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622B1 - 유아용 젖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622B1
KR100778622B1 KR1020060039840A KR20060039840A KR100778622B1 KR 100778622 B1 KR100778622 B1 KR 100778622B1 KR 1020060039840 A KR1020060039840 A KR 1020060039840A KR 20060039840 A KR20060039840 A KR 20060039840A KR 100778622 B1 KR100778622 B1 KR 10077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iston
contents
cov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397A (ko
Inventor
이오걸
Original Assignee
이오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걸 filed Critical 이오걸
Priority to KR102006003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62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reciprocable plung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에서 2세 정도의 유아에게 분유 또는 우유(이하 "내용물"이라 함)를 먹일 때 사용하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하고 그 내부에는 내용물을 먹음에 따라 압력 차에 의해 내용물과 함께 상승하는 피스톤을 설치하여 젖병의 세척이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우유병의 세척 시 용기로부터 손쉽게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 하부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11a)(11b)이 형성된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 하부 중 어느 일 측에 나사 결합되며 젖꼭지(13)가 고정된 상부덮개(12)와,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상, 하부에 날개편(16a)이 구비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17)을 빨아먹음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16)과, 상기 용기의 일단에 결합된 상부덮개의 반대편에 나사 결합되며 공기통로(14)가 형성된 하부덮개(15)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6)의 상, 하부 중심에 손잡이(l6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유아용 젖병, 원통형상, 상부덮개, 하부덮개, 피스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omitted}
도 1은 일반적인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 유아용 젖병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부덮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7은 용기로부터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상부덮개에 설치되는 패킹의 실시예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피스톤의 정면도
도 10은 피스톤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상부덮개
13 : 젖꼭지 14 : 공기통로
15 : 하부덮개 16 : 피스톤
16a : 날개편 16b : 손잡이
본 발명은 신생아에서 2세 정도의 유아에게 분유 또는 우유(이하 "내용물"이라 함)를 먹일 때 사용하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하고 그 내부에는 내용물을 먹음에 따라 압력 차에 의해 내용물과 함께 상승하는 피스톤을 설치하여 우유병의 세척 시 용기로부터 피스톤을 손쉽게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달로 인해 여성의 사회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신생아는 물론이고 유아에게 모유를 직접 수유를 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여 분유를 먹이거나, 직장에 마련된 채유실에서 모유를 채집하여 냉장 보관하였다가 퇴근할 때 가정으로 가져가 먹이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분유 또는 모유는 도 1과 같은 젖병에 담아 유아에게 먹이게 되는데, 종래의 젖병은 대개 유리 또는 합성수지의 용기(1)에 내용물을 담은 상태에서 젖꼭지(2)가 고정된 마개(3)를 닫고, 내용물이 젖꼭지(2)쪽을 향하도록 용기(1)를 뒤집어 유아가 젖꼭지(2)를 빨음에 따라 내용물이 나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젖병은 유아가 용기(1) 내의 내용물을 빨아먹음에 따라 용기내의 압력이 떨어지면 내용물이 잘 배출되지 않으므로 용기 내의 압력을 항상 일정 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젖꼭지(2)에 공기구멍(4)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가 젖꼭지(2)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빨아먹어 용기(1) 내의 압력이 떨어지면 공기구멍(4)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 내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므로 유아가 내용물을 지속적으로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유아용 젖병은 공기구멍이 막히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유아가 젖꼭지를 빨더라도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내고 있어 공기구멍(4)이 막히면 엄마가 젖병을 흔들어 공기구멍(4)이 뚫리도록 한 다음 젖꼭지(2)를 다시 물려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또한, 유아가 내용물을 계속해서 빨아먹으면 용기(1)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므로 유아가 내용물을 빨아먹는 과정에서 공기가 함께 흡입되어 배앓이를 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아용 젖병이 공개특허 2004-28310호로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종래 유아용 젖병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부덮개의 종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용기(100)의 내부에 상, 하로 유동 가능한 피스톤(200)이 구비되어 있어 유아가 젖꼭지(120)를 통해 내용물(400)을 빨아먹어 내용물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피스톤(200)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200)은 상부로 볼록한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피스톤(200)의 테두리부분에는 용기(100)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패킹(210)이 끼워져 있다.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는 통상의 젖병과 마찬가지로 젖꼭지(120)가 고정된 상부덮개(110)가 개폐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고 용기(100)의 하부에는 하부덮개(300)가 개폐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덮개(300)의 중앙에 공간부(350)를 두고 소정개수의 공기유입구(3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350)에는 공기조절판(370)이 끼워져 상기 용기(100)이 기울어지는 상태에 따라 공기조절판(370)이 상기 공기유입구(360)를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이 일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100)의 하부에 하부덮개(300)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덮개(110)를 분리하여 용기(100)의 내부에 내용물(400)을 담고 개방하였던 상부덮개(110)를 닫으면 유아가 젖꼭지(120)를 이용하여 내용물(400)을 빨아 먹을 수 있게 된다.
유아가 젖꼭지(120)를 이용하여 용기(100)에 담겨진 내용물(400)을 빨아먹으면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던 피스톤(200)이 용기의 내주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내용물이 항상 젖꼭지(120)에 근접되도록 하므로 젖꼭지(120)가 상부에 위치된 세운 상태에서도 유아가 내용물을 편하게 빨아먹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용기(100) 내에 담겨진 내용물(400)을 전부 빨아먹고 나면 용기(100) 로부터 상부덮개(110) 및 하부덮개(300)를 분리한 다음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을 한 다음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된 피스톤(200)을 하부로 이동시켜야만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유아가 내용물을 빨아먹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유아용 젖병은 용기(100)의 내부에 내용물(400)을 빨아먹음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200)을 구비하여 내용물이 항상 젖꼭지(120)에 근접되도록 하므로써, 유아가 젖꼭지가 상부에 위치된 상태, 즉 젖병을 뒤집지 않고도 내용물(400)을 편리하게 빨아먹을 수 있는 잇점을 갖으나, 용기(100)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피스톤(200)의 하부 세척이 용이한 반면, 내용물(400)이 담겨져 기름기가 끼는 피스톤(200)의 상부는 목 부분에 의해 입구가 좁아 용기(100)의 내부를 세척하는데 불편하여 젖병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세균에 쉽게 감염되는 유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젖병에 담긴 내용물(400)을 전부 빨아먹은 상태에서는 항상 피스톤(200)이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어 용기 내에 내용물(400)을 담기 전에 피스톤(200)을 용기(100)의 하부로 이동시켜야 되지만, 피스톤(200)의 외주면에 용기(100)의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210)이 설치되어 있어 피스톤(20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별도의 끈(도시는 생략함)이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손 힘이 약한 주부들이 피스톤(200)과 연결된 끈을 잡아당기는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음은 물론 피스톤(200)에 연결된 끈이 끊어지면 용기(100)의 상측으로 이동된 피스톤(200)을 하부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를 원통형상으로 하여 용기의 내부 세척이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의 내부에는 상, 하부에 날개편을 갖는 피스톤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세척 시 피스톤의 분리 결합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 하부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 하부 중 어느 일 측에 나사 결합되며 젖꼭지가 고정된 상부덮개와,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상, 하부에 날개편이 구비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을 빨아먹음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용기의 일단에 결합된 상부덮개의 반대편에 나사 결합되며 공기통로가 형성된 하부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용 젖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용기로부터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분유 또는 우유 등이 담기는 용기(10)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용기(10)의 상, 하부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11a)(11b)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기(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용기의 내부 세척이 매우 편리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상, 하부 중 어느 일 측에 나사 결합되는 상부덮개(12)에 실리콘재질의 젖꼭지(1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덮개(12)가 결합된 용기(10)의 반대편에는 공기통로(14)를 갖는 하부덮개(1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 하부덮개(12)(15)의 내부에는 용기(10)의 상, 하단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8a)(18b)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덮개(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패킹(18a)을 젖꼭지(13)와 별도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이 젖꼭지(13)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덮개(12)에 설치되는 패킹(18a)을 젖꼭지(13)와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도 8a와 같이 상부덮개(12)의 요입홈(12a)에 끼워지는 부위를 반구형상 또 는 도 8b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하거나, 상부덮개(12)에 요입홈을 형성하지 않고 젖꼭지(13)와 일체로 형성되는 패킹(18a)을 도 8c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내주면에는 상, 하부에 날개편(16a)이 구비되어 용기(10) 내의 내용물(17)을 유아가 빨아먹음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16)이 긴밀히 접속되어 있는데, 상기 피스톤(16)에 형성된 날개편(16a)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0)와 맞닿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점진적으로 가늘게 형성하여 용기와의 기밀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기밀에 따른 마찰저항은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6)을 도 10과 같이 몸통부위의 두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 하부에 손잡이(16b)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우유병의 세척 시 피스톤(16)을 용기(1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16)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용기의 하부에 하부덮개(1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10)로부터 상부덮개(12)를 분리한 다음 용기(1)내에 내용물(17)을 채우고 분리하였던 상부덮개(12)를 나사 결합하면 상, 하부덮개(12)(15)에 설치된 패킹(18a)(18b)이 용기(10)의 상, 하단에 긴밀히 밀착되므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가 젖꼭지(13)를 빨아 내용물(17)을 먹으면 용기(10)내의 내용물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아가 용기(10)내의 내용물(17)을 빨아먹으면 용기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용기(10)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던 피스톤(16)이 줄어드는 내용물(17)의 양에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젖병을 뒤집지 않고 똑 바로 세운 상태에서도 유아가 젖꼭지(13)를 빨아 내용물(17)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용기(1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된 하부덮개(15)에는 공기통로(14)가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17)이 담긴 용기(10)내의 압력이 떨어짐에 따라 피스톤(16)의 상승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아가 젖꼭지(13)를 빨아먹는 과정에서 피스톤(16)의 날개편(16a)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젖꼭지(13)를 작은 힘으로 빨더라도 피스톤(16)이 원활하게 상승하게 된다.
유아가 젖꼭지(13)를 빨아 용기(10)내에 담겨져 있던 내용물(17)을 전부 먹고 나면 용기(10)로부터 상, 하부덮개(12)(15)를 분리한 다음 용기(10)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여야 세균에 약한 유아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용기(10)로부터 상, 하부덮개(12)(15)를 차례로 분리시키고 나면 본 발명의 용기(10)는 상, 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펀지 등과 같은 수세미로 용기(10)의 내주면을 빠른 시간 내에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뜨거운 물에 의해 살균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기(10) 및 상, 하부덮개(12)(15)의 세척 및 살균작업이 완료되고 나 면 용기(10)로부터 분리하였던 상, 하부덮개(12)(15)를 용기(10)에 재결합하여야 되는데, 이 때에는 최초상태의 위치와 반대로 용기(10)를 뒤집어 상, 하부덮개(12)(15)를 조립하면 된다.
이는, 최초에는 용기(10)의 하부(하부덮개가 위치된 지점)에 피스톤(16)이 위치되어 있었으나, 유아가 내용물을 전부 먹고 나면 피스톤(16)이 상사점(상부덮개가 위치한 지점)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피스톤(16)이 위치된 부위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용기(10)를 뒤집어 피스톤(16)이 위치된 부위에 하부덮개(15)를 나사 결합함과 동시에 그 반대편(최초에는 하부덮개가 나사 결합되는 부위)에는 상부덮개(12)를 나사 결합하므로써, 용기(10)로부터 피스톤(16)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용기(10)내에 내용물(17)을 담아 유아에게 먹일 수 있게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피스톤(16)이 하사점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하부에 하부덮개(15)를 나사 결합하고, 상부에는 상부덮개(12)를 결합하여 내용물(17)을 유아에게 먹인 다음 용기(10)로부터 상, 하부덮개(12)(15)를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작업을 하고 나면 상사점에 위치된 피스톤(16)이 초기상태와 같이 하사점에 위치되도록 용기(10)를 뒤집은 후 용기(10)의 상, 하부에 각각 상, 하부덮개(12)(15)를 나사 결합하므로써, 용기(10)로부터 피스톤(16)의 위치를 가변시키지 않고도 계속해서 유아에게 내용물을 먹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우유병에 담겨져 있던 우유를 전부 먹은 다음 용기(10)로부터 피스톤(16)을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피스톤(16)의 중심에 손잡이(1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 힘이 약한 주부들이 용기(10)로부터 피스톤(16)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켜 세척 및 살균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피스톤(16)의 상, 하부에 손잡이(16b)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용기(1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피스톤(16)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16b)를 이용하여 용기로부터 피스톤(16)을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스톤(16)의 중심 상, 하부에 손잡이(1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우유병의 세척 시 용기(1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용기로부터 피스톤(16)을 손쉽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손가락 힘이 약한 주부들이 우유병을 빠른 시간 내에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

  1.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 하부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11a)(11b)이 형성된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 하부 중 어느 일 측에 나사 결합되며 젖꼭지(13)가 고정된 상부덮개(12)와, 상기 용기의 내주면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상, 하부에 날개편(16a)이 구비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17)을 빨아먹음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16)과, 상기 용기의 일단에 결합된 상부덮개의 반대편에 나사 결합되며 공기통로(14)가 형성된 하부덮개(15)로 구성된 유아용 젖병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6)의 상, 하부 중심에 손잡이(16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2. 삭제
  3. 삭제
KR1020060039840A 2006-05-03 2006-05-03 유아용 젖병 KR10077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840A KR100778622B1 (ko) 2006-05-03 2006-05-03 유아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840A KR100778622B1 (ko) 2006-05-03 2006-05-03 유아용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97A KR20070107397A (ko) 2007-11-07
KR100778622B1 true KR100778622B1 (ko) 2007-11-28

Family

ID=3906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840A KR100778622B1 (ko) 2006-05-03 2006-05-03 유아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06B1 (ko) 2015-09-02 2016-02-12 신이용 살균 기능을 가지는 분리형 용기
KR20180072375A (ko) 2016-12-21 2018-06-29 박상규 젖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0373A (zh) * 2013-12-07 2014-04-02 李红彪 一种活塞喂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0861A (en) 1975-10-01 1977-03-08 Ottar Torolf Welten Nursing bottle
JPS5575331U (ko) 1978-11-17 1980-05-24
JPH0177752U (ko) * 1987-11-09 1989-05-25
KR200212820Y1 (ko) 2000-09-04 2001-02-15 박상호 상하단 이중분리 우유병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0861A (en) 1975-10-01 1977-03-08 Ottar Torolf Welten Nursing bottle
JPS5575331U (ko) 1978-11-17 1980-05-24
JPH0177752U (ko) * 1987-11-09 1989-05-25
KR200212820Y1 (ko) 2000-09-04 2001-02-15 박상호 상하단 이중분리 우유병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06B1 (ko) 2015-09-02 2016-02-12 신이용 살균 기능을 가지는 분리형 용기
KR20180072375A (ko) 2016-12-21 2018-06-29 박상규 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97A (ko)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9214B1 (en) Silicone baby bottle
KR101356390B1 (ko) 안정된 결합력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실리콘 병
JP5009462B2 (ja) 乳幼児もしくは介護用カップ
KR101466553B1 (ko) 유아용 음료용기
JP2014525880A (ja) キャップ
TW201534294A (zh) 具有一通氣奶嘴之嬰兒奶瓶總成
KR100778622B1 (ko) 유아용 젖병
US9326916B2 (en) Non-spill valve
US20170105902A1 (en) Mason Baby Bottle Lid
US20150272360A1 (en) Combined baby bottle, sippy cup, and dry storage container
ES2325231T3 (es) Envase desechable para bebidas.
JP2006500092A (ja) 乳児用及び幼児用の哺乳瓶及び飲料瓶
KR101378901B1 (ko) 과일 착즙기
KR101932346B1 (ko) 빨대를 구비한 스파우트 컵
JP6291075B2 (ja) 離乳クリップ
JP4086174B2 (ja) 飲料容器
KR20070091254A (ko)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젖병
KR200464831Y1 (ko) 스트로 케이스용 어댑터
KR200407904Y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KR910002702Y1 (ko) 컵과 보조젖꼭지 수납부를 가진 젖병
US20230255377A1 (en) Container closure, lid element for use in the container closure, and container arrangement
CN109640922B (zh) 用于婴儿瓶的压力补偿装置和婴儿瓶组件
JP3130066U (ja) ボトル用のストロー付キャップ
KR200300146Y1 (ko) 피스톤이 구비되는 젖병
JP3021965U (ja) 哺乳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