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327Y1 -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 Google Patents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327Y1
KR200259327Y1 KR2020010030126U KR20010030126U KR200259327Y1 KR 200259327 Y1 KR200259327 Y1 KR 200259327Y1 KR 2020010030126 U KR2020010030126 U KR 2020010030126U KR 20010030126 U KR20010030126 U KR 20010030126U KR 200259327 Y1 KR200259327 Y1 KR 200259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guide tube
contents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식
Original Assignee
안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식 filed Critical 안형식
Priority to KR2020010030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327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내의 물 또는 우유,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내용물을 용기외부에서 용이하게 흡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용기내에 설치된 내용물 유출용 안내관의 흡입구를 상하 이중으로 구비시켜 용기가 거꾸로 기울인 상태 즉, 어린이들이 누운 자세에서도 그 담수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용기(1) 내부에 유입구를 가지는 안내관(10)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10)의 하부 끝단에 걸림돌기(11)에 의하여 일정한 이동간격을 가지는 볼(B)을 내설하고, 상기 안내관(10)의 하부 끝단에서 그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1) 사이 일측에 유입구를(12) 구비하는 것과; 상기 안내관(10)의 상단 일측에 연통관(30)과 연결된 유도관(20)을 구비하되, 상기 유도관(20)은 하부에 개방된 유입구(21)과 걸림돌기(22)를 가지며, 상단을 밀폐한 다음 그 사이에 볼(B)을 안착시켜 상기 안내관(10)에 상하 이중으로 유입구(12,21)가 각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a dual structure of lead tube}
본 고안은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용기내의 물 또는 우유, 음료수 등과 같은 액체내용물을 용기외부에서 용이하게 흡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용기내에 설치된 내용물 유출용 안내관의 흡입구를 상하 이중으로 구비시켜 용기가 거꾸로 기울인 상태 즉, 어린이들이 누운 자세에서도 그 담수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에 관한 것이다.
용기상단에 돌출된 흡입구를 통하여 용기 내부의 액체 내용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용기는 상기 흡입구에서 입으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하여 내부 바닥과 인접된 유입구를 가지는 내용물 안내관을 따라 그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유출되어 먹을 수 있음은 물론 그 유입구가 용기 바닥에 인접되어 있어 내부 내용물을 남김없이 완전히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용기가 똑 바로 위치한 상태에서는 내부 내용물이 중량에 의하여 아래의 바닥으로 향하게 됨으로 유출되어 완전 소멸될 때까지 흡입하여 먹을 수 있지만 특히 어린이들은 용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 먹기도 하고, 또 누워서도 먹는 경우도 많은데, 이 경우 용기의 상하 단의 방향이 바뀌어 내용물이 중량에 의하여 용기 상단부로 모이게 되는 반면 용기 바닥면에는 내용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 먹을 수가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의 흡입구를 두 개소에 각 구비하되, 하나는 바닥과 인접되게 위치시켜 상기 용기가 평상시 바른자세(즉, 바닥이 아래로 향하고 상단 투껑이 위로 위치하는 향한 상태)일 때 내용물을 흡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른 하나는 용기의 뚜껑에 입접된 위치에 구비시켜 용기가 거꾸로 된 자세(즉, 바닥이 위로 향하고 상단 흡입구가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먹고자 할 경우도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용기를 거꾸로 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용기 B:볼
10:안내관 11,22:걸림돌기
12,21:유입구 20:유도관
30:연통관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용기(1)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 유출용 안내관(10)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유출용 안내관(10)의 하부 끝단에는 구형의 볼(B)을 내설하고, 그 상부에 볼(B)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1)를 구설하며, 상기 안내관(10)의 끝단과 걸림돌기(11) 사이 일측에는 유입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2)에는 보조 안내관(13)을 연결 부착하여 하부의 바닥과 보다 근접되게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안내관(10)의 상부 일측에 유입구(21)와 연통로(30)를 가지는 'ㅓ'형 유도관(20)을 구비시켜 상기 안내관(10)과 연통되게 되는데, 상기 유도관(20)은 하단 끝이 개방되어 걸림돌기(22)에 의하여 걸림되는 볼(B)이 안착되고, 상단 끝은 밀폐되어 상기 볼(B)이 중력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 이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도관(20)의 하단 유입구(21)와 상부 끝단 사이 일측으로 상기 안내관(10)의 일측과 연통된 연통관(30)의 크기는 상기 볼(B)의 직경보다 적게 하여 상기 볼(B)이 연통관(30)으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볼(B)은 인체에 무해한 세라믹 재질 등의 소재로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용기(1)내부에 담수되는 내용물을 상,하 이중으로 유입구(12,21)를 설치한 것으로서, 용기의 방향(바른자세 또는 거꾸로 된 자세)에 따라서 내장된 볼이 그 유입구 중 하나를 폐쇄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유입구는 개방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내장된 볼(B)이 그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향하게 됨으로 상기 안내관(10)의 하부 유입구(12)가 개방되고, 상부 유입구(21)는 볼(B)에 의하여 막힌 상태가 된다. 하지만 용기(1)가 거꾸로 되어 중력이 반대로 작용할 때는 상기 볼(B)이 이동되어 상기 하부의 유입구(12)를 폐쇄하는 반면 상기 상부의 유입구(21)는 개방토록 한다.
이는 용기의 방향이 바뀌어 중량에 의하여 내용물이 이동되는 위치의 유입구만 개방하는 것인바, 용기를 바르게된 상태에서 흡입하여 먹을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반대로 용기가 거꾸로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흡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어린이들이 누워서도 먹는 경우가 허다함으로 이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보다 실용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의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는 내용물을 유출하여 먹을 수 있는 유입구가 상,하 이중으로 2개소에 구비함과 동시에 그 중량에 의하여 그 내용물이 이동되는 방향의 유입구가 자동으로 개방되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용기의 방향을 어떠한 방향으로 바꿔도 흡입하여 그 내용물을 흡입하여 먹을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용기(1) 내부에 유입구를 가지는 안내관(10)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10)의 하부 끝단에 걸림돌기(11)에 의하여 일정한 이동간격을 가지는 볼(B)을 내설하고, 상기 안내관(10)의 하부 끝단에서 그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1) 사이 일측에 유입구를(12) 구비하는 것과;
    상기 안내관(10)의 상단 일측에 연통관(30)과 연결된 유도관(20)을 구비하되, 상기 유도관(20)은 하부에 개방된 유입구(21)과 걸림돌기(22)를 가지며, 상단을 밀폐한 다음 그 사이에 볼(B)을 안착시켜 상기 안내관(10)에 상하 이중으로 유입구(12,21)가 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KR2020010030126U 2001-09-29 2001-09-29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KR200259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26U KR200259327Y1 (ko) 2001-09-29 2001-09-29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26U KR200259327Y1 (ko) 2001-09-29 2001-09-29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327Y1 true KR200259327Y1 (ko) 2002-01-04

Family

ID=7310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26U KR200259327Y1 (ko) 2001-09-29 2001-09-29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3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636B1 (ko) * 2017-10-02 2018-12-05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유아용 컵
WO2020111331A1 (ko) * 2018-11-29 2020-06-04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음료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636B1 (ko) * 2017-10-02 2018-12-05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유아용 컵
WO2020111331A1 (ko) * 2018-11-29 2020-06-04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724B2 (en) Beverage container
US4921112A (en) Mug with insert for dispensing measured quantity
US5607073A (en) Valve
CN101730492A (zh) 涉及饮用器皿的发明
JPH01121010A (ja) 漏れ防止蓋
RU2732421C1 (ru) Чашка для питья,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озможность питья под любым углом
US20050205587A1 (en) Cup assembly
KR20140125346A (ko)
CN101657360A (zh) 用于防溢出饮料容器的盖子
WO2014086625A1 (en) Cove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WO2017112636A1 (en) Valve assembly for a drinking cup and a drinking cup having a valve assembly
KR200259327Y1 (ko)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JP5220633B2 (ja) 飲料容器用栓体
KR20150094209A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KR102152135B1 (ko) 음료용기
KR102152140B1 (ko) 음료용기
CN218606053U (zh) 吸管和吸管杯
JP2020158120A (ja) 飲料容器
CN220631820U (zh) 一种婴幼儿用吸管
CN218738370U (zh) 一种储液容器的防侧翻溢水装置及储液容器
KR200407904Y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KR200304756Y1 (ko) 빨대가 내장된 병마개구조
KR200190420Y1 (ko) 음료 용기용 내부 스트로우 역류 방지구조
KR20000017799A (ko) 내용물 흡·배출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 및 그병뚜껑의 구조
KR20230029231A (ko) 와인 보관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