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903Y1 - 유아용 젖병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903Y1
KR200264903Y1 KR2020010034344U KR20010034344U KR200264903Y1 KR 200264903 Y1 KR200264903 Y1 KR 200264903Y1 KR 2020010034344 U KR2020010034344 U KR 2020010034344U KR 20010034344 U KR20010034344 U KR 20010034344U KR 200264903 Y1 KR200264903 Y1 KR 200264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feeding
air circulation
infant
circul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목
Original Assignee
유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목 filed Critical 유선목
Priority to KR2020010034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903Y1/ko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 몸체의 일측에 수유부와 그 타측에 저장부를 갖도록 상기 젖병을 'V'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되도록 하여 젖병내에 들어있는 내용물(우유 또는 이유식등)을 상기 수유부를 통해 유아들이 보다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고, 수유자가 상기 젖병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편리하게 먹일 수 있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아용 젖병에 있어서, 상기 젖병(1)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수유부(12)와 그 타측에 저장부(14)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평면형상의 받침부(16)와; 상기 수유부(12)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며 젖꼭지(32)가 끼워져 결합된 마개(30)와; 상기 저장부(14)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는 공기순환장치(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a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 몸체의 일측에 수유부와 그 타측에 저장부를 갖도록 상기 젖병을 'V'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되도록 하여 젖병내에 들어있는 내용물(우유 또는 이유식등)을 상기 수유부를 통해 유아들이 보다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고, 수유자가 상기 젖병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편리하게 먹일 수 있는 유아용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젖병은 몸체의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밀폐된 매우 일반적인 병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측 개구부에는 젖꼭지가 구비된 뚜껑이 나사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젖병은 별도의 공기순환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채로 몸체의 하부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젖병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유아가 젖병안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먹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젖병자체가 원통의 수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젖병안의 내용물을 먹일 때에는 상기 젖병의 젖꼭지 부분이 항상 하부쪽을 향하도록 보호자가 적절하게 잡아주어야 하는 등의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젖병하부에 별도의 공기순환장치가 구비된 젖병들이 다수 고안되어 상기 젖병안의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식음할 수 있도록 된바 있으나, 이것들은 모두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을 뿐만아니라, 수유도중 상기 젖병이 하부쪽으로 기울어지면 젖병의 하부측에 마련된 공기순환장치를 통해 내용물이 셀 우려가 있었으며, 또한 보관시에는 젖병을 직립으로 세워서 보관해야 되기 때문에, 상기 젖병안에 내용물이 들어 있는 경우에는 자칫 하부의 공기순환장치를 통해 내용물이 유출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젖병들은 모두 단순한 원통의 수직형상으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매우 식상한 느낌을 주게 될뿐, 현대사회의 발달에 따른 소비자들의 다양하고 독특한 미적감각에 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 수유부와 그 타측에 저장부를 갖도록 젖병의 몸체를 'V'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별도의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되도록 하여 젖병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젖병안의 내용물(우유 또는 이유식등)을 보다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용물의 유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수유자가 상기 젖병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편리하게 먹일 수 있는 유아용 젖병을 제곰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V'자 형태로 형성된 젖병에 의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독특한 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젖병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수유부와 그 타측에 저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수유부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는 젖꼭기가 끼워져 결합된 마개와; 상기 저장부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아용 젖병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및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젖병 10 : 몸체
12 : 수유부 14 : 저장부
16 : 받침부 20 : 공기순환장치
22 : 결합마개 24 : 결합돌기
24a: 숫나사부 24b: 공기통과공
25 : 개폐디스크 26 : 조절캡
26a: 암나사부 30 : 마개
32 : 젖꼭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및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젖병(1)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수유부(12)와 그 타측에 저장부(14)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이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평면형상의 받침부(16)와; 상기 수유부(12)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며 젖꼭지(32)가 끼워져 결합된 마개(30)와; 상기 저장부(14)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는 공기순환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순환장치(20)는 상부측으로 돌설되어 외주연에 숫나사부(24a)가 형성된 결합돌기(24)의 중앙에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통과공(24b)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결합마개(22)와, 상기 결합돌기(24)의 숫나사부(24a)에 나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암나사부(26a)가 형성된 조절캡(26)과, 상기 조절캡(26)의 내측에 삽입되며상기 결합돌기(24)의 공기통과공(26b)을 개폐시켜 공기의 흡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개폐디스크(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디스크(25)는 고무재로 된 밀폐구 또는 실리콘 패킹과 같은 밀폐기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4)는 뚜껑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 및 사용상태를 첨부도면 도 3 과 도 4 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젖병(1)의 일측 및 타측의 수유부(12)와 저장부(14)를 통해 몸체(1)내부로 내용물(우유나 이유식등)(100)을 적당량 투입시킨 후, 보호자가 젖병(1)의 몸체(1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면서 내용물(100)을 고르게 혼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젖병(1)의 몸체(10)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10)내부에 담긴 내용물(100)이 몸체(10)의 내벽에 고르게 부딪히면서 혼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용물(100)의 혼합이 완료되면 보호자가 상기 젖병의 몸체(10)를 적절하게 잡은 상태에서 일측의 수유부(12)상단에 결합된 젖꼭지(32)를 통해 유아에게 내용물(100)을 먹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젖병(1)의 몸체(10)내부는 유아들이 젖꼭지(32)를 빨 때, 그 흡입압력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므로, 상기 저장부(12)의 상부측에 결합된 공기순환장치(2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젖병(1)의 몸체(10)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100)이 젖꼭지(32)의 흡기공(32a)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되는데,
이는 상기 공기순환장치(20)의 결합돌기(24)에 나합된 조절캡(26)을 풀어 분리시켜 주면, 상기 조절캡(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개폐디스크(25)가 상기 결합돌기(24)의 공기통과공(24b)에서 떨어지게 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통과공(24b)을 통해 몸체(10)내부로 유입 됨에 따라, 몸체(10)내부에서의 원활한 공기 유통으로 인해 내용물(100)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캡(26)을 완전히 풀지 않고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도 각 조립부재간의 미세한 틈새 사이와 공기통과공(24b)을 통해 외부 공기가 몸체(10)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므로 수유중에 젖병(1)을 떨어뜨리더라도 내용물(100)이 한꺼번에 쏟아지지 않아 안전이 최대한 보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10)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젖병(1)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유아들이 젖병(1)에 담긴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유중에는 상기 젖병(1)의 몸체(10)가 기울어진 만큼 슈유부(12)의 타측에 형성된 저장부(14)의 공기순환장치(20)가 항상 상부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몸체(10)내부에 담긴 내용물(100)이 셀 염려가 없게 된다.
아울러 몸체(10)내부에 내용물이 담긴 채로 젖병(1)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공기순환장치(20)의 조절캡(26)을 다시 견고하게 나합시켜 주면, 상기 조절캡(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밀폐디스크(25)가 공기통과공(24b)을 밀폐시켜줌으로써, 내용물(100)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젖병(1)은 몸체(10)의 구조가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자가 상기 젖병(1)의 어느 한쪽을 잡고 편리하게 수유할 수 있게되며, 독특한 외관 형상에 의해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젖병(1)을 사용하고 난 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일측의 수유부(12)와 타측의 저장부(14)에 결합된 젖꼭지(32)와 공기순환장치(20)을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세척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젖병(1)의 몸체(10)내부에 쥬스나 음료등을 담아 몸체(10)일측의 수유부(12)에 나합된 젖꼭지(32)의 마개(30)를 분리한 다음, 빨대가 구비된 마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상기 젖꼭지(32)가 결합된 마개(30)를 완전히 분리시켜 컵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젖병 몸체(10')가 상부로 길게 연장된 저장부(14')와 그 하단부 일측으로 연통되어 수유부(12')를 갖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부(14')의 상단부측에는 공기순환장치(20')가 나합되도록 하고 일측의 수유부(12')끝단에는 젖꼭지(32')가 구비된 마개(30')가 나합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보여준다.
이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에 나합된 공기순환장치(20')에 의해 상술한 본 고안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거둘수 있게 되며, 상부로 길게 연장된 저장부(14')와 그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수유부(12')에 의해 보호자가 상기 젖병(1')을기울이지 않더라도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먹일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한 유아용 젖병은 일측에 수유부와 그 타측에 저장부를 갖도록 젖병의 몸체를 'V'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별도의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되도록 하여 젖병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젖병안의 내용물(우유 또는 이유식등)을 보다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용물의 유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보호자가 상기 젖병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편리하게 먹일 수 있게 되며, 'V'자 형태의 독특한 구조로 형성된 젖병에 의해 소비자들에게 충분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유아용 젖병에 있어서,
    젖병(1)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수유부(12)와 그 타측에 저장부(14)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이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평면형상의 받침부(16)와; 상기 수유부(12)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며 젖꼭지(32)가 끼워져 결합된 마개(30)와; 상기 저장부(14)의 상부측 개구부에 나합되는 공기순환장치(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장치(20)는 상부측으로 돌설되어 외주연에 숫나사부(24a)가 형성된 결합돌기()의 중앙에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통과공(24b)이 형성된 깔대기 형상의 결합마개(22)와, 상기 결합돌기(24)의 숫나사부(24a)에 나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암나사부(26a)가 형성된 조절캡(26)과, 상기 조절캡(26)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돌기(24)의 공기통과공(24b)을 개폐시켜 공기의 흡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개폐디스크(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1')은 상부로 길게 연장형성된 저장부(14')와 그 하단부 일측으로 연통되어 수유부(12')가 일체로 형성된 'ㄴ'자 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되며, 상기저장부(14')의 상단부측에는 공기순환장치(20')가 나합되도록 하고 일측의 수유부(12')끝단에는 젖꼭지(32')가 구비된 마개(30')가 나합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KR2020010034344U 2001-11-01 2001-11-01 유아용 젖병 KR200264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44U KR200264903Y1 (ko) 2001-11-01 2001-11-01 유아용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44U KR200264903Y1 (ko) 2001-11-01 2001-11-01 유아용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903Y1 true KR200264903Y1 (ko) 2002-02-21

Family

ID=7307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44U KR200264903Y1 (ko) 2001-11-01 2001-11-01 유아용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9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503A (en) Nursing bottle with anti-air ingestion valve
CA2228431C (en) Nursing bottle
KR870001730B1 (ko) 개량 젖병
US6994225B2 (en) No-spill drinking products
KR20070011385A (ko) 음료 용기용 배출 장치와, 음료 용기 및 그의 형성 방법
JP2010523257A (ja) 幼児用哺乳瓶
JP2003231545A (ja) 容器の付け替えキャップ
US9408778B2 (en) Chambered mixing bottle
US20120091143A1 (en) No-Spill Drinking Products
JP2006230731A (ja) 飲料容器
CN107007475A (zh) 用于饮水瓶的饮用吸嘴和瓶盖
TWI661823B (zh) 雙組態之瓶總成
JP3916543B2 (ja) 哺乳器
KR200264903Y1 (ko) 유아용 젖병
US10654627B2 (en) Spill-proof lid for container
TW201501709A (zh) 人工奶嘴及具有人工奶嘴之哺乳器(二)
KR20150094209A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GB2380186A (en) Thick feed baby teat
JP2001247144A (ja) 飲料容器
JPS6238909Y2 (ko)
KR20170026989A (ko) 위생 빨대
JP2001354260A (ja) ペットボトル用のストロー付き吸口キャップ
KR200407904Y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KR200308960Y1 (ko) 음료용기 내부의 진공방지를 위한 마개구조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