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314B1 -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 Google Patents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314B1
KR102324314B1 KR1020200011986A KR20200011986A KR102324314B1 KR 102324314 B1 KR102324314 B1 KR 102324314B1 KR 1020200011986 A KR1020200011986 A KR 1020200011986A KR 20200011986 A KR20200011986 A KR 20200011986A KR 102324314 B1 KR102324314 B1 KR 10232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air cap
straw
air
ai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150A (ko
Inventor
안형수
장원구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3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캡을 통해 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는 텀블러 몸체와, 텀블러 몸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텀블러 뚜껑과, 텀블러 뚜껑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사용자가 내용물을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는 빨대를 포함하며, 텀블러 몸체의 상부 측면에는 기압조절이 가능한 에어캡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빨대로 흡입시 기압 차이를 유지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흡입시에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Tumbler with adjustable air pressure}
본 발명은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캡을 통해 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란 일반적으로 굽과 손잡이가 없는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통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 용기의 상단부에 마개를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커피나 기타 음료를 담는 용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텀블러는 손으로 잡고 다닐 수 있는 텀블러 몸체와, 텀블러 몸체 상단에 결합된 텀블러 뚜껑과, 텀블러 뚜껑을 통해 결합된 빨대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빨대가 구비되어 빨대를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여 마시는 텀블러에서는 흡입시에 구강이나 코에 염증 또는 건강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기압의 차이로 인해 상태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53827호(공개일: 2017.05.17.) 한국등록특허 제10-1883945호(등록일: 2018.07.25.)
본 발명의 목적은 빨대로 흡입시 기압 차이를 유지하여 조절할 수 있는 텀블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흡입시에 사용이 편리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는, 텀블러 몸체와, 텀블러 몸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텀블러 뚜껑과, 텀블러 뚜껑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사용자가 내용물을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는 빨대를 포함하며, 텀블러 몸체의 상부 측면에는 기압조절이 가능한 에어캡이 결합된다.
텀블러 몸체의 상부 측면에는 에어캡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에어캡 결합부가 형성된다.
에어캡은 에어캡 결합부의 면적 크기로 된 비닐재로서, 외측으로 볼록하여 형성된 엠보싱부를 구비한다.
에어캡 결합부는 텀블러 몸체의 외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에어캡이 끼워져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에어캡 결합부와 에어캡은 텀블러 몸체의 상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빨대의 단부는 입으로 내용물을 흡입하기가 용이하게 꺽여져 있으며, 꺽인 부분에는 개구부를 막는 착탈가능한 빨대 뚜껑이 결합되며, 빨대 뚜껑에는 손으로 잡아 열기가 용이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는 개방후 빨대 몸체의 걸림돌기에 걸리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에 의하면, 빨대로 흡입시 기압 차이를 유지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빨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흡입시에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캡 결합부에 에어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빨대의 꺽인 부분에 빨대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에어캡의 일부의 엠부싱부가 터져서 공기가 텀블러 몸체의 내부로 유입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빨대 뚜껑이 개방되어 빨대 몸체의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어캡 결합부에 에어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빨대의 꺽인 부분에 빨대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100)는 텀블러 몸체(110), 텀블러 뚜껑(120), 빨대(130), 에어캡(140), 및 빨대 뚜껑(150)을 포함한다.
텀블러 몸체(110)는 컵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상부 측면에는 에어캡(14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에어컵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에어캡 결합부(111)는 텀블러 몸체(110)의 외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하여 몸체의 원주면을 따라 곡면을 이루게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에어캡(140)이 끼워져 밀착되는 걸림턱(111a)이 형성된다. 에어캡 결합부(111)에는 복수의 공기 유입구(111b)가 형성된다.
텀블러 몸체(110)는 투명 재질로 되거나 내부의 담긴 내용물의 높이를 볼 수 있는 투명재질의 윈도우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용물이 담기는 높이가 높아지도록 에어캡 결합부(111)는 최대한 텀블러 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텀블러 뚜껑(120)은 텀블러 몸체(11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텀블러 뚜껑(120)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용물을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는 빨대(130)가 끼워진다.
빨대(130)의 단부는 입으로 빨기가 용이하게 꺽여져 있으며, 꺽인 부분의 끝단에는 개구부를 막는 빨대 뚜껑(15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빨대(130)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빨대 뚜껑(150)의 손잡이부분이 걸리는 걸림돌기(132)가 형성된다.
에어캡(140)은 에어캡 결합부(111)에 전체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거나, 일측은 에어캡 결합부(111)의 걸림턱(111a)에 고정되어 개방하더라도 에어캡 결합부(111)에 달려 있을 수 있다.
에어캡(140)은 에어캡 결합부(111)의 면적 크기로 된 비닐재로서, 외측으로 볼록하여 형성된 엠보싱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엠보싱부(141)는 가압함에 따라 쉽게 터지게 되어 있다. 에어캡(140)의 일단부에는 손으로 잡아서 당김에 따라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42)가 형성된다.
빨대 뚜껑(150)은 빨대(130)의 꺽인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빨대의 개구부를 막는 것으로서, 꺽인 부분의 외측에 고정된 고정부(151)와, 빨대(130)의 개구부를 막는 막음부(152)와, 손으로 잡아 열기가 용이한 손잡이부(153)로 이루어진다. 막음부(152)와 손잡이부(153)는 변형이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고, 손잡이부(153)에는 개방 후 빨대 몸체의 걸림돌기(132)에 끼워져 걸리는 구멍(153a, 걸고리로도 가능함)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에어캡의 일부의 엠보싱부가 터져서 공기가 텀블러 몸체의 내부로 유입하게 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서 빨대 뚜껑이 개방되어 빨대 몸체의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H)의 손가락를 사용하여 에어캡(140)의 손잡이(142)를 잡고 개방시키거나, 엄지 손가락(F1)을 사용하여 에어캡(140)의 엠보싱부(141)를 눌러 터뜨리면(도 5 참조), 외부공기가 공기유입구(111b)를 통해 텀블러 몸체(110) 내부에 유입되므로 구강이나 코에 건강상 문제가 있는 사용자가 빨대(130)를 통해 내용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뜨리는 엠보싱부(141)의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텀블러 몸체(110)내에 유입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엠보싱부(141)를 터뜨려 기압을 조절하는 에어캡(140)은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빨대(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대 뚜껑(150)으로 막아서 빨대(130)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흡입시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대 두껑(150)을 뒤로 뒤집어 그 손잡이부(153)를 빨대 몸체의 걸림돌기(132)에 걸어서 사용자가 흡입할 시에 방해하지 않게 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200)는 에어캡(240)이 텀블러 몸체(2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텀블러 몸체(210)와, 텀블러 뚜껑(220), 빨대(230), 에어캡(240), 및 빨대 뚜껑(250)은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200: 텀블러
110: 텀블러 몸체 111: 에어캡 결합부
120: 텀블러 뚜껑 130: 빨대
132: 걸림돌기 140: 에어캡
141: 엠보싱부 142: 손잡이
150: 빨대 뚜껑 151: 고정부
152: 막음부 153: 손잡이부

Claims (4)

  1. 텀블러 몸체와,
    상기 텀블러 몸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텀블러 뚜껑과,
    상기 텀블러 뚜껑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사용자가 내용물을 흡입하여 섭취할 수 있는 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텀블러 몸체의 상부 측면에는 기압조절이 가능한 에어캡이 결합되고,
    상기 에어캡의 일단부에는 손으로 잡아서 당김에 따라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텀블러 몸체의 상부 측면에는 상기 에어캡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에어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캡 결합부는 상기 텀블러 몸체의 외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에어캡이 끼워져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캡의 일측은 상기 에어캡 결합부의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어 개방하더라도 상기 에어캡 결합부에 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은 비닐재로서, 외측으로 볼록하여 형성된 엠보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4. 삭제
KR1020200011986A 2020-01-31 2020-01-31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KR10232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986A KR102324314B1 (ko) 2020-01-31 2020-01-31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986A KR102324314B1 (ko) 2020-01-31 2020-01-31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150A KR20210098150A (ko) 2021-08-10
KR102324314B1 true KR102324314B1 (ko) 2021-11-09

Family

ID=7731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986A KR102324314B1 (ko) 2020-01-31 2020-01-31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3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64B1 (ko) * 2004-01-10 2006-09-25 김정근 스트로우 컵
JP2007037958A (ja) * 2005-08-04 2007-02-15 Shogo Mizuguchi プッシュ式液体調味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827A (ko) 2015-11-07 2017-05-17 김보경 텀블러
KR101883945B1 (ko) 2017-12-28 2018-07-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64B1 (ko) * 2004-01-10 2006-09-25 김정근 스트로우 컵
JP2007037958A (ja) * 2005-08-04 2007-02-15 Shogo Mizuguchi プッシュ式液体調味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150A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4963C1 (ru) Крышка-непроливайка для емкости с напитком
WO2018201654A1 (zh) 按压吸嘴自开式饮水杯盖
US20150335528A1 (en) Washing Water Spraying Vessel for Nasal Cavity Cleaner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TWI634054B (zh) 具有吸管之上蓋
US9723939B2 (en) Valve for a sippy cup and sippy cup including the same
TW555538B (en) Reclosable drinking straw
KR101775945B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2324314B1 (ko) 기압 조절이 가능한 텀블러
JP4270622B2 (ja) 飲料密閉容器
CN107920957A (zh) 用于防漏饮用杯的阀组件
ITPN990043U1 (it) Contenitore per bevande, dotato di tappo perfezionato
US20060113276A1 (en) Valve assembly
US20050167437A1 (en) Drinking aid
KR101565236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180037391A (ko) 콘택트렌즈 착용장치
US2787267A (en)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ine
US941489A (en) Medicine-dispenser.
GB2542444A (en) Nasal suction device
KR102527876B1 (ko)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JP4458337B2 (ja) 飲料容器
WO2003066463A1 (es) Tapa pitillo de cierre total para recipientes
ES2953319T3 (es) Recipiente de cosméticos que incluye un recipiente interno recargable
KR200406444Y1 (ko) 오목, 볼록한 구조를 형성한 빨대
KR20170010944A (ko) 임시저장소를 갖는 플로킹팁을 구비한 스포이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