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09A -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09A
KR20150094209A KR1020140015222A KR20140015222A KR20150094209A KR 20150094209 A KR20150094209 A KR 20150094209A KR 1020140015222 A KR1020140015222 A KR 1020140015222A KR 20140015222 A KR20140015222 A KR 20140015222A KR 20150094209 A KR20150094209 A KR 20150094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discharge hole
lid
auxiliar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236B1 (ko
Inventor
황석환
Original Assignee
황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석환 filed Critical 황석환
Priority to KR102014001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2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04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hi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와, 배출공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스트로우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결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를 상기 결착돌기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배출공을 통해 음료를 음용하거나 컵에 따를때, 상기 배출공의 단면적보다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어 발생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고, 일정양의 음료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외부로 흘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캡으로 상기 배출공을 막고 상기 스트로우를 통해 음료를 흡입할 경우, 상기 보조캡의 통기공을 통하여 통기가 가능하여 용기본체 내부 압력이 유지되어 스트로우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력과 상기 통기공을 통한 대기압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에서 입을 떼지 않고 원하는 양을 한번에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있다.

Description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본 발명은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를 개폐시키는 뚜껑 및 상기 뚜껑 일측에 배출공의 형성과 함께 이를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음료용기에 대하여, 상기 보조캡의 상단에는 통기공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 타측에는 스트로우를 용기본체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음료를 음용하거나 컵에 따를때 상기 배출공의 단면적보다 많은 양의 음료가 상기 배출공을 막으면서 배출될 경우에는 상기 스트로우를 통해 용기본체로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공에서 발생하는 맥동현상(울컥울컥되면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스트로우를 통해 음료를 음용할때 상기 보조캡의 통기공을 통해 용기본체에 작용하는 대기압과 함께 사용자가 상기 스트로우로 흡입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로 음료가 원활하게 흡입되도록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스트로우에서 입을 떼지않고 원하는 양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료용기는 상기 뚜껑을 열어 음용하거나 별도의 컵에 따라 음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운동을 하거나 흔들리는 차량으로 이동할시 뚜껑을 개방하여 음용할때 외부의 흔들림으로 인해 음료가 용기본체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흘러 옷에 쏟아지고, 어린이, 노약자, 환자와 같은 사람들도 음료를 음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뚜껑에 별도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할 수 있는 보조뚜껑이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음료를 음용하거나 컵에 따라서 음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뚜껑에 관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에 스트로우를 삽입하여 용기에 보관된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어 일반인의 야외활동 및 이동시는 물론 어린이, 노약자, 환자들이 음료를 음용하기 편리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스트로우를 구비하지 않고 음료용기를 휴대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등록특허 제10-1311949호)"가 제안되었는데, 이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상부에 개구(110)를 구비하고, 음료가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 부재(100); 외측면에 돌출된 단턱(220)을 구비하고, 상기 단턱(220)과 인접한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관(230)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 부재(100)의 개구에 체결되는 캡 부재(200); 상기 단턱(220)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 고리(310)를 구비하며, 상기 캡 부재(200)의 단턱(220)과 반대편에 위치한 외측면에서 상기 캡 부재(200)와 힌지 결합된 뚜껑 부재(300); 및 상기 몸체 부재(100)의 수직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300)의 밀폐시 상단이 상기 뚜껑 부재(300)의 홈부에 접촉된 상태에 있고, 상기 뚜껑 부재(300)의 개방시 재질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상단이 상기 돌출관(230) 밖으로 튀어나오는 스트로우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의 경우 음료 용기를 기울여 상기 돌출관(230)을 통해 음료를 음용시 상기 돌출관(230)의 배출 단면적보다 많은 양의 음료가 상기 돌출관(230)으로 배출되면 상기 돌출관(230)의 출구에 막혀 맥동현상(울컥울컥되면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음료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없어 배출구의 측면으로 흘리거나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어 얼굴 및 옷에 음료를 흘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의 상기 스트로우 부재(400)를 통해 흡입하여 음용할 경우, 일정양을 흡입하면 상기 몸체 부재(10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상기 스트로우 부재(400)로 흡입하는 흡입력으로는 더이상 음료가 흡입되지 않아 상기 스트로우 부재(400)에서 입을 뗀 후 상기 스트로우 부재(400)를 통해 상기 몸체 부재(1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진공상태가 해소되면 다시 흡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음료 용기를 휴대할시 음료가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완전 밀폐시킬 경우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와, 배출공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스트로우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의 중앙에는 통기공이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음료를 음용하거나 컵에 따를때, 상기 배출공의 단면적보다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어 발생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고, 일정양의 음료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음료를 마실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캡으로 상기 배출공을 막고 상기 스트로우를 통해 음료를 흡입할 경우, 상기 보조캡의 통기공을 통하여 통기가 가능하여 용기본체 내부 압력이 유지되어 스트로우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력과 상기 통기공을 통한 대기압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에서 입을 떼지 않고 원하는 양을 한번에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와, 배출공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스트로우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결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스트로우의 상단부를 상기 결착돌기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와, 배출공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스트로우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의 상단 중앙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결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음료를 음용하거나 컵에 따를때, 상기 배출공의 단면적보다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어 발생하는 맥동현상을 방지하고, 일정양의 음료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외부로 흘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캡으로 상기 배출공을 막고 상기 스트로우를 통해 음료를 흡입할 경우, 사용자의 흡입력과 상기 보조캡의 통기공을 통해 용기본체에 작용하는 대기압에 의해 원활하게 흡입되도록함과 아울러, 상기 스트로우에서 입을 떼지 않고 원하는 양을 한번에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종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사용상태 및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및 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사용상태 및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100)와, 배출공(210)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200)과, 상기 배출공(2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300)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의 일측에는 스트로우(400)를 삽입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공(2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300)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공(311)이 형성된 결착돌기(3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1)를 보관, 이동시 또는 부주의에 의해 상기 음료용기(1)가 쓰러지는 경우에 상기 상기 통기공(310)으로 음료가 배출되거나, 스트로우(400)를 통해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캡(300)의 상부에서 돌출된 상기 결착돌기(310)에 상기 스트로우(400)의 단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중 상기 뚜껑(200)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돔(Dome)형태로써,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뚜껑(200)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음료를 음용하거나 별도의 컵에 따를 수 있도록 상기 뚜껑(200)의 상부 일측에 배출공(210)이 구비되고,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해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로우(400)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공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뚜껑(200)의 둘레에는 다수의 체결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10)에 체결되어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걸림돌기(231)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용기본체(100)와 상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0)의 내주면에 나사돌기가 구비되어 상호 나사결합 방식으로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0) 및 상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저장되는 음료가 변질되지 않고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강화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중 상기 보조캡(3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0)의 상부에서 돌출형성된 상기 배출공(210)을 개폐하여 상기 뚜껑(200)을 개방하지 않고 상기 용기본체(200)에 저장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20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핀(330)에 의해 뚜껑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공(220) 측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330)과 상기 보조캡(300)은 플렉시블한 연결부(32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캡(200)을 열어 상기 배출공(210)을 개방할 경우에 상기 보조캡(20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음용할때, 상기 보조캡(300)의 상단에는 통기공(310)이 구비되어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한 흡입력과 상기 통기공(310)을 통하여 용기본체(100) 내부에 가해지는 대기압을 통해 사용자가 원활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사용자가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해 일정양의 음료를 흡입하고,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더 이상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해 음료가 흡입이 되지 않아 사용자는 상기 스트로우(400)에서 입을 떼고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하여 외기가 상기 용기본체(100)로 유입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은 상태가 되면 다시 흡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을 한번에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스트로우(400)는 상기 뚜껑(200)의 결합공(220)에 밀착되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스트로우(400) 상단부는 상기 결착돌기(310)에 끼워져 상기 용기본체(100)의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부를 밀폐시킬수있는 자체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이나 합성수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300)을 열어 상기 뚜껑(200)의 배출공(210)을 통해 음료을 음용하거나 별도의 컵에 따를 때, 상기 스트로우(400)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공(210)의 단면적보다 많은 양의 음료가 상기 배출공(210)을 막으면서 발생하는 맥동현상(울컥울컥되면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음료를 빠른시간에 연속적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공(210)의 측면으로 흘리거나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어 바닥, 얼굴 및 옷에 음료를 흘리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100)와, 배출공(210)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200)과, 상기 배출공(2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300)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의 일측에는 스트로우(400)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제 1결합공(2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300)의 상단에는 상기 스트로우(400)의 상부가 결합되는 제 2결합공(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캡(300)으로 상기 배출공(210)을 닫아 밀폐시킬 경우에는, 상기 스트로우(400)의 상단부가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트로우(400)가 위생적으로 보관되고, 상기 보조캡(300)이 상기 배출공(210)을 개방시킬 경우에는, 상기 스트로우(400)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출공(210)과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캡(300)을 열어 상기 배출공(210)을 개방하여도 상기 스트로우(400)가 상기 보조캡(3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캡(30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흡입할 시 상기 배출공(210)을 통해 외기가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트로우(400)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력과 함께 상기 배출공(210)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100)에 작용하는 대기압에 의해 상기 스트로우(400)로 음료가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스트로우(400)에서 입을 떼지 않고 원하는 양을 한번에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로우(400)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조캡(300)을 개방하여 상기 배출공(210)으로 음료를 컵에 따를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면서 상기 배출공(210)에 음료가 막히는 맥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로우(400)을 통하여 외기가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음료용기 100 : 용기본체
110 : 걸림턱 200 : 뚜껑
210 : 배출공 220 : 결합공
220' : 제 1결합공 230 : 체결부
300 : 보조캡 310 : 통기공
310' : 제 2결합공 320 : 연결부
330 : 힌지핀 400 : 스트로우

Claims (3)

  1.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100)와, 배출공(210)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200)과, 상기 배출공(2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300)을 구비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의 일측에는 스트로우(400)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공(2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300)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공(311)이 형성된 결착돌기(310)가 구비되며, 상기 스트로우(400)의 상단부를 상기 결착돌기(310)에 삽입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300)은 힌지핀(330)에 의해 뚜껑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공(220) 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3. 상단이 개구된 용기본체(100)와, 배출공(210)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뚜껑(200)과, 상기 배출공(2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보조캡(300)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의 일측에는 스트로우(400)를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제 1결합공(2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캡(300)의 상단에는 상기 스트로우(400)의 상부가 결합되는 제 2결합공(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KR1020140015222A 2014-02-11 2014-02-11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KR10156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22A KR101565236B1 (ko) 2014-02-11 2014-02-11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22A KR101565236B1 (ko) 2014-02-11 2014-02-11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09A true KR20150094209A (ko) 2015-08-19
KR101565236B1 KR101565236B1 (ko) 2015-11-02

Family

ID=5405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22A KR101565236B1 (ko) 2014-02-11 2014-02-11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2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3181A (zh) * 2016-03-31 2017-03-08 广州万孚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血气分析仪
CN106483180A (zh) * 2016-03-31 2017-03-08 广州万孚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血气分析仪及其血气生化测试卡
US11089892B2 (en) 2019-12-20 2021-08-17 Nicholas Michael Manochio Cylindrical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3181A (zh) * 2016-03-31 2017-03-08 广州万孚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血气分析仪
CN106483180A (zh) * 2016-03-31 2017-03-08 广州万孚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血气分析仪及其血气生化测试卡
CN106483181B (zh) * 2016-03-31 2023-08-15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血气分析仪
US11089892B2 (en) 2019-12-20 2021-08-17 Nicholas Michael Manochio Cylindrical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236B1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1560B2 (ja) 液漏れを防止する飲料容器用の蓋
JP3937428B2 (ja) 飲料用容器の中栓
KR200482433Y1 (ko)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JP2003111658A (ja) 弁機能をもつストロー
US9723939B2 (en) Valve for a sippy cup and sippy cup including the same
WO2016153795A1 (en) Lid assemblies for drinking vessels and drinking vessels including the same
US8657148B2 (en) Drinking container lid with soft spout
JP2003231545A (ja) 容器の付け替えキャップ
KR101485082B1 (ko) 빨대컵용 밸브
JP2006230731A (ja) 飲料容器
KR20150094209A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JP3916543B2 (ja) 哺乳器
US20050167437A1 (en) Drinking aid
US20200352368A1 (en) Improvements to flexible straw with control means for use with a drinking vessel
KR20090029981A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KR101311949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JP2011131052A (ja) 二開口式哺乳瓶
TWM587158U (zh) 瓶杯蓋結構
JP3158467U (ja) 二開口式哺乳瓶
JP2015160669A (ja) 飲料容器用吸飲装置
KR102386925B1 (ko)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CN111169797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KR102324314B1 (ko)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US11259660B2 (en) Non-spill drink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