디 개방면)이 구비된 저장바디(11)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버(2)는 상기 저장바디의 개방면(13)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21)는 하부면에 개방면(23, 커버바디 개방면)이 구비된 돔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1)와 커버(2)는 상기 저장바디(11)의 외측 원주면 상부에 형성된 커버 체결부(15)와 상기 커버바디(21)의 내측 원주면 하부에 형성된 저장바디 체결부(25)를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은 상기 저장바디(11)와 상기 커버바디(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 내부를 유아용 컵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바디(11)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 유아용 컵(100)의 핸들링이 용이하도록, 상기 저장바디(11)에는 핸들(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4)은 관통홀(43)이 구비된 핸들바디(41), 상기 핸들바디(41)에 구비된 제1바(45, bar) 및 제2바(4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3)은 상기 저장바디11)의 원주면 상단이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바(45)와 제2바(47)는 상기 핸들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뒤 상기 저장바디(11)의 바닥면이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45)와 제2바(47)는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서로 180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유로부(6)는 저장바디(11)가 지면(ground)을 향하도록 사용자가 유아용 컵(100)을 잡고 있을 때 상기 저장바디(11) 내부의 액체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유로부(6)는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유로부(6)는 상기 커버바디(21)에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챔버(61), 상기 제1챔버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11)와 커버바디(21)가 형성하는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튜브(62), 상기 제1챔버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튜브(64)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챔버(61)는 상기 커버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튜브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61)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튜브(64)가 연결되는 제1챔버 유입구(613),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튜브(62)가 연결되는 제1챔버 배출구(61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튜브(62)는 상기 제1챔버(61)로 유입된 액체를 제1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로로, 일단이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에 고정된 튜브 바디(621), 상기 튜브 바디(621)의 자유단에 구비된 폐쇄면(623), 상기 폐쇄면(62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슬릿(62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릿(625)은 십자형상(a cross sha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튜브(62)에는 상기 폐쇄면(623)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슬릿(625)을 개방하는 슬릿 개폐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62)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튜브(62)가 상기 핸들에 구비된 제1바(45)와 제2바(47) 사이의 공간을 향해 지면에 나란한 평면을 기준으로 45도 이상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튜브(64)는 일단(고정단)은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에 고정되고, 타단(자유단)은 상기 저장바디(1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어 저장바디(11) 내부의 액체를 제1챔버(61)로 안내하는 유로이다. 다만, 상기 제2튜브(64)의 길이는 제2튜브의 자유단이 상기 저장바디(11)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H)의 하부 또는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미도시)의 하부에 위치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사용자가 유아용 컵(100)을 잡고 있을 때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액체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유로부(6)를 통해 저장바디(11)에 저장된 액체를 모두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튜브(64)의 자유단에는 웨이트(66, weight)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66)는 웨이트 바디(661), 상기 웨이트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튜브(64)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바디 관통홀(66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웨이트 바디(661)의 직경은 웨이트 바디(661)의 표면이 저장바디(11)의 바닥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튜브(64)는 상기 웨이트 바디(661)가 저장바디(11)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62)와 제2튜브(64)는 실리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영유아의 흡입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튜브(62), 제1챔버(61), 및 제2튜브(64)의 전체 부피는 사용하는 나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살 내지 2살의 경우 180 ml 내지 220 ml가 될 수 있으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300 ml 내지 350 ml, 또는 500 ml 내지 600 ml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유로부(8)는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2)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유로부(6)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유로부(8)는 상기 커버바디(21)에 고정되며 상기 제1챔버(61)와 분리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2챔버(81), 상기 커버바디(21)와 저장바디(11)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을 상기 제2챔버(81)와 연통시키는 제2챔버 유입구(813), 상기 제2챔버(81) 내부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챔버 배출구(817), 상기 제2챔버 배출구(817)와 상기 제1유로부(6)를 연결하는 연결관(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는 상기 저장바디(11)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H)의 상부 또는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사용자가 유아용 컵(100)을 잡고 있을 때에만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가 제2챔버(81)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연결관(82)은 상기 제1챔버(61)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1튜브(6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제2연결관(82)이 제2챔버 배출구(817)와 제1튜브(62)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챔버(81) 내부에는 제2유로 제어부(8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유로 제어부(84)는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8)가 상기 제1유로부(6)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커버(2)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8)가 상기 제1유로부(6)와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제2유로 제어부(84)는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를 폐쇄하고, 상기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를 개방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제2유로 제어부(84)는 커버(2)가 지면을 향하도록 저장바디(11)가 회전된 때 사용자가 저장바디(11) 내부의 액체를 흡입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제2유로 제어부(84)는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사용자가 유아용 컵(100)을 잡고 있을 때, 유아용 컵(100)이 흔들릴 때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가 제2챔버(8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상기 제2유로 제어부(84)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챔버(81) 내부를 왕복하는 제2유로 볼(ball, 841), 상기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2챔버 배출구(817)가 상기 제2유로 볼(841)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84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로 볼(841)은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에 안착되어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를 폐쇄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2유로 볼(841)은 중력에 의해 제2챔버 배출구(817)를 향해 이동하여 제2챔버 유입구(813)를 개방하게 된다. 도 3의 경우, 상기 제2챔버 배출구(817) 주변에는 스페이서(84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2유로 볼(841)에 의해 제2챔버 배출구(817)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스페이서(843)는 상기 제2챔버(81)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2챔버(8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2챔버 배출구(817)의 가장자리에서 제2챔버 배출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81) 내부 공간 및 제2유로 볼(841)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챔버(81)는 상기 커버바디(21)에 고정되며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가 구비된 제2챔버 제1바디(811), 및 상기 제2챔버 제1바디(8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2챔버 배출구(817)가 구비되는 제2챔버 제2바디(815)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연결관(82)을 제2챔버(81)에서 분리시키는 과정, 및 제2챔버 제2바디(815)를 제2챔버 제1바디(811)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2챔버(81)의 내부 및 제2유로 볼(841)을 세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컵(100)이 도 2와 같은 상태(저장바디가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제1튜브(62)로 상기 저장바디(11)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면, 저장바디 내부의 액체는 제2튜브(64), 제1챔버(61), 및 제1튜브(62)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는 제2유로 볼(841)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제2챔버(81)로는 저장바디(11) 내부의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유아용 컵(100)이 도 3과 같은 상태(커버바디가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1유로부(6)에 구비된 제2튜브(64)의 자유단은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의 외부에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제1유로부(6)를 통해서는 액체를 흡입할 수 없다. 다만,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유로 볼(841)이 제2챔버 유입구(813)를 개방시키므로, 사용자는 제2챔버 유입구(813), 제2챔버(81), 제2챔버 배출구(817), 연결관(82) 및 제1튜브(62)를 통해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흡입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유아용 컵(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컵은 상기 제1챔버(61) 내부에 구비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와 제1챔버 배출구(617) 사이를 왕복하는 제1유로 제어부(68)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상기 제1유로 제어부(68)는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에 안착하는 제1유로 볼(68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에 있을 때 제1챔버 유입구(613)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야만 사용자가 제2튜브(64), 제1챔버(61), 및 제1튜브(62)를 통해 액체를 흡입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61)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가 제1유로 볼(681)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구 스페이서(683)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체를 흡입하면, 상기 제1챔버(61)를 따라 이동하는 액체의 압력때문에 제1유로 볼(681)이 제1챔버 배출구(617)를 폐쇄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제1유로 볼(681)에 의해 제1챔버 배출구(617)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61) 내부에는 배출구 스페이서(6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 스페이서(683)는 제1챔버(61)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챔버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의 가장자리에서 제1챔버 유입구(613)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구 스페이서(685)는 상기 제1챔버(61)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챔버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의 가장자리에서 제1챔버 배출구(617)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61)와 제1유로 볼(841)의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상기 제1챔버(61)는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바디(21)에 고정된 제1챔버 제1바디(611), 및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가 구비되며 제1챔버 제1바디(6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챔버 제2바디(615)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챔버 제2바디(815)와 상기 제2챔버 제2바디(615)는 서로 결합된 하나의 부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유아용 컵(100)을 세척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62)는 상기 튜브 바디(621) 내부 공간을 상기 슬릿(625)이 위치된 제1공간(P1)과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에 연결된 제2공간(P2)으로 구분하는 튜브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격벽은 상기 튜브 바디(621)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공간(P1)과 상기 제2공간(P2)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제1격벽(627) 및 제2격벽(62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격벽(627)은 상기 튜브 바디(621)의 내주면에서 튜브 바디(621)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격벽(628)은 상기 제1격벽(627)의 자유단에 접촉하도록 상기 튜브 바디(621)의 내주면에서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유로 볼(681)은 상기 배출구 스페이서(685)에 안착한다. 상기 제1유로 볼(681)이 배출구 스페이서(685)에 안착되면,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지만, 상기 제2튜브(64)의 자유단이 액체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유로부(6)를 통해 액체가 배출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2유로 볼(841)은 중력에 의해 제2챔버 배출구(817)를 향해 이동하여 제2챔버 유입구(813)를 개방하게 된다. 도 5의 경우에 전술한 도 3과 유사하게, 상기 제2챔버 배출구(817) 주변에는 스페이서(84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2유로 볼(841)에 의해 제2챔버 배출구(817)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료를 흡입할 때 제1챔버 내부의 압력이나 수류에 의해 제1유로 볼(681)이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를 폐쇄할 가능성이 없다면, 상기 배출구 스페이서(685)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 유아용 컵(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컵은 제1챔버(61) 내부를 두 개의 공간(S11, S12)으로 구분하는 제1챔버 격벽(618), 제2챔버(81) 내부를 두 개의 공간(S21, S22)으로 구분하는 제2챔버 격벽(818)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구별된다.
상기 제1챔버 격벽(618)은 상기 저장바디(1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내부를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가 위치된 제1챔버 제1공간(S11)과 상기 제1챔버 배출구(617)가 위치된 제1챔버 제2공간(S12)으로 구분한다.
상기 제1챔버 격벽(618)은 상기 제1챔버(61)의 상부면에서 제1챔버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데, 상기 제1챔버 유입구(613)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제1공간(S11)과 제1챔버 제2공간(S12)는 상기 제1챔버 격벽(61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챔버 격벽 관통홀(619)에 의해 서로 연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 볼(681)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제2공간(S12)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된다. 다만, 상기 제1챔버 격벽(618)의 자유단과 상기 제1챔버(61) 바닥면 사이가 이격된다면, 상기 제1챔버 격벽 관통홀(619)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제1챔버(61)에는 제1챔버 배출구(617)에서 상기 제1챔버 제2공간(S12)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커버(2)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유로 볼(681)에 의해 폐쇄되는 안내관(6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바디(1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유로 볼(681)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제2공간(S12)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고, 제1챔버의 제1공간과 제2공간(S11, S12)는 제1챔버 격벽 관통홀(619)을 통해 서로 연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튜브(62)를 통해 저장바디(11)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면, 액체는 제2튜브(64), 제1챔버 유입구(613), 제1챔버 제1공간(S11), 제1챔버 격벽 관통홀(619), 제1챔버 제2공간(S12), 제1챔버 배출구(617), 및 제1튜브(62)를 거쳐 사용자의 입으로 이동한다.
다만, 상기 제1챔버 제2공간(S12) 내부를 이동하는 액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관(616)이 제1유로 볼(681)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챔버 제2공간(S12)에는 배출구 스페이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 격벽(818)은 상기 저장바디(1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81) 내부 공간을 상기 제2챔버 유입구(813)가 위치된 제2챔버 제1공간(S21)과 상기 제2챔버 배출구(817)가 위치된 제2챔버 제2공간(S22)으로 구분한다.
상기 제2챔버 제1공간(S21)과 상기 제2챔버 제2공간(S22)는 제2챔버 격벽(81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챔버 격벽 관통홀(819)를 통해 서로 연통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유로 볼(841)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챔버 제1공간(S21)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바디(21)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유로 볼(841)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2챔버 제1공간(S21)의 상부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제1튜브(62)를 통해 저장바디(11)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면, 액체는 제2챔버 유입구(813), 제2챔버 제1공간(S21), 제2챔버 격벽 관통홀(819), 제2챔버 제2공간(S22), 제2챔버 배출구(817), 연결관(82), 및 제1튜브(62)를 거쳐 사용자의 입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파우트 컵의 특징과 빨대 컵의 특징이 모두 구비된 유아용 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유아용 컵 1: 저장부 11: 저장바디
13: 저장바디 개방면 15: 커버 체결부 2: 커버
21: 커버바디 23: 커버바디 개방면 25: 저장바디 체결부
4: 핸들 41: 핸들바디 43: 관통홀
45: 제1바 47: 제2바 6: 제1유로부
61: 제1챔버 611: 제1챔버 제1바디 613: 제1챔버 유입구
615: 제1챔버 제2바디 617: 제1챔버 배출구 618: 제1챔버 격벽
S11: 제1챔버 제1공간 S12: 제1챔버 제2공간 619: 제1챔버 격벽관통홀
62: 제1튜브 621: 튜브 바디 623: 폐쇄면
625: 슬릿 627: 제1격벽 628: 제2격벽
P1: 제1공간 P2: 제2공간 64: 제2튜브
66: 웨이트 661: 웨이트 바디 663: 바디 관통홀
68: 제1유로 제어부 681: 제1유로 볼 683: 유입구 스페이서
685: 배출구 스페이서 8: 제2유로부 81: 제2챔버
811: 제2챔버 제1바디 813: 제2챔버 유입구 815: 제2챔버 제2바디
817: 제2챔버 배출구 818: 제2챔버 격벽 S21: 제2챔버 제1공간
S22: 제2챔버 제2공간 819: 제2챔버 격벽 관통홀
82: 연결관 84: 제2유로 제어부 841: 제2유로 볼
843: 스페이서

Claims (12)

  1.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와 함께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부;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유로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부;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시키는 제2유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에 고정되며,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튜브 및 상기 제1챔버에서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며, 자유단이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챔버와 독립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2챔버와,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를 상기 저장공간 내부와 연통시키는 제2챔버 유입구와, 상기 제2챔버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2챔버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챔버 배출구 및 상기 제2챔버 배출구와 상기 제1튜브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유입구와,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배출구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유입구와 상기 제1챔버 배출구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유입구에 안착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 안착하는 제1유로 볼과, 상기 제1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유입구가 상기 제1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구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유로부의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유로부의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 제어부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챔버 내부를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개방하는 제2유로 볼(ball); 및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상기 제2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2챔버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2챔버 제1바디; 및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 제1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배출구가 상기 제1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구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제1챔버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1챔버 제1바디; 및 상기 제1챔버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 제1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챔버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2챔버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2챔버 제1바디; 및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 제1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챔버 제2바디와 상기 제2챔버 제2바디는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9.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와 함께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부;
    일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액체를 상기 제1유로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부;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유로부가 상기 제1유로부와 연통시키는 제2유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에 고정되며,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튜브 및 상기 제1챔버에서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며, 자유단이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부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제1챔버와 독립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2챔버와, 상기 저장공간의 부피를 이등분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챔버를 상기 저장공간 내부와 연통시키는 제2챔버 유입구와, 상기 제2챔버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2챔버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챔버 배출구 및 상기 제2챔버 배출구와 상기 제1튜브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2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유입구;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튜브에 연통하는 제1챔버 배출구;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챔버 유입구가 위치된 제1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1챔버 배출구가 위치된 제1챔버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챔버 격벽;
    상기 제1챔버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1챔버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1챔버 격벽 관통홀;
    중력에 의해 상기 제1챔버 제2공간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1챔버 배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제1유로 볼;
    상기 저장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내부 공간을 상기 제2챔버 유입구가 위치된 제2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2챔버 배출구가 위치된 제2챔버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챔버 격벽; 및
    상기 제2챔버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제1공간과 상기 제2챔버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챔버 격벽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 제어부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챔버 제1공간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하면 상기 제2챔버 유입구를 개방하는 제2유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서 상기 제1챔버 제2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커버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유로 볼에 의해 폐쇄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11.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챔버에 고정된 튜브 바디;
    상기 튜브 바디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 바디를 폐쇄하는 폐쇄면; 및
    상기 폐쇄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폐쇄면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튜브 바디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에 구비되어 상기 폐쇄면을 변형시키는 외력이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슬릿을 개방하는 슬릿 개폐부;와
    상기 튜브 바디 내부 공간을 상기 슬릿이 위치된 제1공간과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 연결된 제2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튜브 바디에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튜브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컵.
KR1020170128504A 2017-10-02 2017-10-02 유아용 컵 KR10192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04A KR101925636B1 (ko) 2017-10-02 2017-10-02 유아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504A KR101925636B1 (ko) 2017-10-02 2017-10-02 유아용 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655A Division KR20190038987A (ko) 2018-07-09 2018-07-09 유아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636B1 true KR101925636B1 (ko) 2018-12-05

Family

ID=6474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504A KR101925636B1 (ko) 2017-10-02 2017-10-02 유아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27Y1 (ko) * 2001-09-29 2002-01-04 안형식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27Y1 (ko) * 2001-09-29 2002-01-04 안형식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1890T3 (es) Mejoras en las capsulas que contienen una sustancia en polvo que permite la extraccion de una bebida, preferiblemente cafe expreso.
US4083467A (en) Infant training tumbler
US20130233869A1 (en) Lid with cap for beverage receptacle
US8418877B2 (en) Toddler cup with angled partition
US5893472A (en) Spout for valve assembly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US7219811B2 (en) Baby feeding bottle with draw tube
JP4359306B2 (ja) パッケージ又は容器から液体をポンピングするための装置
US20070034594A1 (en) Vented no-spill drinking bottle, bottle cap and associated bottle and pouch system
US7165697B1 (en) Concentric two-compartment drinking vessel
AU2012343566B2 (en) Non-spill valve
KR101576977B1 (ko) 다용도 뚜껑을 갖는 다용도 물통
WO2013171351A1 (es) Tapa con tapon para recipiente de bebidas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1925636B1 (ko) 유아용 컵
KR102165020B1 (ko) 음료용기용 빨대
JP2021176780A (ja) 飲料提供デバイス
KR20190038987A (ko) 유아용 컵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US2815161A (en) Drinking receptacle
KR200489447Y1 (ko) 일회용 용기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101877903B1 (ko) 벽체가 빨대 기능을 하는 용기
KR200492816Y1 (ko) 과도한 액체 토출 방지용 캡
KR20170092793A (ko) 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