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904Y1 - 빨대가 구비된 젖병 - Google Patents

빨대가 구비된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904Y1
KR200407904Y1 KR2020050033292U KR20050033292U KR200407904Y1 KR 200407904 Y1 KR200407904 Y1 KR 200407904Y1 KR 2020050033292 U KR2020050033292 U KR 2020050033292U KR 20050033292 U KR20050033292 U KR 20050033292U KR 200407904 Y1 KR200407904 Y1 KR 200407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lid
bottle
discharg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2020050033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관통되어 삽입 고정되는 유연한 빨대와; 상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터치 로 개폐되어 상기 빨대의 상단을 외부로 개폐시키는 원터치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젖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에는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마개가 끼워지되, 상기 배출마개는 배출공 일측의 뚜껑과 유연한 연결밴드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빨대의 하단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추가 형성되어 빨대의 하단이 중력방향으로 항상 처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에 관한 것이다.
빨대, 젖병, 배출마개, 통기공

Description

빨대가 구비된 젖병{baby bottle having a straw}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 뚜껑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구와 배출마개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이 뒤집어져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4 : 통공
16 : 가이드홈 18 : 걸림턱
20 : 뚜껑 22 : 배출공
30 : 빨대 35 : 추
40 : 배출구 50 : 배출마개
60 : 연결밴드 70 : 원터치 덮개
72 : 파지돌기 74 : 걸림돌기
80 : 경첩
본 고안은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 내에 빨대가 구비되되, 앉아서도 수유할 수 있고, 누워서도 수유할 수 있으며, 젖병 내에서 발생된 가스도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유아에게 분유 등을 물에 희석시켜 먹일 때 사용되는 것으로, 그 형태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 및 뚜껑의 중앙에 엄마의 유두와 같이 돌출된 수유꼭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유아들은 면역체계가 약하여 병원균에 쉽게 감염되므로 젖병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나, 일반적인 젖병은 수유꼭지가 노출되어 있어서 위생상 좋지 않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젖병의 수유꼭지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을 더 형성할 수도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수유시 분리되어야 하므로 자구 잃어버리는 문제도 발생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젖병 내에 빨대를 구비하고, 뚜껑도 열릴 때 별도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도 안전하고, 수유시 뚜껑의 분실 염려도 없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이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젖병 내에 빨대를 구비 시킴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젖병 내에 가스가 차거나 유아가 누워서 수유할 때는 젖병 내의 빨대 위 치 때문에 수유가 잘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젖병 내에 가스가 찼을 때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가 누워서 수유할 때에도 분유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며, 유아가 빨대에 대한 거부감도 감소시킨 빨대가 구비된 젖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관통되어 삽입 고정되는 유연한 빨대와; 상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터치로 개폐되어 상기 빨대의 상단을 외부로 개폐시키는 원터치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젖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에는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마개가 끼워지되, 상기 배출마개는 배출공 일측의 뚜껑과 유연한 연결밴드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빨대의 하단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추가 형성되어 빨대의 하단이 중력방향으로 항상 처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10)가 구비되고, 몸체(10)의 상단외주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미도시) 형성된다.
몸체(10)의 상부에는 반구형의 뚜껑(20)이 안착되는데, 뚜껑(20)의 하단면 내주에는 몸체(1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뚜껑(2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빨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통공(14)을 기준으로 그 아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따라 빨대의 일부가 구부러져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6)이 형성되며, 가이드홈 끝의 일측에는 둥그럽게 돌출된 걸림턱(18)이 형성된다.
빨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4)에 삽입되어 일부는 몸체(10)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부는 몸체(10)의 하단까지 위치되어 있는데, 재질은 유연한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때는 쉽게 구부러지며 그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에 의해 원위치 되어 직립상태가 된다. 따라서 몸체(10)가 뒤집어져 그 안에 충전된 액상의 분유가 몸체(10)의 상부에만 위치되면 빨대(30)의 단부는 직립 되어 있어 몸체(10)의 하단 즉, 빈 공간에 위치되게 되므로 액상의 분유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물보다 비중이 큰 무거운 추(35)를 끼워넣어 몸체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중력방향으로 처질 수 있도록 하며, 빨대(30)의 상부는 수유시 아기가 이질감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모체의 유두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한다.
뚜껑(20)의 일측에는 몸체(10)에 뜨거운 물이 충진될 때 발생되는 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배출공(19)이 형성되며, 이 배출공(19)에는 착탈가능한 원통형의 배출 구(40)가 형성되며 배출구(40)에는 배출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는 배출마개(50)가 끼워진다. 그리고 배출구(40)와 배출마개(50)는 유연한 실리콘 재질의 연결밴드(60)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시킨다.
배출마개(50)의 중앙은 U자 형태로 중공되어 하단은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데, 하단 중앙에 (+)자 형태의 통기공(미도시)을 형성시킨다. 상기한 통기공은 압력차이에 따라 신축되어 개폐되는 것으로, 통기공이 형성되는 부분의 배출마개가 신축성이 우수한 얇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통기공을 기준으로 내외에 압력차가 발생되면 확장되어 개방되었다가 압력차가 없으면 원위치 되어 폐쇄되도록 한 것이다.
뚜껑(2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4)의 일측에는 통공(14)을 개폐시키는 원터치 덮개(70)가 설치되는데, 통공(14)의 일측에 경첩(80)을 형성하고 이 경첩(80)에 원터치 덮개(70)의 일단을 연결시켜 경첩(80)을 축으로 전후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원터치 덮개(70)의 타단은 외측에 손가락으로 들어 올릴수 있도록 파지돌기(7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뚜껑(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74)가 둥그럽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유시에는 뚜껑(20)을 돌려 몸체(10)에서 분리하여 개방하고 몸체(10)내에 분유와 물을 넣고 혼합시켜 액상 분유로 만든 후 다시 뚜껑(20)을 돌려 닫으면 된다.
뚜껑(20)을 닫은 상태에서 원터치 덮개(70)의 일단에 형성된 파지돌기(72)를 잡고 위로 들어 올리면 원터치 덮개(70)가 걸림턱(17)에서 해제되면서 들어올려져 개방되고, 원터치 덮개(70)가 개방되면 원터치 덮개(70)에 의해 눌러져 뚜껑(20)의 가이드홈(16)에 눌려 있던 빨대(30)의 상부가 자체 탄성에 의해 직립 된다.
상기와 같이 빨대(30)의 상부가 직립 되면 유아가 앉은 자세에서 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15)를 잡고 빨대(30)의 상단을 입안으로 넣고 빨면 몸체(10)에 충전된 액상 분야가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아가 빨대(30)를 빨면 액상 분유가 공급되면서 몸체(10)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는데, 이렇게 압력차이가 발생 되면 배출마개(50)의 하단에 형성된 통기공이 확장되면서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부압이 즉시 해소되어 유아의 입안으로 액상 분유의 공급이 원활해진다.
유아가 누워서 분유를 먹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가 뒤집어져 액상 분유는 몸체(10)의 상부에 모이게 되고, 빨대(30)의 단부는 자체 탄성때문에 몸체(10)의 즉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빨대(30)의 하단에 무거운 추가 매달려 있어서 몸체(10)가 뒤집어지면 빨대(30)도 무거운 추(35)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 쳐지게 된다. 즉 몸체(10)가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져도 빨대(30)의 단부는 중력 방향으로 쳐져서 액상 분유의 액면 아래로 쳐지게 되므로 액상 분유의 공급이 원활해 진다.
그리고 몸체(10)에 뜨거운 물을 채우면 수증기가 발생 되어 몸체(10)의 상층부에 뜨거운 증기가 충전되어 압력이 증가하고, 이럴 경우 수유 초기에 유아가 화상을 입을 수가 있으므로 뜨거운 물을 채울 때에는 배출마개(50)를 열어 수증기 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수증기가 빠져나가면 배출마개(50)를 닫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빨대가 원터치 덮개에 의하여 폐쇄된 공간에 눌려져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빨대의 상단이 모체의 유두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유아가 수유시 이질감을 적게 느끼며, 빨대의 하단에 무거운 추가 형성되어 있어서, 중력방향으로 처지므로 젖병이 뒤집어 지는 등 어떤 위치에 있어도 수유가 원활하고, 개폐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젖병에 뜨거운 물을 채울때 발생 되는 증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배출구를 막는 배출마개의 하부에 공기압 차이에 따라 신축되면서 개폐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젖병 내에 부압이 해소되므로 수유시 분유의 공급이 원활해진다.

Claims (3)

  1.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관통되어 삽입 고정되는 유연한 빨대와; 상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터치 로 개폐되어 상기 빨대의 상단을 외부로 개폐시키는 원터치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젖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에는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마개가 끼워지되, 상기 배출마개는 배출공 일측의 뚜껑과 유연한 연결밴드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빨대의 하단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추가 형성되어 빨대의 하단이 중력방향으로 항상 처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마개의 중앙은 (U)자 형태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중공부가 형성되되, 하부면은 고신축성 소재인 실리콘으로 형성하고, 하부면에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되어 통기공 내외의 압력차이에 따라 통기공이 신축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의 상단은 유아가 수유시 이질감이 감소 될 수 있도록 모체의 유두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KR2020050033292U 2005-11-25 2005-11-25 빨대가 구비된 젖병 KR200407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292U KR200407904Y1 (ko) 2005-11-25 2005-11-25 빨대가 구비된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292U KR200407904Y1 (ko) 2005-11-25 2005-11-25 빨대가 구비된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904Y1 true KR200407904Y1 (ko) 2006-02-06

Family

ID=4448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292U KR200407904Y1 (ko) 2005-11-25 2005-11-25 빨대가 구비된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815B1 (ko) * 2014-11-29 2016-02-11 장원준 음료 냉매 기능을 하는 나무모양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815B1 (ko) * 2014-11-29 2016-02-11 장원준 음료 냉매 기능을 하는 나무모양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9031C2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ES2462220T3 (es) Un recipiente para beber
US8777028B2 (en) Spout for drinking container
CN106029043B (zh) 具有通气奶嘴的奶瓶总成
KR20060126350A (ko) 음용 컨테이너 통기 시스템 및 통기 방법
JP2010521388A (ja) 飲用容器
CN106999352B (zh) 婴儿喂食装置
US20170013985A1 (en) Leak-proof spoutless toddler drinking apparatus
US10654627B2 (en) Spill-proof lid for container
KR200407904Y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KR100778622B1 (ko) 유아용 젖병
KR102272181B1 (ko) 수유용 젖병
KR20100020215A (ko) 유아용 스트로우 젖꼭지
KR102392941B1 (ko) 수밀성을 높인 실리콘 젖병
GB2465363A (en) A cup with a conduit and a mouthpiece
JP4619514B2 (ja) 飲み口装置
CN213216363U (zh) 一种易饮吸管杯
CN211272455U (zh) 适合婴儿嘴型的奶瓶
KR200263608Y1 (ko) 스트로와 학습 수단을 갖는 젖병
JP3982963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KR200300146Y1 (ko) 피스톤이 구비되는 젖병
CN206857309U (zh) 一种容器用提拉式饮水盖
KR101383328B1 (ko) 수유용 젖병
KR200264903Y1 (ko) 유아용 젖병
KR200477211Y1 (ko) 유아용 이유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